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can we make electricity with light?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91

  • @앙말릭
    @앙말릭 6 лет назад +134

    와 세상에
    3년전에 대구의 모 고등학교에 다니면서 2학년때 선생님한테 물리를 배웠던 한 학생입니다. 이렇게 유튜브로 다시 만나게 돼 너무 반갑고 신기하네요
    고등학교 물리가 어려워서 힘들어하던때 학생들 포기하지 않도록 쉬는시간까지 질문 받아가며 정말 열심히 가르쳐주시던 기억이 나네요. 지금 이렇게 좋은 일 하신다는게 너무나 멋있고 자랑스럽습니다. 역시나 여전히 설명도 기똥차게 잘하시네요. 여전히 친절하시고요.

    • @장민준-n9j
      @장민준-n9j 6 лет назад +4

      고등학교 교사였군요 어쩐지

    • @sunjaekaka
      @sunjaekaka 6 лет назад +2

      교생실습 이야기로 알고있어요

    • @snceckie
      @snceckie  6 лет назад +51

      @@sunjaekaka 교생 아니고 진짜 교사였어요 :)

    • @익명-e5p
      @익명-e5p 6 лет назад +24

      임선재 역시 사람은 어설픈 정보로 알려들면 안돼 끄덕

    • @sunjaekaka
      @sunjaekaka 6 лет назад

      @@익명-e5p 어설프게 까불지 마세요.

  • @이원빈-o7k
    @이원빈-o7k 6 лет назад +37

    늘 과학쿠키님 컨텐츠를 잘 보고있는 애청자입니다. 현직 8년차 고등학교 물리교사이기도 하구요.. 쿠키님이 학번 차이는 좀 나지만 대학 후배인거 같은데... ㅋ 늘 좋은 컨텐츠 감사드리며 승승장구하길 바랍니다. 최고 과학유튜버, 과학쿠키 화이팅 !! ㅋ

  • @msway20
    @msway20 3 года назад

    현직 20년차 전자설계 엔지니어입니다
    유용한 동영상 감사합니다 ^^
    초보분들이 개념을 잡는데 아주 유용할듯 보입니다

  • @이리라리라-b9i
    @이리라리라-b9i 5 лет назад +4

    와 진짜 완벽 그 자체 반도체 배우는 공대생인데 진짜 대단하신 것 같아요 어려운걸 이렇게 쉽게 설명하는 거 엄청난 능력이신듯...

  • @doyeonlee7864
    @doyeonlee7864 5 лет назад

    과학쿠키님 정말 감사합니다
    너무 멋있어요 반짝반짝 빛나고 계시네요

  • @이유정-g8y
    @이유정-g8y 3 года назад +1

    와..토론주저인데 너무 막막했거든요 진짜 이해넘 잘가요!! 감사합니다

  • @wns846
    @wns846 6 лет назад +1

    항상 웃으며 자신감있는 모습 보기 좋습니다 !! 항상 파이팅하십쇼 !! :)

  • @일어나-t5s
    @일어나-t5s 2 года назад

    너무 감사합니다 과학쿠키님

  • @김종균-t4d
    @김종균-t4d 6 лет назад +21

    태양광발전을 시작으로 신재생에너지 시리즈도 해주실 수 있나요?ㅎㅎ 신재생에너지의 발전과 종류가 많은데 쿠키님의 설명으로 듣고싶네요ㅋㅋㅋㅋ

  • @말랭피센트
    @말랭피센트 6 лет назад

    구독한 채널중에 1순위로 챙겨보는 채널이에요 영상하나하나다 정말 와..이러면서 보고있어요ㅜㅜ 너무감사합니다 과학이좋아졌어요!!

  • @1050김선진
    @1050김선진 6 лет назад

    예전에 태양 전지에 대해 조사했을 때 그 원리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었는데 이 주제에 대해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권지용-r8t
    @권지용-r8t 5 лет назад

    이분 정말 대단하신거 같아요
    과학고 영재고 대비에도 도움이 되네요..bb
    모든 영상 챙겨 듣도록 하겠습니다!!!

  • @lne9325
    @lne9325 6 лет назад +19

    10:44 플레밍의 왼손 법칙!

  • @영예-r4f
    @영예-r4f 6 лет назад +1

    우앗! 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천리향-f1w
    @천리향-f1w 4 года назад +1

    학교 수업으로 왔지만 너무 자세하고 좋은 내용이네요.ㅇ.ㅇ☆^☆

  • @wakwakwickwick
    @wakwakwickwick 6 лет назад

    어떻게 가능한건지 궁금했는데 좋은 영상 덕분에 궁금증이 완전히 해결 됐네요:) 감사합니다 ~

  • @user-fq5it8xy5r
    @user-fq5it8xy5r 6 лет назад +56

    이분 진짜 크게되셔야 할 분인데 댓, 조회수가 왜 이렇지?

