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학년도 수능 사회문화 손풀이 해설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 @창나다나
    @창나다나 3 года назад +1

    수능 문제 다시 보기 너무 싫지만...ㅋㅋ 현자타임선생님께 감사인사 드리고 싶어서 글을 남깁니다. 수능 전날 모평 문제를 봤는데 분명 며칠 전에 복습한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눈에 하나도 안들어오더라구요 몇 시간 뒤인 수능에도 이러는 거 아닌지 싶어서 멘탈이 나가있었는데 69평 풀이영상보고 마음 다잡았습니다.. 말씀하시는 거 들으면서 문제 다시 보니 멘탈이 돌아오더라구요ㅠㅜ 덕분에 사문은 20번 빼고 다 맞은 거 같아요 손가락 걸기를 하면 시간 압박을 벗어나 맞출 수 있었을 거 같지만 제 멘탈은 그게 안 되더라구요ㅠㅜ 그래도 이 결과에 만족합니다. 인강과 유튭에 의존해서 직장생활과 공부를 병행하는 저에겐 선생님은 단비 그 이상이셨어요!! 명쾌하고 귀중한 문제풀이 정말 감사했습니다 선생님!! 하시는 일마다 복이 따르고 잘 되시길 기도하겠습니다!!
    ㅡ아마도 선생님보다 나이가 많을 것 같은 부산에 사는 제자가ㅡ

    • @3334
      @3334  3 года назад

      글쎄요 저도 많이 늙어서 아마 제가 더 나이 많을 거에요...ㅋㅋㅋㅋㅋㅋ댓글 너무 감동이네요 ㅠㅠ 앞으로도 가시는 길 항상 화이팅입니다! 다 잘 될 거에요:)

  • @고냠-e8h
    @고냠-e8h Год назад +1

    선생님 20번 문제에서 선지 1번 5번만 t년과 t+100년의 부양 인구가 동일하여 바꾼 25,50,50,125 숫자들과 비교하는 이유가 뭔가요?..
    저기에 그린 표가 유소년,부양,노인,총인구의 비율로 봐야되는건가요 아님 수로 봐야되는건가요?

  • @Dlfhfhgnstrbl
    @Dlfhfhgnstrbl 3 года назад +2

    선생님 덕분에 수능 보기 전까지 기출 해설 들으면서 공부했었습니다 ! 감사합니다 비록 당당히 말할 수 있는 점수는 못 받았지만 덕분에 모르는 내용이나 이해 못했던 개념들이나 문제풀이를 알 수 있었습니다 ! 하나만 부탁을 드리자면 선생님께서 올리신 기출 강의 말고 더 옛날 기출들도 올려주시면 내년에 수능을 볼 친구들에게 좋을 것 같습니다 !!

    • @3334
      @3334  3 года назад

      내년에 예전 기출 중 중요한 문제 몇개를 다루는 영상을 올려볼까 생각중인데 전부 다 정리하기는 아무래도 빡셀 것 같기는 하네요ㅠㅎㅎ한번 생각해볼게요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 @user-td3du2pm8p
    @user-td3du2pm8p Год назад +2

    항상 부양인구를 100으로 놓고 풀었어서 20번 문제도 그렇게 풀었는데 답이 자꾸 이상하게 나오는데 꼭 총인구를 100으로 놓고 풀어야하는 건가요??

    • @3334
      @3334  Год назад

      부양인구를 무조건 100으로 놓고 풀면 안 돼요!
      상황에 따라서 유소년/부양/노년/총인구 중 뭐든 100으로 잡을 준비를 하고 문제로 들어가야 되고, 어느 값을 100으로 잡아야 문제를 풀기 쉬울지에 대한 판단도 할 수 있어야 됩니다! 세부적인 건 이투스에 있는 쌤 킬더킬러 도표특강 들어보면 알 수 있을 거에요:)

    • @user-td3du2pm8p
      @user-td3du2pm8p Год назад

      @@3334 감사합니다☺️☺️

  • @메롱-w4d
    @메롱-w4d 2 года назад

    선생님 답변 부탁드립니다 ㅜㅜ시험이라
    헉시 51:58부분에 A를 1이라 잡으셨잖아요ㅜ저런 상황에선 A를 무조건 1로 잡나요?

    • @3334
      @3334  2 года назад

      이미 b가 a의 3배라는 게 아래에 힌트로 제시되어 있으니 a는 100명, b는 300명으로 잡는게 제일 편하겠죠!물론 굳이 100명으로 안 잡아도 풀리긴 할 겁니다 ㅎㅎ

    • @메롱-w4d
      @메롱-w4d 2 года назад

      @@3334 감사합니다아아아아🤍🤍 그리고 이런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Anzhzhsh
    @Anzhzhsh 3 месяца назад

    선생님 질문이 있습니다 ㅜㅜ 18번에서 그럼 혹시 회사 안에 팀도 공식조직이면 속해있는 공식조직의 개수를 묻는 문제에선 회사와 팀을 따로 봐야하는건가요??

