켄블그텃밭 2부: 최상급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초생재배 + 지렁이 등 토양동물 = 토양미생물 최적화]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194

  • @anotherworldfarmer
    @anotherworldfarmer  2 года назад +34

    * 이세계농업의 4계명 :
    1. 교란을 최소화
    2. 토양 피복을 최대화
    3. 생물 다양성 최대화
    4.살아있는 뿌리의 존재를 최대화
    * 미국 농무부 "토양에 숨겨진 비밀 풀기" 한글판 : nrcspad.sc.egov.usda.gov/distributionCenter/pdf.aspx?productID=1653
    * USDA "UNLOCK THE SECRETS IN THE SOIL." PDF file download : www.nrcs.usda.gov/wps/PA_NRCSConsumption/download/?cid=nrcseprd1833064&ext=pdf

  • @진영팍
    @진영팍 7 дней назад +1

    양달샘님의 생각과 방식이 옳습니다.
    저희 어머님도 풀을 절대 허용 안하십니다.

  • @진영팍
    @진영팍 15 дней назад +1

    👍 응원합니다.
    저도 초생재배중 입니다.

  • @김상재-b6l
    @김상재-b6l 2 месяца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이경애-i7s
    @이경애-i7s 2 года назад +30

    이 세계 농업에 적극 지지합니다!
    열심히 공부하며 따라가고 있습니다.
    더욱 힘내세요!

  • @Joel-qj2yh
    @Joel-qj2yh 2 года назад +35

    안녕하세요 20대 청년입니다. 농사를 하지는 않지만 자연농업에 관심이 있어서 몇 달 전에 알게 된 채널. 너무 유익합니다. 양질의 영상을 업로드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석-l5k
    @석-l5k 2 года назад +28

    이세계농부님은 진정한 자연농법을 실천하고 계시네요. 영상 늘 감사합니다

  • @ICNKF-LEEDONGHEE
    @ICNKF-LEEDONGHEE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몇번째 반복 청취중입니다
    고맙습니다

  • @crossbeautfillord
    @crossbeautfillord 2 года назад +7

    네 제가지금 unlocking secret in the soil 유튜브 를 보니 정말 농부님 실험농장 과 같은 아이디어 군요..저도 가끔 유투브로 듣긴 했는데 ..그분들은 과학적으로 연구를 해서 더욱 확증합니다...처음부터 우툽 받을때 좀 천재적인분 같더라구요..
    감사합니다.

    • @키우고기른다
      @키우고기른다 Год назад

      채널명좀 알려주세요.. unlocking secret in the soil라고 치면 채널이 나오진 않던데..

  • @youngsong3235
    @youngsong3235 2 года назад +11

    이세계 농부님의 방법을 우리 텃밭에서 철저하게 실행하고 결과를 댓글로 달겠습니다. 놀라운 자연농법을 공유하게 하여 주셔서 감사 합니다.

  • @순숙남
    @순숙남 2 года назад +10

    제가추구하는 농사입니다 저도따라해보구있구 항상 이세계륿응원합니다존경합나다 우리의미래를위해서 애써주심 을감ㅅㅏ합니다

  • @재림은반드시
    @재림은반드시 2 года назад +6

    어머님도 대단하신 신념ㅎㅎ. 고생하십니다 농부님!

  • @꽃농부
    @꽃농부 2 года назад +1

    많은 지식과 정신력 설득력 언어능력으로 힘든 시련을 겪어나가 이겨 내시리라 믿습니다 지금 점점 구독자가 늘고 있지 않습니까 능력과 정성에 경의를 표합니다

  • @ys3019
    @ys3019 2 года назад +2

    이세계농법이 위대한 농법입니다. 와우....굿 굿 굿..

  • @대파케이크
    @대파케이크 2 года назад +3

    어머님 참 부지런하고 힘도 좋으시네요..... 도대체 그 무거운 제초제 통을 어떻게 메고 뿌리시는거죠? 지금 주말농장 그냥 어머니 드리고 이세계농부님은 다른 곳을 구하셔야겠어요. 어머니가 너무 힘이 넘치시네요. 우리 부모님은 귀농하셨을 때 귀찮아서 풀이 사람 키만큼 자라곤 했는데요ㅋㅋㅋ 일 년에 두 번쯤 베곤 하셨죠. 거기까진 딱 좋은데 벤 풀로 멀칭이 아니라 한 쪽에 쌓아버렸었네요. 벤 자리에 눞혀놓으면 거기서 뿌리가 돋아 다시 살아난다고.

  • @자연스럽게-b6y
    @자연스럽게-b6y 2 года назад +10

    영상 늘 잘보고 있습니다. 저도 미래의 이세계농부 입니다. ㅎㅎㅎ

  • @영준정-t8r
    @영준정-t8r Год назад +1

    ㅋㅋ어머니화이팅

  • @인연연못
    @인연연못 2 года назад +10

    식물들도 입소문을 낸다는 사실이 너무놀라워요~오늘도 너무 귀한말씀들 감사합니다.~~^^

  • @sanyawool
    @sanyawool 2 года назад +9

    선생님 감사합니다. 드디어 우리집 마당 에 무당벌레 🐞,애벌레, 사마귀새끼가 발견되었습니다. 좋아요😀👍

  • @배고파-x4l
    @배고파-x4l 2 года назад +9

    감사합니다!!!! 이 귀한영상 일요일 아침에 볼수 있네요!! 주말 잘보네세요!!

  • @장세창-z5z
    @장세창-z5z 2 года назад +8

    이세계농부님 영상을 보면 신세계농부와 함께라는거 같아 존경스럽고 영광입니다.^^

  • @kmbhgyy7808
    @kmbhgyy7808 2 года назад +3

    지식이 정말 많네요.
    가장 마음에 드는 농사법이네요

  • @hanmarichi
    @hanmarichi 2 года назад +8

    이제나 저제나 가다리던 영상이 드디어~~!
    귀농할 때 많은 도움이 될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kimming16
    @kimming16 2 года назад +8

    이세계농부님 매우 공감합니다.

