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사람들이 한국 김을 좋아 하는 이유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877

  • @Peachskiesi
    @Peachskiesi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93

    삼겹살은 인기많데도 아 그렇구나 싶었는데 김은 좀 위기감 느낌..비싸지면 안되는데ㅠㅠ 특히 애 키우는 집은 김이 쌀 우유 만큼 필수품이여유

    • @jason_cha
      @jason_cha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9

      반찬 없이 김만 주면 밥을 잘 먹는 애들이 종종 있죠 ㅎㅎ

    • @Nadomolrang
      @Nadomolrang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1

      ㄹㅇ 삼겹살은 비싸도 자주 먹는 편은 아닌데 김 마져???안돼.....

    • @qwertyuiop339px
      @qwertyuiop339px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ㄹㅇ큰형네 조카들 코스트코에서 김 큰거 한보따리 사면 일주일도 못 감ㅎ

    • @나야-w6i
      @나야-w6i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우리나라도 기온변화로인해 김의 수확철 자체가 예전에 비해 2~3개월 줄어들었습니다. 생산지가 늘어나 샐산량자체는 늘었지만 생산지당 수확량이 줄어들고 있어요 이 대안으로 육지생산이 있는데 이건 아직 생산단가가 높아서 상업성이 부족한편이죠

    • @cybong9616
      @cybong9616 8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자취 오래 하다보면 김과 간장만으로도 한 끼를 때우는 경우가 많죠 ㅋㅋㅋㅋㅋ 여기에 김치까지 있으면 금상첨화.

  • @박디미니
    @박디미니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27

    조미김이 제품으로 나오기전까진 각자 가정에서 기름발라 소금뿌리고 구워먹었다 소반에 김 쌓아놓고 기름종지 소금종지 딱 준비 해놓고 숟가락으로 쓱쓱 바른후 소금뿌려 옆으로 옮겨놓고 다시 무한반복ㅋㅋ 이걸 김 잰다라고 표현함 다하면 석쇠에 한장씩 껴서 불에 타지 않게 샥샥 앞뒤로 구워서 잘라서 통에 보관해 놓고 먹음 두껍고 질긴 돌김도 있었고 얇은 파래김도 있었고 어쨌든 김재고 굽는게 꽤 일이었음 ㅋㅋ

    • @seyeul-b6p
      @seyeul-b6p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두 장씩 겹쳐서 구우면 빠르고 잘 구워짐.

    • @조은화-b6u
      @조은화-b6u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맞아요.옛날에 온 집안 여자들 교대로 하는 일이었죠.

    • @djw3426
      @djw3426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침고인다

    • @아냐의스즈메단속
      @아냐의스즈메단속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맞음. 예전엔 각자 알아서 집에서 참기름 바르고 굽고 소금 뿌려 잘라서 먹음 ㅋㅋㅋㅋ. 아니면 간장 준비해서 밥싸서 간장에 찍어먹거나

    • @wsj6459
      @wsj6459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조미김 나온 후에도 많은 가정에서 님케이스 같이 많이들 했죠. 울 할머니도 중학교때 까지 그렇게 해주시고 . 돌아가신다음 사가지고 다녔네요. 장작때던 기와집이었던지라 겨울에는 잔열남은 숯으로. 여름에는 곤로로. 여튼 그 맛은 아직도 기억에 남고 어떤 구운김도 따라오지 못하죠.

  • @쟈니엔젤
    @쟈니엔젤 8 месяцев назад +88

    한국김이 너무 반응이 좋고 수출이 잘돼 내수 시장의 가격은 급등해서 김밥장사는 도저히 이제
    단가를 맞출수 없답니다. 거기에다 기후 사정으로 작황도 나쁘고 김 생산국인 일본은 김 작황이
    한국보다도 더 나쁘답니다 참고로 일본에서도 한국김의 품질을 더 높게 평가합니다 ㅠㅠ

    • @JeongCheol1024
      @JeongCheol1024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 그래서 김밥 가격이 계속 오르는구나...

    • @최지훈-p6d6s
      @최지훈-p6d6s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JeongCheol1024김밥이 원래 손많이 가고 재료비도 많이 가는 음식이에요 그동안 김밥천국에서 미끼상품으로 싸게 판거지

    • @H_HyeonSeok
      @H_HyeonSeok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뭐 김밥가격은 김만 오른게문제가아니긴하지만 ㅋㅋ

  • @戰爭頭
    @戰爭頭 8 месяцев назад +77

    김에 참기름 발라서 구울 생각을 해내신 분이 정말 신의 한수를 만드신 겁니다. 여기다 소금 착 뿌린 순간 게임 끝.

    • @seyeul-b6p
      @seyeul-b6p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독일인들이 원래 김이나 해초를 썩은 물에 나는 해캄 정도로 싫어하는데 님의 말대로 시장표 진짜 참기름을 발라서 구우면 기숙사 4층에서 지하2층 주방까지 내려와서 줄서서 달라고 함. 1/8로 자른 조각김 하나 먹으려고... 오똑이나 젯당 공장 참기름 바른 것은 줘도 안먹음.

    • @playrandom-l2v
      @playrandom-l2v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냠냠 소맥이 빠짐

    • @meunggeunsong2874
      @meunggeunsong2874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집에서 오리지날 참기름에 소금발라서 구운김은 공장김과도 비교할 수 없다는거.. 공장김이 많이 좋아지긴 했지만. 비교가 안됌..

  • @wslee6
    @wslee6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오상 씨 공부와 자료 조사 많이 하시네요 ㅎㅎ. 잘 보구 갑니다. 그리고 산에이 노리 사장님은 참 똑똑하시네...

