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이성이 아닌 감성으로 경영 하는게 많고, 고도화 되었다는 기술 인력의 연봉을 후려치기에 급급하고... 오히려 금속노조에 속한 사람들이 연봉이 올라가는데... 교수님이 말씀하신 내용을 바탕으로 이해를 한다면 한국은 AI 도입 자체가 어찌보면 불가능한 필드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AI로 대처가 가능한 업무는 많지만... 그걸 한국 정부는 저비용 고효율이라고 하는 이름으로 엔지니어들을 쥐어 짜서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취지는 좋지만 그과정에서 희생당하는 이들에게 이런 교수님의 강연이 과연 대한민국의 시대 흐름에 부합되게 움직이는건지 저는 오히려 반문하고 싶습니다... 저도 하급 IT 기술 노동자이지만, 대한민국이 교수님의 말씀하신 프로세서를 구현하기 위해서라면, 오히려 자동화된 설비나 시설을 국내에 활성화 하는거 보다는 미국에 활성화 하는게 더 낳을거라는 생각마져 듭니다... 좋은 강연에 그 의미가 국가에 부흥이 되길 바랍니다.
제가 딱 천번째 구독자가 되었습니다. 좋은 강연 감사드립니다
함진호 박사님 추천으로 들어왔습니다.
예전에 K관에서 교수님 수업 들었는데 이제는 유튜브에서 듣게되네요
과거 인터뷰 읽고 교수님의 다른 이야기들도 듣고 싶어 찾다가 유튜브까지 왔습니다. 흥미로운 주제 너무 잘 들었습니다. 계량경제학 겨우 공부하고 있는데 이 강의 보고 나니 더 열심히해야할 것 같습니다 ㅎㅎ
신문 인터뷰 보고 온 30대 초반 직장인입니다. 저도 글로벌 기업과 협업하고 있고 배워야 할 게 많습니다. 귀중한 자료 감사드립니다. 세계 최고 레벨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이준구교수님 추천으로 왔습니다 소중한 영상 감사드려요~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한국은 이성이 아닌 감성으로 경영 하는게 많고, 고도화 되었다는 기술 인력의 연봉을 후려치기에 급급하고... 오히려 금속노조에 속한 사람들이 연봉이 올라가는데... 교수님이 말씀하신 내용을 바탕으로 이해를 한다면 한국은 AI 도입 자체가 어찌보면 불가능한 필드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AI로 대처가 가능한 업무는 많지만... 그걸 한국 정부는 저비용 고효율이라고 하는 이름으로 엔지니어들을 쥐어 짜서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취지는 좋지만 그과정에서 희생당하는 이들에게 이런 교수님의 강연이 과연 대한민국의 시대 흐름에 부합되게 움직이는건지 저는 오히려 반문하고 싶습니다... 저도 하급 IT 기술 노동자이지만, 대한민국이 교수님의 말씀하신 프로세서를 구현하기 위해서라면, 오히려 자동화된 설비나 시설을 국내에 활성화 하는거 보다는 미국에 활성화 하는게 더 낳을거라는 생각마져 듭니다... 좋은 강연에 그 의미가 국가에 부흥이 되길 바랍니다.
28: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