  • @yangsoon-mm4wz
    @yangsoon-mm4wz 2 года назад +11

    많이 기다렸어욤😊
    오늘도 귀한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고정된 의식을 바꾸기란 정말 힘든 것 같습니다😂 어머님.. 정말 대박 행운이신데.. 아쉽아쉽😅
    언젠가는 알게되실거예요😀
    이세계님으로부터 듣게되는 신기한 세상! 놀라운 세계!!! 나무들의 대화.. 입소문.. 뿌리 속 지하 세계.. 고용.. 신기방기😀 들리는 것 만큼 보이게되네요😀😃 뭐라고 표현해야할지.. 요정의 세계같다고 할까?? 멀리 혼자 심겨져있는 1년생 묘목이 있는데 말도 걸어줘야겠어요. 힘내라고.☺️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꿰어주셔서 넘 감사드리구요..설명도 넘 잘해주시고요.. 큰 힘이 됩니다~ 감사드립니다~~~🥰🥰🥰🥰🥰🥰

  • @인연연못
    @인연연못 2 года назад +9

    캔블그와 풀들이 자리잡아 항상 촉촉히 젖은 땅에 대부분의 과채들에게 더할나위없이 좋은 환경이겠어요~
    정말 탄성과 박수가 저절로나옵니다.~^^
    그리고 대파 양파 마늘 같이 과습되면 안된다고 알고있는 작물들도 잘자랄까하는 재미있는 의문이 들기도하고..일반적인 과습과 달리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는 환경이라 걱정없이 자랄수잇나? 하는 즐거운상상을 하며 너무 감사하게 봅니다.
    이세계농부님 항상 건강하세요.~~

    • @anotherworldfarmer
      @anotherworldfarmer  2 года назад +6

      오히려 과습으로 생기는 문제를 막아주고 있는 걸로 관찰 됩니다. 현재 옥상텃밭에 있는 다른 텃밭상자에서 비슷한 방식으로 키우고 있는 대파를 내일 캔블그텃밭으로 옮겨봐야겠네요.
      건설적인 제안 고마워요.

  • @Sam-yp3zy
    @Sam-yp3zy 2 года назад +3

    안녕하세요
    저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라미라다에 살고 있습니다.
    앞마당 뒷마당에 각종 꽃들과 유실수들을 5년째 심고 가꾸는데 쉽지가 않더군요. 이세계 농부 덕분에 풀과 각종 곤충들 지렁이등 유기체들의 중요성을 배우고 실천하면서 더욱 풍성하고 아름다운 정원을 가꿔가도록 해야겠어요. 감사합니다

  • @거북이날다-w8o
    @거북이날다-w8o 2 года назад +11

    진짜 잘 보았습니다.
    이번에도 정말 유익하고 중요한 지식을 알기쉽게 설명해 주셔서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 @박원용-s7t
    @박원용-s7t 2 года назад +21

    늘 수고가 많으십니다
    이런 영상에 공감하는 이들이 많아 지기를 기원합니다 🙏

  • @숲속의제임스-d2w
    @숲속의제임스-d2w 2 года назад +14

    아하 이제야 막연하게 생각하던게 이론적으로 정리가됩니다. 고추재배시 해마다 탄저로인해 피해를 많이보는데 풀을 키우고 생태교란을 최소화시켜서 마이크로바이옴의 다양성을 높이면 유해균의 피해를 줄일 수있다는 말씀이군요. 감사합니다. 요즘은 고추밭에 풀이자라면 적당하게 베어서 눕혀만주고 풀뿌리는 건들지않습니다. 고추골은 유기물을 두텁게덮어 수분증발을막아 항상적당한 수분을 머금게하였습니다. 아무튼 마이크로바이옴이 다양해지고 풍부해져서 고추탄저병을 이기기를 기대합니다.

  • @영준정-t8r
    @영준정-t8r Год назад +1

    훌륭하십니다

  • @김규태-i4e
    @김규태-i4e 2 года назад +2

    이세계농부님반갑습니다...
    저는7월23일경북의성으로귀농합니다..
    동영상열심히보고있습니다..
    모두다이해는안되지만계속보면서공부하면서실지이세계농부농사를지어보겠습니다...
    이세계농부농사법이제가그동안생각하고꿈꾸었고하고싶었던농사입니다...
    우연히이세계농사동영상을보게되어너무감사하고행복합니다...

  • @낑낑마kingkingma
    @낑낑마kingkingma Год назад +1

    참 효자십니다..
    귀촌을 준비하려고 보면서 많이 공부하고 있습니다.

  • @플라딩헨
    @플라딩헨 2 года назад +2

    이세계 농부님~ 안녕하세요 ~ 유투브 보고 처음 댓글 남겨봅니다 첫째, 이세계님은 유기농이나 텃밭,풀과같은 낱말들 하고는 어울릴것 같지않은 서구적인 외모를 가졌습니다. 그런 분이 농사에 대해 논리정연한 이론과 실제 작물의 성장과 결과물을 보여 주어서 믿음이 갔습니다. 공감,지지하는 사람 많더라고 누님에게 전해 주세요 ~ ㅎ 이 영상들을 정,역주행 하면서 거의 다 보고는 신세계랄까 뒷통수를 세게 맞은 느낌이랄까 하여튼 농법에 대한 기존 관념을 모두 바꾸게 되었습니다. 카페와 공방을 운영하며 20년 넘게 살던 대도시에서의 삶을 정리하고 다음 달 추석지나고 시골로 이사 가려고 합니다. 예쁘게 리모델링된 노출 서까래 있는 한옥은 20대 부터의 로망이었답니다. 그 꿈을 50대에 이루네요 ㅎ 시골가서 텃밭 가꿀 준비로 여러 곳의 동영상을 보던 중 행운같이 알게된 무경운,무투입,풀멀칭,유효토심 . . . 끝도 없는 유기농에 대해 하루에 2시간 이상씩 2개월은 보다보니 소위 귀명창이 되었습니다 ㅎ 까딱했으면 어설프게 온갖 것들을 사들고 시골로 이사할 뻔 했으니까요. 예를 들면 등에 매는 농약 살포기, 진딧물 없앤다는 마요네즈,퐁퐁,님 오일,삽,곡괭이 등등 이루 헤아릴 수 없는 유기농에 해로운 물품들이요. 이제는 영상만 딱 봐도 고랑에 풀이 없는 맨땅이나 제초매트를 깔아 놓고 유기농이라고 한다던지, 경운하고 밭을 밟아 대면서 퇴비를 준다던지 완전한 유기농이 아닌지 알겠더군요. 카페할 때 가꾼 작은 정원에 심은 국화에서 하도 진딧물이 끼기에 농약도 뿌려 보고,다른 사람 말 듣고 맥주,퐁퐁,락스 탄 물도 뿌려 봤지만 백약이 무효였었습니다 ㅎ 근데 이세계님 덕분에 알게 되었습니다. 무당벌레등 익충의 먹이가 되는 진딧물이라는 것을요. 특히 지표에서 20cm 아래는 경반층이라는 말을 듣고는, 여태 피상적으로 알고 있던 지식이 얼마나 무용지물인지도요. 시골가면 소출이 적더라도 풀멀칭 열심히 해서, 사람도 이롭고 곤충,벌레,땅에도 이로운 농사를 지을 생각입니다~ 참, 또 한 가지 잔디밭이 200평 가까이 조성돼있는데 이건 먹을게 아니니까 1년에 한두번 잔디 제초제를 뿌리라는 조언을 듣고 그렇게 하려고 했는데, 생각을 바꿨어요. 이세계님 ! 질문 있어요 ! 잔디풀 깍은거 텃밭에 멀칭해도 되나요? 답변 부탁드리고요 늘 건강하시고 즐거운 나날 되세요 ~ 응원합니다 !!!!!!!!!!!

  • @달걀도둑
    @달걀도둑 2 года назад +6

    늘 감사 드립니다
    저도 오이 두포기에서 진딧물이 번성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놈들에게 큰기대를 해봅니다.