  • @2metan
    @2metan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8

    80년대초 아직 도시락용 구운김 나오기 전엔 아침에 골목마다 김 굽는 냄새가 진동했었죠.
    도시락과 함께 은박지에 싸갖고 가면 점심 때쯤엔 좀 바삭한 느낌은 많이 사라져 있었죠.
    그러다가 이름 기억 안나는 중소기업에서 최초로 김 제품이 나왔고 그게 반응이 좋으니
    양반김, 해표김, 오뚜기김이 나오더군요. 처음엔 양반김 진짜 맛없었습니다.
    노하우 없이 사업에 무작정 끼어든 티가 확 났죠. 그러다 몇년 지나니까 먹을만해졌죠

  • @휴먼패독
    @휴먼패독 8 месяцев назад +84

    7년전에 일본대학으로 단기 연수하러 갔을때 담당 교수님과 대학원생들에게 선물로 김줬었는데
    그때도 평타가 김이었는데 아직도 김이네 ㅋㅋㅋ

    • @ryui_qwerty
      @ryui_qwerty 8 месяцев назад +9

      2004년에도 김 주면 좋아라 했습니다.

    • @구글세종
      @구글세종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쌍팔년도 이전부터 김등수산물등 좋은건다 일본에 팔앗엇음

    • @나는나-v9u
      @나는나-v9u 8 месяцев назад +6

      90년대도 김이라면 좋아함.

    • @meunggeunsong2874
      @meunggeunsong2874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구글세종 그 이전에도 팔았음.. 70년대.. 그때도 한묶음 백장 좋은건 만원했음. 기름종이싸서 팜.

    • @최지훈-p6d6s
      @최지훈-p6d6s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10년전에 일본인 친구들이 서울 놀러왔는데 명동롯데백회점에서 김 비싸게 살려고 하길래 울동네 재래시장 데려가서 직접 굽는 김 알려줬더니 엄청 신나서 사던거 기억남 ㅋㅋㅋ백화점보다 거의 1/5가격이고 맛도 더 좋음 선물용만 백화점에서 사고 자기들 먹을거나 가족들 나눠줄건 재래시장에서 사감

  • @MrJimin
    @MrJimin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31

    다른나라에 그만 좀 알려 우리먹기도 모자라 ㅜㅜ

    • @웅2보리
      @웅2보리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진짜요...작년에 비해서 김값이 슬금슬금 오르고 있어요ㅠ🥺🥺🥺

    • @dump0922
      @dump0922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9

      @@웅2보리 슬금슬금이 아니라 대놓고 폭등함. 1년만에 80% 오름

    • @지나가는븅신새끼
      @지나가는븅신새끼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웃지도 울지도 못 하겄어..

    • @Vbnm0112
      @Vbnm0112 8 месяцев назад +6

      김값이 느무 비싸졌죠 삼겹살도 …

    • @아지매-x8e
      @아지매-x8e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김값이 올해 11프로 올랐어요.
      제발 그만사먹으라 얘기하고싶네요. 진짜 한국 국민들 김값 올라서 한숨이 절로나오네요.ㅜㅡㅜ

  • @쪽빛-z1h
    @쪽빛-z1h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0

    사는 곳이 부산이라, 예전에 일본 관광객들이 김을 들고 구경 다니는 모습을 보곤 했는데, 이런 이유가 있었네요.
    김에 대한 분석 굿~.
    재밌게 봤어요.

  • @creyonsonchan
    @creyonsonchan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39

    레알 일본생활 8년하면서
    김때문에 한국 관심생기기시작한 사람도봤고
    한국 관심없는데도 김은 정말 좋아하는 사람도 봤고
    아들들이 김 좋아한다면서 코스트코에서 김 많이 사놓은뒤 매끼마다 건네는 사람도 보고
    회사생활할때 한국갔다 사무실에 김하나 놔뒀는데 영업소장이 입이 심심할때마다 김 하나씩 먹으면서 일하는것도보고
    케이팝까지는 아니지만 은근 영향이큰듯ㅋㅋ

  • @sonnet777
    @sonnet777 8 месяцев назад +59

    50년전에도 일본으로 유학하셨던 교수님이 이웃애가 자기네집으로 자꾸 놀러 오는이유가 김에 기름바르고 소금 뿌린후 구운김이 맛있어서 자꾸 놀러 왔었다고 들었는데..옛날부터 조짐이 있었다는..
    50년전에 일본서 가져온 김 먹은 기억이 있는데 그때 일본김은 기계로 구워진 김이었고 우리나라는 발에 한장한장 떠서 햇빛에 말렸는데 문제는 밖에서 말리니까 모래도 가끔 씹히고했었죠. 어릴때 아버지가 김 굽는 기계 수요 조사하러 따라 갔던적이 있었는데 그때는 김 양식하시던 분들이 영세해서 그런쪽까진 생각을 안해서 결국은 포기 했었던 기억이 나네요.
    일본김은 간이 안배여 있고 소금기를 쫙빼서 말리고 굽기 때문에 질은 좋은데 맛은 별로 없더라구요,
    지금은 우리나라 김이 최고죠 ㅎㅎ

    • @NNNNN34955
      @NNNNN34955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일본 김은 간이 안되어있어서 면요리나 밥말아먹을때 국밥먹을때 같이 먹기 좋아요

    • @깜운쿠스락
      @깜운쿠스락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오!그렇군요.
      김의 역사네요.

    • @seyeul-b6p
      @seyeul-b6p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모래가 씹히는게 아니라 김에 달라붙어 자라는 패각류 즉 굴 등이 아직 잘아서 골라내지 못한 것입니다. 가루김이 그땐 엄청나게 싸서 가마니로 사먹을 정도였는데... 김의 크기가 일정하지 일정하지 않으니 맞게 자르고 넘는 자투리가 원래의 가루김이.

  • @maykim8916
    @maykim8916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3

    한국 김이 김밥용 두꺼운 김, 스낵용 얇은 김 2종류로 세분화되어 판매되고 있네요.

