단종되기전에 구입완료....역사적인 헤드폰 SONY MDR-7506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 фев 2025
  • ХоббиХобби

Комментарии • 276

  • @공돌이파파
    @공돌이파파  Год назад +46

    설마 그럴일은 없겠지만 진짜 국내품절날까 싶어서 영상공개전에 한개 더 주문해놨습니다. (블루투스 개조용)
    아래는 영상에서 소개해드린 RTINGS 의 헤드폰 특성비교 페이지 링크입니다. (RTINGS 로 부터 영상내 자료사용 허가를 받아 편집되었습니다)
    www.rtings.com/headphones/1-5/graph#386/7903

    • @ywhach1557
      @ywhach1557 Год назад

      블루투스 개조용은 어디서 구매할수있나요?

    • @dleorb910_StellarStellar
      @dleorb910_StellarStellar Год назад +1

      @@ywhach1557 헤드폰을 블루투스로 개조하는거요? 그냥 피오 BTR7이나 IFI Go blu 쓰면 되는데요

    • @Wans00
      @Wans00 Год назад

      저도 블루투스 개조용 궁금합니다

    • @두리두리-e2o
      @두리두리-e2o Год назад +3

      개 조용하게 들린다로 읽은 제자신이 한심하네요

  • @k-military
    @k-militar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안녕하세요 공돌이파파님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제가 슈어 mv7 마이크를 핸드폰에 연결해 녹음해 영상을 제작하고 있는데 잡음에 간헐적으로 들어가네요 혹시 적합한 오인패 추천해 주실수 있나요??

  • @mxtac2
    @mxtac2 Год назад +99

    개인적으로 엄청난 오해가 있었다는 걸 느끼는 게 모니터링 헤드폰의 표현이 음악을 체크 하는 믹싱 모니터링 용이 아니라 녹음 부스 안에서 따로 EQ 설정 없이도 내 목소리가 시원하게 잘 들리기 때문에 보컬 모니터를 하는데 좋다 라고 유명 해졌눈데 이것이 오해를 일으켜서 많은 실용음악과 작곡 전공생들과 춰미 음악인에게 믹싱 모니터에 좋다 라고 잘못 전달되며 여러 문제를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 @superbigguru
      @superbigguru Год назад +12

      팩트입니다

    • @엄브릿지
      @엄브릿지 Год назад +8

      래퍼런스와는 약간 거리가 있긴 하죠

    • @taeseongjo4506
      @taeseongjo4506 Год назад +1

      말씀하신게 바로 모니터용 오디오 장치인거죠. 개인이 쓰기에 장점은 엔지니어의 의도에 맞게 충실하게 재생하니 그래서 개인에게 좋은 헤드폰일수도 반대로 개인 취향(특정 주파수가 강조되지 않은)이 결여된 장비라서 나쁠수도있는~
      특정 주파수를 최소한으로 강조하거나 강조하지 않고 오디오 장치가 소스 오디오의 음질을 정확하게 재생하며("무색" 또는 "투명"하게) 상대적인 위상 편차가 없는. 특정 주파수의 - 스테레오 녹음을 위한 사운드 스테이지 관점에서 왜곡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스테레오 사운드 스테이지 요구 사항을 넘어선 선형 위상 응답은 - 임펄스 응답이 "번짐" 없이- 소스에 충실하도록 도와주는게 모니터링 사운드 장치이니 본래 기능에 충실한거죠.
      그래서 개인 호불호가 있을수밖에 없는거죠. 본인이 보컬용으로 쓰면 보컬용인거고 아니면 아닌거죠.

    • @mxtac2
      @mxtac2 Год назад +33

      @@taeseongjo4506 이게 제가 말한 오해입니다... 현직믹싱엔지니어인데 이걸 레퍼런스(플랫성향)이라고 느낀다면 이 바닥 떠야 합니다

    • @humungs
      @humungs Год назад +10

      제가 그랬습니다 ㅎ
      주변에서 하도 모니터링용으로 좋다고 해서 20년전에 구입했는데 본문에 쓰신대로 부스 보컬용 헤드폰이라고 느꼈네요.
      아니? 이게 레퍼런스라고?!