    • @anotherworldfarmer
      @anotherworldfarmer  2 года назад +4

      올해 오이 두 포기를 모두 진딧물 먹으로 날려 바리고 실패할 수도 있어요. 옥상텃밭에서도 첫 해엔 오이들을 모두 진딧물 먹이로 날려버리고 그 다음해에 무당벌레 번식에 성공했었어요. 마음 독하게 먹고 오이잎이 모두 먹히고 오이기 성장을 멈추더라도 포기하지 말고 계속 기다려야 합니다. 무당벌레와 육식곤충들이 나타날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은 진딧물을 더 많이 번식시키는 겁니다. 진딧물이 어느 규모보다 적으면 무당벌레가 절대로 안 나타나는 거 같아요. 오이도 괜찮기는 한데, 오이보다는 조롱박이 더 좋고, 역시 사과나무나 무궁화 나무가 제일 좋아요.

    • @달걀도둑
      @달걀도둑 2 года назад +2

      예 조언처럼 사과나무를 심겠습니다.

  • @햇님달님엄마
    @햇님달님엄마 2 года назад +2

    놀랍고 경이롭습니다..와~ 와~ 하며 영상 이어보고 있습니다..
    너무 멋지십니다..와~~~~

  • @미소-m8v
    @미소-m8v 2 года назад +4

    이세계농부님의 생각과 농사방식을 지지합니다!
    옥상텃밭용 화분 주문했습니다
    처음이라 미약하게나마 시작해 보려고요
    많은 도움 감사드립니다~~

  • @minjikim1252
    @minjikim1252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머니와의 신경전 너무 공감갑니다. 현대식농법이 전파된 이후..,그 정보와 믿음을 되돌리려면ㅜㅜ
    응원드리며, 귀한 영상 감사합니다.

  • @wendyha8626
    @wendyha8626 2 года назад +10

    영상시청하게 되면서 무슨말씀을 하시려는지 조금씩 알아가고 있습니다. 제 작은 주말농장에도 적용하려고 노력하고 있구요. 지난해부터 시작했는데 벌레가 징그러워 그만두려고 하다가 이세계님 영상보면서 제 고정관념 벌레는 징그럽다등 이 바뀌어가고 있답니다. 단번에 고정관념이 바뀌기는 어려움이 있는 것 같아요. 그래서 영상을 열심히 시청하면서 정확히 전하고자 하시는 팩트를 알아차려 보겠습니다. 유익한정보 감사합니다.

    • @anotherworldfarmer
      @anotherworldfarmer  2 года назад +8

      고정관념은 쉽게 변하지 않아요. 운동을 해서 몸을 변화시키든, 단군신화에서 곰이 인간으로 변하든, 종교적인 신념이 변하든, 변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꽤 걸립니다. 단숨에 변했다는 사람들은 대부분 착각 중이거나 거짓말 하는 겁니다. 그리고 빨리 변하면 요요현상으로 다시 원래대로 돌아 갑니다.
      일단 지금까지 알고 있던 지식과 편견으로 가득찬 컵을 비우는 일부터 하시면 됩니다. 모두 비운 후에 천천히 경험을 늘려가며 채워가면 됩니다. 반드시 이세계농업과 똑같은 걸로 채울 필요는 없어요. 이세계농업은 단지 “이렇게 다른 세계도 있구나”를 알려줌으로서 ‘컵’을 비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만으로 충분할 수 있습니다.

    • @joykang6187
      @joykang6187 2 года назад +1

      @@anotherworldfarmer
      땅을파면 개미가 많아서요.ㅎ 작년부터 시작한 ,조그만 텃밭인데. 개미가 식물뿌리에 집을만들고, 메뚜기도 잎사귀를 엄청갉아먹고, 껍질있는 달팽이도 식물뿌리에 포진하고있고,금벵이도있고. 하여튼엄청 ,곤충들이 많습니다.이세계를 본후에는, 생태계곤충들이 서로 어우러지기를,조바심안내고,
      바라보고있습니다.
      엄청 새로운농법에,신기한 마음으로
      흥미로운,이세계입니다.

  • @EveryBerry
    @EveryBerry 2 года назад +6

    영상 끝까지 잘 보았습니다. 저도 나름의 자연에 대한 신념을 가지고 뒷마당 텃밭을 돌보며 땅살리는 일에 관심이 많은데 오늘 많은것을 배웠네요. 특히 벌레의 세계… 진딧물없이는 농사를 할수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도 뭔가 주변 가드닝하는 분들을 계몽해보기위해 영상을 만들어보는데 이런내용을 이렇게 조목조목 근거를 제시하면 만든다는게 보통일이 아닌데 정말 대단하신것 같아요 계속 많은것 배워보겠습니다

  • @passilee5301
    @passilee5301 2 года назад +11

    생태계는 자연 그 자체입니다. 생태계는 주변 환경이 가장 자연스러울 때 가장 건강할텐데, 마치 당연한 사실들이 새롭고 반전이 있는 내용처럼 기사로 나오고 있다는 것이 조금 웃기네요. 그래도 그런 "당연한" 지식들이 사람들의 이목을 끌어서 주변 환경이 더욱 건강해지면 좋겠습니다. 그 선두에 이세계농부님이 계신 것 같네요😀

  • @idontcare9743
    @idontcare9743 2 года назад +7

    항상 느끼는 거지만 이세계농부님 유머코드가 참 재밌어요.
    지빠구리가 파종을 하고 다니고 식물들이 입소문을 내고...ㅎㅎㅎㅎ
    이러다 저도 식물들과 대화를 하게 되는건 아닌지 ㅎㅎㅎㅎ
    이 분 영상을 보다 보면 자꾸 하나씩 울집 베란다 식물. 동물 가족이 늘어나게 되어서 안보려고 하는데 구글 알고리즘 때문에 또 보네요.
    역시나 제 마음이 들썩거리는걸보면 조만간 또 뭔가 입양할듯 ㅋ

  • @산너머서촌
    @산너머서촌 2 года назад +3

    이세계농업을
    그대로 따라해보려 합니다^^
    고맙습니다 ~

  • @오영애-v9h
    @오영애-v9h 2 года назад +2

    👍 와우 👍 ~~감사합니다 .많이 도움 되었습니다.~!!

  • @도토리-o1v
    @도토리-o1v Год назад

    격앙되신 목소리에서 안타까움이 드러납니다. 농부님의 생각에 깊이 공감합니다!

  • @김영자-n3r
    @김영자-n3r 2 года назад +8

    이번 영상도 정말 유익하고 ,감사히 잘 봤습니다.

