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호와 단위 읽는 방법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안녕하세요, 다산에듀 전병칠원장입니다.
    전기를 공부하는 첫걸음은 전기에서 사용되는 기호와 단위를
    읽는 것입니다.
    여러분의 첫걸음이 조금이나마 가벼워지기를 바라며,
    전기기호와 단위 읽는 법에 대한 영상을 준비했습니다.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소중한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다산에듀(www.e-dasan.net)

Комментарии • 29

  • @이서현-o5l2c
    @이서현-o5l2c 4 года назад +1

    도움되는 강의 감사합니다

  • @아화랑
    @아화랑 2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 @vengencecivil
    @vengencecivil 5 лет назад

    간만에 보니 재밌네요 병칠샘 최고

    • @elec7
      @elec7  5 лет назад

      감사합니다^^

  • @푸른별-t6x
    @푸른별-t6x 5 лет назад +1

    정말 좋은 영상입니다.

    • @elec7
      @elec7  5 лет назад

      감사합니다^^*

  • @namhwanoseon
    @namhwanoseon 5 лет назад +1

    역시 잘 들어오는 나긋한 설명이셔서 좋아요. ^^

    • @elec7
      @elec7  5 лет назад

      감사합니다^^

  • @johnheo9249
    @johnheo9249 3 года назад

    고맙습니다. 기계분야 종사자인데, 전기도 좀 알아야 하기에 잘 구독하고 있습니다.

    • @elec7
      @elec7  3 года назад +1

      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 @끼끼-y1l
    @끼끼-y1l 8 месяцев назад

    Kg/f 는 킬로 퍼 에프 이렇게 읽는건가요 ? 이말의 즉슨 힘의무게 인가요 .. ?

  • @MS_Lab
    @MS_Lab 3 года назад

    안녕하세요!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저항율의 단위 옴mm^2/m, 옴m^2/m, 옴m
    가 각각 서로 어떻게 변환되는지 너무 헷갈립니다. 이런 개념에 대해 한방에 이해할만한 자료나 설명을 해주실 수 있으신지요?ㅠㅠ

    • @elec7
      @elec7  3 года назад

      이 영상이 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cafe.daum.net/goskill/W2rv/16

    • @MS_Lab
      @MS_Lab 3 года назад

      @@elec7 감사합니다!!

  • @호날두마리치킨-e3f
    @호날두마리치킨-e3f Год назад

    단위기호들보면 역사적으로 위대한 과학자들 이름이 단위로 많이 쓰이는데 저도 위대한과학자가 되어서 제이름을 단위로 쓰는 명예가 올수 있을까요 하하

  • @구자상-q3q
    @구자상-q3q 4 года назад

    교수님 OV 는 무슨뜻인지..?

    • @elec7
      @elec7  4 года назад

      혹시 어디에서 보신내용인가요? 조금더 자세히 말씀해주시면 도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숫자 0V(영볼트)인지, OV(Over Voltage)인지요?

    • @구자상-q3q
      @구자상-q3q 4 года назад

      @@elec7 근접센스회로도에 표시되어있습니다

    • @구자상-q3q
      @구자상-q3q 4 года назад

      근접센스 회로도에 나와있는 문자입니다

    • @구자상-q3q
      @구자상-q3q 4 года назад

      @@elec7 근접센스도면에 있는 표시입니다

  • @가을업고튀는폴즈
    @가을업고튀는폴즈 4 года назад

    전기기사는 강의 안하시나요~

    • @elec7
      @elec7  4 года назад

      다산에듀에는 저보다 훨씬 능력이 좋으신 최종인, 이재현 원장님이 전기기사를 강의하고 계십니다. 정말 멋진분들이시죠.

  • @gunmukim9525
    @gunmukim9525 5 лет назад

    일단 답변 감사드립니다.
    가장 중요한 두개만 물어볼게요
    교류란것이 말했듯이 소수처럼 1.2.3.4.5.6.7이렇게 전류가 흐르다가 7.6.5.4.3.2.1 이렇게 다시 작아지는게 주기적으로 반복되는개념이고 60헤르츠 라는것이 이런게 1초당60번 반복한다는거 맞죠? n극 에서 발전한게 양압 s극 에서 발전하는게 음압 이런 개념인걸로 압니다. 결국 하나의 전류로 주기 적으로 보이게 할려고 마이너 처럼 n극 발전 전류를 그리는거고요 그리고 전선에서 하나로 합쳐져서 전기로 쓰이는거잖아요
    두번째는 교류발전기에서 도체 안에서 자기장 변화로 계속해서 발생하는 전류는 공기중으로 들어오는건가요? 그렇지 않고서는 설명이 안되네요 도체에 전자가 무한한것도 아니고

    • @elec7
      @elec7  5 лет назад

      공기중에 있는 전자가 도체로 이동하지는 않습니다.
      전선에는 이미 전자가 있습니다. 여기에 외부에서 자기장을 주면 그 전선안에 있는 전자들이 꿈틀꿈틀하고 더 센 자기장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주면 그 전자들이 떼로 몰려다디는 거죠. 이쪽으로, 반대쪽으로..

