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별곡 해석 | 고려가요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5 фев 2025
- 서경별곡 현대어 해석
이별의 정한을 잘 노래한 고려가요 중 하나입니다.
평양(서경)을 배경으로 이별을 적극적으로 거부하는 여성 화자의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이별에 대처하는 자세를 중심으로 가시리와 비교해보면 좋습니다.
또한 정석가의 6연과 동일한 부분이 2연에 차용되었다는 점에서 고려가요의 특징인 구전성을 알 수 있네요.
고려가요의 형식적 특징
3음보
분연체
후렴구
깔끔한 판서와 깔끔한 목소리 너무 조아요❤
좋게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영상 자주 올릴게요~
깔끔하게 설명해 주세여 이해가 되네요😊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는 영상 자주 올리도록 할게요~~🫶
항상 감사합니다 ㅠㅠ 잘 보고 있어요! 학교 선생님께서 긴(끈)이 은유법을 사용한 거라고 하셨는데 그럼 구슬, 바위도 다 은유라고 할 수 있나요?
사랑 노래라고 한정 지어 해석하면 은유로 해석 가능해요~
(위 두어령셩 다링디리)은 아랍어도 인도아리안어군 이라는 점에서 영어가 들어왔다고 생각하면 (we do얼어서 darling)으로 (우리가 맺어져 여보) 이거나 두번째 해석으로 [위]는 [우리]의 줄임말로 (우리 둘맺어져서 다 인데) 이런식이 아닌가 합니다. 청산별곡에 [얄라셩]의 경우 동사+셩, 서울말씨 [그러셔요], 만화 손오공에서 저팔계가[왜그러셩] 이러듯 뜻이 있어보입니다. [얄라리 얄라]경우 [리]는 추임새이니 [다링디+리]로 생각합니다. 그러니 [다 인디...] 이런 느낌이 아닌가 합니다. 억지스런 해석일 수도 있는데요. 최근에 청산별곡 해석을 몇 전문가 분께 문의드리니 시기상 가능성은 있다고 하더라고요. 다만 국문학자 분이 유튜브를 잘 안하셔서 답보 상태입니다.
혹시 마지막에 꽃을꺾어버리겠다 라고 말하는 곳에서 적극적인태도를 찾을수있나요?
꽃을 꺾는 주체는 임이기 때문에 마지막구에서 화자의 태도가 적극적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화자가 이별을 거부하려는 적극적인 태도는 1연에서 제일 잘 드러납니다.
고2 내신중인데 도움받았어요 감사합니다
지필평가 만점! 응원합니다 🫶
감사합니다!
열공하세요 :)
내신 준비하는데 도움 많이 돼요! 혹시 자료들은 받을 방법이 없을까요?😢
자료는 블로그에 올리고 있어요. 네이버에 별헤는샘 을 검색해주세요. 열공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