    • @서울유감
      @서울유감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월등한 제조 기술력...
      일본과 중국은 보통 김 1속(100장 단위)당 280g 이상 되는 김만 생산해 김의 두께가 두꺼울 수밖에 없는 데 반해, 우리는 1속당 200g에서 330g까지 다양하게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두께가 얇아야 하는 김밥용 김의 생산은 우리만 가능하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 @zin1398
    @zin1398 8 месяцев назад +7

    마른김에 참기름들어간 간장올려서 먹거나 기름발라구은김에 와사비 살짝 올리면 맛있는데

  • @나는나-v9u
    @나는나-v9u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16

    한국김이 인기가 더 많아진 이유는 일본인이 1차 한류열풍으로 한국관광을 많이 와쓸때 선물로 가져가기 너무 좋은 상품이라서 저렴한 가격. 푸짐하고 가벼운것에 아빠들 집에서 맥주안주로 너무 좋아함. 지인들한테 선물주면 생색내기 좋고 받는사람도 부담없어 기뻐함.

    • @-markshin-
      @-markshin-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그당시 인건비에 밀린거임.

    • @이루자-l5r
      @이루자-l5r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와쓸때선물이 뭐지

    • @각설이-z9u
      @각설이-z9u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루자-l5r 에이.... 구지

    • @구름-x2q
      @구름-x2q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한국 김이 인기는 좋아도 "경성김"은 일본 정부가 수입을 막고 있음
      독도 그려져 있다는 이유로 ㅠ

    • @012lee4
      @012lee4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구름-x2q 아! 경성김 먹어야겠네요 대단하네...

  • @아비바바
    @아비바바 8 месяцев назад +9

    그냥 김 살짝 구운 다음에 간장 찍어먹는것도 맛있는데

  • @비비-w7o
    @비비-w7o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15

    외국인 친구가 그러는데~한국 김이 맥주 안주로도 거기서는 인기가 많대요~
    역시 김은 한국이 최고~

  • @20세기백패커
    @20세기백패커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부산에서는 이미 80년대부터 수학여행 오는 학생들이나 출장오는 직장인들이 양손 가득히 김을 사갔음. 남포동 쪽이 부산항이랑 가까워서 일본인들 안경 맞추고 김 사가는게 좋아서 항상 북적임. 그리고 일본 편의점 삼각김밥 김 납품공장이 부산 명지에 있었음.

  • @danbiha8759
    @danbiha8759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예전에 게하에서 일본분에게 선물받은 김있엏는데 그냥 밥이랑안먹고 과자처럼먹었던 생각나네요ㅋㅋ 달달하고 두꺼운김ㅋㅋㅋ 나름 맛있었어요ㅋㄱㄱ

  • @이1-o8o
    @이1-o8o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나는 아직 소금,기름간이 섞이지 않고 살짝 구워지기만 한 김을 구입.
    그리곤 그 김에 밥 얹이고 참기름 살짝 섞은 간장을 밥에 살짝 뿌려 먹는걸 선호 함.
    간을 간장으로 내 맘대로 조절하고 그 위에 김치도 쪼깨 얹혀 먹으면 진짜 꿀맛.

  • @양봉-m8i
    @양봉-m8i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9

    이른영상 굿~
    김은 지도표 성경김이 맛나죠 ~

    • @ryujd0533
      @ryujd0533 8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저는 지도표 성경김만 먹습니다. ^^

    • @Jungsandong-runner
      @Jungsandong-runner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앗 지금 성경김 먹으면서 보고 있었는데ㅋㅋ

    • @meyjo7180
      @meyjo7180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성경김은 유일하게 일본으로 수출 못하는 김이죠. 독도가 떡 하니 박혀있어서 ㅋㅋㅋ

    • @pvp7600
      @pvp7600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일본의 의원인가? 독도에 대한 항의방문차 로 왔다다가 옷가고 김을 왕창사고 갔다는게 팩트

    • @EjHd-mc7be
      @EjHd-mc7be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성경김도 가격 많이 올랐더라고요...ㅠㅠ 성경김은 잘린거 말고 전장김이 채고..

  • @user-ch7fk6qv3z
    @user-ch7fk6qv3z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6

    김이랑 삼겹살은 우리만 알고있어야했는데…외국에서 맛들려서 몸값오르는중 ㅠ

    • @suede2808
      @suede2808 8 месяцев назад +5

      골뱅이는 어떤가 모르겠네........골뱅이도 거의 한국에서만 먹었는데

    • @mandukim5377
      @mandukim5377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suede2808 그래서 골뱅이는 우리가 수입해서까지 먹잖아요

    • @지나가는븅신새끼
      @지나가는븅신새끼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음.. 위기감이 엄습해온다 ㅠㅠ

    • @스파이디-i8c
      @스파이디-i8c 6 месяцев назад

      @@suede2808 골뱅이 하도 쳐먹으니깐 영국에서는 먹지도 않는 거라 영국 어부들 밥벌이 우리가 해주고 있음. 영국에서 골뱅이 수입해오걸랑요

  • @minimi9809
    @minimi9809 8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잘 보겠습니다~

  • @양이리-h1l
    @양이리-h1l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1

    조미김이 언제부터 나왔는지 모르겠지만~ 7 80년대 대부분 생김을 불에 살짝구워서 손으로 찠어 밥을싸고 참기름간장을 수저로 떠서 밥에 언져서 먹었지요~

  • @이길상-l8m
    @이길상-l8m 8 месяцев назад +89

    우리 김도 원래는 그냥 얇게 펴서 말린게 일반적인거였어요. 80년대 이후 조미김이 생산된거고..그리고 맛이 안난다 그러는데 오히려 아무것도 처리 안한 김이 구웠을때 특유의 향이 살아있고, 간장 살짝 묻혀먹으면 훨씬 맛있습니다. 일본김은 너무두껍고 그냥 질겨요. 생산방식차이때문인지 아니면 원초 맛이 달라서인지 모르겠지만 조미김이 아닌 그냥 굽기전 김도 우리나라김이 훨씬 맛있습니다.