  • @jamonjamon6666
    @jamonjamon6666 Год назад +24

    와 이게 아직도 나오고 있었나보네요. 스튜디오 녹음식 안에는 무조건 있던 헤드폰인데.. 지금도 많이 쓰나보네요. 믹싱엔지니어들이 쓰는건아니고 실연자들이 부스안에서 쓰던 헤드폰

    • @vstories9019
      @vstories9019 Год назад +1

      그냥 막쓰기 좋은 싸구려 헤드폰이에요. 저런거 사는 사람 없겠죠?

    • @silminililni
      @silminililni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최근 mv1 나오면서 단종됫습니다

    • @silminililni
      @silminililni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네 중음 위주 재품이 맞음

  • @rjpac127
    @rjpac127 Год назад +12

    와우! 추억의 헤드폰이네요 ㅎㅎ
    10:30 에서 어느 정도의 음량으로 테스트 했는지에 대해서
    해당 그래프 최상단에 회색 점선이 있는데
    이게 MDR-7506의 직접 청취 음량을 댄스클럽 수준으로 할때가 100이라 가정하고 그래프를 그렸다..
    이 말이 아닐까 싶기도 하네용ㅎㅎ

  • @josweetheart6923
    @josweetheart6923 Год назад +21

    녹음실에서 엔지니어가 믹싱용으로 쓰는게 아니라
    보컬이나 악기 연주자가 모니터링하면서 녹음하는 용으로 사용합니다. (PA쪽은 모르겠네요)
    녹음시 녹음하려는 원소스를 더 선명하게 듣고
    불필요한 노이즈를 스스로 모니터링하는데에 장점이 있습니다.

    • @Zam-zam-1891
      @Zam-zam-1891 Год назад +1

      0:53

    • @모조플리
      @모조플리 Год назад

      PA쪽은 연주자도 스텝들도 인이어를 많이 쓰더라고요

    • @bbibbi0609
      @bbibbi0609 Год назад

      메인 엔지니어가 누구냐에 따라 최종믹싱 마스터 뜰때 꼭 헤드폰으로 확인하시는분들도 있습니다^^

  • @강성근-y3c
    @강성근-y3c Год назад +5

    08년도에 사서 열심히 현장에서도 쓰고 작업하면서도 쓰고 있는 제품인데 여기서 보니까 반갑네요~~~

  • @급성비만
    @급성비만 Год назад +14

    본인피셜 귀두 큰 공돌이파파님 ㄷㄷㄷ 역시 상남자;;

  • @김초리초리
    @김초리초리 Год назад +6

    옛날에 쌀때는 9만원때였던적도 있었던거같아요 ㅋㅋ 녹음실에 방음부스에 mr듣는용으로 주로가져다 놨었죠 귀도 좀 편하고 차폐도 되긴해서 ㅎㅎ 믹싱엔지니어가 쓰는건 거의못봤네요

  • @blue-kingdom
    @blue-kingdom Год назад +1

    2개 보유했었습니다...많은 도움을 받은 장비..여름에는 더웠어요..

  • @onairclassic9475
    @onairclassic9475 2 месяца назад

    주파수 응답특성만 봐도 srh-440이 절대 저역이 부족한 보컬 전용 헤드폰이 아닌데요. 대체적으로 플랫해서 모니터용으로 두루 두루 저렴하게 사용하는 헤드폰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도 7506 440 둘다 사용중입니다.

  • @hongsam_candy
    @hongsam_candy Год назад +1

    와 이영상 추억돋으면서 소개도잘해주시면서 재밌으면서 헤드폰으로 이렇게 좋은영상을 뽑으시다니 감탄할따름입니다!! 가죽다 벗껴지는 팩트 최고!!👍

  • @markjung9496
    @markjung9496 Год назад

    오늘 유난히 깔끔하시네요 보기 좋습니다

  • @genesius71
    @genesius71 Год назад +1

    ㅎㅎㅎ 20년째 쓰고 있습니다. 스폰지는 몇번 갈았죠

  • @muzmu771
    @muzmu771 Год назад +5

    워낙 모니터링용으로 유명해서 그렇지 장르에 따라 음감용으로도 좋은 헤드폰이죠. 음향기기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아는 헤드폰!

  • @bwonlee7684
    @bwonlee7684 Год назад

    공돌이파파님 주제와는 다른 이야기인데.. 4오옴 스피커 유닛 2개를 직열로 연결해서 8오옴으로 앰프에 연결하면 앰프의 출력이 동일할 경우 음량의 차이가 있나요? 뜬금 질문 죄송합니다.

