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나라 아파트만 이렇게 수명이 짧을까?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4 тыс.

  • @APTsurfer
    @APTsurfer  Год назад +138

    최근 5년 전국에서 인구가 빠르게 소멸하고 있는 도시 Top10 보러가기
    ruclips.net/video/Ja_UXe4qQvY/видео.html

    • @양평-m8w
      @양평-m8w Год назад +10

      온돌문화의 영향도 크다고 봅니다.
      서양은 공기를 데우는 방식으로 냉온수배관이 밖으로 노출되었습니다.
      그러기에 누수의 수리나 배관교체도 매우 용이해서 리모델링 비용이 적게 나옵니다.
      반면에 온돌난방은 냉온수 배관 난방배관을 바닥밑에 매립합니다.
      그러다보면 누수로 인한 하자를 수리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이로 인한 건물의 노후화도 급속히 진행되고 리모델링시 바닥을 손보면 화장실, 싱크대, 장판..등을 손보면 신축에 버금가는 비용이 발생합니다.
      그러기에 지주들은 리모델링 보다는 신축을 선호합니다.
      대한민국의 아파트 수명은 짧아도 빌딩의 수명은 길잖아요.
      63빌딩 보세요.
      지어진지 40년이 넘었고 앞으로 100년은 문제없을 것입니다.

    • @junkl01
      @junkl01 Год назад +3

      요즘이야 아파트가 비싸지만 처음 아파트가 만들어질 당시에는 서민을 위한 주거 공간이었다고 합니다.
      외국은 각종 규제에 재건축이 힘들고, 돈 많은 사람들이 살기 위한 건물이라 튼튼하게 지을 수 있었지만, 우리나라는 싸고 많은 사람이 지낼 수 있도록 만드는게 우선이었죠.
      다만 최근에 지어진 비싸게 팔기 위해 지어진 아파트의 경우에는 다른 문제지만요

    • @jmim5018
      @jmim5018 Год назад +5

      요즘 재건축 부담금이 그 집 사는 돈 💰이젠 100년 목표로 구조 법 바꾸고 리모델링 으로 가야죠

    • @Bowlingtoday
      @Bowlingtoday Год назад

      예전아파트는 지상에 차다니고 주차공간부족하고 집구조 그지같고 하니까 부수고 새로짓는게 났지만 이제 신축들은 사람살기좋고 아이키우기좋게 지어서 오래갈거같은데요?

    • @ghijkabcdef6887
      @ghijkabcdef6887 Год назад

      지진 나는 순간이 한국이 끝나는날
      아마 대한민국 도시에 사는 사람 50%는 사망할듯
      아파트 도미노처럼 와르르 무너지고
      추락해서 죽고 깔려죽고 파편에 맞아죽고 가스,전기 폭팔로 대부분 사망하고

  • @자유비행기
    @자유비행기 Год назад +4033

    지금부터 건축법을 고쳐서 아파트은 무조건 기둥식으로 건축하게하고 층간소음을 45데시벨이하로 정해야 합니다 외단열도 무조건 해야합니다 지금 우리나라아파트은 쓰레기입니다 너무 많은 쓰레기을 배출합니다

    • @똘끼-o8h
      @똘끼-o8h Год назад +195

      퍽이나요 국회것들이 안하지요

    • @자유비행기
      @자유비행기 Год назад +270

      @@똘끼-o8h 지금이나 재건축하지 10년지나면 건축비가 너무 높아져서 지금20년된 아파트들은 살기가 힘들어도 재건축할수가 없어요 아파트에 최대 단점은 사생활이 너무 노출되서 자기집이데 조용히 살아야 합니다 부자면 아파트에 살지 않아요 단독주택에 살지 20억원짜리 아파트애 사는것 바보들이나 하는것에요 경기도에 7억이면 단독주택에 살수있어요

    • @okbunmyung8510
      @okbunmyung8510 Год назад +126

      문제점 을 잘지적해 주셨습니다~ 영국처럼100년이 지나도 더욱 견고하고 살기조은 집으로 건재할수 있는 건축 기법등을 빠름 도입~~ 우리가 선지국가는 지름길 입니다~

    • @비람의파이터
      @비람의파이터 Год назад +127

      건설사가 국회의원 돈 찔러주면 그런법 안만듬

    • @Choenma_s
      @Choenma_s Год назад +43

      아는척은,,
      기둥식은 니 친구이름이냐?
      45데시밸은 경량이냐 중량이냐,,

  • @gameg6068
    @gameg6068 Год назад +1061

    언론에 나오지 않는 이유: 언론사 보유자가 건설업주다ㅋㅋㅋ

    • @OHyoOHyo
      @OHyoOHyo Год назад +56

      태영건설

    • @생각해봐-v4b
      @생각해봐-v4b Год назад +35

      수많은 건설사들이 언론을 가지고 있음

    • @언더시온
      @언더시온 Год назад +24

      그래서 부동산가격 안떨어지게 정부예산 몇십조씩 퍼붓는거죠

    • @wss7182
      @wss7182 Год назад +33

      SBS가 태영건설이쥬

    • @TV-jw8su
      @TV-jw8su Год назад +13

      건설사 소속이면 사람죽이는거도 편함

  • @dsedjwjs8411
    @dsedjwjs8411 Год назад +2136

    이런건 주류언론은 절대 보도 안함

    • @산단구라데쇼
      @산단구라데쇼 Год назад +21

      스마트폰,인터넷,컴퓨터의 힘.

