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문제 다시 보기 너무 싫지만...ㅋㅋ 현자타임선생님께 감사인사 드리고 싶어서 글을 남깁니다. 수능 전날 모평 문제를 봤는데 분명 며칠 전에 복습한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눈에 하나도 안들어오더라구요 몇 시간 뒤인 수능에도 이러는 거 아닌지 싶어서 멘탈이 나가있었는데 69평 풀이영상보고 마음 다잡았습니다.. 말씀하시는 거 들으면서 문제 다시 보니 멘탈이 돌아오더라구요ㅠㅜ 덕분에 사문은 20번 빼고 다 맞은 거 같아요 손가락 걸기를 하면 시간 압박을 벗어나 맞출 수 있었을 거 같지만 제 멘탈은 그게 안 되더라구요ㅠㅜ 그래도 이 결과에 만족합니다. 인강과 유튭에 의존해서 직장생활과 공부를 병행하는 저에겐 선생님은 단비 그 이상이셨어요!! 명쾌하고 귀중한 문제풀이 정말 감사했습니다 선생님!! 하시는 일마다 복이 따르고 잘 되시길 기도하겠습니다!! ㅡ아마도 선생님보다 나이가 많을 것 같은 부산에 사는 제자가ㅡ
선생님 덕분에 수능 보기 전까지 기출 해설 들으면서 공부했었습니다 ! 감사합니다 비록 당당히 말할 수 있는 점수는 못 받았지만 덕분에 모르는 내용이나 이해 못했던 개념들이나 문제풀이를 알 수 있었습니다 ! 하나만 부탁을 드리자면 선생님께서 올리신 기출 강의 말고 더 옛날 기출들도 올려주시면 내년에 수능을 볼 친구들에게 좋을 것 같습니다 !!
부양인구를 무조건 100으로 놓고 풀면 안 돼요! 상황에 따라서 유소년/부양/노년/총인구 중 뭐든 100으로 잡을 준비를 하고 문제로 들어가야 되고, 어느 값을 100으로 잡아야 문제를 풀기 쉬울지에 대한 판단도 할 수 있어야 됩니다! 세부적인 건 이투스에 있는 쌤 킬더킬러 도표특강 들어보면 알 수 있을 거에요:)
'염려'는 '불안'과 같은 단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구체적인 삶의 문제에 대한 공포랑은 다른거니까 구분하셔야 돼요!) 실존주의자 하이데거는 인간이 죽음을 직시하면서 죽음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게 되고, 그 과정에서 삶을 자기만의 것으로 인식하고 실존적으로 살게 된다고 보았기 때문에 맞는 선지인거죠:)
해설영상 감사합니다 7번문제에 관해서 더 여쭤보고 싶은게 있는데 남성과 여성간 임금 지수 라는게 다른 조건이 명시되어 있지 않으니 남성의 임금지수가 줄었다고 하면 , , 이렇게 세가지로 해석이 가능하지않나요? 그런데 (ㄷ) 선지의 여성의 임금지수의 증가율이 어떻게 전년대비 늘었다고 할 수 있는거죠? 뭔가 오해하고 있는 것 같은데 이해가안가요!!!!
문헌연구법과 관련해서 언어적 상호작용 여부에 대해 물어보는 선지는 출제된 적이 없습니다! 애초에 판단하기 굉장히 애매하기 때문이죠 ㅎㅎ'문자를 통해 저자와 소통하는 상호작용'이라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지만, 질문지법이나 면접법처럼 연구대상과 언어적 상호작용을 한다고 보기는 어려우니까요. 사문을 공부하신다면 그 답을 크게 고민할 필요는 없으실 것으로 보여요!