  • @어쩌다가이렇게저렇게
    @어쩌다가이렇게저렇게 Год назад +1

    슈어 srh440은 정말 잘 썼던 헤드폰중에 하나지만 헤드폰 쿠션이 너무 잘 상해서 가루가 잘떨어져서 관리하기 힘들더라구요ㅠ..ㅠ 갠적으로 소니거도 좋았지만 krk kn 8400이 가장 쓸때 좋았었습니다.

  • @MP.K
    @MP.K Год назад +1

    오... 60호 넘어가도 맞다고 하시는데 걱정되네요; 제가 64호가 잘 안 맞는 그런 대두인데, 소니의 1000XM3 헤드폰을 쓰고 있습니다.
    머리를 완전히 밀어버린 상태인데도 끝까지 밴드를 늘려야 두상에 딱 맞는데... 7506은 잘 맞을까 모르겠습니다. 하나 혹하긴 하네요.

  • @superbigguru
    @superbigguru Год назад +10

    밑에 먼저 남기신 의견들처럼 오퍼레이터나 엔지니어용이 아니라 녹음실 안에서 보컬이 모니터하는 용도로 알고 있습니다. 밀폐형이라는게 가장 큰 이유이지 싶습니다.. 저도 15?18년?전쯤 써봤는데 재밌게 듣기에 좋은 헤드폰이라 생각합니다. 그런 측면에선 저는 개인적으로 7509가 더 좋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헤드폰은 아무리 좋다고 해도 믹싱용이라기 보단 교차 검증용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늘도 재밌게 보고 추억 소환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 @bulgogi2002
    @bulgogi2002 Год назад +37

    근데 ㅋㅋ 저 오래쓰면 김가루 떨어지는거만 아니면.....

    • @messi-st
      @messi-st Год назад +2

      저 가죽같은게 자꾸 조금씩 벗겨져요ㅠ

    • @CVS011
      @CVS011 Год назад +2

      고질병~~

    • @ceo517
      @ceo517 Год назад +2

      김가루 핵공감ㅋㅋㅋㅋ

    • @daecheonbeach
      @daecheonbeach Год назад +1

      핵공감~

  • @HankKorea
    @HankKorea Год назад +3

    저도 20년 전쯤 잠시 썼던 헤드폰이네요. 전 음질보다는 헤드폰 자체가 불편해서 몇번 안쓰고 중고로 팔았던... ㅎㅎ

  • @Flyingteapot
    @Flyingteapot Год назад +2

    NS-10과 7506 으로 10년 넘게 작업했던 기억이 나네요 ㅋ ns-10은 이제 떠나고 없지만 7506은 아직도 잘 쓰고 있는 꽤나 정든 녀석이죠 ㅎ

  • @azoozypark
    @azoozypark Год назад +8

    추억의 김가루.
    믹싱 할 때 쓰면 10k 고음이 미치도록 강해서 고막이 뚫릴 듯이 아파요. 보컬 녹음할 때 반주에 보컬이 묻히지 않고 튀어나오게 들려서 딱, 그 용도 외에는 쓸모가 없었어요.
    청력이 손상되거나 노화되면 고음이 잘 안들립니다. 애초에 감상용이 아니지만, 고음을 잘 못듣는 사람은 7506 소리가 오히려 괜찮게 들릴 수도 있습니다.

    • @PhL9323
      @PhL9323 Год назад

      혹시 악기 연주 모터링시 고음이 오디오테크니카ATH-M50x에 비교를 좀 설명해주실수 있나요? 내구성 때문에 이 제품을 선호합니다.

    • @azoozypark
      @azoozypark Год назад

      @@PhL9323 죄송하지만 저는 오디오테크니카 제품은 써본 적이 없어서 모르겠습니다. 현재 사용 중인 제품은 모두 Shure와 AKG 입니다.

  • @數集學者
    @數集學者 Год назад +1

    저는 비슷한 MDR-CD900ST쓰고 있는데 이 모델은 일본 음반 녹음용 표준이라 모니터링 용으로 좋더군요.. 대신 일본 내수용이라 직구를....