    • @kyukyu90002
      @kyukyu90002 6 лет назад +14

      점점 커가실테니 지켜봐주죠 :)
      언젠간 우리나라 최고 과학 유튜버가 되실분

    • @Duduzzing
      @Duduzzing 6 лет назад +9

      뒷골목 맛집같은 거임

    • @최정우-k9d
      @최정우-k9d 6 лет назад +2

      아닠ㅋㅋ 영상 업로드 되자마자 보니까 댓글 조회수가적지

    • @hwaraji
      @hwaraji 6 лет назад +5

      @@cosmos5959 난 이런 노력충이 너무 싫더라. 요샌 사용자들이 피고용자들보다 굉장히 게으르던데...

    • @serpent977e
      @serpent977e 6 лет назад +3

      일단 머리 쓰는걸 싫어함.
      재밌고 즐겁고 웃긴것만 찾음.
      자기계발을 위해서 지식과 상식을 찾아보는 사람들이 많다면
      구독자수가 지금의 10배는 됬을듯.
      결론은 수요가 적다는 뜻.
      이 정도로 쉽고 보기 편하게 영상편집해서 나오는 영상들이
      인강보다 더 이해가 쉬운데
      한가지 웃긴건 조선사람들은 외모지상주의가 강해서
      그 제작업체도 네임밸류 있어야 하고
      강사도 이쁘고 잘 생기면 시청율 이 더 폭증함.
      결론은 알맹이보다 껍질을 중시하는 성향이 굉장히 강함.

  • @타일러너두
    @타일러너두 4 года назад

    항상 재미있게 보고있슴니다
    볼때마다 느끼지만 머릿발 대박
    풍성 하시내요

  • @Suhan1094
    @Suhan1094 6 лет назад +34

    난 학교물리수업을 이걸로 복습한다 ㅋㅋ
    학교물리수업은 잘 이해가 안되는데 이걸로 보면 이해가 잘됨 ㅋㅋ

    • @샤폰
      @샤폰 5 лет назад +1

      ㅇㅈ

    • @별자림
      @별자림 3 года назад

      저도 진짜 울 학교 물리쌤 수업 못해서..ㅠㅜ 과학쿠키님 영상 보면서 복습..

  • @mcpbum
    @mcpbum 6 лет назад

    좋은 영상 제작에 감사드리고, 응원합니다!

  • @이태현-j1p
    @이태현-j1p 6 лет назад

    쿠키형 영상들 너무 유용하게 보고있어요 항상 감사합니다

  • @DrHune
    @DrHune 6 лет назад +2

    이야... 오늘도 소중한 지식을 얻어갑니다.
    현대에 있어 가장 중요한 과학 중의 하나,
    그런 전문과학이 대중적으로 알려질 수 있는 터널이 있어 정말 기쁩니다

  • @awhub1ah
    @awhub1ah 6 лет назад

    오늘도 유익한 정보 얻어갑니당~

  • @jaemingchoo
    @jaemingchoo 6 лет назад

    저 이거 예전부터 항상 궁금해서 도화주세요에 올렸는데 이제야 보게 되네요!!!!
    아주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다음에도 좋은 정보 부탁드려요~♥

  • @하수민-m5n
    @하수민-m5n 6 лет назад +2

    어제 학교에서 배운내용인데 더더욱 쉽게알려주시는군요!!
    영상재미있어요!

  • @weird-cat
    @weird-cat 6 лет назад +2

    얼마전에 학교에서 배웠던 내용인데!! 여기서 또 들으니 너무 도움이 됬어요 ㅋㅋㅋ

  • @user-cu6kc6fi5i
    @user-cu6kc6fi5i 6 лет назад

    태양전지에 대해 평상시에도 진짜 궁금했는데 쿠키님이 다뤄주시다니!! 이번에 많이 알게됐어요 :D 오늘도 유익한 영상 잘 보고가요!!

  • @hieki_0212
    @hieki_0212 6 лет назад

    궁금증 해결됬네요!! 유용한 영상 잘보고가요!!! 과학쿠키님 파이팅!

  • @하면된다꾸준함
    @하면된다꾸준함 3 года назад

    대단히십니다! 정말 최고세요aa

  • @정윤오바보
    @정윤오바보 6 лет назад

    우아😍😍진짜 궁금했는데 감사해요!

  • @머신-g6o
    @머신-g6o 6 лет назад +1

    역시 과학쿠키 믿고 봅니다!!

  • @siyung8947
    @siyung8947 6 лет назад

    태양전지 수업 몇시간 들으면서 머리싸매도 모르던게 10분안에 이해가 되네... 천재신듯

  • @우승진-t9h
    @우승진-t9h 6 лет назад

    나만 보고 싶을 정도로 너무 좋음
    태양열발전은 어떻게 하죠?

