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호의 경제읽기] "수도권에 300조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경제 효과는?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5 фев 2025
- [김대호의 경제읽기] "수도권에 300조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경제 효과는?
[출연 : 김대호 경제학 박사]
정부가 오는 2042년까지 수도권에 300조 원 규모의 민간 투자를 유치해 세계 최대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우리나라 반도체 생태계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지, 또 경제적 효과는 어떠할지 관련 내용,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정부가 수도권에 대규모 투자를 유치,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윤석열 정부에서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를 발표한 건 처음인 것 같은데 구체적으로 어떤 계획인지 설명해주신다면요?
[질문 2] 최근 미국과 대만, 중국 등 주요 국가들이 정부 지원을 통해 자국 내 반도체 클러스터를 강화하는 등 총력전을 펼치고 있는 만큼 우리 또한 '반도체' 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었는데 이번 투자 계획이 향후 반도체 생태계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어떤 도움이 될까요?
[질문 3] 이런 가운데 지난달 취업자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만 2천 명 증가하는데 그치며 2년 만에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경기 영향이 고용시장에도 본격적으로 반영되고 있는걸까요?
[질문 4] 60대 이상 일자리는 41만 3천 명이 늘어나며 증가세를 이끌었지만 60대 이상을 빼면 전체 취업자 수는 오히려 10만 명 넘게 줄었습니다. 특히 청년 취업자가 12만 5천 명이 줄어들었는데 가장 활발하게 일을 해야 할 청년 취업자가 감소하고 있다는 건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대책이 필요하진 않을까요?
[질문 5] 미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6% 상승하며 시장의 예상치와 부합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1년 반 만에 최소폭의 상승세를 보였는데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6] 실리콘밸리 은행 파산 여파로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던 뉴욕증시는 안도랠리 보였습니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둔화를 보였기 때문인 걸까요? 우리 증시 반응은 어떠한가요?
[질문 7] 그렇다면 다음 주 연준이 공격적인 금리 인상을 단행할 확률이 낮아졌다고 볼 수 있을까요? FOMC에서 0.25%P 인상하는 베이비스텝에 무게를 두는 목소리가 나오는 가운데 금리인상을 멈출 것이란 예상도 나오고 있는데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반도체클러스터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실리콘밸리은행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잘 되어 국가 대계를 성공시키기 바랍니다.
인구문제 심각한데 지방을 살려야지...
지방에도 반도체 외에 특화된 산업단지 만든다고 하네요
반도체, 너무 많이 늦었지만 이제 시작이 반이라고 좋은 결과가 나오길 바라며 열심히 하자 ,아--자--작
반도체 잘 나간다고 반도체만키우다간 전멸하는수가..
수도권 이 .아니라.용인.이라고
윤 잘하네. 지금은 한미일 공조로 중공 견제할 때이다.~
삼성이 하는거잖아..
평택? 용인?
2040년이 올까?
아니 왜 경제학 박사가 나와? 반도체 박사가 나와서 설명해주지 좀 아쉽네
윤석열이가 발표했잖아.. 삼성이 하는 일인대
삼성이 투자하는것을 윤석열이가 왜 발표하지?/ 거기다 거의 극복해가는 일본 소재 기업을 입주시킨다고??
져때가네
돈있냐?
근데 어디 팔게? 중국에 못팔자나..
별걱정을 다하시네
민간 투자? 업체들이 돈내서 해라. 사기 치고 있네. 이 정권 하는 짓이 정말 웃기다
삼성이 장기 투자계획인대 윤석열이가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