  • @LEEZONE_
    @LEEZONE_ Год назад

    오늘 너무 멋지신데요... 어디 다녀오셨어요?
    머리도 멋지고

  • @정승구-u5h
    @정승구-u5h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악기용 헤드폰에 마이크가 달려 있었으면 좋겠어요! 왜냐면요 대부분의 건반 악기에 마이크 단자가 있으니까용! 그리고 그것이 5.5mm 커넥터를 이용하였으면 좋겠어용!

  • @마그네틱콘탁
    @마그네틱콘탁 Год назад

    헤어스타일 깔끔해 보이고 좋습니다

  • @preserde
    @preserde Год назад +4

    모니터링 급이네 뭐네 하면서 광고하는 헤드폰 많은데, 사실 필드에 모니터링으로 많이 쓰이는 7506(일본에서는 cd900st)은 음질이 좋아서 쓰이는게 아니죠... 음질 그럭저럭 쓸만하고 보컬 녹음때 차음 잘 해주고, 부품 많고 유지보수 잘되고... 이런게 모니터링 헤드폰입니다.

  • @peachblackstudio
    @peachblackstudio Год назад +1

    보컬 녹음을 한다면 반드시 있었던 헤드폰이지요.. 저는 그래서 겁나게 싫어했던 헤드폰입니다 ㅋㅋㅋㅋㅋ 나이먹고 귀가 좀 먹으니 이젠 좀 괜찮은것 같은 생각이 드는게 아이러니

  • @nameless852
    @nameless852 Год назад

    RTINGS에서 사용하는 타겟은 자체 타겟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 @guitarman9984
    @guitarman9984 Год назад +1

    국내의 왠만한 스튜디오엔 소니MDR을 메인 으로 쓰고 있습니다~~

  • @promman
    @promman Год назад

    Srh440 지금 10년 가까이 된거 같은데 저렴한 스펀지 정수리 부분에 대고 테니스그립으로 감아주면 정수리 덜 아프더라구요. 잡소리는 진짜... 최악

  • @voice_mk7
    @voice_mk7 3 месяца назад

    소니에서 7506을 대체 할 mdr-m1이 나왔는데(그럼에도 7506은 단종하지 않는답니다...ㅎ) 리뷰가 궁금하네요.ㅎ

  • @jk-nx2mf
    @jk-nx2mf Год назад

    한번사용해보고싶은헤드폰이네요

  • @carfriends
    @carfriends Год назад

    우와 아직도 나오네요 ㄷ ㄷ ㄷ 오테로 간지 오랜데 재구매각 나옵니다

  • @avel9764
    @avel9764 Год назад

    전 이거 쓰고 머리 모양이 바뀐것 같아요. 한 세시간 쓰고 벗으면 얼얼했던 추억이 있네요.

  • @Continuity
    @Continuity Год назад

    오잉 단종되나요? 이어패드 사놔야겠네... 전 너어~무 긴 케이블 잘라버리고 mmxc 단자로 개조해서 사용중입니다 ㅋㅋ

  • @byunghokam4159
    @byunghokam4159 Год назад

    와우 오늘 헤어 멋지십니다요.

  • @ywk1877
    @ywk187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예전에 저가 7506 고가 7509 였는데요. 이제 7509는 찾아볼수 없네요

  • @jungchory1159
    @jungchory1159 Год назад

    오래써도 편한가요??

  • @bong-bang-dong
    @bong-bang-dong Год назад

    와 목소리 너무 좋으시다 ㅠㅠ

  • @user-uf6rd1oy33
    @user-uf6rd1oy33 Год назад +1

    목소리가 졸라 엄청 매우 듣기 좋습니다. 성우신가?

  • @highwin95
    @highwin95 Год назад

    오늘 가르마를 참 이쁘게 타셨어요~ ㅎㅎ

  • @수달-m3h
    @수달-m3h Год назад

    최근은 오디오테크니카 m50x로 넘어옴 그래서 방송에서 녹음하는거 보면 ath-m50x 다 이거 쓰고 있음.
    아직도 소니 쓰는곳도 많고 슈어 쓰는곳도 많은데 요즘은 오디오테크니카꺼

  • @aruspex11
    @aruspex11 Год назад +3

    잠깐 언급된 SRH 440a가 착용감이 좋아졌다고 하는데, 10분쓰면 정수리 눌려서 두통으로 침대에 누워야하는건 똑같습니다. 440a가 소리도 무척 좋아졌다고 모 리뷰어가 막 호평하길래, 공구가가 엄청 싸서 속는셈치고 하나 사봤는데, 진짜 속았습니다 ㅠㅠ 2인이상 녹음하는 일 아니면 절대로 안꺼냅니다 ㅠㅠ

  • @파시시-m2n
    @파시시-m2n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일렉기타 오인페 연결 사용 가능한가요?