    • @하하하하하-h3e
      @하하하하하-h3e Год назад +117

      건설사들이 광고주임. 지주회사거나..

    • @산단구라데쇼
      @산단구라데쇼 Год назад +25

      @@user-ic7op5op5k 공학적으로 봐도 설계상 하중버팀을 벽체로 하는건 설계에러죠.
      걍 그시대 조건부로 한 것이 전통으로 이어져온거죠.
      이하 말이 길어지니 생략.

    • @ryui_qwerty
      @ryui_qwerty Год назад +59

      @@user-ic7op5op5k 현재 언론사 대주주가 누구인지 알아보세요. kbs mbc는 국가소유니 제하고 신문 방송 다 건설회사겁니다.

    • @호카손자
      @호카손자 Год назад +36

      공영 빼면 오너가 건설사거나, 사돈이 건설사거나...

  • @yn-ej9of
    @yn-ej9of Год назад +155

    나는 어릴적부터 배관이 건물 내부에 있으면 고장나면 어떻게 수리하냐? 늘 이게 궁금했음. 바보 아니고는 시멘트 부시고 배관 교체해야 하니. 진짜 한국 건설자체 법을 바꿔야 함. 대체 이게 뭔 국력낭비 재료 낭비냐? 건설사 수익은 백년대계 국가적 입장에선 1%이득도 국민에게 도움이 안됨.

    • @참치김밥짱
      @참치김밥짱 Год назад +1

      콘크리트 부수고 배관 수리하면 업자의 매출이 늘어나고 결국 gdp도 늘어남.

    • @이성호-x4z7v
      @이성호-x4z7v Год назад +24

      파이프덕트라는 공간에 수직배관을 하고 덕트는 조적으로 막습니다. 보수가필요하면 조적벽만 부수고 수리 가능합니다. 수평배관은 아랫집 천정을 열어서 수리합니다. 우리나라 아파트수명이 짧은 이유는 영상속이유보다 재개발로 한 몫잡으려는 사람들과 분양권으로 수익챙기려는 부동산투기때문인 것이 가장 큰 이유입니다.

    • @HWANGHAESOO
      @HWANGHAESOO Год назад +4

      보통 수직관은 욕실이나 주방등 배관이 필요한구간 주변에 PIT라인을 만들고 주변을 벽돌로 막아둡니다
      굳이 수리해야한다면 거기로 수리가 가능하죠

    • @곰늑대-u8b
      @곰늑대-u8b Год назад

      지마음대로추측하고결론내놨네..

    • @hmjeon8609
      @hmjeon8609 Год назад

      바닥난방 외에는 배관이 지나가는 덕트가 있슴

  • @minjun3173
    @minjun3173 Год назад +182

    기둥식과 벽식 구조의 차이에 하나 더 있습니다. 층간소음입니다. 벽식구조는 층간 소음에 비교적 취약한데, 진동이 천장-벽 전체에 울리기 때문입니다

    • @grx1988
      @grx1988 Год назад +1

      조금 덜한거지 크게 차이나는건 아님 ㅎㅎ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아파트인데 벽식보다 기둥식이 소음등급 더 구리게 나오는경우도 봄 ^^

    • @minjun3173
      @minjun3173 Год назад +3

      @@grx1988 기둥식이냐 벽식이냐는 같은 두께의 콘크리트 슬라브 등 여러가지 면에서는 서로 비슷한 상황일 때 벽식구조가 비교적 소음에 취약하다는 것이지, 여러 가지 다른 점이 있다면 또 다르겠죠. 층간소음의 원인이 기둥식, 벽식 이것 하나에 있는 게 아니라서요. 비교군이 일정하면 벽식구조가 클 수밖에 없습니다.^^

    • @grx1988
      @grx1988 Год назад +2

      @@minjun3173 싸게싸게 만드는 일반적인 아파트에서 비교는 무의미해요... 건축단가가 부실이 당연한 수준이니

    • @minjun3173
      @minjun3173 Год назад +1

      @@grx1988 그건 아파트가 아니라 콘크리트 구조물이라고 합시다.

    • @mk-zb8cg
      @mk-zb8cg Год назад

      그걸왜 유지보수 해야하니??
      싹 밀고 다시지어야함

  • @houseon4178
    @houseon4178 Год назад +1031

    선분양 제도 없애야 함. 가장 큰 문제는 설계와 다르게 시공을 함. 우리나라 대부분의 콘크리트 업체는 콘크리트 비율을 검사할때만 바로 하고 나머지 대부분은 그냥 싸게 불법 납품함

    • @thekorean123
      @thekorean123 Год назад

      범죄자들 매국노들 득시글거리는
      썩어빠진 나라.