  • @라면-v7s
    @라면-v7s 3 года назад +1

    선생님 혹시 사문 표문제 쉽게 푸는 법 알려주실 수 있나요..? 시험 일주일도 안남았는데 표문제때문에 너무 힘들어요ㅠㅜ

  • @Jandeunip
    @Jandeunip 3 года назад

    선생님 혹시 하이데거가 죽음을 직시하고 염려하여 삶을 가치있게 살아야한다고 주장했다고 보는게 왜 맞는 선지일까요....? 학교 기출을 보니까 맞는 선지라고 되어있어서요,,,

    • @3334
      @3334  3 года назад

      '염려'는 '불안'과 같은 단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구체적인 삶의 문제에 대한 공포랑은 다른거니까 구분하셔야 돼요!) 실존주의자 하이데거는 인간이 죽음을 직시하면서 죽음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게 되고, 그 과정에서 삶을 자기만의 것으로 인식하고 실존적으로 살게 된다고 보았기 때문에 맞는 선지인거죠:)

  • @사자대
    @사자대 2 года назад

    해설영상 감사합니다
    7번문제에 관해서 더 여쭤보고 싶은게 있는데
    남성과 여성간 임금 지수 라는게 다른 조건이 명시되어 있지 않으니
    남성의 임금지수가 줄었다고 하면
    , ,
    이렇게 세가지로 해석이 가능하지않나요?
    그런데 (ㄷ) 선지의 여성의 임금지수의 증가율이 어떻게 전년대비 늘었다고 할 수 있는거죠?
    뭔가 오해하고 있는 것 같은데 이해가안가요!!!!

    • @3334
      @3334  2 года назад

      '임금 지수'의 증가율을 물어본 거고, '임금'의 증가율을 물어본 게 아닙니다!
      '임금 지수'는 실제 임금을 따질 필요 없이 표에 적혀있는 숫자 그대로 해석하시면 되는 거죠 ㅎㅎ

    • @사자대
      @사자대 2 года назад

      @@3334 아 그냥 간단한거였네요..
      작년 영상인데도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3334
      @3334  2 года назад

      @@사자대 화이팅입니다!:)

  • @우수정-u8k
    @우수정-u8k 4 месяца назад

    1번에 4번선지가 해설이 잘못된것 같아요!!

  • @jeong0613
    @jeong061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6:31

  • @jkj2012
    @jkj2012 2 года назад +1

    선생님 질문 있어요. "문헌연구법은 언어적 상호작용이 필수적이다" 이 선지는 맞나요 틀리나요?

    • @3334
      @3334  2 года назад

      문헌연구법과 관련해서 언어적 상호작용 여부에 대해 물어보는 선지는 출제된 적이 없습니다!
      애초에 판단하기 굉장히 애매하기 때문이죠 ㅎㅎ'문자를 통해 저자와 소통하는 상호작용'이라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지만, 질문지법이나 면접법처럼 연구대상과 언어적 상호작용을 한다고 보기는 어려우니까요.
      사문을 공부하신다면 그 답을 크게 고민할 필요는 없으실 것으로 보여요!

    • @jkj2012
      @jkj2012 2 года назад

      @@3334 답변 감자합니다. 독학러로서 안심이 됐습니다°

  • @으어으어-l1n
    @으어으어-l1n 3 года назад

    엘리아데 정리 되나용ㅜㅜ? 사상이 이해가 안되네요..

    • @3334
      @3334  3 года назад

      엘리아데도 올려볼 계획인데 가까운 시일은 아닐 것 같아요 ㅠ이해 안되실 때는 기출문제와 수특수완 등에 있는 제시문을 많이많이 읽어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 @o.5452
    @o.5452 2 года назад +1

    20번 풀때 부양인구를 100으로 놓고 풀었더니 꼬이던데
    부양인구를 100 또는 총인구 100 이 기준이 뭔가요?ㅠㅜ

    • @3334
      @3334  2 года назад +1

      처음에 계속 '전체인구 중 유소년/노인/부양인구의 비율'을 물어보므로 전체인구를 100으로 잡고 전체인구 기준 유소년/노인/부양인구의 %를 미지수로 잡아야 쉽게 풀리는 문제인 겁니다! 힌트를 잘 보면서 주로 나오는 비율들이 어떤 분모를 기준으로 하는지를 잘 보셔야 해요

    • @o.5452
      @o.5452 2 года назад

      @@3334 감사합니다 내신때도 그렇고 생윤 어려운 이론 유튜브 너무 도움됐습니다 .
      수능 열심히 보고 오겠습니다 !!

    • @3334
      @3334  2 года назад

      화이팅입니다!!잘 볼 거에요:)

    • @o.5452
      @o.5452 2 года назад

      @@3334 잘봤어요ㅠㅠ
      사탐 불바다였지만 모든과목 1등급~2등급 정도로 다 본거 같아요ㅠㅜ

    • @3334
      @3334  2 года назад

      @@o.5452 캬 너무 잘하셨습니다!!그럴 줄 알았어요:)

  • @채은유-h5l
    @채은유-h5l 2 года назад

    선생님 15번 2번 선지에 비율끼리는 분모가 다르니까 함부로 못 더하지 않나요?,,,

    • @3334
      @3334  2 года назад

      분모가 다르지 않습니다! 해설시에 적어 둔 B지역에 해당하는 벤다이어그램의 비율(%)들의 분모는 'B지역의 65세 이상 인구'로 모두 동일하므로 더하고 빼는 것이 가능합니다:)
      어떤 비율이 나올때는 항상 분모가 무엇인지 꼼꼼히 살피셔야 하니 주의하세요!

  • @cnc_h3387
    @cnc_h3387 2 года назад

    안녕하세요 CNC코퍼레이션 마케팅 담당자입니다.
    유튜브 협업건 관련 이메일 보내드렸었는데 혹시 확인하셨는지 궁금하여 댓글 남깁니다 :)
    확인 후 답변 부탁드립니다😃
    혹시 이메일을 못받으셨다면, 다시한번 보내드리겠습니다. 또는 스팸메일함 확인 꼭 한번 부탁드리겠습니다!!!!!!!💌

    • @3334
      @3334  2 года назад

      아마 메일을 못 받은 것 같습니다! 혹시 '에어클래스'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