  • @이승-e8r
    @이승-e8r Год назад

    집에 헤드폰 1대가 있는데 혹시 akg k7xx 리뷰해주시면 영광이겠습니다ㅠ

  • @Smilehouse_lofi
    @Smilehouse_lofi Год назад

    당근에서 3만원으로 구매했습니다. ㅎㅎ 생각보다 음질 영역이 매우 좋습니다~가성비 좋내요..

  • @borjc9
    @borjc9 Год назад

    전 피아노치면서 모니터하려고 샀는데
    아마존에 모니터 헤드폰쳐서 그냥 젤위 나와있고 리뷰가 좋길래 샀어요 ㅎㅎ

  • @MusikingGTR
    @MusikingGTR Год назад

    20여년전에 노래방 미디 딸때 많이 썼는데... 갑자기 많이 찾더군요...

  • @seanpark9970
    @seanpark9970 Год назад

    그래도 지금 음감용 산다면 소니 신제품 MV1이죠. 너무 잘나왔어요

  • @Gukakochul
    @Gukakochul Год назад +1

    2002년 대학교 시청각실에서 dvd 볼 때 썼던 기억이 나네요 ㅎㅎ

  • @Ruliling
    @Ruliling Год назад +1

    저거 녹음실 왠만한곳은 다 저거 썼었는데 ㅎㅎ 아직도 많이 보이고 ㅋㅋ

  • @EarthScience1111
    @EarthScience1111 Год назад +1

    기분 탓인지 더 잘생겨지신거 같아요

  • @ArtistVarious
    @ArtistVarious Год назад

    추억이네요 ㅋ21년전에 쓰던건데 믹싱용 모니터로 썼던 기억이 있네요
    오테카 pro5도 가성비 개꿀띠 였는데

  • @MiMiappa
    @MiMiappa Год назад +1

    흥미로운 리뷰 감사합니다.

  • @Jungonesun
    @Jungonesun Год назад

    저도 막 하나더 샀는데 ㅎㅎ 대박입니다

  • @two-five-one
    @two-five-one Год назад +4

    90년대 중반부터 내시발과 시카고 레코딩 현장에서 근무했습니다.
    그 동네에서도 모니터링 헤드폰은 7506이 대세였는데….
    이유는 별거없었어요.
    싸고 튼튼하고 가볍고 말폐형이고 돼지꼬리 케이블로 70인치 길이 지원되고 막 굴려도 케이블 단락 잘 안 되고…
    이 조건을 충족하는 헤드폰은 7506이 거의 유일했기 때문입니다. 어찌보면 SM57과 비슷한 포지션이었던거죠.
    소리? 딱히 중요하지 않았어요. 어차피 보컬이나 연주자가 헤드폰으로 듣는 믹스 밸런스는 어디까지나 그들의 편의에 의한 모니터 밸헌스이기 때문에…
    그저 자신의 목소리와 리버브 정도만 확인하면 되는거였습니다.
    음질 때문에 7506을 선택하는 사람이 있다? 프로들이 사용하니까 좋은 음질일거다?
    이렇게 얘기하는 사람이 만약 있다면… 뭐… 조금 웃기기는 하네요.

  • @zemosbeat
    @zemosbeat Год назад

    오늘은 머리하셧네요❤❤

  • @YangTotalNetwork
    @YangTotalNetwork Год назад

    이건 아이폰12프맥 이상과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iwspg
    @iwspg Год назад +4

    대학시절부터 소니헤드폰 사야지를 10년 넘게 생각하고 고민하고 살까 말까 하다 이 영상보고 바로 질럿습니다.