    • @최광국-y2t
      @최광국-y2t Год назад +28

      쌍용건설이 지은 아파트는 그나마괜찮음 쌍용양회 레미콘이 망한이유가 고지곳대로 경영해서임 삼표아주 이런애들은 싸게후려찌고 현장따옴

    • @sangho9274
      @sangho9274 Год назад +29

      후분양도 마찬가지입니다.
      아파트 준공검사를 강화해야죠.

    • @ykebnjad
      @ykebnjad Год назад +1

      지금 후분양한 회사 난감한 처지라던데

    • @minipolenet
      @minipolenet Год назад +20

      @@ykebnjad 아파트값 천정부지로 오를때 분양가상한제 피할라고 꼼수썼다가 집값폭락할때 같이당한거라서 동정심 1도 안듭니다

  • @user-onlyssip
    @user-onlyssip Год назад +115

    요새 신축 아파트보다 40여년 전에 지어진 주공아파트가 층간소음이 덜함
    즉 요새 짓는 아파트들은 겉만 번지르한 날림공사

    • @Kong_kong_ko
      @Kong_kong_ko Год назад +2

      40년전이지ㄹ하고있네ㅋㅋㅋ

    • @kim904-0
      @kim904-0 Год назад +10

      정말 예전 주공 아파트 벽두께 장난 아니었죠

    • @user-onlyssip
      @user-onlyssip Год назад +10

      @@kim904-0 맞아요
      콘크리트 못이 들어가지 않을 정도였어요

    • @즐겁다-s2m
      @즐겁다-s2m Год назад +6

      근데 40년전이면 단열재 하나도 안들어가서 겨울에 겁나춥고.여름에개더움...그나마10~15년전 아파트들부터 단연재들 성능도올라가고 보급이 좋아서 아파트들이 좋음...

    • @MH-qz4lo
      @MH-qz4lo Год назад

      40년 전이라고 해서 기둥식구조인 게 아닌데 뭔 개소리하고 있음

  • @hardie2311
    @hardie2311 Год назад +89

    아파트 수명이 짧은 이유는 배관이 슬라브 안에 있기 때문이지. 유럽같은 경우에는 손쉽게 교체 가능

    • @발랜타인30
      @발랜타인30 Год назад +4

      유럽 건물에서 살아보면 이런 불평안나올듯요
      한국사람 절대 유럽 집에선 오래 못삽니다
      물론 적응하면 살 수 있을지도

    • @Plmoknijbuhb
      @Plmoknijbuhb Год назад +2

      유럽을 유튜브로 눈팅만 했으니..

    • @제육볶아오길기도하는
      @제육볶아오길기도하는 Год назад +3

      참 ㅋㅋ 너 유럽가서 살아봤냐? 유럽 구축가서 하룻밤 자면 오줌지리고 도망친다

    • @hardie2311
      @hardie2311 Год назад

      @@제육볶아오길기도하는 구축에서 왜 자나?

    • @김승규-f9c
      @김승규-f9c Год назад

      @@hardie2311신축이 없어서..?

  • @우주고양이-w1b
    @우주고양이-w1b Год назад +215

    구해줘홈즈인가 톡파원25시인가에 프랑스 옛날아파트(정확히는 주상복합) 보여줬는데, 전선같은거 다 벽 가장자리에 함(관)에 설치해서 고장났을때 그것만 살짝 뜯어내서 고칠 수 있어서 큰공사 안 해도 되는거 너무 부럽더라.

    • @한량-h6c
      @한량-h6c Год назад

      한국도 제대로 지어야지
      좀 많이 비싸지겠지만
      개나소나 못사고
      전세도 사라져 사기도 줄어들지
      대기업과 분양 해먹는 국짐당
      이것들이 사라져야 가능

    • @AF-qk8ty
      @AF-qk8ty Год назад +7

      프랑스에 그런 구식 주상복합 전용 53제곱미터짜리 한화로 10억에서 13억임.

    • @AF-qk8ty
      @AF-qk8ty Год назад +4

      27제곱미터까지는 내려와야 6억에서 7억대야. 편하긴 한대 가격이 편하지 않아.
      ㅆㅂ 1960년에 지은 투룸 아파트가 10억이라고?

    • @빨강-w6i
      @빨강-w6i Год назад +6

      프랑스 미국은 상가를 주택으로 사용해서 그래요. 우리나라도 상가처럼 간단하게 만들면 수명이 길어져요. 자동차도 화물차가 수명이 길듯이..

    • @soosoo4548
      @soosoo4548 Год назад +2

      ​@@빨강-w6i화물차가 수명이 긴건..

  • @두대발
    @두대발 Год назад +285

    외국은 한국처럼 건설사가 많지 않아요 ㅋㅋ 건설사가 해먹을려고 후분양도 안되고 콘크리트도 싸구려쓰고 벽식구조 유지하는겁니다 대표적인 적폐가 건설업계 저기에요

    • @vincentr6567
      @vincentr6567 Год назад

      저기에요x 저기예요o

    • @Judedrawing-ew3vl
      @Judedrawing-ew3vl Год назад +5

      @@vincentr6567장소나 시간을 나타내는 단어 뒤에는 -에요 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저기에요가 맞는 표현입니다😊

    • @vincentr6567
      @vincentr6567 Год назад

      @@Judedrawing-ew3vl
      '~입니다'의 의미로 ~이에요 ~예요 로 쓰는 거고요,
      장소나 위치 격의 조사로서 ~에+요(높임말)입니다
      원 댓글은 적폐가 저기입니다. 적폐가 저기예요.
      ~에(요) 예시
      이 전등은 어디에 달아?
      거실에. 거실에요.