    • @Ttttjjjp
      @Ttttjjjp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맞아요 조미안하고 살짝 구워서 간장 조금 찍어먹어도 맛있죠 ㅎㅎ

    • @user-ri8yn7yo1chonig
      @user-ri8yn7yo1chonig 8 месяцев назад +9

      맞아요 전 조미김보다 걍 김 더 좋아합니다 ㅋㅋㅋ 향이 좋아요 ㅋㅋ 곱창김구워먹고 넘 맛있어서 먹다가 입술도 깨물고...

    • @iankim7460
      @iankim7460 8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옛날엔 집에서 참기름 바르고 구워서 먹었음

    • @김현숙-p3m
      @김현숙-p3m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아마 굽고 안굽고의 차이가 헌국식과 일본식의 차이일듯합니다. 일본김은 그냥 해초 말린거지만 한국에서 안구운 김을 김이라고 먹는 걸 못봤어요. 저희 아버지도 시판 조미김보다는 그냥 구운김을 더 좋아하셨어요
      근데 1980년대에서 김은 구워먹었어요. 제가 기억하는 가장 오래전...

    • @선세민
      @선세민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를테면 김은 바다의 이끼죠. 이끼는 메마른땅에선 잘 못커요. 촉촉하고 영양가있는 땅에서만 잘 자라죠. 강물로 전하는 산동네 부유물과 특유의 개펄이 바다이끼인 김의 맛과 성장을 자랑하죠. 글구 잘 몰라 그렇지 무엇보다 역사와 전통에서 압도적인 DNA가 김이든 사람이든 전해졌을듯.

  • @mint_holy
    @mint_holy 8 месяцев назад +7

    김은 광천김이랑 곱창김이 진짜 맛있어요ㅎㅎㅎ

  • @아라비카커피원두
    @아라비카커피원두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6

    주말 아침 박가네는 못참죠

  • @gorapadak
    @gorapadak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6

    파래김부터 김자반까지 모두 밥도둑이라고 따따봉!!

    • @F-killer-v4f
      @F-killer-v4f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김자반이야말로 스몰사이즈로 팔면 해외에선 간식으로 난리나지 싶은데
      아... 그럼 안되지.
      안되쥬.

  • @JKBAEK
    @JKBAEK 8 месяцев назад +90

    십수년전 도쿄에서 근무 할 때 한국 본사에 출장했다 돌아올때 가장 적절한 선물이 김였죠. 일본 직원들도 매우 좋아했었습니다. 한국 김 맛은 정말 神급 입니다. 😂

  • @shinbongkang8385
    @shinbongkang8385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먹는얘기가 역시 제일재밌다

  • @jslee0328
    @jslee0328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23

    한류라는 말 자체가 없던 90년대 공항에서 본 일본인들이 남녀노소 모두 김을 한 보따리 들고 가던 장면이 생각나네여

    • @kwonhyoukkyu
      @kwonhyoukkyu 8 месяцев назад +6

      맞아요 예전부터 일본사람들 오면 김 마니 사갔던

    • @이승영-m6t
      @이승영-m6t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공감 ㅎㅎ 유학생들 김 사달라는 요구도 많앗음.

    • @21세기대승부사
      @21세기대승부사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빙고... 당시 90년대 초반에 김치가 유행하기 시작했죠..

    • @영멸-k4q
      @영멸-k4q 4 месяца назад

      일본김이 훨씬 위생적이고 더두꺼워서 한국식으로 굽고 조미한다면 수십배쯤 더 맛있습니다
      이건 팩트!!!~
      한국김은 일단 더러워요 한국에서 김 생산 말리는거보면 절대 못먹어요

  • @decemberkim5526
    @decemberkim5526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저는 일본 맛김도 좋아해요. 일본 가면 마트에서 맛김 많이 사오고, 맛김을 직구도 해먹습니다..(일본식품 직구 길은 아직 안 열려서 배송대행을 하고요)

  • @은정-y6w
    @은정-y6w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8

    울 고3 둘째가.. 일본에서 먹은 삼각김밥은 김이 바삭하지 않다고 해서.. 그래?? 했는데.. 울 아들 말이 맞네요.....ㅎㅎㅎㅎ

    • @21세기대승부사
      @21세기대승부사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그 김하고 바삭한 김하고는 달라요... 삼각김밥과 김밥용김은 일본이 더 좋아요... 촘촘하고 두껍고 옆구리도 안터지고...

    • @user-rz9rs3gq8u
      @user-rz9rs3gq8u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21세기대승부사뭘 말하고 싶은건가요
      삼각김밥에 들어가는 김이 한국김은 바삭하고 일본김은 바삭하지않는다는걸 말하는건데 아니라고 말하면서 일본김이 더 좋다고 말하면 바삭하지않은게 바삭해지나요?

    • @21세기대승부사
      @21세기대승부사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user-rz9rs3gq8u 아니 제가 머 싸우자고 하는게 아니라요.. 밥위에다 먹는 구운김은 한국께 진짜 맛있는데요.... 위의 분들이 말하는 것 처럼 일본 김이 두껍고 밀도도 높고 팽팽해요 원래..그래서 김밥 용도의 김은 개인에 차이가 있겠지만 일본 김이 김밥용으로는 더 좋다고 말하는 거여요... 두껍고 밀도가 높다보니 밥의 습기가 닿아도 눅눅해지는게 들하긴 해요...왜이리 싸우려고만하는지요...