  • @박흙바람
    @박흙바람 2 года назад +3

    이세계농부님 영상을 보고 올해부터 풀을 텃밭에서 키우고 있습니다 유효토심이 아직은 안만들어져서 고추가 잘 자라지는 않지만 계속해서 풀을 키우며 텃밭 농사를 짓겠습니다

  • @serom-kim
    @serom-kim 2 года назад +3

    무친 떳다 즐겁게보겠습니다

  • @꺼먼-b5y
    @꺼먼-b5y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2번째 공부합니다. 천재농부님 감사합니다. 웨딩상자 만들기 시작 합니다. 100평에 3상자 만들려 합니다.!^^❤

  • @김혜숙-n7j
    @김혜숙-n7j 2 года назад +4

    전 완전 동감 해요~~^^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계셔서 부럽구요 ~
    전 올해 처음 농사지은 완전 초보라 우왕좌왕 정신이 하나도 없거든요
    열심히 배워서 따라 할 수 있는 건 따라 해 볼 거예요

  • @자연과함께-c2g
    @자연과함께-c2g Год назад

    정말 영상 감사합니다.
    눈이 뜨이고 정신이 번쩍 듭니다.

  • @wiz19731231
    @wiz19731231 2 года назад +3

    정말 진심으로 영상보고 많은 공부했습니다.

  • @hornglass
    @hornglass 2 года назад +4

    이세계농부님! 토양미생물 고용관계 내용이 너무 재밌습니다! 감사합니다~!

  • @감사-v6k
    @감사-v6k 2 года назад +5

    오 감사해요

  • @은주이-t2i
    @은주이-t2i 2 года назад +2

    매번 영상 감사합니다^^

  • @bams5048
    @bams5048 2 года назад +8

    덕분에 옥상화단을 아이들과 만드고 있습니다.
    기존에어포트를 연결해 3미터 화단과 앵글로 만들고
    근처에서 풀과 나무가지를 구해 펄라이트5센티 풀나뭇가지 피트모스
    를 순서대로 2번해서 흉내내고 있습니다.
    애들과 같이 한다는게 큰 의미가 있는것 같습니다.

    • @anotherworldfarmer
      @anotherworldfarmer  2 года назад +8

      의미가 크죠. 다음 세대는 예전 조상들처럼 자연스러운게 정상이라는 패러다임을 가졌으면 좋겠네요.
      우리 어머니세대처럼 자연과 싸우고 자연을 파괴하며 자연을 지배하려 하며 바벨탑을 만들어 가는 것이 정상이라는 패러다임을 배우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물론 필요에 따라서 가끔씩 자연을 파괴할 수도 있겠지만, 적어도 자연과 공존하는 것이 정상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으면 좋겠네요.

  • @ILovemycHIKen
    @ILovemycHIKen 2 года назад +2

    fast fashion industry가 문제입니다. 오늘도 많이 배우고 가욤

  • @당대제일-n3i
    @당대제일-n3i Год назад

    영상 감사합니다 ^^ 10만 구독자 기원합니다 ^^

  • @고양이는귀여워-v5z
    @고양이는귀여워-v5z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식초같은 물질도 토양을 파괴하는군요. 많은 깨달음을 느낄 수 있는 곳이네요. 잘 보고갑니다~

  • @하느hanh
    @하느hanh 2 года назад +2

    다양성과 균형.

  • @garimsong1699
    @garimsong1699 2 года назад +3

    이세계농부님 영상에서 항상 동기부여 받고 갑니다. 조금씩조금씩 따라갈게요!

  • @Forest-n7z
    @Forest-n7z 2 года назад +2

    우연히 봤는데 이런 신기한 동물들이~
    잘보고 갑니다

  • @ttotb1
    @ttotb1 Год назад +2

    캄보디아에 있습니다. 사회적 기업으로서 소농들을 위한 고민을 하고 있는데, 지난 주 이세계농부를 처음 알게 되어 성경처럼 열심히 보고 있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한가지, 위에 올려주신 USDA 링크들이 사라졌네요. 인터넷 검색을 하면 다른 곳에서 해당 PDF파일을 찾을 수 있기는 합니다. 참고하십시오~!! ^^

    • @anotherworldfarmer
      @anotherworldfarmer  Год назад +3

      알려줘서 고마워요. 근데 그 정도로 알고 싶은 분들은 ttotb1님처럼 스스로 찾아내시더군요.
      캄보디아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시는지 모르겠지만, 이세계농업이 캄보디아에서 소농들을 위한 적정기술로 쓰인다면 좋겠네요. 이세계농업을 보면서 영감을 얻으시고 자연의 이치를 깨닫고, 필요한 곳이 잘 응용하고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 @정동훈-y1b
    @정동훈-y1b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 @jeehongjeong815
    @jeehongjeong815 2 года назад +6

    지지합니다 :)

  • @시리우스g
    @시리우스g 2 года назад +6

    요즘엔 학계에서도 무경운 / 토양피복 / 생물의 다양화 가 개인 텃밭수준이 아니라 대규모 농업에서도 오히려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내용이 많이 밝혀지고 있죠.
    그런 정보들을 모아서 USDA에서 해당 자료를 만든 것으로 보여집니다.
    위와 반대되는 경운 / 토양 깔끔하게 정리하기 / 농약살포가 역사상 처음에는 효과가 좋았을 겁니다.
    땅위에 뿌린 비료와 함께 땅을 뒤엎어버리거나,
    수확으로 얻은 모든 산물(과실+심지어 줄기와 잎까지) 모두 외부로 옮겨 환전하는 것
    농약으로 작물외 모두를 죽이는 것 이
    처음에는 생산성을 크게 높히는데 기여했을 것이고, 이게 경험으로 굳어진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걸 지속하다보니
    땅을 엎으면 토양의 이화학성이 악화되고,
    토양의 유기물의 감소는 이걸 더 악화시키며,
    농약으로 인해 줄어든 생물 다양성은 더 막강한 해충을 유인했고, 최근에 와서 지금까지 우리가 했던 것이 잘못되었고, 과학적으로 옳은 방법은 이 방법이다! 라고 결론이 났습니다.
    하지만, 이 것을 이해하려면
    기존 관행이 틀렸다는 걸 받아들이거나, 이론적으로 이게 왜 맞는지 알아야합니다.
    기존 관행이 틀렸다는 걸 기존 농업종사자에게 납득시키기는 쉽지 않습니다. 오히려 관련 경험이 없는 대중에게 말하는 것이 더 쉬운 것 같습니다.
    이런 점에서 이세계농부님은 유튜브로 대중에게 이를 알리고, 영상내용을 보면 대체로 이런 방법이 왜 좋은지 원리를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아주 좋다고 생각합니다.
    언제나 영상감사합니다. 잘 보고 있습니다.

  • @이임춘-g8v
    @이임춘-g8v 2 года назад +6

    사과밭에 캔터키 블루 그라스 씨앗을 뿌려봐야겠습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조금씩 따라해보고 있습니다. 많은 도움이됩니다

    • @anotherworldfarmer
      @anotherworldfarmer  2 года назад +6

      어차피 지금은 너무 늦었어요. 한지형 잔디라 여름에 뿌리면 발아율도 생존률도 떨어집니다. 다음 주에 켄블그 3부를 마저 보시고 이번 가을에 뿌리는게 좋을 거에요.

    • @이임춘-g8v
      @이임춘-g8v 2 года назад +3

      @@anotherworldfarmer 넵! 계속 공부하겠습니다...