    • @vincentr6567
      @vincentr6567 Год назад +5

      @@Judedrawing-ew3vl
      잘 모르는 거 같으니 좀 더 추가하자면,
      이에 = 예
      모음 + 예요
      자음 + 이에요
      베란다예요
      거실이에요
      곰이에요
      고양이예요
      또 좀 모자란 사람들은 이걸 일일이 설명을 해 줘야 되던데,
      '고양이'예요 = 고양이입니다
      '고양'이에요 = 고양입니다(경기도 고양시)

    • @울랄랄라-b5w
      @울랄랄라-b5w Год назад +4

      @@vincentr6567 문법낙찌씨 그록게 잘 아시면은 국어문뻡채널을 우녕해주시는건 어떡겠읍니까

  • @죠엘
    @죠엘 Год назад +57

    이딴 아파트 들이..
    20~50억을 호가 한다는게 현실..

    • @바카라킹-q5k
      @바카라킹-q5k Год назад +1

      요즘은 아파트단지지으면 지하철뚫어야하고 고속도로만들어야하고 버스노선도 그렇고 학교.병원.마트.공원 그외 근린생활시설만들어야해서 사회적인프라비용이 장난아니다ㅎㅎ 그러니 그돈삥뜯을려면 비쌀수밖에..

  • @냔님-k1j
    @냔님-k1j Год назад +910

    2년전 아파트 페인트 칠하는 업체에서 반년정도 일했는데 그때 수많은 신축아파트에
    시공을 다녔는데 우리나라 아파트들
    진짜 개판임.
    크게는 벽 균열부터 작게는 실리콘 마무리까지
    진짜 존나 대충 지은게 그냥 티가 남.
    김포에 브랜드 신축아파트 두 곳은
    집집마다 다용도실 천장쪽 균열이
    너무 심각해서 나중에 무너지는건 아닐까 걱정될 정도였고
    경기도에서 제일 비싸다는 과천에 한 아파트도
    엉망이었음.
    오히려 10념 넘은 아파트들이 시공가면
    좀 노후해 보여도 상태가 더 양호한 경우가
    많았음.

    • @박정헌-z6x
      @박정헌-z6x Год назад +207

      10년넘는 아파트들은 대부분 한국인이 지었습니다.근데 그 이후의 아파트들은 70프로 중국인,10프로 한국인,10프로 중앙아시아,10프로 베트남인이 투입해서 지었습니다.그냥 방마다 똥오줌 우웩

    • @eqirm
      @eqirm Год назад

      조선족이 요즘 대부분 공구리 칩니다. 중공놈들이죠.

    • @겨울비트
      @겨울비트 Год назад +104

      1군 브랜드 아파트가 오히려 하자가 많아요.. 대충 부실로 지어도 이름값만 보고 달려드는 인간들이 대부분이기에 그럽습죠 .;;; 한국사람들의 대기업에 대한 호구 근성이 없어지지 않는한 1군 브랜드는 더 기고만장 부실공사는 네버엔딩 ...

    • @송호은-t5o
      @송호은-t5o Год назад

      ​@@박정헌-z6x
      중공놈들이 슬래브 바닥에다가 똥으로 층층이 칸칸마다

    • @최지훈-p6d6s
      @최지훈-p6d6s Год назад +54

      우리집처럼 단독에서 대대로 사는게 최고
      지은지 30년됐는데 아직도 짱짱함
      아파트 사서 몇년 살다가 세주고 다시 들어옴

  • @ksi4517
    @ksi4517 Год назад +451

    건설사 언론사 한테서 사기당하고 있습니다.

    • @SHK-g7p
      @SHK-g7p Год назад +29

      SBS 태영건설, 부동산 투기자산1등 조선일보

    • @윤성혁-q5m
      @윤성혁-q5m Год назад +4

      정답입니다!
      빙고.

    • @시원한밥
      @시원한밥 Год назад +3

      정답

    • @빨강-w6i
      @빨강-w6i Год назад +3

      건설사. 언론사. 대학. 정치인들
      하나의 몸둥아리임..
      5대 재벌과 정치인들 자식들 끼리 혼맥

  • @tlee4380
    @tlee4380 Год назад +52

    언론사주:건설사
    정치인돈줄:세탁잘된비자금
    비자금조성에 가장 유리한업종:토건업
    조중동뒤봐주는놈들:법조계
    국회의원전직업:법조인
    표끌어오는곳:기독교
    국회의원자식:검머외
    언론,토건,정치,법조,기독교 카르텔 못끊으면 이나라는 망할꺼임.
    어차피 지들자식들은 미국가면되니까 상관안하는중

    • @은주이-u7g
      @은주이-u7g Год назад

      정치인 돈줄인 건설사업
      이재명 대통령선거 자금 무지하게 들어가는데 그돈이 어디서 났겠나!
      대장동 사건 건설사업 무지하게
      돈 빼돌렸겠지

  • @musichong1909
    @musichong1909 Год назад +56

    건축 또한 국회 의원들의 문제 입니다.
    인기 의원을 뽑은게 아니라
    정직하고 지식이 있고 일 할 수 있는 의원을 뽑아야
    우리 미래가 바뀔 수 있습니다.