  • @wayne.x48
    @wayne.x48 6 лет назад

    정말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

  • @신승현-g5w
    @신승현-g5w 6 лет назад

    대학원에서 태양전지 연구하는데 새롭네요 잘 보고 있습니다 ㅎㅎ

  • @천성문-w3v
    @천성문-w3v 5 лет назад

    님 영상 첨보는데 찰지네요 설명이 반했어요 전 반도체 관심이 많은데 쏙쏙이네요

  • @YoonEcity
    @YoonEcity 6 лет назад

    물리수업에 태양전지 배우는데 이거 보고 더 잘이해했어요ㅠㅠ감사해용

  • @박동연-j9e
    @박동연-j9e 4 года назад

    정말 유익해요!

  • @옼케발
    @옼케발 6 лет назад +10

    사실 쉽게 생각하면 비가 안오는 사막지역에 태양광 발전을 한다면 참 좋겠다 싶으시겠지만, 제가 지금 기억하는 이유중에는
    1. 아직도 태양전지 효율이 좋지 않다.
    ㅡ 태양전자가 받는 빛에너지 대비 태양전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비율이 여전히 좋지 않다는 것.
    2. 태양광 패널 (전지 붙이는 곳)이 오염(먼지 등으로) 되면서 입사광 양이 줄어드는 유지 관리 문제
    해결할게 있습니다.

    • @인천사는미카엘
      @인천사는미카엘 6 лет назад

      3. 태양전지 생산하는데 발생하는 유해가스
      4. 태양전지 폐기하는데 드는 독극물

    • @veritaslux6842
      @veritaslux6842 6 лет назад +1

      뜨거운 사막에서는 태양광 발전의 효율이 내려가 보통 태양열 발전을 함. 태양광도 효율이 낮지만 태양열 발전은 더욱더 효율이 낮음 또 이 때 쓰이는 반사판을 관리하기위해 물을 끌어와야함도 고려해야함

    •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6 лет назад +2

      1. 태양광의 전환효율만으로 반대하는건 부적절함 핵심은 경제성임 태양광 전환효율이 90이라도 패널가격이 수십조라면 못쓰는거고 효율이 20이라도 투자대비 소득이 나오면 쓸수있는거임 요즘 화석연료와 경쟁할정도로 가성비가 갖춰짐
      2.유지보수는 어느 발전방식이나 필요한것이고 태양광의 경우는 오히려 유지보수가 수월한편임
      3~4.그런논리면 모든 산업들 전부 폐기해야됨 특히 반도체 산업이 태양전지와 비슷한 오염물질 사용되는 산업인데 한국경제의 효자노릇 톡톡히 하니 못건들이는데 태양광이 나중에 그런위치가 될수도 있는걸 생각해야함 이런저런 이유로 신기술 전부 폐기하면 조선시대처럼 후진국됨.

  • @대한민국-e1z
    @대한민국-e1z 6 лет назад +1

    이번 영상은 태양 전지에 관한 내용이군요! 우와, 태양 전지의 원리를 알아갑니다. 태양 전지라는 이름만 들어봤을 뿐 그 원리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었는데 양자역학과 관련이 있는거였군요. 광전효과를 이용한 것이었군요. 그리고 반도체에 대하여 잘 모르고 있었는데 쿠키님 덕분에 반도체에 대해서도 한 번 익힐 수 있었어요! ^0^ 음, 쿠키님의 직업은 현재는 '과학 커뮤니케이터'가 아니실까요? 쿠키님 채널의 정보를 살짝 참고했는데 그 정답은 과학 커뮤니케이터이시면서 컨텐츠 크리에이터이시고, 컨텐츠 크리에이터이시면서 과학에 대한 가르침을 주시므로 선생님이라고 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나중에 올려주시는 영상 중 쿠키님의 직업에 관한 영상이 올라오려나요? 그 영상도 재미있을 것 같아요! ^0^ 이번 영상도 너무 너무 재미있게 잘 봤어요! 다음 영상도 기대되는걸요. 항상 재미있고 유익한 영상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0^

  • @옼케발
    @옼케발 6 лет назад +7

    태양에너지에 근거해서 식물이 광합성을 하고 에너지원인 탄소를 축적한 것을 섭취하는 등(밥먹는게 대표적 ㅎ) 하는 지구 생명체들의 숙명이지만
    이제는 인간은 자기가 원하는대로 에너지를 제어하고 싶어서
    그리고 제어할 수 있는 에너지는 사실상 전기에너지 뿐이니,
    수억년전에 뭍힌 태양에너지 소스를 캐내어 석유 석탄 가스를 채취하는 걸로 모자라
    이제 직접 태양에너지를 수집하기로 한거죠.

  • @유튜버-d5h
    @유튜버-d5h 6 лет назад

    감사합니다. 너무 유익해요

  • @gansa3490
    @gansa3490 6 лет назад +2

    과학쿠키님에 직업은 과학 커뮤니케이터이죠!!