  • @파란나라-p2n
    @파란나라-p2n 2 года назад +7

    매번 크게 공감하며 또 배우고있습니다 빠지지않고 긍정하는 어머님과의 일화들도 제 이야기처럼 느껴지고요 깊은탄식과 안타까움이 묻어나서 말하지 않는데 제 귀에는 들리네요
    ㅜㅜ
    참 사과나무는 어떤 종을 추천하실까요
    품종이 몇개 되던데요
    저도 사과나무 심어보렵니다
    구독 돌아오는 사랑!

    • @0019-i8p
      @0019-i8p 2 года назад +1

      요즘은 관상용으로 키작은 사과나무를 심죠,,,그것도 다년간 오래 키우면 키가 커지긴 하지만, 일반 과수보다는 키가 작으니까

    • @anotherworldfarmer
      @anotherworldfarmer  2 года назад +5

      알프스 오토매 추천합니다. 작은 사과나무가 관리하기도 편하고, 여러 장점이 있더군요. 요즘은 키가 작은 왜성종 유실수들이 인기를 끌고 있는데, 개인적으로 그런 나무들을 좋아해요. 주말농장에 호두나무도 키우고 있는데, 10년 이상 5층짜리 건물 크기로 키워야 결실이 가능하던 호드인데, 3년 정도 내 키보다 작은 때부터 결실이 생기니까 작은 밭에 여러 과실을 키우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인기가 있을 수 밖에 없죠. 참고로 올해 옥상 텃밭에는 루비에스 두 그루를 추가로 심었습니다. 하지만 알프스 오토메를 먼저 심기를 추천합니다. 두 그루 이상 심으실 거면 루비에스도 함께 심는 것을 추천하고요.
      m.100bs.kr/goods/goods_view.php?goodsNo=1000000238&mtn=8%5E%7C%5E지금이제철%5E%7C%5En

  • @은하-n5y
    @은하-n5y 2 года назад +2

    누님께 선생님의 농사 방식을 이해하는 농부도 있다고 전해 주세요

  • @미영추-e6x
    @미영추-e6x 2 года назад +1

    ㅎㅎ 어마님은 고집이 쎄요

  • @hyeyounglee7299
    @hyeyounglee7299 2 года назад +2

    저는 이세계농부님을 지지합니다!! 100퍼!!

  • @seungeunyang6967
    @seungeunyang6967 2 года назад +7

    저도 이세계농부님처럼 땅을 만들고싶은데 건축허가를 받고 작은 건물올리고 시작하려하니 기초터파고 콘크리트 타설하고 땅을 뒤집어놔서 토양생태계가 엉망이되었을꺼같네요ㅜㅜ 얼른 공사 마무리되면 땅 살리는거부터 해야겠어요^^ 아직 완공은 좀 더 걸릴텐데 파괴되어갈 토양생태계를 생각하니 맘이 조급해지네요
    그래도 완공 후 이세계농부님 따라 멋진 생태계를 만들 생각에 두근거립니다 연못이나 작은 논도 만들고싶었는데 부직포는 안쓰고 방수포만 써야겠네요^^;; 매번 많이 배웁니다
    주말아침부터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anotherworldfarmer
      @anotherworldfarmer  2 года назад +4

      연못이나 논을 만들면 최고죠. 근데 많이 어렵더라도 방수포도 없이 만들어야 토양과 완전히 결합하며 100% 제 기능을 할 수가 있어요. 시간이 더 걸리고 더 힘들더라도 부직포나 방수포 없이 혹은 처음엔 방수포를 사용하지만 몇 년 후에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설계해서 100% 자연 연못을 만드는 것이 길게 보면 훨씬 더 좋을 겁니다.

    • @seungeunyang6967
      @seungeunyang6967 2 года назад +2

      @@anotherworldfarmer
      예전 블루베리 상자텃밭영상중에 나온 연못만들기처럼 바닥은 말고 외벽만 방수포를 두르다가 제거해야할까요? 바닥에 물빠짐을 막을 방법을 강구해봐야겠네요^^ 혹시 팁이 있으시면 나중에 영상으로 한번 ^^;;;; 답글 감사합니다

    • @감사-v6k
      @감사-v6k 2 года назад

      .

    • @0019-i8p
      @0019-i8p 2 года назад +1

      @@seungeunyang6967 / 바닥은 원하는 깊이보다 30~50cm는 더파서,, 풍납토성+담틀집 만들때, 흙을 쌓으며 다져서 만든 것처럼,, 입자가 가는흙으로 조금씩 쌓으며 다져주면되요,,땅파서 물이 나온다면 그곳을 수원지로해서 관을 넣은후 복개하고, 더 낮은곳에 연못을 만들어야 겟죠,,,연못 만들때는 물 나오면 더 좋으니

    • @파니핑크-k1y
      @파니핑크-k1y 2 года назад +2

      왠만한 목조주택(경량 철골조도 마찬가지) 정도는 콘크리트 타설없이 기둥만 박아서 지을 수 있는데, 우리나라 건축은 기초가 너무 너무 아주 많이! 과합니다.
      터 파고 콘크리트를 어마어마하게 퍼붓죠. ㅠㅠ
      저두 밭에다 이동식 주택이나 캠핑 트레일러 놓을 생각입니다.^^

  • @소소-f9h
    @소소-f9h 2 года назад +4

    갈길이 머네요 초보농부라 사과나무라도 몇그루 더 심어야 겠네요 ^^ 이세계농부지지하고있는 일인입니다 감사합니다

  • @김명숙-v6g6c
    @김명숙-v6g6c 2 года назад +1

    진딧물 곰보배추에
    엄청 생겨요 울집 밭에는...

  • @aftermars1
    @aftermars1 2 года назад +7

    아피오스는 호박이랑 같이 심어도 함께 잘 자라서 애정이 많이 가더라구요. 잎 크기가 달라서 햇빛 경쟁이 덜한거같기도 해요. 그런데 아피오스를 수확할때 깊게 뻗은 뿌리를 캘때 객토를 하게 되는데 특히 연작을 하게 되면 토양에 안 좋은 영향을 주게 될까요? 식물을 뽑으면 떼알구조가 망가지니까요. 또 블랙베리와 같은 산딸기류는 진딧물이 좋아하는지 궁금합니다. 관찰하신 결과 사과와 비할 바는 못 되나요?

