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공부를 위한 기초 상식(2편; 우리나라의 별칭, 북방의 여러 민족)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5 фев 2025
  • 한국사 공부를 위한 기초 상식 2편! 우리나라의 별칭, 북방의 여러 민족강의입니다.
    해동, 동국 등 우리나라의 별칭과 북방의 여러 민족 관련 문제에 취약한 분들을 위해 촬영하였습니다.
    www.gosabu.kr

Комментарии • 49

  • @이솔-l8n
    @이솔-l8n 4 года назад +6

    진짜 상식 강의 최고 ㅠㅠㅠ 도움 너무 많이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 @minholee4104
    @minholee4104 Год назад +1

    사부님 감사합니다!!

  • @리어셔
    @리어셔 5 лет назад +2

    너~~~무 유용한 강의
    진심 감사합니다.

  • @hanigo7417
    @hanigo7417 5 лет назад +6

    수험생 입장에서 너무 유용한 영상입니다감사합니다

  • @이여사-z8l
    @이여사-z8l 5 лет назад +1

    선생님강의는 20년이 지나도 최고십니닷^^

  • @sside4708
    @sside4708 5 лет назад +2

    매번 헷갈렸는데 정리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 @김민호-c4c7y
    @김민호-c4c7y 5 лет назад +6

    고사부님 재밌는 역사 이야기 많이 들려주세요! 사랑합니다아

  • @돌고래-v2n
    @돌고래-v2n 3 года назад

    16:23 야율아보기(耶律 阿保機), 예뤼 아바오지 (요)
    18:53 완안부의 아골타 (금), 누르하치 (후금)

  • @pjpj4937
    @pjpj4937 4 года назад

    강의최고입니다!

  • @cosmos615
    @cosmos615 5 лет назад +4

    좋아요 눌러놓고 저녁때볼게요~

  • @널보라해
    @널보라해 5 лет назад +1

    좋은 강의 잘 봤습니다 사부님 ㅎㅎ

  • @Hyobar
    @Hyobar 5 лет назад +1

    사부님 😆 기다렸습니다.

  • @yoonheejeong852
    @yoonheejeong852 3 года назад

    딕션 정말 좋으세요ㅎㅎㅎ 유용했습니다^^

  • @7gmw647
    @7gmw647 Год назад

    명강의다!

  • @황충-g3k
    @황충-g3k 5 лет назад +1

    갓사부~ 새로운 컨텐츠 좋아요~ㅎㅎ

  • @ryankim4502
    @ryankim4502 5 лет назад

    감사합니다 진짜 잘 듣고 갑니다

  • @박우영-e5h
    @박우영-e5h 3 года назад

    좋아요 꾸욱 ~~

  • @myu427
    @myu427 5 лет назад +1

    와..이건진짜..최고다bb

  • @ckfolder
    @ckfolder 3 года назад +1

    싸부님 쎾쓰
    정장간지 ㄷㄷㄷㄷ

  • @contiguous1
    @contiguous1 5 лет назад

    유익해요~

  • @hye6599
    @hye6599 5 лет назад +1

    사부님 3부는 언제 나오나용♡

  • @김진우-u4b6p
    @김진우-u4b6p 5 лет назад

    사부님. 감사합니다. 도움 많이 됐습니다. 근데 몽골은 여진보다 위쪽에서 있다가 내려온 건가요? 흥안령 위쪽??

  • @maje1145
    @maje1145 4 года назад

    08:05 북방의 여러 민족 시작

  • @JamesWLee-uh9jq
    @JamesWLee-uh9jq 3 года назад

    돌궐을 몽골이 아니라, 투르크라고 보던데요...흉노도 훈(HUN) 과 어원이 유사하다는설이 있어 흉노도 현재 투르크 계라는 설이 있답니다. 어떻게 보시는지요?

  • @eugenehwang808
    @eugenehwang808 4 месяца назад

    흉노족이 훈족이라고도 부르죠
    훈족의 훈(Hun)은 나중에 헝가리(Hungary)가 되는 거고요

  • @windowdragon
    @windowdragon 5 лет назад

    너무 재밌어요. 기초 탄탄.
    근데 돌궐 → 투르크 → 터키 이거 맞죠?

  • @도리-n6m
    @도리-n6m 5 лет назад

    이거 프린트는 따로 없나요?.

  • @순페이퍼
    @순페이퍼 5 лет назад

    사부님 감사합니다

  • @법률사무소-p8b
    @법률사무소-p8b 5 лет назад +1

    6:00

  • @TV-DOCJON
    @TV-DOCJON 3 года назад

    8:25

  • @wingal77
    @wingal77 3 года назад

    靑丘/靑邱
    靑 ‘푸르/부르’
    丘/邱 ‘달/단’ = 높은 곳/(언)덕
    震檀
    震 ‘우레/우르’
    檀 [단]
    [부르달=우르단]은 지금의 말로 ‘부여•땅’이라는 뜻입니다. [부=우]는 ㅂ음의 탈락 때문이며, 고바->고와, 추버->추워, 밭->왓 등에서 용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부여’는 고대사에 등장하는 ‘국가명’ 북부여, 동부여 이전에 존재하던 ‘땅의 이름’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부여’는 우리말 ‘벌’과 의미가 같습니다.
    한자로 越南(越의 남쪽)이라고 쓰는 나라를 왜 [비엣•남]이라고 부를까요? 저 越이 사실은 [벌/부여]의 차자 표기이기 때문입니다. [부르] 혹은 [우르]라고 불리는 이름을 중국인들이 越이라고 썼고, 베트남 사람들은 ‘越이라 쓰고 비엣이라 읽었다’는 것입니다. 단, 여기서 말하는 越은 북부여/동부여와 무관한, 일반명사에 가까운 말입니다.

  • @크캉크캉
    @크캉크캉 4 года назад

    7:39

  • @nedkim8202
    @nedkim8202 5 лет назад

    고사부 샘 최고 ㅎ

  • @닉네임-d6d
    @닉네임-d6d 3 года назад

    실제 민족은 좀 다르긴한데 숙신 조선 공손 여진 은 원래 세월이 지나서 발음이 달라졌을뿐 다 같은말임
    맥 물길 말갈도 다 같은 어원

  • @합격-e5e
    @합격-e5e 4 года назад +1

    별거 아니지만 이런 잡지식 좀 많이 올려주세요

  • @yoonsanghun
    @yoonsanghun 5 лет назад

    모용선비 몰라서 문제 틀린 사람들 열심히 보세요

  • @다물북부여
    @다물북부여 4 года назад

    왜 삼한이 꼭 한반도 남부지역으로 국한되야 하죠.
    고조선 시대부터 삼한이 있어는데요.
    통일신라를 한의 뿌리라 본다구요?

  • @FC-mr4sv
    @FC-mr4sv 5 лет назад

    선생님, 기자조선이 정말 실재했나요???

  • @혜민이-y6i
    @혜민이-y6i 3 года назад

    크다 한으로 알고 있었는데
    한반도로 국한해서 가르치시면 안되는거 아닐지요?

  • @ddya456
    @ddya456 5 лет назад

    동아시아사 치트키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