  • @hyunsoolee3549
    @hyunsoolee3549 6 лет назад

    매번영상 잘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obee8222
    @obee8222 6 лет назад +1

    과학쿠키 영상재미나게 잘보고 있습니다
    태양전지 얘기도 나왓는데요
    다른 대체에너지 원리에 대해서도 궁금해집니다.
    그리고 p형n형 반도체 얘기가 나오니
    제가 소소하게 만드려던 자작냉각기 소재인 열전(펠티어)소자도 재미나게 다뤄주실수 있으실까요?

  • @장준학-d1i
    @장준학-d1i 6 лет назад

    과학쿠키님 영상 너무 잘봤어요!

  • @ya-song796
    @ya-song796 6 лет назад

    너무 똑똑하셔요!

  • @DoeYoon24
    @DoeYoon24 6 лет назад +22

    몇가지 오류가 있네요. 수정이 필요해 보입니다. 첫째, n형에서 확산에 의해 넘어간 전자가 꾹꾹 눌러담긴다는 개념은 잘 못 된 설명입니다. p형과 n형의 접합면 부근은 공핍층이라고 해서 전자, 정공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입니다. 접합면에는 도핑된 3족, 5족 원소가 이온화되서 전계가 형성되는 것입니다. 둘째, 빛의 조사에 의해 p형으로 옮겨간 전자가 n형으로 돌아오는 것이 아니라 빛이 입사된 측의 반도체(p형이든, n형이든) bulk 영역에서 생성된 전자-정공쌍이 확산에 의해 접합영역까지 이동한 후에 공핍영역의 전계에 의해 양쪽 전극 쪽으로 흐르게 되는 것입니다. 쉽게 설명하는 것도 좋지만 정확하게 설명하는것도 중요한 것 같아 리플 남깁니다.

    • @닭장노예
      @닭장노예 6 лет назад

      엑시톤이 디퓨전해서 둘이 분리서되야 되는설명이 없어서 뭔가했네요

    • @전진영-x6p
      @전진영-x6p 6 лет назад +6

      음... 모.르.게.따.

    • @옼케발
      @옼케발 6 лет назад +1

      접합이 이루어진 곳에서는 n형 반도체의 자유전자(free electron)와 p형 반도체의 정공(hole) 이 반대편 반도체로 확산(diffusion)에 이은 recombination(전자가 정공을 채우는 상황) 이 발생되면서 자유전자도 정공도 남지 않게됩니다.
      그럼 불소님 말대로 접합면에는
      n형 반도체에 도핑된 5족 불순물 주변에 가전자가 4개를 가지게 되면서 전기적 양성을 띄고(공핍층 전위가 +)
      p형 반도체에 도핑된 3족 불순물 주변에 가전자가 4개를 가지게 되면서 전기적 음성을 띄죠(공핍층 전위가 -).
      이 접합면의 전위차(built in potential)를 넘는 빛 에너지를 받으면 drift current가 발생하게 된다.
      라고 알고 있습니다.
      쿠키님이 슈웅하고 넘어간 면은 있는거 같지만 틀린거 같진 않은데 다시 들어봐야겠군요.
      전자기 회로는 전위차 극복을 별도의 전기 전원으로 하지만 태양광 발전은 태양광을 받으며 생기는 (광전효과에 의한? ?) 에너지원을 이용해서 극복하는게 다른점으로 알고 있고요.

    • @언덕넘어-p9d
      @언덕넘어-p9d 6 лет назад +2

      이야
      다들 엄청나시내요

    • @choicjm7
      @choicjm7 6 лет назад

      맞습니다. 영상을 보면서 오류가 있어 댓글들을 보는데 마침 답이 있어서 다행이네요.

  • @이승우-f1u
    @이승우-f1u 6 лет назад

    이렇게 끝내시면 너무 궁금해지는걸요 흐흐

  • @이승우-f1u
    @이승우-f1u 6 лет назад +1

    산업혁명으로 병들어 가는 지구를 살리는 느낌이 들 때마다 지구의 한 사람으로써 괜히 뿌듯하군요

  • @아와이-f1j
    @아와이-f1j 6 лет назад

    오늘도 감사 !!!

  • @오킹헿
    @오킹헿 2 года назад +1

    6:00~

  • @winternap993
    @winternap993 6 лет назад +2

    와 이제 기업에서도 지원을 받는 과학쿠키님 당신은 대체....
    너무 굉장하자나!!