    • @anotherworldfarmer
      @anotherworldfarmer  2 года назад +6

      아피오스(인디언감자)는 옥상텃밭 텃밭상자 중에 유실수가 있는 텃밭상자에는 반드시 키우고 있는데, 수확을 안 하고 있어요. 봄에 올라오는 싹들은 물 줄 때마다 뽑아버려요. 그러다보면 몇 개가 적당히 살아남아서 대를 이어가는 거죠. 그리고 수확 안 한 아피오스는 그렇게 비료역할을 하며 사라지죠. 그리고 아피오스는 연작을 해도 콩과 식물이고 뿌리가 방사형으로 넓게 뻗어나가서 질소 고정을 하기 때문인지 딱히 연작피해는 없어요. 오히려 토양을 윤택하고 건강하게 만들어주더군요.
      가끔씩 극소량을 수확하기도 하는데 가을이나 겨울이 아니라 봄에 수확하고, 토양을 모두 파헤치고 수확하는 것이 아니라 토양속에 손만 집어넣고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수확을 해서 큰 문제가 없어요. 현재 옥상텃밭이 있는 텃밭상자는 토양이 매우 부드럽고 수 많은 동물과 뿌리와 미생물이 존재하기 때문에 아피오스를 수확하기 위해서 굳이 토양을 모두 파헤칠 필요도 없고, 아피오스를 수확하면서 발생한 손상은 금방 회복 됩니다.
      신딸기는 토양을 좋게 유지시켜주고 모든 식물들과 궁합이 좋아서 가시만 없다면 모든 장소에 심고 싶은 식물이지만 진딧물이 특별히 좋아하는 거 같지는 않아요. 아직까지 진딧물이 발생하는 걸 본 적은 없어요.

    • @aftermars1
      @aftermars1 2 года назад +3

      @@anotherworldfarmer 친절하게 자세하게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영상도 기다리겠습니다

  • @김현숙-v5c8p
    @김현숙-v5c8p 2 года назад +1

    오직 유기농으로 하고 풀멀칭후 저희 밭에도 사마귀 메뚜기 ? 여치인가요? 그리고 거미 지렁이 만달팽이 등이 살고 있어요

  • @이상희-n5c
    @이상희-n5c 2 года назад +6

    이세계 농부님~ 영상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작물을 심는 땅이 돌이 너무 많아 유기물 틀밭을 만들기 위해 준비하고 있습니다. 풀을 키워 멀칭하려 하는데 밭에 풀의 거의 대부분이 쑥입니다 풀을 뽑지 않으려 하는데도 쑥이 너무 많아 다른 종류의 풀을 위해 뿌리체 뽑아내는게 좋은지요 아니면 쑥을 놔두고 다른 풀을 더 키우는게 좋은지요

    • @anotherworldfarmer
      @anotherworldfarmer  2 года назад +5

      쑥 보다는 다른 풀이 좋죠. 하지만 현재 쑥 밖에 없다면 쑥이라도 있는 게 이롭죠.
      만약 쑥 대신에 다른 현재 풀을 곧장 키울 수 있다면 쑥을 뽑아버리는게 좋고, 현재 다른 풀을 키울 방법이 없고 오직 쑥만이 존재한다면 쑥이라도 키우는 게 이롭겠죠.
      사실 풀의 종류에 대해서는 유튜브에서 댓글로 짧게 대화하며 권하지 않는 것이 좋아요. 본인이 원하는 농사의 발전 방향에 맞게 알맞은 풀을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 @갱갱의목록
    @갱갱의목록 2 года назад +3

    안녕하세요. 저도 도시 농부 첫발을 내딛어 보려고 하는데요. 이세계농부님 텃밭상자를 도전해보고 싶어서요. 베란다텃밭에 만드는 법이 있던데, 베란다텃밭은 배수구(?)가 없어서요. 제가 놓친건지... 혹시 옥상용 텃밭 상자 만드는 방법에 대한 영상이 따로 있을까요? 계속 찾아보다가 댓글 달아봅니다.

  • @피터라바로
    @피터라바로 2 года назад +2

    방송 너무너무 잘보고 있습니다. 저도 이세계농부님처럼 지금 밭에 아무것도 안주고 유기물만 주고있는데 선녀벌래가 온밭을 뒤덥고 있어요 어떻게하면 좋을까요

    • @anotherworldfarmer
      @anotherworldfarmer  2 года назад +1

      신기한 일이네요.
      방송을 잘 보고 계신데, 왜 여러 영상에서 여러 번 강조해서 설명한 내용을 모르고 있으신 걸까요?
      신기한 일이네요. 이번 영상에서도 여러 번 강조해서 언급했는데 어떻게 모를 수가 있는 걸까요?
      충격적으로 놀라운 일이네요. “방송 너무너무 잘보고 있습니다.”라고 하셨는데 맞는 건가요? 같은 인간으로서 너무 충격적이네요.
      선녀벌레가 온 밭을 덮고 있다면, 이미 그곳은 곤충 생태계가 완전 파괴됐다는 증거에요. 인간으로 치면 예전부터 암에 걸려서 현재 말기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거죠.
      치료방법은 여러 영상에서 여러 번 강조했듯이, 사과나무를 반드시 심고 무궁화, 장마 등을 추가로 심은 후 1년 정도 지나서 나무들의 부피가 충분히 커지면 진딧물이 충분히 번식할 것이고, 그러면 1년 안에 무당벌레가 복원 될 거에요. 그헌 상태에서 1년이 지나서 진딧물 번식용 나무들의 부피가 더 커지고 여러 곤충들이 모여들기 시작하면 사마귀와 파리매가 복원 될 거에요. 그 상태에서 1~3년 정도 지나면 곤충 생태계가 어느정도 균형이 잡힐 것이고 그러면 미국선녀벌렌나 노린재나 그 밖의 어떠한 채식 곤충들도 폭발적으로 번식하지 못하게 되죠.
      즉 지금 당장 곤충 생태계 복원을 시작하고 3 ~ 7년 정도가 지나면 그 후로 특정 채식 곤충으로인한 대규모 피해는 99%의 확률로 벌어지지 않아요.
      토양 생태계만 복원하면 큰 재앙이 됩니다. 토양과 곤충 생태계는 함께 복원시켜야 해요. 어차피 살충제를 뿌려서 곤충들을 죽일 것이면 굳이 토양 생태계를 복원할 이유를 모르겠네요 - 매우 비효율적이에요.

  • @생존자-p7o
    @생존자-p7o 2 года назад +2

    진딧물도 큰 역할을 하네요
    신기한 세상입니다
    민달팽이는 징그러워서
    보이는대로 잡았는데 이제
    놔둬야될까요?
    며느리배꼽도 뽑고 싶었는데
    안 뽑길 잘한것 같아요^^

  • @idontcare9743
    @idontcare9743 2 года назад +1

    사마귀가 텃밭 치안을 담당...ㅎㅎㅎㅎ

  • @김영파인-v1i
    @김영파인-v1i 4 месяца назад

    궁금합니다.
    풀 종류중 덩쿨형 풀 (예시, 칡넝쿨, 가스넝쿨 등)이 자라면 너무 엉망이 되는데 넝쿨형 풀들은 베고 그 외의 풀들로 만들어도 되겠지요?
    선생님 의견은 어떠신지요?

  • @이경섭-j8c
    @이경섭-j8c Год назад

    논 790평을 흙 매립 없이 밭으로 사용하고 있읍니다. 처음에는 제초메트를 전체 다 덮고 호두, 고추를 심어는데 . 이건 아니다 싶어 전부 다 치워버리고 플과 씨름하고 있어요
    여러 해 동안 계속해서 아니다 싶으면 다시 새로운 방식으로 시도 하지만, 갈 길을 잘 모르겠어요.
    이세계 농업을 알겠되어 열심히 시청하고 있고. 미국농무부 싸이트에도 가 보고 하지만, 올 가을 추수가 끝나면 전부 평지화해서 켄터키 블루그라스 종자를 심으려하는데 주위해야 할 점은 어떤것인지요?