  • @monlavo
    @monlavo Год назад +377

    싸게 지어놓고 몇십억....

    • @오장선임
      @오장선임 Год назад +5

      비싸게 지으면 더 받겠죠 인건비랑 자재 시공까지..

    • @goldyun-u3j
      @goldyun-u3j Год назад +6

      땅값

    • @구v7b
      @구v7b Год назад +34

      콘크리트 물타서 약하게 만든다음 화장실 설치 제대로안해서 인부들이 똥싸고가서 똥자국남은 자리에 인테리어 하면서 여기저기 쑤셔넣은 폐기물이 숨겨진 신축을 단돈 몇십억에 구매할수있는 기회!!
      금가거나 자재가 떨어져나가거나 철근이 휘어있어도 안전에는 이상무! 하면 사람들이 잊어서 없던일되벌임~~

    • @8xsoldier
      @8xsoldier Год назад

      코인이죠

    • @junheelee4755
      @junheelee4755 Год назад +4

      ​@@goldyun-u3j 이제는 용적률도 높아서 땅도 없음ㅋㅋㅋㅋ

  • @여기눌러
    @여기눌러 Год назад +114

    예전에는 아파트를 건축하고 분양을 하였기에 잘만들어야 팔리니 잘 지었고 요즘은 짓기전에 분양부터 받고 어떻게든 단가 후려쳐 수익은 크게 자제는 싸게 짓기에 빈약하죠 거기에 예전에 시멘트는 페타이어와같은 쓰레기를 태우고 남은 재 갈아서 시멘트에 섞어서 만들었기에 이유도 모르는체 아토피 생기고 그랬죠

    • @빨강-w6i
      @빨강-w6i Год назад +1

      선분양 해도 잘 팔리는데..

    • @여기눌러
      @여기눌러 Год назад +3

      @@빨강-w6i ㅋㅋㅋ 투기겠죠

  • @악당이기자
    @악당이기자 Год назад +66

    인구가 줄고 줄어 철거할 사람 없어서 그냥 버리는 건물이 많아지겠죠. 건물도, 쓰레기도, 차도 …

    • @WeatORANGE
      @WeatORANGE Год назад +1

      철거할 사람이 없는게 아니라 철거 해서 재건축 해봐야 수요가 없어 지는게 문제 아닐까 합니다 그러니 재개발도 뜸 해질테고 돈이 안도니 경제도 망하고 나라도 망하고

  • @지중해-p8k
    @지중해-p8k Год назад +13

    그랬군요. 도대체 콘크리트 아파트가 왜이렇게 수명이 짧은지 분통이 터졌었는데. 이런곳에도 ㅈ가튼 진실이 숨어있었군요

  • @majejjan
    @majejjan Год назад +108

    벽식구조의 더 큰 문제점은, 기둥식에 비해 층간소음에 훨씬 취약하다는 점...

    • @majejjan
      @majejjan Год назад +8

      @@lhhxs 반대입니다, 기둥식이 지진에 더 견고합니다. 기둥식이 지진에 취약하다면 일본 대부분의 건물이 기둥식으로 지어질 이유가 없죠.

    • @명동카레왕
      @명동카레왕 Год назад +6

      ​@@lhhxs 이런 신박한 개소리는 또 처음 들어보네

    • @다양한소식
      @다양한소식 Год назад +1

      ​@@명동카레왕ㅇㅈ 벽식이 지진에 버틸게 뭐가 있다고 기둥식의 단점이 지진이라니

    • @Apeole
      @Apeole Год назад

      ​@@lhhxs 웃길려고 하는거지? ㅋㅋㅋ

    • @우리는깐부-i6z
      @우리는깐부-i6z Год назад

      @@lhhxs 태클 걸더라도 팩트 좀 들고 와서 해라 ㅋㅋ

  • @zanggun1982
    @zanggun1982 Год назад +228

    요즘 신축아파트가 더 약한듯... 층간소음.. 허..