    • @따듯한라떼-c8r
      @따듯한라떼-c8r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1세기대승부사 일본김 한번도 못먹어봤는데 식감이 궁금 하네요 옆구리 안터진다니 김밥용으론 좋을듯요

    • @user-hsd1f7asfa2f
      @user-hsd1f7asfa2f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21세기대승부사나는 이분 말 이해함 맨밥인 삼각밥에 덜렁 도화지같은 김을 싸서 줬는데 맛있었음

  • @윤슬-r4i
    @윤슬-r4i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날씨도 점점 더워지는데.. 시원한 김국 먹고싶네요 ㅎㅎ

  • @youseokkim6514
    @youseokkim6514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어렸을 때 김은 요즘처럼 자른김이 아니고 전지 한장김 이었고 양념도 없었음. 파래김이라고 두꺼운 김도 팔았음. 어머니가 눅눅한 전지김을 연탄불에 살짝 굽고 거기다 양면에 붓으로 기름칠하고 소금뿌려서 지금김의 두 배크기로 잘라서 만들고 접시에 이쑤시개로 꼽아 엮어서 식탁위에 놓았음. 지금의 조미김과 반의반으로 잘려서 나온거는 나중의 일임. 연탄불에 그을린 이유는 포장된게 아니라서 눅눅해 맛이 없기 때문 이었음.

  • @folhy7428
    @folhy7428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72

    김양식을 하는 나라가 한중일 3국이지만 대량양식 자체가 한국이 워낙 압도적이고 이건 일제시대때 이전 조선부터 이어진 것이다. 중국도 일본도 한국김을 수입하지만 한국은 자국수요를 자급한다. 우리만큼 많이먹지도 열성적으로 생산하는 나라는 없다. 이러니 해외인들이 김맛을 알게되면 한국김의 값은 오를 수 밖에. 이제 김을 코리안 노리라고 부르는건 무지한 것이 될 것이다. 앞으로 수요증가와 기후변화 때문에 김은 더 귀한 몸이 될것 같다. 나만의 김일때가 그리워질 것 같다.

    • @화이트홀-q4n
      @화이트홀-q4n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중궈는 이와중에 오늘도 이시간에도 예외없이
      자기들이 원조 김생산의 삽엽충이라고 처우긴다는 풍문이~

    • @hope7496
      @hope7496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앤밴사투리 이해하여야 국제인인가봐

    • @장태지-i3o
      @장태지-i3o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2

      삼국시대부터 한반도에서,김을 식용했다는 삼국유사에 기록됨~~~

    • @화이트홀-q4n
      @화이트홀-q4n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장태지-i3o 갑골들은 그런거 안중에도 없음. 무개념 무상식 무진화적으로 요약.

    • @123carth
      @123carth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한국은 이미 육상에서 김을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음 상용화만 하면 됨

  • @Jeremy-yg9pe
    @Jeremy-yg9pe 8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역시 디테일이 살아있는 박가네~
    오늘도 유익했습니다.

  • @KatieYoon-s9i
    @KatieYoon-s9i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하 그랬군요~~ 몰랐던 사실인데 정말 재밌었어요.^^

  • @red38671
    @red38671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아~~ 덕분에 잘 알았습니다. 중국 김도 같이 소개했으면 더 자세히 알 수있었을거 같아요.

  • @Skyblue20246
    @Skyblue20246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오래 전엔 밥먹기 직전 어머니가 김굽고 기름칠하고 그랬죠.요새 같이 조미되서 나오는 김 못 본 것 같아요. 구을 수 없을 땐 아쉬운대로 간장 찍어 먹고.

  • @이동진-y9v
    @이동진-y9v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촘촘하고 두꺼운? 일본 김 같은 건 우리나라에서 예전부터 생김이라고 팔고 있죠. 조미간장 만들어서 쌈처럼 해서 찍어 먹거나 집에서 참기름 바르고 석쇠로 구워서 소금 뿌려서 파는 조미김처럼 직접 만들기도 합니다.

  • @VALLEN-a5a
    @VALLEN-a5a 8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 @gom798
    @gom798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일본 여행갔었을때 호텔에서 일본김을 먹을 기회가 있었습니다.
    7:57 딱 저런 모양이었습니다. 어렸을때 학교 급식에 나오는 마냥?
    일단 A4용지처럼 빳빳하더라구요. 그리고 먹었을때 달달하면서 살짝 매콤한 맛이 올라왔었는데 밥반찬보다 술안주로 더 어울리는 느낌이라 신기했던 경험이었습니다.

  • @wusongyang7751
    @wusongyang775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우리나라 김은 김밥 만들때 사용 하는 김과( 두꺼운 김) 식사때 밥 싸먹는 반찬으로써의 김이(얇은 김) 따로 있고 먹는 방법이 다르니 맛과 질의 차이가 날수밖에 없지요... 그리고 김을 굽고 참기름을 바르고 소금간을 하는 과정에서 김은 또 다른 맛을 지니게 됩니다...

  • @HongkiKim1
    @HongkiKim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6

    80년대 쯤 수산부 근무하시던 아버지가 일본 수출용 김이라고 동그란 프링글스 같은 통에 들어 있는 조미김ㅈ을 갔다주셨는데 정말 맛있었어요. 그후 양반김이 나왔죠..나중에 어렸을때 먹었던 그 김 먹고 싶다고 했더니 그 김 종자가 없어서 양식 못하고 있다고 하셨었는데..그 김 먹고 싶어요

    • @Cbn5838
      @Cbn5838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그때 먹어본 기억 달달한, 간장 맛, 일본 수출용 김공장 완도 쪽 공장 있었다고 들음

  • @Jackal_GN
    @Jackal_GN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두꺼운 김은 김밥용으로 사용하죠. ㅎㅎ

  • @시공간행-e2w6l
    @시공간행-e2w6l 8 месяцев назад +6

    14:14 휜밥. ㅋㅋㅋ 저도 하얀밥을 흰밥으로 발음 안하고 휜밥이라고 발음하는데. ㅋㅋㅋ 흰색--->휜색으로 발음. ㅋㅋㅋ

    • @borishenkel9703
      @borishenkel9703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냥 쌀밥이라고 해도 되는데...