    • @gunmukim9525
      @gunmukim9525 5 лет назад

      @@elec7 답변 감사합니다. 마지막으로 이거 만 물어볼게요
      교류란것이 말했듯이 소수처럼 1.2.3.4.5.6.7이렇게 전류가 흐르다가 7.6.5.4.3.2.1 이렇게 다시 작아지는게 주기적으로 반복되는개념이고 60헤르츠 라는것이 이런게 1초당60번 반복한다는거 맞죠? n극 에서 발전한게 양압 s극 에서 발전하는게 음압 이런 개념인걸로 압니다. 결국 하나의 전류로 주기 적으로 보이게 할려고 마이너 처럼 n극 발전 전류를 그리는거고요 그리고 전선에서 하나로 합쳐져서 전기로 쓰이는거잖아요
      제가 이렇게 생각한느것이 맞는거지요 그리고 위에 답변 주신대로 보면, 결국 다른 연결된 전선에서 계속해서 전자가 들어온다는 개념이고요

  • @gunmukim9525
    @gunmukim9525 5 лет назад

    다른 동영상에서도 질문했는데 최신걸로 다시 질문하고 싶어서 씁니다.
    그냥 원론적인 질문입니다. 전기라는것이 결국 음전하가 발생하여 흐르는것인데 전동기 같은경우 과속밀도가 큰쪽에서 작은쪽으로 힘을 받게 하는것이고,
    위 동영상 처럼 자속이 지나가는 변화량에 전기장이 이를 대체할려 전기가 발생하는게 발전기 원리인데 도체체 음전하 기전력이 이해가 안됩니다. 전기가 예를들어 100전력만큼 생산했다가
    -100 전력이 되는게 이해가 안되요 아니면 말 그대로 전기의 방향이 반대이니 예를들어서 코일 오른쪽으로 흐르는 전기는 플러스 전기 코일 왼쪽으로 흐르는 전기는 마이너스 전기로 표시하는게 원칙인건가요? 그리고 방향은 반대인 전류를 하나로 합쳐서 여하튼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통일해 보내는게 이게 교류가 되는게 맞나요?
    그러니까 결국 전기가 1 , 2, ,3 ,4, 5, 6, 7이렇게 세지다가 반대로 7.6,5,4,3,2,1,0 이렇게 반복되는게 교류입니까?
    그게 정수처럼 1.2.3 단위로 변하는게 아니라 소수로 매끄럽게 아주 매끄럽게
    미분변화율처럼 변하니 위상이 있다고 표현하는건가요?
    다이오드의 역할은 여기서 어떻게 작용하는건지 모르겠어요 한쪽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게 하는건데 예를들어 전원에서 냉장고로 전류가 가는거는 맞아도 냉장고에서 전원으로 전류가 가는거는 아니잖아요 그런데 다이오드 역할이 뭔지 모르겟어요?
    두번째로 결국 음전하가 계속 보충되야 전기가 흐르지 않나요? 전기란게 음전하들의 이동이니 코일에 있는 음전하가 무한한게 아니고 전기로 발전하여 빠져나가다보면 말 그대로 안에 있는 이동할수 있는 음전하가 사라지면 자속이 변하더라도 코일내 음전하가 없으니 전기가 흐르지 않아야 정상 아닌가요?
    그냥 공기내에서 음전하가 코일에 계속 공급되는 개념인가요?

    • @elec7
      @elec7  5 лет назад

      글로 가능할지 모르겠지만 조금 써 보겠습니다. 전기가 만들어진다는 개념을 없던것이 생긴다라기 보다, 도체안에 있는 전자를 밀어내는 힘이 생긴다고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수도 파이프안에 물이 있어도 수압이 걸려야 물이 이동하는 것 처럼 말입니다. 수압이 양압, 음압으로 걸리면 물이 한쪽에서 반대쪽으로 이동할 수 있듯이 교류도 그렇게 양압, 음압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다이오드는 물을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소자입니다. 따라서 양압, 음압이 걸려도 수도관안에 있는 필터를 통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물이 흐르는 장치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 @gunmukim9525
      @gunmukim9525 5 лет назад

      @@elec7 일단 답변 감사드립니다.
      가장 중요한 두개만 물어볼게요
      교류란것이 말했듯이 소수처럼 1.2.3.4.5.6.7이렇게 전류가 흐르다가 7.6.5.4.3.2.1 이렇게 다시 작아지는게 주기적으로 반복되는개념이고 60헤르츠 라는것이 이런게 1초당60번 반복한다는거 맞죠? n극 에서 발전한게 양압 s극 에서 발전하는게 음압 이런 개념인걸로 압니다. 결국 하나의 전류로 주기 적으로 보이게 할려고 마이너 처럼 n극 발전 전류를 그리는거고요 그리고 전선에서 하나로 합쳐져서 전기로 쓰이는거잖아요
      두번째는 교류발전기에서 도체 안에서 자기장 변화로 계속해서 발생하는 전류는 공기중으로 들어오는건가요? 그렇지 않고서는 설명이 안되네요 도체에 전자가 무한한것도 아니고

  • @vengencecivil
    @vengencecivil 5 лет назад

    지금 못외워도 문제 접하며 읽다보면 다됨 원래 단위부터 설명해야 하는데 이놈의 나라는 어원과 단위의 설명 안하고 일단 가르치니 중 고교때 과포자 나오지요 기능사 기사는 기초일뿐 전기만지다 죽어가면서 연구한 과학자들 현장전문인력과 노가다일꾼들이 전해준 실무가 진짜 중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