  • @Retr0_man
    @Retr0_man Год назад

    햐 제가 고3때였나 그쯤 미디에 처음 입문할때 샀던건데 닳도록 부서지도록 써서 버렸던 기억 나네요 벌써 10년도 지난 ㅋㅋ

  • @parkroland1081
    @parkroland1081 Год назад +21

    리뷰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MDR-7506이 YAMAHA NS-10M과 더불어 90년대 전세계 스튜디오를 휩쓴 이유가 주파수가 동급에 비해 매우 평탄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그렇습니다.
    레코딩 스튜디오는 프로덕션이라 음악 감상용(좋은소리)이 아니라 믹싱 단계에서 나쁜 소리를 찾아내는게 주 목적이거든요.
    8~90년대의 주류 매체였던 테이프의 주파수 특성이 고음역대를 많이 깎아 먹기 때문에 그 당시 엔지니어들이 믹싱할 때 특히 고음을 신경 많이 쓰다보니 레퍼런스로 7506을 많이 선호 했다는거...ㄷㄷㄷ
    요즘 나오는 레이블도 일반 헤드폰으로 들어보면 그럴 듯 하지만 NS-10M이나 MDR-7506으로 들어보면 믹싱 개판인거 수두룩 하지요.
    이게 일반인들의 귀로 들으면 저음은 없고 고음이 많이 쏘는 듯한 느낌이 드는 이유입니다.
    특히 보컬의 경우 자기 목소리가 실제 음성과 녹음된 음성이 많이 달라서 당황하는 경우가 많은데 7506으로 모니터링 하면서 프리, 컴프, EQ를 거쳐 정확한 소리를 수음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기 때문에 스튜디오에서 많이 사용하는 겁니다.
    요즘은레이블 제작이 ITB(In the Box)로 전과정이 디지털 처리가 되는 관계로 젊은 레코딩 엔지니어들은 그닥 많이 사용 안한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대를 풍미한 명기임에는 틀림이 없다는...ㄷㄷㄷ
    참고로 완전히 데드 카피한 중국산 짝퉁(?)이 알리에서 4~5만원에 팔리고 있는데 이거 완전 쓰레기 입니다.
    무늬만 7506이고 엔클로져가 어디서 발로 만들었는지 만원자리 이어폰 보다 못합니다. 저음만 부스트 되고 고음역대는 개판이더란...ㄷㄷㄷ

  • @김민준-v6h
    @김민준-v6h Год назад

    핸드폰에도 연결해서 들을 수 있나요

  • @hansh96
    @hansh96 Год назад +3

    어느 스튜디오를 가도 몇 개씩 굴러 다니던 물건 ㅎㅎ

  • @Silent_chap
    @Silent_chap Год назад

    약 3년전 대박할인한 울크라손 900프로를 사용중인데요.. 저음이 울리면 헤드폰이 떨릴정도인데..이게
    익숙해지니 저음이 약한 헤드폰은 너무 심심해 지더라구요

  • @MSDDLAND
    @MSDDLAND Год назад +1

    캬.. 추억의 7506이네요..ㅎㅎ

  • @KB-cover
    @KB-cover Год назад +2

    첫 만남은 97년도 인가 삼촌이 안쓴다고 쓰라고 했던 헤드폰! AIWA 카세트에 연결하고 감동했었지요👍
    케이블은 끈쩍 김가루 풀풀 날릴 때까지 쓰다가 단선도 고치고 잘 썼던 기억입니다.
    최근에 본 건 셀프녹음실 가니 싼 방에 딱있더라고요 ㅋ
    보컬 녹음할 때 역시 잘 들립니다👍

  • @Victory2025_Trump
    @Victory2025_Trump Год назад +2

    음향업체나 스튜디오에서 정말많이 쓰였고 저역시 엄청나게 많이 사용한 제품입니다. 음향적 특성이 플랫하기에 모니터링용으로 정말 좋은 제품 입니다.