  • @Ohmin12
    @Ohmin12 6 лет назад +14

    과쿠님 잘보고 갑니다. 근데 '광자' 라는 말 대신 '빛알' 이라는 말을 쓰셨네요. 한글을 좋아하는 저로서 기분이 좋습니다^^

  • @몰슨-z6x
    @몰슨-z6x 5 лет назад +1

    원자력 발전과 태양광 발전의 효율 차이를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junkman9010
    @junkman9010 6 лет назад

    화석연료는 타면서 물과, 이산화탄소를 기본적으로 만들어내며.(이산화탄소는 식물에서 광합성을 하여 다시 물과 결합되고, 탄수화물을 생성하고 산소를 내 뱉게 됩니다.[이때 광합성에선 물 입자를 분해하여 나온 전자를 탄수화물에. 물 입자에서 분해된 산소는 산소끼리 연결되게 하는 작업을 합니다.])
    여기서, 화석연료는 약간의 황이 포함되어 있어서.
    연소 과정에서 산화황이 만들어집니다.-산화황은 물에 섞여 황산이 되고, 박테리아의 먹이가 되기도 합니다.
    고압축, 고열이 일어나는 엔진 안에서는 산화 질소가 나오게 됩니다.(자연적으론 번개에 의해서 생성됩니다.)
    산화 질소는 박테리아가 먹어서 단백질을 구성하는 요소로 쓰이기도 합니다.

  • @전진영-x6p
    @전진영-x6p 6 лет назад +3

    축전지에 전기를 충천 한 다음 방전은 어떻게하나요,?
    그리고 그 남극 같은 추운데서는 차가운 물보다 뜨거운 물이 빨리 언다는데... 뭐죠...?
    또, 자유낙하 실험에서 무개와 상관없이 동시애 떨어진다는데 왜 그런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 @iotmanya1788
      @iotmanya1788 6 лет назад

      양극 음극에 도선을 연결해서 저항을 이용. 뜨거운물이 증발되어 수량이 줄어서.동시에 떨어지는 실험을 성공했기 때문.

  • @최승원-x8j
    @최승원-x8j 6 лет назад

    매번 재밌어요!!!ㅎㅎ 한국의 쿠 세이건!~

  • @jakuk21
    @jakuk21 6 лет назад

    시간되시면 연료전지에 대한 영상도 올려주세요

  • @gomyeonji
    @gomyeonji 6 лет назад

    쿠키님.. 원자에 대해 궁금한게 있는데요.
    모든 물질은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고 과학 쿠키에서 배웠습니다.
    그리고 그 원자의 배열에 따라 물질(원소)가 되는거라고 어렴풋이 감을 잡았는데
    그럼 그 원자라는 것은 모두 동일한건가요? 그러니까 예를들어 수소에 있는 원자와, 탄소에 있는 원자는 서로 동일한 원자인건가요? 결국 원자라는 하나의 물질에서 모든것이 비롯된건가요? 제가 제대로 이해한건지 잘 모르겠네요.ㅎㅎ
    그럼 돌맹이나 사람이나 결국 원자라는 하나의 물질에서 시작되는것인가요?

  • @Jimmy-fk7ev
    @Jimmy-fk7ev 6 лет назад +14

    P형과 N형 반도체가 전기적 중성인 이유는 뭔가요?? 아무리 생각해봐도 잘 모르겠어요

    • @snceckie
      @snceckie  6 лет назад +23

      전기적으로 중성이라는 뜻은 구성원자의 핵 속에 들어있는 양성자와 전자의 수가 같다는 뜻이에요 :) p랑 n형 반도체 둘 다 외부에서 전하가 충전되거나 방전되지 않았다면 당연히 핵속 양성자와 전자의 수가 같기 때문에 중성이랍니다 :)

    • @옼케발
      @옼케발 6 лет назад +2

      전기적 중성이란 한 물체에서 총 양성자 수와 중성자 수가 같은 경우이죠.
      ㅡㅡ 쿠키님 설명이 더 쉽군요.
      전기적 중성이란게 그리 대단한게 아니라
      음... 전선으로 쓰는 구리도선도 전기적 중성입니다.
      아무튼, 반도체의 기적은 이런 전기적으로 중성인 반도체가 적절한(제어하기 쉬운) 에너지를 가감함에 따라 전기의 소통을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이고,
      쿠키님이 소개한 이 영상은 그 중에서
      '반도체에 태양에너지를 가하면 이에 기반한 전기 에너지 생성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 @jason1682
      @jason1682 6 лет назад +6

      @@옼케발 양성자와 중성자가 아니구염, 양성자와 전자요. 태클은 아니에요.

    • @나붕이-s7g
      @나붕이-s7g 4 года назад

      @@옼케발 양성자와 중성자는 핵이고 +를 가지고있습니다

  • @yiseofather
    @yiseofather 6 лет назад

    항상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좋은 과학 지식을 쉽게 이해할수 있어 너무 좋습니다 ^^

  • @정동우-v6z
    @정동우-v6z 4 года назад

    오.. 이거 현재 고1 시험범위임 영상보단 자세하지 않지만
    광전효과: 금속판에 일정한 진동수 이상의 빛을 쪼이면 전자가 발생하는 현상
    n형 반도체로 전자가 이동
    p형 반도체로 양공이 이동
    이때 외부에서 전기장치 연결하면 전류가 흐른다..어쩌고 어쩌고

  • @geonwookim7408
    @geonwookim7408 6 лет назад +2

    나중에 과학을 꼭 쿠키처럼 할 겁니다!