  • @목슈형
    @목슈형 2 года назад +1

    쉬운것 같으면서 실천이 않되는게 자연농 입니다 빨리빨리 소득을 얻어야 하기 때문에

    • @anotherworldfarmer
      @anotherworldfarmer  2 года назад +2

      예. 맞아요. 당장 입에 풀칠도 하기 힘들거나, 당장 돈을 벌어서 자식들 등록금을 내야 하거나, 당장 임대료를 내야하거나, 빚을 많이 지고 있는 분들은 관행농업이든 화전농업이든 당장 돈이 되는 일을 해야하겠죠. 이 채널은 그런 분들을 위한 채널이 아니라 여유가 있는 분들을 위한 영상을 만들어서 방송하는 채널이에요. 여유가 있다면 관행농지에 3년에서 5년 정도 녹비식물을 키운 후에 농사를 시작하거나, 필요한 유기물을 가져다 충분히 쌓아놓고 곧장 농사를 할 수는 있지만 3년차부처 드라마틱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농사를 권하는 채널이에요.

  • @happylife3770
    @happylife3770 2 года назад +1

    캔블그가 거기에서는 8월 더운날 죽지 않고 버팁니까? 일반적인 잔디밭에서는 너무 더워 죽더군요

  • @youngsickjang3936
    @youngsickjang3936 2 года назад +1

    제 실정에 맞게 몇가지 생각해봤는데.
    벌레들이 당장에 나무를 다 죽일것같아서요 ..유황성분.은행잎(살충).성분은 각각 어떤가요? 토양에요?

  • @옥주-v6k
    @옥주-v6k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쌀뜰물 조더 되나요

  • @문귀희-v5e
    @문귀희-v5e 2 года назад +1

    유기물위에 흙을 덮어주면 공벌레등 미생물이 죽지 않나요? 제가 그렇게 했는데 실수햇나요?

  • @장태규-q8j
    @장태규-q8j 2 года назад +3

    이세계 농법 패러다임을 전수해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동영상을 여러번 보고 요즘은 주로 댓글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이세계농법에서 배양토로 코코피트를 주로 사용하시고 가끔 피트모스가 등장합니다.
    코코피트는 천천히 분해 된다고 하셨는데 피트모스는 분해가 안돼나요?
    같이 텃밭하시는 분은 블루베리 재배 하면서 피트모스를 사용하는데 코코피트에 블루베리 식재해도 되는지요?
    이두가지 배양토의 특성과 장단점을 잘몰라서 네이버를 뒤져봐도 알수 없어서 질문드립니다.

    • @anotherworldfarmer
      @anotherworldfarmer  2 года назад +3

      피트모스는 많이 사용하지 않고 있는데, 이미 수 백년 수천년의 시간이 흐르면서 변형되어 있는 상태에서 우리나라로 수입되는 것은 모두 갈려서 미세하게 부숴져있기 때문에 솔직히 더이상 분해가 되는지 안 되는지 관찰이 잘 안 됩니다. 지렁이가 의도적이진 않지만 다른 유기물과 함께 흡입은 하는데 소화를 시키는 것인지 아닌지는 명확히 알 수가 없습니다. 예를 들면 지렁이가 황토를 먹어도 황토를 배출할 뿐이지 황토를 분해해서 어떤 다른 물질로 분해시키지는 못하는데, 그것과 마찬가지인 걸로 느껴집니다. 하지만 관심을 가지고 직접 실험해 본 적은 없어요.
      아무래도 매우 한정된 자원이고 자연 생태계를 완전히 파괴하면서 채취해야 하는 재료라서, 사실 사용을 하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중이죠. 그리고 우리나라에 수입되는 피트모스는 이유를 모르겠지만 모두 잘게 분쇄되어 있어서 별로 좋은 기능을 하지 못하죠.
      그래서 피트모스 보다는 코코피트에 더 집중하는 편입니다. 사실 코코피트를 테스트하기에도 벅차죠. 블루베리의 경우 현재까지 코코피트와 피트모스 그리고 낙엽 등을 혼합시킨 배합토에서는 키워봤는데, 코코피트만 사용한 토양에서는 올해 처음 시도 중에 있어요. 그래서 아직은 코코피트만 사용해서 블루베리를 키워도 되는지 답을 해 줄 수는 없네요. 아직까지는 잘 자라고 있지만 최소 2 ~ 3년은 더 키우면서 테스트해봐야 과연 수확량과 성장속도에 장애가 없는지 감이라도 잡힐 거에요.
      도움이 안 돼서 아쉽네요.

    • @장태규-q8j
      @장태규-q8j 2 года назад

      @@anotherworldfarmer 자연생태계 보전차원에서라도 피트모스는 사용을 안하는게 바람직하네요 감사합니다

  • @smallfarmers4375
    @smallfarmers4375 2 года назад +1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켄블그 품종은 어떤 것을 쓰시는지 궁금합니다

  • @jjxb0416
    @jjxb0416 2 года назад +2

    많은 분야에서 자본주와 돈의 논리, 정치적 이해관계, 기득권의 욕심, 대중의 무지 같은 이유들로 '올바른 진실' 이 감춰져 있음을 목격하게 되는데,, 농업 분야에도 이런 진실이 숨겨져(?) 있었군요,, 깨달음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왜 another world Farmer 라고 이름 지으셨는지 알겠어요. 영상속에 공벌레와 톡토기 달팽이 지렁이가 함께 모여있는 장면은 정말로 농업의 신세계를 보는것 같았습니다. ㅎㅎ 저도 내년 봄부터 텃밭을 시작해보려고 하는데 앞으로도 많은 가르침 얻도록 하겠습니다. 이세계농부 님의 농업철학이 널리펴져서 대한민국 농업과 자연환경에 큰 변화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응원합니다.
    참고로 영상속에 언급하신 미국 농무부의 "UNLOCK THE SECRETS IN THE SOIL" PDF 파일 다운로드는 주소가 바뀌었는지 링크가 사라졌더군요,,
    유튜브 검색하다가 관련내용을 영상으로 교육하는 링크 찾아서 공유합니다. 이세계농업 화이팅 입니다!
    ruclips.net/video/2JZJB4zM3Y4/видео.html

    • @anotherworldfarmer
      @anotherworldfarmer  2 года назад +1

      그러네요. 링크가 사라졌네요. 카페에 올려서 링크를 수정해야겠네요. 알려줘서 고마워요.

  • @serom-kim
    @serom-kim 2 года назад +1

    진딧물을 키우려면 유실수밖에는 없나요? 다른방법이있는지궁금합니다

  • @garimsong1699
    @garimsong1699 2 года назад +1

    마당에 잔디밭이 있는데, 켄블그 와 같은 잔디이지만 역할은 다르겠죠?
    걷어내고 다른 식물(켄블그나 토끼풀)로 피복하는게 좋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맞을까요?