    • @SOULSC4R
      @SOULSC4R Год назад

      @@zoozeonja158 너는 왜 달아 놓은 댓글 마다 싸가지가 없게 댓글을 달아 놓은거냐. MDR이 부모라도 죽였냐.ㅋㅋ

  • @고치고-m2b
    @고치고-m2b Год назад +1

    스튜디오엔 딱 2개가 보이죠. mdr 7506 VS dt770 pro

    • @dleorb910_StellarStellar
      @dleorb910_StellarStellar Год назад

      요즘은 스튜디오 가성비로 가면 슈어 SRH440A,840A가 아닐까 하네요 레퍼런스의 기준도 옛날이랑 달라서;;;

  • @kimslife777
    @kimslife777 Год назад

    저 얼마전에 3번째로 구입했습니다… 이큐와 보컬 발란스 잡기에 정말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그 가격 가성비로는.. ㅎㅎㅎㅎ

  • @kureowl
    @kureowl Год назад

    예전에 녹음하러가면 저건 꼭 있더라구요 ㅎㅎ

  • @Leelion
    @Leelion Год назад +6

    지금은 현장에서 거의 쓰지 않는다고 보심이 맞을 듯 싶네요. 보컬 모니터 용으로 많이 썼으나 내구성과 차폐력이 너무 떨어져 클릭을 들어야 하는 녹음이나 헤드폰 레벨을 높게하고 녹음하면 소리가 바깥으로 너무 많이 세서 지금은 거의 쓰지 않는 것 같네요.

  • @castsfor
    @castsfor Год назад

    7506 440 진짜 어딜가나 있었죠ㅋㅋ가끔 힙스터들이 CD900ST 어떻게 사다쓰고..요새는 DT770 많이 보이는 것 같던데 레퍼런스 헤드폰이 슬슬 다각화되는건지 아니면 세대교체가 되는건지..ㅎㅎ

  • @BirdBlk
    @BirdBlk Год назад

    저 아직도 저거 써요 ㅋㅋㅋ 근데 정작 소니를 만든 일본에선 빨간색 스티커 붙은 900ST 더 많이 팔리는 거 같드라구요

  • @주간나상사
    @주간나상사 Год назад +1

    이거 예전에
    DJ나 음반스튜디오에서 대부분 사용하던데

  • @momo7000
    @momo7000 Год назад +2

    2개나 사용중인 제품이네요.
    하나는 오래 되어 스폰지 부분을 3번째 교체해서 사용 중~
    3.5 , 5.5 잭 둘다 지원하는 것도 장점입니다.

  • @sanglee4686
    @sanglee4686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에구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만 다른 회사 제품과 비교를 해 주셨으면 더 좋았을 뻔 했네요 ~~~아무래도 같은 회사 제품들은 비슷한 성향을 가지고 있어서 비교 하는 거 자체가 별 의미는 없어 보입니다 ㅎㅎㅎ

  • @맨프리-o4t
    @맨프리-o4t Год назад +12

    모니터링 성향이 전혀아닌데 이상하게 스튜디오에 많이 사용하는 미스테리한 제품...

    • @dleorb910_StellarStellar
      @dleorb910_StellarStellar Год назад +2

      "싸다"

    • @dleorb910_StellarStellar
      @dleorb910_StellarStellar Год назад

      근데 아마 저게 옛날에 나온거라 그런걸걸요

    • @aruspex11
      @aruspex11 Год назад +3

      스튜디오처럼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제품은 '싼'게 굉장히 중요합니다. 특히 보컬 녹음용으로는 특성이 괜찮기 때문에 많이 쓰였죠. 요즘은 뭐 자기 목소리 모니터로 헤드폰 따로 챙겨다니는 싱어들도 종종 있습니다.

    • @dleorb910_StellarStellar
      @dleorb910_StellarStellar Год назад

      @@aruspex11 그런의미에서 키위이어스 카덴자를 리뷰해주세요

  • @shimdaewoo
    @shimdaewoo Год назад

    저도 3번은 샀으니.. 많이팔린 헤드폰 맞을걸요..ㅋㅋ

  • @랜스에더
    @랜스에더 Год назад

    스튜디오 방송 보면 엄청 많이 보여서 사려다가 가격이 너무 싸서 의심이 가서 패스했던..

  • @heaye
    @heaye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 싸이트에서 7506 모델 검색이 안되네요.

  • @광란자
    @광란자 Год назад

    저도 따라질러봅니다ㅋ

  • @falcon0081
    @falcon0081 Год назад

    20년간 패드 교체해 가며 아직도 가지고 있네요 ㅎㅎ

  • @teddlee3243
    @teddlee3243 Год назад

    블루투스로 만드킄것도 영상 ㅇ올려주세요 ㅎㅎ

  • @감각이없어요
    @감각이없어요 Год назад

    이 제품과 akg k731 둘 다 저렴하면서 참 좋은 제품 같습니다.