  • @조아과학
    @조아과학 6 лет назад +1

    질문이 있어요 이산화탄소는
    열을 못가두지않나요?

  • @최세훈-n1r
    @최세훈-n1r 3 года назад

    태양에 쪼인 n형의 전자가 회로를 통해 다시 p형으로 갔다가 튀어서 n형으로 튀어오르게 되는 것은 역전압이라 하나요? 그것이 아니면 역전압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그리고 광전효과는 어디에서 발생하는 것인가요?

  • @전진영-x6p
    @전진영-x6p 6 лет назад

    최외각 전자가 3개면 전자를 방출하지 않나요?
    세기가 다른 두 빛으로 이중슬릿 실험을 하게 되면 어떻게 되나요??
    그리고 어떻개 빅뱅이 일어나게 된 것 인가요??
    중력이 무한하게 크기 때문에 오히려 더 수축 되어야 하지 않나요??

  • @zitnbit
    @zitnbit 6 лет назад +1

    전자과에서 배운내용이 나오길래 순간 습관적으로 토할뻔했습니다.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 @meesun66
    @meesun66 6 лет назад +1

    ㅡ도화주세요ㅡ 물. 석탄. 지열. 바람.조수간만의 차 등으로 어떻게 전기를 만드는 건지(발전기에서 전기가 생산.보관되는 구체적 과정)도 무척 궁금합니다.^^

    • @junkman9010
      @junkman9010 6 лет назад

      석탄(화석), 지열, 풍력, 파력(조수간만의 차)등은 모두 다 '모터의 회전'에 의한 '기전력 유도'로 발생합니다.
      화석 발전기, 지열, 원자력은 고열의 에너지를 이용해서 물을 끓이고.
      그 물을 증기로 만들어서 '터빈'이라는 모터가 달린 날개에 쏴주면, 터빈 날개가 회전을 하게 됩니다.
      그것으로 모터가 강제로 회전하게 되고. '기전력 '이 '유도'가 발생하여 우리가 전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겁니다.
      풍력은 '바람'을 가지고 '모터'를 돌리는 방식.
      파력은 '바닷물'을 가지고 '모터'를 돌리는 방식.
      수력은 '중력에 의해서 떨어지는 물'을 가지고 '모터'를 돌리는 방식.
      입니다.

  • @이수빈-t2o
    @이수빈-t2o 6 лет назад

    크으 오늘도 킹갓쿠키

  • @JJ-wr1dz
    @JJ-wr1dz 4 года назад

    지금 이 댓글을 보실지는 모르겠지만 쿠키님이 올리신 신재생에너지 영상을 보고 공부했고 자소서를 쓰고 면접을 봐서 원하는 고등학교에 붙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김형걸-r7g
    @김형걸-r7g 6 лет назад

    과학쿠키님! 질문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지구는 태양에서 들어오는 에너지와 다시 우주로 배출하는 에너지 양이 같은 steady state 상태입니다. 그렇다면 태양에서 들어오는 빛 에너지를 전기의 형태로 저장했다가 사용한다면 태양 전지를 사용할 때 지구에서 우주로 배출하는 에너지 양이 더 늘어나나요??? 또한 온실가스 영향으로 열 에너지 배출이 원활하지 않다면 지구 내부의 열 에너지는 더욱 증가하게 되지않나용?
    이런 부정적인 측면이 있지 않나 궁금합니다.

  • @장현빈-h7d
    @장현빈-h7d 5 лет назад

    궁금한게 있습니다!! 그럼 태양광 발전은 태양을 광원으로 이용한 발전 밖에 안되나요? 입자성을 띈 광원이 태양 뿐인가요?

  • @누구냐넌-w1i
    @누구냐넌-w1i 6 лет назад

    궁금한것이 있는데 어느날 가정하에 지구의 앞력과 온도가 상상이상으로 높고 낮아졌다는 조건하에 그러면 지구상에 있는 대기들이 모두 액체로 변하고 지구안이 액체로 가득 찰 수 있을까요?

  • @최세훈-n1r
    @최세훈-n1r 3 года назад

    전압차가 발생된 공간이 공핍층인가요?

  • @shinjy0226
    @shinjy0226 3 года назад

    안녕하세요 쿠키님 영상 너무 잘보고있어요 ^^ 궁금한게 있어서 댓글을 남겨요.
    n형반도체에 빛알이 비춰지면 p형에 갔다가 n형에 갔다가 회로의 한바퀴를 돌아 다시 p형으로 돌아와서 다시 n형으로 오는거라고 영상에서 잘 보았어요 . 그런데, 회로를 거쳐서 n형으로 돌아온 빛알은 다른곳에 저장이 되는건가요 아니면 또 다른 한바퀴를 도는 빛알이 되나요? 빛알맹이를 하나로 보았을때 안없어지고 계속 회로를 도나요?