안녕하세요 CNC코퍼레이션 마케팅 담당자입니다. 유튜브 협업건 관련 이메일 보내드렸었는데 혹시 확인하셨는지 궁금하여 댓글 남깁니다 :) 확인 후 답변 부탁드립니다😃 혹시 이메일을 못받으셨다면, 다시한번 보내드리겠습니다. 또는 스팸메일함 확인 꼭 한번 부탁드리겠습니다!!!!!!!💌
수능 문제 다시 보기 너무 싫지만...ㅋㅋ 현자타임선생님께 감사인사 드리고 싶어서 글을 남깁니다. 수능 전날 모평 문제를 봤는데 분명 며칠 전에 복습한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눈에 하나도 안들어오더라구요 몇 시간 뒤인 수능에도 이러는 거 아닌지 싶어서 멘탈이 나가있었는데 69평 풀이영상보고 마음 다잡았습니다.. 말씀하시는 거 들으면서 문제 다시 보니 멘탈이 돌아오더라구요ㅠㅜ 덕분에 사문은 20번 빼고 다 맞은 거 같아요 손가락 걸기를 하면 시간 압박을 벗어나 맞출 수 있었을 거 같지만 제 멘탈은 그게 안 되더라구요ㅠㅜ 그래도 이 결과에 만족합니다. 인강과 유튭에 의존해서 직장생활과 공부를 병행하는 저에겐 선생님은 단비 그 이상이셨어요!! 명쾌하고 귀중한 문제풀이 정말 감사했습니다 선생님!! 하시는 일마다 복이 따르고 잘 되시길 기도하겠습니다!!
ㅡ아마도 선생님보다 나이가 많을 것 같은 부산에 사는 제자가ㅡ
글쎄요 저도 많이 늙어서 아마 제가 더 나이 많을 거에요...ㅋㅋㅋㅋㅋㅋ댓글 너무 감동이네요 ㅠㅠ 앞으로도 가시는 길 항상 화이팅입니다! 다 잘 될 거에요:)
선생님 20번 문제에서 선지 1번 5번만 t년과 t+100년의 부양 인구가 동일하여 바꾼 25,50,50,125 숫자들과 비교하는 이유가 뭔가요?..
저기에 그린 표가 유소년,부양,노인,총인구의 비율로 봐야되는건가요 아님 수로 봐야되는건가요?
선생님 덕분에 수능 보기 전까지 기출 해설 들으면서 공부했었습니다 ! 감사합니다 비록 당당히 말할 수 있는 점수는 못 받았지만 덕분에 모르는 내용이나 이해 못했던 개념들이나 문제풀이를 알 수 있었습니다 ! 하나만 부탁을 드리자면 선생님께서 올리신 기출 강의 말고 더 옛날 기출들도 올려주시면 내년에 수능을 볼 친구들에게 좋을 것 같습니다 !!
내년에 예전 기출 중 중요한 문제 몇개를 다루는 영상을 올려볼까 생각중인데 전부 다 정리하기는 아무래도 빡셀 것 같기는 하네요ㅠㅎㅎ한번 생각해볼게요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항상 부양인구를 100으로 놓고 풀었어서 20번 문제도 그렇게 풀었는데 답이 자꾸 이상하게 나오는데 꼭 총인구를 100으로 놓고 풀어야하는 건가요??
부양인구를 무조건 100으로 놓고 풀면 안 돼요!
상황에 따라서 유소년/부양/노년/총인구 중 뭐든 100으로 잡을 준비를 하고 문제로 들어가야 되고, 어느 값을 100으로 잡아야 문제를 풀기 쉬울지에 대한 판단도 할 수 있어야 됩니다! 세부적인 건 이투스에 있는 쌤 킬더킬러 도표특강 들어보면 알 수 있을 거에요:)
@@3334 감사합니다☺️☺️
선생님 답변 부탁드립니다 ㅜㅜ시험이라
헉시 51:58부분에 A를 1이라 잡으셨잖아요ㅜ저런 상황에선 A를 무조건 1로 잡나요?
이미 b가 a의 3배라는 게 아래에 힌트로 제시되어 있으니 a는 100명, b는 300명으로 잡는게 제일 편하겠죠!물론 굳이 100명으로 안 잡아도 풀리긴 할 겁니다 ㅎㅎ
@@3334 감사합니다아아아아🤍🤍 그리고 이런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 질문이 있습니다 ㅜㅜ 18번에서 그럼 혹시 회사 안에 팀도 공식조직이면 속해있는 공식조직의 개수를 묻는 문제에선 회사와 팀을 따로 봐야하는건가요??