  • @유영재-h7c
    @유영재-h7c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목소리 좋아요❤🎉
    응원합니다

  • @daldaldal-e7w
    @daldaldal-e7w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갠적으로 김순이라 ㅎㅎ 매끼니마다 김을 먹습니다. 밥먹을 땐 거의 전장김 10장 들은거 혼자 다 먹는 수준이예요. 저녁에 맥주 마실때 안주로도 먹고 수시로 먹어요. 너무 사랑해요 진짜.. 김이랑 김치만 있으면 1달은 너끈히 버틸거 같아요. 근데 일본김도 좋아해요 ㅎㅎ 양념되어 있는 것도 좋고 다 좋음 ㅎㅎㅎ

  • @eyetoy22
    @eyetoy22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일본 오오모리아 탁상 김도 맛있는데....
    간장맛이 나고 바삭해서 맛있어요

  • @sara_haha
    @sara_haha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저는 반대로 일본의 그 달콤짤조롬하게 된 조미김 좋아해서 여행갈때마다 사서 늘 채워놓습니당ㅋㅋ

  • @tamtamjae
    @tamtamjae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9

    미국 트래이더 조 마켓에 일본식 달달김이 있었는데 안팔렸는지 없어지고 이젠 한국식 김을 스낵으로 팔아요. 미국 코스트코에도 도시락 김 박스로 팔구요. 켈리포니아에서는 백인 초등학생이 흰밥에 도시락 김을 점심으로 싸오는 모습도 종종 볼수있어요.

    • @Poiuy123-b3x
      @Poiuy123-b3x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휴잭맨 딸이 김 좋아햇던거 같던데ㅋㅋㅋ

  • @madeun
    @madeun 8 месяцев назад +79

    역시 아침은 박가네!
    김은 역시 한국김이 최고져!

    • @halfkiwi
      @halfkiwi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일본 조미김은 넘 짜고 간장 냄세가 나더라

    • @존잘러이강인
      @존잘러이강인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거 일본김 해서 빼앗야 합니다

  • @iam21111
    @iam2111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5

    한국김도 70년대까지는 조미김이 없었고 일본김과 비슷하게 두껍고 조미가 안된 A4 크기로 100장씩 묶음으로 팔았음.
    그걸 사다가 집에서 굽고 기름바르고 소금뿌린 후 절단하거나 김밥 만들어서 먹었음.
    포장된 얇은 조미김은 대략 80년대(88올림픽)쯤해서 소포장 기술/문화가 발전하며 개발/대중화되기 시작했음.

    • @DrunkenDog1653
      @DrunkenDog1653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시장에 김 구워파는 가게가 있었죠.

    • @shkoo3957
      @shkoo3957 8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조미안된 완도 돌김 가끔 사먹는데 일본김이랑 다른긴함 훨신 고소하고 맛있어요.
      일본김은 질긴해초먹는느낌

    • @별리-z3j
      @별리-z3j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연탄불에 살짝 구워서 흰쌀밥에 기름장(간장+참기름) 몇방울과 김치 올려서 먹으면 끝남...ㅋㅋ
      조미김은 손이 많이감... 해놓으면 눅눅해지고...

  • @Lovevery-z5d
    @Lovevery-z5d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3

    약 40년전 해표김 양반김등 공장형 김이 나오기이전에 김농사를 발에 뜨고 발장에 대나무꼬챙이 꽂아 말려 팔던시절엔 한국김도 두꺼웠습니다.지금은 맛도 두께도 많이변했죠. 그때 시세로 가격도 매우 비쌋고 김에 파래도 섞여 있어서 굽거나 참기름발라 간장에 찍어먹으면 고소함이 지금 시판되는 김은 따라오지못할 맛입니다. 일본김이 그당시 한국김형태 두께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이후에 공장형 김으로 발전됐죠.

    • @자유를향한날개
      @자유를향한날개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태양에 말려서 태양초 김이라고 합니다.
      지금 김보다 품질과 맛에서 더 좋았습니다
      다만 태양에 말리면 수작업을 해야 해서 두껍게 되고 생산성도 떨어지기 때문에 지금은 김 양식장에서 다 기계로 말립니다.
      김양식장 가면 가끔 자신들이 먹을 김은 직접 햇볓에 말리는 태양초 김을 먹습니다.

    • @borishenkel9703
      @borishenkel9703 8 месяцев назад +5

      겨울 아침을 김 굽는 냄새로 시작했죠.
      김 위에 밥 한 숟가락 얹고 간장굴 놓아서 한 입 꽉 베어물면 세상에서 제일 행복했던 아침 밥상.

    • @kgeeho
      @kgeeho 8 месяцев назад +7

      1970년대에도 한국김이 얇고 훨 맛있었어요. 일본김은 두껍고 ..
      예전 그 김에 들기름발라서 아궁이 잔불에 구워 소금뿌려 먹으면... 기차게 맛있음.
      그때가 그립네요.

    • @edata7594
      @edata7594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아니 내 어린시절에도 참기름 바르고 먹었는데 무슨 소리

    • @edata7594
      @edata7594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70년대 80년대 가공김을 사먹음. 집에서 참기름 바르고 가공 다 하는거지. 그 당시는 된장 간장 고추장도 사먹는 기사 뜨면 어른들은 그것도 손가락질하고 비판하던 시대임. 저런거도 사먹는다고 날김을 사서 집에서 참기름 바르고 다 했심. 참기름자체가 한국껀데.
      그런 가공방식이 일본이 발달 안 한 이유는 간단함. 김을 가정에서 먹기 시작한거는 18세기고 보편화된거는 19세기라고 함 200여년정도 밖에 안되니 가공방식이 발달 안 된겁니다. 우리는 삼국시대 기록상 수천년전이고. 어쩌면 그 이전부터 먹었을 수도 있음. 역사가 긴만큼 가공 방식이 발달함