  • @sangkabl8
    @sangkabl8 6 лет назад

    잘합니다

  • @chemtg
    @chemtg 6 лет назад

    ㅜㅜㅠ사랑해요 과학쿠키님 보고싶어요 어디 강연하시는곳 없나오ㅜㅜㅜㅠ대구강연이면 더 좋구요ㅜㅜㅜㅠ

  • @민트쵸코프로젝트
    @민트쵸코프로젝트 6 лет назад

    쿠키님. 요즘 러시아에서 핵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순항미사일을 만들었다 하는데요. 핵에너지를 어떻게 해서 미사일의 추진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시간되시면 영상에서 알려 주세요~~

    • @iotmanya1788
      @iotmanya1788 6 лет назад

      대단. 그럼 소형 원자력 발전소도 가능하겠네.

  • @이유진-c3p1d
    @이유진-c3p1d 6 лет назад

    물리교육 전공하셨는지요? ㅎㅎ 과학에 대한 내용들 설명하실 때 학부 때 배웠던 과교론을 똑같이 하시길래 물리교육 전공자가 틀림없다 생각했습니다 ㅋㅋ

  • @ppoballom4562
    @ppoballom4562 4 года назад

    오 n,p형 반도체가 중성이고 성질까지는 알고있었는데 이런식으로 발전되는건 처음알았네요

  • @kjkim8013
    @kjkim8013 6 лет назад

    바이오에너지도 한번 다워주세요. 바이오에너지도 탄소배출이 높은가요?

  • @찬영-m1v
    @찬영-m1v 6 лет назад

    친환경에너지가 지속적으로 발전했으면좋겠네요 ^~^

    • @밥피
      @밥피 6 лет назад +1

      태양열 자체는 친환경이 맞지만 그것은 인간이 사용가능할 유용한 에너지로 바꾸는 작업은 결코 친환경이 아니에요
      정부에서는 태양열집열판을 설치하기위해 산을 깎거나 나무를 배어버리는 일들을 감행했지만 막상실질적으로 얻은건 아무것도 없고 산사태로 인해 태양열집열판들이 파괴되어 토양이 모두 중금속으로 오염되었죠

    • @밥피
      @밥피 6 лет назад

      @@optitt3218 영상을 끝까지 보세요 이번 영상은 한국수력원자력의 지원을 받아 만든거라고 하셨잖아요 그들은 자신들의 사업내용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영상을 저분에게 제작해달라고 요구한것입니다.
      ' 한수력' 에서하는 그사업 이란 앞서 이영상 뒤에서 언급했던 주거주택 뿐만 아니라 태양열집열판을 대량생산화 해서 대규모로 태양열발전을 하여 현대의 산업과 생활의 기반이되는 고에너지를 생산하는 원자력과 화력을 대체하겠다는 취지로 태양열발전을 저분을 통해 홍보하는것이고요
      하지만 이것은 절대친환경이 아니고 태양광패널을 이용한 태양열발전은 절대 기존의 고에너지를 사용하는 현대산업사회의 에너지 기반을 절대 대신할수 없습니다. 에너지 를 이용해 어떠한 일 하려고한다고치면 기존의 열역학에 따라 1차산업혁명때 발명되었던 증기기관처럼 온도가높은곳 과 낮으곳이 갖추어져야합니다 즉 기존의 석탄이나 석유쳐럼 에너지가 한곳으로 중앙집중화되어 있어야 하는데 태양열은 지표면 분산되어 있는 에너지가 넓게 퍼져있는 상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무리 크고 넓은 태양열 집열판이라도 지금과같이 재상불가능한 자원을 활용하는 현대산업의 에너지 기반을 대체 하는것은 불가능합니다 만약 그렇게 해야 한다면 몇만kw 의 전력을 얻기위해 몇만km의 부지의 땅을 태양열집열판으로 덮어야하고 몇만 그루의 나무를 배거나 불태워야 효율성이 생길까요?

    • @찬영-m1v
      @찬영-m1v 6 лет назад

      @@밥피 태양광 전지판의 효율을 높인다면 산을 깎을 이유도 없고 주택에서 발전할 수도 있을 것이고 태양열 혹은 풍력을 제외한 다른 친환경 에너지의 발전까지 다
      포함해서 리플을 단 것입니다

  • @qwertclock5950
    @qwertclock5950 5 лет назад

    과학쿠키님이 매일(?) 사용하는 지금 이 영상의 BGM은 뭔가요?

  • @인대파열-o9s
    @인대파열-o9s 6 лет назад

    페로브스카이트에 대해서도 영상을 올려주세요

  • @dhs1124
    @dhs1124 6 лет назад

    현재 온도를 정확하게 소숫점 몇째 자리까지 측정할 수 있나요?