    • @사자-m4d
      @사자-m4d Год назад

      그건아님 ㅋㅋ 그냥 신축에 애새끼 키우는 맘충이들이 애관리안해서 그런거임. 해운대 좌동에 층간 심한거보면 애가 있는지없는지 차이임 층간소음은 옛날아파트나 요즘아파트나 같습니다

    • @Illl1II1
      @Illl1II1 Год назад +11

      네 다음 LH

    • @user-uo5kr5hx4d
      @user-uo5kr5hx4d Год назад +3

      요즘 짓는아파트들 층간소음 거의없던데
      아예안나는건 아니지만 그정도야,,,
      아님 단독주택살아야죠ㅋ

    • @구름-f9j9f
      @구름-f9j9f Год назад +27

      3년된 더샵 윗집 핸폰알람진동 6시면 울림

    • @유니크-q7f
      @유니크-q7f Год назад +2

      ​@@구름-f9j9f 핸드폰이 좋아졌나봐요ㅋ

  • @바람솔솔-z2f
    @바람솔솔-z2f Год назад +302

    개인적으로 평생 꿈꾸던 집을 건축하기 위해 5년간 국내는 물론 외국 자료나 서적등을 공부 하며 꿈을 갖고 건축을 했는데
    대한민국 건축 시행사나 시공사 다 양아치들만 있어요 인테리어 업자들도 거의 사기꾼들만 여러군데 써봐도 정도의 차이이일뿐 그 나물에 그 밥입니다.
    또한 행정적으로도 많은게 필요하기에 관련 기관을 가도 참 한숨만 나옵니다 건축에 대해 법도 체계적이지 못하고 관련 공무원들도 각기 해석이 다 다름
    유럽의 이쁜 집들처럼 하려면 한국에선 정말 운이 따라야 합니다. 자기가 공부 해서 건축 설계및 자제 까지 다 수급후 인부만 쓰면 가능할겁니다(중국인 노동자 쓰지 마세요 진짜 눈에 안보이게 개 차반으로 해놓아요). 업체들은 다 양아치 깡패들 수준임

    • @비틀매니아-n3s
      @비틀매니아-n3s Год назад +9

      공부를 어디까지 하셨는지 의문이지만 보일러 배관만 해도
      100년가능한 동파이프 견적이 어느정도 될까요 거실창호
      하나만도 2~3천 짜리 쓰시는지요?
      b급 자제와 b급 인부 쓰시고
      돈은 적게들고 좋은 건물을 지으시겠다 가능합니까?
      그남아 양심있는 업자면
      최선을 다해 인건비만 남기고
      가성비로 해줄순 있겠죠
      일예로 골격이 전체공정에 40%정도고 인테리어가 50%들어가는데
      30평 아파트 인테리어하는 4~5천 쓰시고 공사가 제대로 되길바라는거
      자체가 에러죠 필름이나 부치고 파티션 나누고 중문 하나 달고
      화장실 타일에 조명도 기본적인거 들어가야 그단가에 가능합니다
      인부를 욕하기전에 마인드부터 바꾸세요 그럴듯 하게 지을순 있습니다 그렇다고 좋은 집은 아니죠
      그만큼 돈이 들어가는데 바가지 쒸운다고 그러면 뭘 어케하죠
      100년 사시려면 공구리도 최상급 쓰셔야 되고 창호도 시스템 창호에 그렇게 하셔야죠
      500짜리 몰딩쓰는 아파트 살면서
      바라는건 최상급이니

    • @irocks1110
      @irocks1110 Год назад +37

      ​@@비틀매니아-n3s 저분이 B급자재 B급인부써놓고 개차반으로 집짓더라는 얘기는 안했는데요? 도둑이 제발저리나보네요ㅋㅋ

    • @mira9693
      @mira9693 Год назад +3

      ​​​@@비틀매니아-n3s찔리시는갑죠? 개급발진이네요. ㅋㅋㅋ
      그럼 1억짜리 짓는데 100억쯤 써야하는갑죠??
      예를 들어 마티즈를 사려고 생각중인데 1억정도주면 좋은차 산단말쯤으로 들리네요.
      1억짜리집보다 수십조짜리가 더좋겠죠? 풉
      시스템창호보다 차라리 우주선 도킹용 수백억짜리 문짝 사용하면 방수 방진 내구성 모든게 더좋으니 그거 쓰자하시지 그래요? ㅋㅋㅋㅋㅋ
      돈더비싼거 사면 좋은지 누가모름? 그리공부를 얼마했냐는건 왜물어봄? 그저 자기집정도 지을 지식만 공부하면되는거아님? 깊이의 차이로 신분을 나눔?
      산업장비부터 차량부터 군용장비부터 캠핑카 요트제작 등등 제가 님보다 대학도 더존데 나오고 더많이 배우고 더잘알꺼같으니까 님은 앞으로 차도 타지말고 걸어다니셈
      이러면 기분안나쁘겠음? 하하하
      님의의 글을 읽어보니 더더욱 기준이나 정해진 금액이 아닌 부르는게 값이고 더좋게 할라믄 돈더내놔 심보인듯보이네요.
      자동차가격처럼 좋은차 안좋은차값이 옵션이나 등급에 따라 정해놔야 얼마를 쓰면 좋게 짓는건지조차 국내에는 기준이 없고 중구난방이예요.
      그러니까 이런결과가 나오는거죠 그리고 세상 사람모두 되도록이면 사기안맞고 돈적게 들여서 집을 짓든 물건을 사려합니다. ㅋㅋ
      그게 뭐가 잘못인거죠? 그게 불법인가요

    • @learnlkh1
      @learnlkh1 Год назад

      ​@@비틀매니아-n3s대충 벽돌로 쌓아서 시멘 발라도 100년은 가지 않냐? 돌대충 쌓아서 외벽 황토로 발라놔도 50년은 가겠구먼 쓰잘떼기없는 구성에 돈 들이 부겠지