  • @YAHO-i3n
    @YAHO-i3n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일본 친구에게 김이랑 김자반을 작년인가.. 선물해줬었는데..
    아끼고 아껴서 먹다가ㅋㅋㅋ 유통기한 거의 임박해와서 막 먹고 있다고.. ㅋㅋㅋ
    아껴서 먹을정도로 맛있다고 한국김은..😂😂
    김자반은.. 정말 놀랍다고 그러더라고요ㅋㅋ
    너무 맛있대요ㅎㅎ

  • @hyunhong4747
    @hyunhong4747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김관련 종사자분들은 호황기일듯
    원래 동아시아에서만 주로 소비하던건데
    이젠 서양에서도 소비가 이루어지다보니

  • @Sori_O
    @Sori_O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아니 좋아하는건 알겠는데 적당히...좋아해야지...
    요즘 김값이 금값이에요. 마음이 불편합니다.
    1년전만해도 밥먹을때 아무 부담없이 한봉지 뜯어서 옴뇸뇸먹었습니다만, 요즘엔 살때 부담을 실제로 느낍니다. 잘 팔리는건 내 사정, 내 지갑에 들어오는 돈이 아니잖아요

  • @realdain0503
    @realdain0503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15~6년전쯤 유후인 료칸에서 아침식사에 맛김이 나와서 단짠단짠 맛있게 먹었던 기억이 있어요 저는 좀 두꺼운 김을 좋아해서 마트김 보다는 시장에서 직접 구워주는 김을 더 좋아하고 일본 맛김이 약간 김장아찌 라고 해야하나 그 느낌도 나서 좋았어요 일부러 일본 마트에서 맛김을 사왔는데 너무 조금씩 포장되어있어서 아쉽더라고요 한 끼에 몇 개를 뜯어야했는지 ㅎㅎ 몇년 지나서 일본 사람들이 우리나라 김을 좋아해서 왕창 사가는걸 보고 각자 가지지 못한걸 맛있다 하는걸까 싶기도 했어요 ^^

  • @tinavino1575
    @tinavino1575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저는 일본 김도 맛있어요. 사모님 입장에서 보신 레시피도 보고 싶어요. 김말이 밥 등.

  • @도바이올렛
    @도바이올렛 8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요즘 김은 다 수출해버리는통에 김값이 어마어마 하게 올랏어요 … 겨울에 김하고 김장김치에 밥먹고 살앗는데

  • @불로아재
    @불로아재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5

    김 3대 건강식품
    김.미역.계란 세가지 장수식품으로 불립니다
    제 고향 광천 광천김 유명합니다.
    자주먹어 건강해집시다

  • @아무게-m4p
    @아무게-m4p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박상 참 말 잘하셔

  • @에메랄드바다-x3y
    @에메랄드바다-x3y 23 часа назад

    포항 죽도시장 가니 여러집에서 석쇠에 김을 구워 팔더라구요. 집집마다 다 맛있더라구요.
    옛날 집에서 직접 구운 맛이 났어요.
    진짜 맛있더라구요. 김도 좋은 김을 쓰나봐요.
    아무리 맛있는 대기업 김이라도 직접 석쇠에 구운 김맛은 못따라가네요.

  • @기중이-y4x
    @기중이-y4x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김은 서늘한 바다에서 생산이 됩니다. 예전에 한산도 충무 등에서 생산했지만 바다가 점점 더워져서 서해안 변산반도 서산 당진 등에서 생산하다가 지금은 훨씬 북쪽인 백령도 부근에서 생산합니다.

  • @kaypark7063
    @kaypark7063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수온이 높아지면서 김 생산은 앞으로 계속 어려워진다고 하더라구요~~ 근데 점점 세계에 한국김이 알려지면서 가격이 더 오를것 같아서 걱정이예요 ㅠ

  • @alexx1108
    @alexx1108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참기름 바르고 맛소금도 뿌리고 마지막은 굽는거죠!

  • @Imgood-mn9kb
    @Imgood-mn9kb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일본은 곱창김을 좋아하나 보군요! 곱창김도 나름의 매력이 있죵

  • @스티즈-b2w
    @스티즈-b2w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저희 회사도 수십년째 방문하는 일본 고객에게 김을 선물로 주고 있는데요,
    코로나때는 한국 입국을 못하니까 아예 배송을 부탁 하더라구요 ㅎㅎ
    그래서 일본고객들 사무실 인원 전부 파악해서 800박스 정도 선물로 보내줬었습니다.
    김이랑 삼계탕, 꼬리곰탕 많이 좋아해요 ㅎㅎ

    • @金善振
      @金善振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지금가격은 어떤지 모르겠는데
      코로나 이전에는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
      만족도는 최상의 선물이었죠.

  • @borishenkel9703
    @borishenkel9703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라떼는 김 두께가 지금 조미김의 2배였고 A4정도되는 김 한장을 4등분 해서 먹었지.
    아~, 옛~날이여~ ㅠㅠ

  • @robokit1997
    @robokit1997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일본김은 라멘에 넣어 먹기 좋더라고요 한국에 있는 일본라멘집 가면 얇은 한국김 넣어주는데 좀 잘 찢어지고 흐트러지는데 일본에서 먹는 일본라멘에 들어가는 김은 단단해서 국물에 담궈 면 싸먹으면 별미 ㅋ

  • @just1minute632
    @just1minute632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좋은정보 감사학니다

  • @ginashin9043
    @ginashin9043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좋아요

  • @user-kvclsoecnmjg59fu9ic
    @user-kvclsoecnmjg59fu9ic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조미김은 옆동네 삼촌이 처음 만들어서 팔았는데... 처음에는 조미김을 싫어해서 고생 많이 햇는데 지금은 없어서 못팔다니...

  • @vsy56
    @vsy56 8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요리관련 만화보면 한국김이 따로 있던데 그게 실제로도 그렇게 분류하는군요. 재미있네요.