  • @Dilaton
    @Dilaton 6 лет назад +1

    이번영상에 반도체가 소개가되었는데 반도체를 공부하다보면 필수적으로 접하는 에너지 밴드이론 좀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 @snceckie
      @snceckie  6 лет назад +1

      밴드이론 고체역학 시리즈에서 소개해드릴게요!

    • @Dilaton
      @Dilaton 6 лет назад

      @@snceckie 감사합니다, 기대하겠습니다 :D

  • @TV-nn9jo
    @TV-nn9jo 4 года назад

    과학 수행 때문에 왔는데 겁나 재미있넥ㅋㅋㅋ♡♡

  • @바세린-p3p
    @바세린-p3p 6 лет назад

    그러고보면 전기는 공기처럼 늘 우리주변에 있다보니 소중함을 잘 모를때가 많습니다. 사실 한국이 이만큼 발전한것은 질 좋은 전기를 싸게 안정적으로 공급한 에너지회사의 노력이 컸습니다. 그중에 원자력발전소가 매우 큰 역할을 한것은 사실이구요.. 에너지 전환의 시대를 맞아 친환경은 선이고 원자력은 악이다 라는 이분법적 사고로 그들을 비난 할 게 아니라 그동안의 노력과 성과에 박수를 보내는 자세도 필요하다 봅니다.

  • @권오석-s6t
    @권오석-s6t 6 лет назад

    태양광발전이 지구온난화에미치는영향은 어느정도인가요 반사돼야할빛을잡아둠으로써 말이죠

  • @까까-p9l
    @까까-p9l 5 лет назад

    태양광 패널이 수명이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어느 부분이 소실되는건지 궁금합니다

  • @spn3421
    @spn3421 6 лет назад

    동감합니다 ㅠ
    근데 이런 대체에너지가 효력이 없을정도로 인간이 에너지를 너무 막쓰는거 아닌가 생각이듭니다

  • @hammalus
    @hammalus 6 лет назад

    오늘도 과학이야기~

  • @dkkang1969
    @dkkang1969 4 года назад

    태양전지는 아닙니다. 그럼에도 쿠키님의 부모님이 궁금합니다. 물리나 화학 교수님이신듯.... 추측입니다! 건승하세요!

  • @우모로누
    @우모로누 6 лет назад

    안녕하세요 과학쿠키님
    태양전지에 대해 말할기회가 있어 과학쿠키님 영상을 참고하였는데요
    교수님이 태양전지는 광전효과의 원리를 이용하는게 아니라고 말씀하셔서 뭐가 맞는지 궁금해서 댓글 남겨봅니다.

  • @시린마음
    @시린마음 6 лет назад

    화석연료가 유기물이 녹아만들어진것 처럼 말씀하셨는데 석유는 화석층의 밑바닥보다 아랫쪽에서 뽑아올려진다고 하고 화석연료라는 말 자체가 석유회사들끼리 유한의 연료인것 처럼 보이기 위해 만들어낸 단어라는 유튜브 영상을 본적 있습니다. 그것에 대해 좀 알려주실 수 있는지요? 제가 생각하기에도 탄화된 화석에서 뭔 약체가 줄줄흘러 그게 가열하고 압력받는다고 그 막대한 양의 원유가 만들어질거 같진 않거든요 동식물 사체에서 기름이 흘러 고여 석유가된다는 건가요?

  • @박윤정-t7j
    @박윤정-t7j 6 лет назад +2

    전기에너지는 어떻게 저장하나요???

    • @snceckie
      @snceckie  6 лет назад +2

      요 질문도 많아서 하나 만들어야겠네요 :)

    • @전진영-x6p
      @전진영-x6p 6 лет назад

      ??축전기??

    • @ilban-in
      @ilban-in 6 лет назад

      ESS일껄요

  • @가을바람-v5j
    @가을바람-v5j 4 года назад

    태양광발전을 보면서 옛날에 확대경으로 해빛을 모아서 초점에 물체에 불이 붙는 현상을 봣든 기억이 잇는데 불을 붙일 정도의 에너지가 발생하는걸보면 혹시 이 원리를 이용하여 발전시설을 만들면 더욱 효율적일수잇지않을까요?

  • @wookjinchoi8651
    @wookjinchoi8651 6 лет назад

    설명 정말 잘하신다. 얼마나 열심히 공부 했을까? 대학에서 어떤 과를 했나요?

    • @KJW95
      @KJW95 6 лет назад +1

      서울대 물리교육과 출신이라고 하시던데..

    • @avcght7330
      @avcght7330 6 лет назад

      @@KJW95 물리학과 아닌가요?

    • @이민석-b9t
      @이민석-b9t 6 лет назад

      공주대 물리교육과

  • @taewonmoon8557
    @taewonmoon8557 6 лет назад

    과학쿠키 너무 조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