    • @User-hbkksdbjhfvn
      @User-hbkksdbjhfvn Год назад +3

      대댓도 일리가 있는말이에요 가성비 찾는다며 정당한 값을 지불하려는 수준들이 없는데 양아치 업자가 횡횡하는 업계만 욕할순 없죠
      업체도 이윤은 남겨야할거 아니에요? 자재비에 태우던 공기를 줄이던 인부를 싸게 쓰던 이방향으로 줄이려고 하지

  • @ktypestartv4005
    @ktypestartv4005 Год назад +50

    80년대 이후에 만들어진 아파트는 골조는 반영구적입니다. 하지만 내부배관 문제 그리고 계속 건설을 해야하는 건설사입장때문에 계속 부시고 새로지어야 하죠.

    • @빨강-w6i
      @빨강-w6i Год назад +2

      맞아요. 오래됀 아파트가 수멍이 더 길죠 ~ 지금은 싸구려 자재를 쓰니까

    • @Exynos3
      @Exynos3 Год назад +3

      건알못인가 본데 배관은 매립형이라 수명이 최대 40년 밖에 안되요 그래서 정기적인 교체가 필요하고

  • @철탱크-f8b
    @철탱크-f8b Год назад +96

    쓰레기 시멘트 수명이 짧아요.
    시멘트 강도를 높여야 하는데 언제부터
    시행될지?
    정치인 놈들이 원인이다.

    • @AF-qk8ty
      @AF-qk8ty Год назад

      한국은 시멘트를 해외에 수출하는 국가야. 한국보다 높은 수준의 시멘트를 생산하는 국가 많지 않아.
      저 품질 시멘트는 경제발전시기 이야기고 90년대 이후로는 고품질의 시멘트가 사용됐어.

    • @Dongman-i5b
      @Dongman-i5b Год назад +5

      중국산 시멘트도 우리꺼보다 훨씬 깨끗하단다...

  • @제로스fld
    @제로스fld Год назад +23

    이래서 집 구조 변경하고 싶어도
    기둥이 없어서 벽을 부수지 못함.
    그리고 소리가 건물 전체를 울림.

    • @AF-qk8ty
      @AF-qk8ty Год назад

      모든 집을 기둥식 구조로 만들면 지금보다 분양가격이 50%오르고 집크기도 30%줄어들어.
      그거 감당 할 수 있어? 심지어 한국에서 고층 주상복합은 기둥식이야. 너는 그런 아파트를 구입 할 수 있어.

    • @AF-qk8ty
      @AF-qk8ty Год назад

      기둥식을 좋아하면 지금은 너에게 개꿀이야. 한국은 기둥식보다 벽체식이 훨씬 인기가 많거든 그래서 고층 주상복합을 제외하면 왠만하면 벽체식으로 만들고 거실에 기둥이 들어와있는 주상복합은 매매가가 그렇게 높지 않아.

    • @ssj3941
      @ssj3941 Год назад

      @@AF-qk8ty 헛소리하고있네 기둥식으로바꾸면 건축비용 15% 오른다 어디서 무슨 말도안되는 정보로 혼동시키냐 너 건설업자냐 ?

  • @eqirm
    @eqirm Год назад +389

    기둥식으로 법을 바꿔야 됨. 강제적으로

    • @philippe1200
      @philippe1200 Год назад +12

      이번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증명된건 벽식구조가 폭격에는 잘 견딘다는것..

    • @Sirowen01
      @Sirowen01 Год назад +35

      문제는 시공법을 법으로 정해버리면 더좋은 기술이 니왔을때 기술이 법을 못따라가는 상황이 나옴.
      차라리 법적으로 층간소름기준치와 내구성테스트 그리고 부실공사시 발생하는 책임소재에 건설자의 시공리스크를 올려버리는게 맞음.
      반쯤 강제해서 문제생긴게 인터넷쪽은 activex 라는 문제도있었는데 그거생각하면 특정기술을 법제화하는건 리스크가큼

    • @자별-w9v
      @자별-w9v Год назад +6

      @@Sirowen01 콘크리트 벽식 구조를 못하게 하는 방법도 있죠. 적어도 구식기술은 도태시키는게 맞습니다.

    • @Sirowen01
      @Sirowen01 Год назад +5

      @@자별-w9v 측정 기술자체를 금지화한다는것 자체가 일단 그것만 막겠다는 주먹구구식 법제화란 얘기임.
      추후 법을 뜯어고칠땐 그것보다 더 많은 행정력과 소모값이 발생한다는거고 그만큼 법은 정교하고도 심플하게 만들어야한다는거임.
      주먹구구식 법제화의 가장 대표로 볼수있는게 민식이법하고 청소년 셧다운제인데 결국 셧다운제로 얘기들면 청소년 셧다운제는 국내게임사들에게만 적용되고 해외게임사에는 적용안되서 결국 국내게임사업에만 타격주는 이상한 결과가 나와버림.
      즉 a만 막으면 되겠지라는 접근은 방금같은 사례만 나오니 원인파악을 똑바로하고 거기에 맞게 처리해야지 xx시공법이 문제니 그거만 금지하면 되겠군 같은 1차원적인 접근하면 엉뚱한 피해만 낳음