  • @그냥그냥-g6e
    @그냥그냥-g6e 2 года назад

    저요저요!!! 지지합니다

  • @김수찬의홈스쿨생-h5l
    @김수찬의홈스쿨생-h5l 2 года назад +1

    안녕하세요.저두 이세계 유튜브 보고 하나씩 실천하고 있습니다.
    넓은 텃밭이다보니 요즘 선녀벌레들의 유충이 하얗게 뒤덥고 가지의 액을 빨아먹고 있습니다.
    그 주변으로 거미들이 진을 치고 있지만 역부족인거 같습니다.
    천연살충제를 써야 할까 고민중입니다.
    혹 의견이 있으시면 답 부탁드립니다.
    주변에서 약을 치니 더 우리 텃밭으로 몰리는 거 같습니다.

  • @user-cl6tn8de5r
    @user-cl6tn8de5r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마귀가 사람을 안 무나 보네요 . 어머니랑 문제가 심각하시군요 웃을일이 아니네요 😢

  • @oksookham2880
    @oksookham2880 2 года назад +1

    3개월된 인분은 어떤가요

  • @MJ-nk4ro
    @MJ-nk4ro Год назад

    겨울에 비닐씌우기는 하지 않으시나요?

  • @오미숙-w2k
    @오미숙-w2k 2 года назад +5

    넷플릭스 다큐 '대지에 입맞춤을(kiss the ground)'을 함께 보는 건 어떠실까요!~~
    눈으로 보는 게 조금 더 나을 때가 있더라고요^^
    항상 기다려지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순식간에 봐버렸네요

    • @anotherworldfarmer
      @anotherworldfarmer  2 года назад +4

      줄거리만 봐도 무슨 말을 하려는지 알겠네요. 이세계농업에 관심있으신 분들은 꼭 보는게 좋겠네요.
      www.netflix.com/kr/title/81321999
      www.vegannews.co.kr/mobile/article.html?no=11572
      주변을 둘러보면 너무 뻔하게 관찰되는 자연의 이치인데 왜 시각장애인들처럼 보지도 못하고, 주변에서 같은 소리를 외치는 사람들이 많이 있는데 왜 청각장애인들처럼 듣지를 못하는 지 답답해 죽겠어요. 그런 맹인들이 또 다른 맹인들을 인도하고 있고 자꾸 나보고 제대로 된 길을 가지 않고 있다고 비하하고 조롱하는데 보통 사람이라면 이미 미쳐버렸을 거 같네요.
      참고로 관행농업을 하는 것이 잘못됐다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그게 정답이고 옳은 것이고 정상인 것은 아니라는 걸 사람들이 알았으면 좋겠네요. 누군가 관행농업으로 자연을 파괴하면 누군가는 이세계농업으로 자연을 복구하는 것이 좋다는 말을 하고 싶은 것 뿐입니다. 파괴를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파괴를 하면 복구를 하는 사람도 있어야 한다는 거죠. 근데 파괴하는 사람들이 자꾸 자신들이 정답이고 진리고 선이니 복구하지 말고 자신들을 따라서 파고만하라고 강요를 하니까 화가나는 겁니다. 자연을 복구하는 행위는 멍청한 짓이고 나쁜 일이며 남에게 피해를 주고 주변환경을 망치니까 하지 말고, 자신들을 따라서 자연을 어서 파괴하고 모든 개체를 없애버리지고 하니까 그런 사람들을 멍청하게 보게되고 자꾸 화가 나는 겁니다.

    • @오미숙-w2k
      @오미숙-w2k 2 года назад +2

      @@anotherworldfarmer
      네~ 제 주변에는 이세계 농업을 이해하시거나, 하고 계신 분들이 많아서 사람에게서 오는 답답함은 많지 않습니다
      다만 외국에서는 분쇄한 우드칩을 원하는 사람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곳도 있는데(우리나라도 있기는 하더라고요),
      우드칩을 원가에 공급하는 업체가 업무협약을 맺어 이 세계 농업을 지지하겠다는데 지자체는 관심이 없네요
      하하~

    • @anotherworldfarmer
      @anotherworldfarmer  2 года назад +2

      우리나라에서는 관행농업이 주류니까요. 유기물로 만든 멀칭 재료는 일반적으로 사용을 안 하죠. 유기농업에서도 유기물로 멀칭하는 것을 싫어하고 검정비닐을 사용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거 같아요. 토양에 벌레 생긴다고 유기물 멀칭을 싫어하고, 오히려 토양에 토양 살충제를 뿌리는 게 주류 농사방식이니까요.
      몇 년 동안 우드칩을 싸게 구할 수 있나 알아보다가, 그냥 나무가지 파쇄기를 구입했죠.

    • @lanigram
      @lanigram Год назад

      사과나무 심고싶어서 알아보는데 어머니께서 올해는 방향이 안되는 방향이라며(미신같은걸 믿으셔서) 나무는 내년에 심으라고 하시네요. 제땅이 아니라 기다려보려구요. 매번 많은 배움이 되고 있습니다.

  • @joykang6187
    @joykang6187 2 года назад +1

    개미가 많은 밭은 어찌해야 될까요

    • @anotherworldfarmer
      @anotherworldfarmer  2 года назад +6

      이렇게 답을 해 볼게요. 개미가 없으면 문제가 생깁니다. 개미는 생태계에서 중요한 일을 담당합니다.
      예를 들어 개미가 없으면 진딧물을 가축처럼 돌보며 대량 사육해 줄 일꾼이 없게 됩니다 - 인간으로 치면 닭을 키워주는 양계산업 종사자들이 모두 사라지는 격이죠.
      진딧물이 대량 사육되지 않으면 육식곤충들의 먹이가 부족하게 되고 결국 육식곤충의 숫자가 줄어들게 됩니다. 그러면 노린재나 진드기나 선녀벌레 등 다른 인간에게 피해가 되는 곤충들이 대량 번식하게 되고 결국 인간에게 큰 재앙이 될 수 있는 거죠.
      결론으로 말하자면 적당한 숫자의 개미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하지만 개미가 너무 많은 밭은 뭔가 잘못된 겁니다. 1. 아마 곤충 생태계가 완전히 박살났고 개미만 살 수 있는 환경이거나, 2. 개미를 잡아먹는 육식곤충이 멸종했고 개미와 먹이 경쟁을 하는 곤충이 모두 멸종한 상황이거나, 3. 모든 것이 정상이지만 강조이님의 자연을 바라보는 눈에 색안경이 씌워져있어서 개미들의 존재가 비정상적으로 보이는 경우일 수 있습니다.
      즉 내가 내 눈으로 직접 조이님의 밭을 관찰해보기 전에는 내가 아무 것도 알 수가 없고, 그래서 어찌해야 될지 조이님께 말해 줄 방법이 없습니다. 만약 내가 본 적도 없는 조이님의 밭을 (조이님의 14개의 문자로 이루워진 글을 읽고 맘대로 대충 상상해서) 어떻게 해야한다고 말해준다면 그게 오히려 조이님께 큰 재앙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