선생님 혹시 사문 표문제 쉽게 푸는 법 알려주실 수 있나요..? 시험 일주일도 안남았는데 표문제때문에 너무 힘들어요ㅠㅜ
선생님 혹시 하이데거가 죽음을 직시하고 염려하여 삶을 가치있게 살아야한다고 주장했다고 보는게 왜 맞는 선지일까요....? 학교 기출을 보니까 맞는 선지라고 되어있어서요,,,
'염려'는 '불안'과 같은 단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구체적인 삶의 문제에 대한 공포랑은 다른거니까 구분하셔야 돼요!) 실존주의자 하이데거는 인간이 죽음을 직시하면서 죽음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게 되고, 그 과정에서 삶을 자기만의 것으로 인식하고 실존적으로 살게 된다고 보았기 때문에 맞는 선지인거죠:)
해설영상 감사합니다
7번문제에 관해서 더 여쭤보고 싶은게 있는데
남성과 여성간 임금 지수 라는게 다른 조건이 명시되어 있지 않으니
남성의 임금지수가 줄었다고 하면
, ,
이렇게 세가지로 해석이 가능하지않나요?
그런데 (ㄷ) 선지의 여성의 임금지수의 증가율이 어떻게 전년대비 늘었다고 할 수 있는거죠?
뭔가 오해하고 있는 것 같은데 이해가안가요!!!!
'임금 지수'의 증가율을 물어본 거고, '임금'의 증가율을 물어본 게 아닙니다!
'임금 지수'는 실제 임금을 따질 필요 없이 표에 적혀있는 숫자 그대로 해석하시면 되는 거죠 ㅎㅎ
@@3334 아 그냥 간단한거였네요..
작년 영상인데도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자대 화이팅입니다!:)
1번에 4번선지가 해설이 잘못된것 같아요!!
26:31
선생님 질문 있어요. "문헌연구법은 언어적 상호작용이 필수적이다" 이 선지는 맞나요 틀리나요?
문헌연구법과 관련해서 언어적 상호작용 여부에 대해 물어보는 선지는 출제된 적이 없습니다!
애초에 판단하기 굉장히 애매하기 때문이죠 ㅎㅎ'문자를 통해 저자와 소통하는 상호작용'이라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지만, 질문지법이나 면접법처럼 연구대상과 언어적 상호작용을 한다고 보기는 어려우니까요.
사문을 공부하신다면 그 답을 크게 고민할 필요는 없으실 것으로 보여요!
@@3334 답변 감자합니다. 독학러로서 안심이 됐습니다°
엘리아데 정리 되나용ㅜㅜ? 사상이 이해가 안되네요..
엘리아데도 올려볼 계획인데 가까운 시일은 아닐 것 같아요 ㅠ이해 안되실 때는 기출문제와 수특수완 등에 있는 제시문을 많이많이 읽어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20번 풀때 부양인구를 100으로 놓고 풀었더니 꼬이던데
부양인구를 100 또는 총인구 100 이 기준이 뭔가요?ㅠㅜ
처음에 계속 '전체인구 중 유소년/노인/부양인구의 비율'을 물어보므로 전체인구를 100으로 잡고 전체인구 기준 유소년/노인/부양인구의 %를 미지수로 잡아야 쉽게 풀리는 문제인 겁니다! 힌트를 잘 보면서 주로 나오는 비율들이 어떤 분모를 기준으로 하는지를 잘 보셔야 해요
@@3334 감사합니다 내신때도 그렇고 생윤 어려운 이론 유튜브 너무 도움됐습니다 .
수능 열심히 보고 오겠습니다 !!
화이팅입니다!!잘 볼 거에요:)
@@3334 잘봤어요ㅠㅠ
사탐 불바다였지만 모든과목 1등급~2등급 정도로 다 본거 같아요ㅠㅜ
@@o.5452 캬 너무 잘하셨습니다!!그럴 줄 알았어요:)
선생님 15번 2번 선지에 비율끼리는 분모가 다르니까 함부로 못 더하지 않나요?,,,
분모가 다르지 않습니다! 해설시에 적어 둔 B지역에 해당하는 벤다이어그램의 비율(%)들의 분모는 'B지역의 65세 이상 인구'로 모두 동일하므로 더하고 빼는 것이 가능합니다:)
어떤 비율이 나올때는 항상 분모가 무엇인지 꼼꼼히 살피셔야 하니 주의하세요!
안녕하세요 CNC코퍼레이션 마케팅 담당자입니다.
유튜브 협업건 관련 이메일 보내드렸었는데 혹시 확인하셨는지 궁금하여 댓글 남깁니다 :)
확인 후 답변 부탁드립니다😃
혹시 이메일을 못받으셨다면, 다시한번 보내드리겠습니다. 또는 스팸메일함 확인 꼭 한번 부탁드리겠습니다!!!!!!!💌
아마 메일을 못 받은 것 같습니다! 혹시 '에어클래스'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