  • @김남진-r3q
    @김남진-r3q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4

    2004년 경에 저 중 3이었는데요, 당시 같은 검도 도장 다니던 영국인이 귀국하면서 김 한보따리 싸들고 가던 모습이 생각납니다.
    왜 그런지 물으니 김이 'Luxurious food.'라고 대답했어요.

  • @kyungsumin2015
    @kyungsumin2015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0

    기후변화로 한국인들 먹어야할 김도 모자르게 될텐데 더 이상 널리 퍼지면 안돼!😂

  • @YellowSky5200
    @YellowSky5200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정말 궁금했던점 입니다…

  • @presdepaul
    @presdepaul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장어같은 경우도 일본은 양념장어를 고수하던데 김과 비슷하네요 ㅎㅎㅎ (저는 소금구이파)

  • @rxkim3910
    @rxkim3910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구운 김, 양념간장에 찍어 먹어도 진짜 개맛있는데.

  • @quuu213
    @quuu213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해외살다 왔는데 김들이 굽는거나 조미 차이가 있음.
    중/일의 경우는 보통 김을 간장조미한 단맛에 가깝게 생각함.

  • @세상은넓다-j6m
    @세상은넓다-j6m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는 여행갈때마다 한국양념된김 많이사갑니다 버스기사.호텔청소.후론트 등등 전해주고 오는데 정말 좋아하더군요 아침에 만나면 뛰어와서 아리가또하는데 정말 좋은감정듭니다

  • @설탕묻힌토마토
    @설탕묻힌토마토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사상 첫 해산물수출 1조돌파.. '검은 반도체' 김.... 안된다 비싸지면...

  • @Arkgibari
    @Arkgibari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1장만 맛보면 중독적인 감칠맛으로 2장 3장 ...5장 까지 먹음

  • @이해원-z2s
    @이해원-z2s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옛날에는 한국 스타일의 김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는데
    자주 먹다보니 점점 익숙해진 탓도 있을 것 같네요

  • @AA_cowgomoo
    @AA_cowgomoo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미국 코스코에는 김부각 판다던데 일본은 부각 반응이 없나요?
    미국에서 이제까지 본 김들은 (코스코,미국마켓,달러가게, 편의점 등등) 다 메이드인 코리아...스시용은 재팬있고요.

  • @jameslee7465
    @jameslee7465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한국김이 얇아서 초기에 불량이라고 했다는거나, 일본의 김 회사에서 한국에 김 제조회사를 세웠다는점은 새로운 정보네요. 감사.

  • @사과나무21
    @사과나무21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김은역시 지도표 김이 맛있음.....꼭 먹어보길....전 지도표 성경 녹차김만 먹음...

  • @black.ratata
    @black.ratata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7,18년전에도 아부지가 일본에서 손님오시면 엄마가 마트에서 김을 엄청사서 준비하신 기억이있네요.,일본사람은 화과자나 바나나모양 빵같은 포장도 이쁜 고급과자 주는데. 하필 김을 주나 했는데 좋아하셨겠습니다😊

  • @infectedhappyvirus2366
    @infectedhappyvirus2366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선따봉 후감상

  • @ChannelOrient
    @ChannelOrient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하긴 잘 구워진 짭쪼름한 스팸 한조각이면 밥 한공기 뚝닥이듯
    한국 김 한조각이면 밥도둑이긴 하네요 ㅎㅎ

  • @sms2942
    @sms2942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떡상 떡상 떡상!!!!!

  • @mjoonkim9018
    @mjoonkim9018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제가 2000년도에 1월1일부터 10일 동안 일본에 사는 누나집을 방문 했을때
    그때 말로 한국인이 일본인 이웃에게 한국 물건을 선물 해줄때 한국김이 그때도 제일 인기가 좋았다는 말이 기억이 나네요. 😀

  • @all-in4673
    @all-in4673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흰쌀밥,마요네즈,고추냉이, 무순,채썬오이,성게소♡♡

  • @qpqpqpqqpppq
    @qpqpqpqqpppq 8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요새는 미니약과도 좋아하더라구요 ㅎㅎ

  • @senator2sai
    @senator2sai 8 месяцев назад +6

    90년대 중반부터 일본회사와 교류를 했습니다. 매년 서로 상호방문을 했는데 그들이 귀국할 때는 모두 김을 구입했고. 우리가 방문 할때는 무조건 김을 사가지고 갔습니다.
    그리고 조미김에는 참기름 보다는 들기름

    • @근디기
      @근디기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들기름은 산화되요. 참기름이 맞아요. 들기름은 먹을때 발라먹던지 찍어먹어야 합니다.

    • @senator2sai
      @senator2sai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근디기 맞습니다. 시판용 김 말고 집에서 김을 잴 때는 살짝 구운김에 들기를을 둘렀죠.

  • @moon-pk2ty
    @moon-pk2ty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올해부턴 일본에 가서 경매를 하는 게 아니라
    한국에서 경매를 하게 돼
    일본 업자들이 들어와서 경매 받고 많이 사가니까 김값이 오르고 있음.
    중국에서도 사가고

  • @이소연-y4b1y
    @이소연-y4b1y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전 일본김도 맛있던데요. 밥반찬보다는 간식거리로 좋아요

  • @G80-y9b
    @G80-y9b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요새 곱창김이라고 두꺼우면서도 달달하고 꼬들꼬들한 만 나는 김 많이 먹는데, 일본 분들에게 곱창김 맛도 소개해 주고 싶네요

  • @신원식-n1x
    @신원식-n1x 8 месяцев назад +9

    80년대 중후반 명동 베토벤음악사에 LP판사러 다니던 시절 그곳에 일본인들이 꽤 왔는데
    그들이 주로 사는게 조용필 카세트테이프 5개였고
    하나같이 그들 손에 가득히 들려있던게 김이었습니다.
    오래된 일본인 선호 선물입니다.

  • @zokioki515
    @zokioki515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이러다 김밥은 파래김 들김등등 선택해서 조합해먹는 고급음식으로 바뀔지도 모르겠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