  • @artistkim87
    @artistkim87 Год назад

    7509HD도 썼었지요^^

  • @웅-d5k
    @웅-d5k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 거 90년대에 쌀 땐 몇 만원 안주고도 구입 가능했어요 ㅎㅎ. 이어폰보다 쌌음. 요즘은 모르겠지만, 부품 전부 다 나와서 전체 교체 수리도 가능했었습니다 ㅎㅎ.

  • @내어릴적
    @내어릴적 Год назад

    소니라고 별 수 없습니다.
    근래...생산공장을 베트남으로 옮긴 후 부터는, 신모델 초기 불량 엄청 많습니다.
    무선 헤드셋 50만원 상당의 최신모델을 오프라인매장 방문해서 직접 체험해 봤는데,
    원가절감 모델이라는걸 한눈에 알 수 있더군요. 그래서 구모델을 구입했습니다.
    반드시 제조생산국가를 확인하고, 모델 출시년도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건 IT기기 공통된 사항입니다.

  • @monopark5594
    @monopark5594 Год назад +1

    Mdr-1adac이라는 소니 헤드폰이 있는데 이거도 모니터링 용으로 좋습니다 . 내장덱이 있고 원음에 가까운 소리를 냅니다.

  • @김띨띨-l3f
    @김띨띨-l3f Год назад +7

    저거 오래쓰면 검정 비듬 나오고
    귀아래 목타고 검정가루 묻어서 사람들이 때묻히고 다니고 안씻는 사람인줄암 ㅋㅋ
    ㅋㅋㅋ

  • @riderlife8968
    @riderlife8968 Год назад +1

    저 제품의 제일 큰 단점은 싸구려 플라스틱 사용으로 그 소리가 베어 있음... 저라면 베어어다이나믹 제품 추천함... 가격도 별 차이없으니..

  • @teahyoungkwon8469
    @teahyoungkwon8469 Год назад

    슈어 그 가격에서는 저음 잘 나오는 헤드폰인데..
    도대체 어느 만큼의 저음을 요구하시나 모르겠네요.. ㅎㅎ

  • @노리-q6u
    @노리-q6u Год назад +4

    유명한 헤드폰 몇십개씩 보유도 해보고 돈도 참많이들였는데 결국 남긴건 딱 2개네요
    음감용으로는 피델리오 작업용으로는 업계표준인 7506

  • @favorit01
    @favorit01 Год назад

    지금 11마존에서 10.5만원에 판매중입니다.

  • @babooticable
    @babooticable Год назад

    저도 ... 60이었습니다 ㅠㅠ

  • @vividslow
    @vividslow Год назад +2

    개인적인 7506 사용법(믹싱할 때)
    모니터 스피커로 작업하다 귀도 뇌도 피로할 때;;
    1. 저음
    - 베이스가 거의 안 들린다 : 베이스가 작구나.
    - 베이스가 너무 잘 들린다 : 베이스가 크구나.
    2. 고음
    - 고음이 듣기 싫을 정도로 강하다 : 고음이 쎄구나.
    - 고음이 편하게 들린다 : 고음이 조금 약하구나
    그래프상을 떠나서 확실히 저음이 약하고 고음이 선명한 헤드폰이라 아이러니하게도 저음과 고음 모니터링할때 요긴하게 사용하는 헤드폰.

  • @gun4253
    @gun4253 Год назад

    7506보단 cd900st가 명기지요

  • @evrdprogress
    @evrdprogress Год назад +7

    보컬 모니터링 용으로는 그럭저럭 괜찮은데, 음량 조금만 올려도 엄청 쏘죠. 고대유물입니다.

    • @공돌이파파
      @공돌이파파  Год назад +2

      아마 그래서 제 귀가 나간듯 하네요 ㅠㅠ

  • @mgbowling4018
    @mgbowling4018 Год назад

    혹시 이 헤드폰이 단종될 예정일까요?

    • @horiyuko
      @horiyuko Год назад

      소니에서 신형 모니터링 헤드폰인 m1st가 나오긴 했습니다만, 가격대가 더 높고 포지션이 약간 다르기때문에 단종 예정은 웬만하면 없을겁니다😅

    • @mgbowling4018
      @mgbowling4018 Год назад

      @@horiyuko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