    • @자별-w9v
      @자별-w9v Год назад +1

      @@Sirowen01 그를 기반으로 한 신기술이 나오면 그때 받아들이면 됩니다. 애초에 건축은 안전성이 매우 중요해서 포지티브규제로 가고 있습니다. 그 포지티브 영역에서 하나를 빼는 형식의 규제기 때문에 네거티브규제의 상황과는 다릅니다. 처음부터 기술하나를 빼냐마냐를 쉽게 할수 있게 만든 법이에요.
      민식이법도 상황이 많이 다른데 기존의 법률범위에서 무죄인 경우는 민식이법에 저촉되지 않습니다. 기존의 교통법규 위반자를 스쿨존이라면 가중처벌한다는 내용이 끝이에요. 물론 단순히 구두경고나 대충 봐주고 넘어가던 위반 사항도 실질적 처벌이 이뤄진다는 점에서 다른점이 있지만 그래도 범법자는 범법자입니다.

  • @cantabile9977
    @cantabile9977 Год назад +107

    옛날 아파트가 더 튼튼함
    리모델링하면서 벽 시멘트가 얼마나
    튼튼한지 눈으로 목격!
    앞으로 30년은 갈 것 같음

    • @구피-m9c
      @구피-m9c Год назад +1

      지랄 좀 하지마라 ㅋㅋㅋㅋㅋ
      옛말 아파트가 더 튼튼하다 ㅇㅈㄹ 하고 있네

    • @yeongsikyi4743
      @yeongsikyi4743 Год назад +2

      글쎄요..

    • @cmi8454
      @cmi8454 Год назад +15

      신축 구축 가보면
      확실히 구축이 야무지죠

    • @DiGIMon74
      @DiGIMon74 Год назад +2

      ​@@cmi8454 콘크리트는 100년이상 계속해서 강도가 올라가요. 그것때문에 구축 벽이 더 튼튼하구요

    • @이름-c1g
      @이름-c1g Год назад +4

      벽은 튼튼한데 수도관이랑 전기계량쪽이 못 버틸듯 ㅠ

  • @JW-7
    @JW-7 Год назад +229

    그러고보니 부산에서 가장 잘 지었다고 정평이 나 있던 부산 삼익아파트도 오래되었다는 이유로 허물고 새로 고층 아파트를 짓는다는군요. 아파트 제대로 짓던 건설사들(우방 청구 삼익 등등)은 IMF 때 다 망하고 부영 등등 요런 부실시공사들이 판치니 참,,,

    • @천부님
      @천부님 Год назад +17

      어영부영

    • @donguklee1003
      @donguklee1003 Год назад +3

      삼익어디아파트가 재건축해요 ?아직 재건축하는아파트없어요

    • @JW-7
      @JW-7 Год назад +10

      @@donguklee1003 부산삼익 재건축 구글에 치면 삼익비치아파트 재건축조합 홈페이지도 나오던데요?

    • @user-99hgcx457hg
      @user-99hgcx457hg Год назад +2

      재건축 해야 업자도 입주자도 돈이 되니깐...

    • @강태공-l6y
      @강태공-l6y Год назад +14

      삼익아파트 배관공사하러 갔었는데
      배관도 허름하고 건물도 노후된거 맞음
      중앙난방식인데 건물지하 똥물고여있음
      또 바닷가에 있어서 태풍때 바닷물이 건물을 덮침

  • @BKK4980
    @BKK4980 Год назад +2

    외국 아파트 살아보니 좋더라 왜 느리게 짓는지 알정도로 층간소음을 겪어보질 못함

  • @appleapple3205
    @appleapple3205 Год назад +11

    철근빼고
    저질자재쓰고
    돈만처머글려는
    건설사기때문
    강도높은형사처벌로개선해야

  • @moolnetkim7994
    @moolnetkim7994 Год назад +101

    인구감소로 나중에는 재건축 힘든 아파트가 많아지고 낡은 아파트들은 빈집이 많아질 겁니다.지방 대도시는 벌써 완공후 비싼 가격때문에 비어 있는 아파트가 꽤 있을 정도로 집이 남아돌기 시작함.수도권도 인구가 줄면 빈집이 생기기 시작할 겁니다.

    • @user-uo5kr5hx4d
      @user-uo5kr5hx4d Год назад +4

      그때까지 집안사고 버티시게요?
      저는그냥 내집에서 편히살랍니다
      전월세 만기날 다가오면 집주인전화에,ㅎㄷㄷ하기싫네요ㅋ

    • @sealjune
      @sealjune Год назад +2

      도시집중, 수명 연장, 외국 이민자 증가 등등
      그 반대 요소도 만만찮음
      희망고문 하지말고
      최대한 빨리 집 사서
      하루라도 편하게 사세요

    • @user-uo5kr5hx4d
      @user-uo5kr5hx4d Год назад +1

      @@dfajfwief 님말대로27년이라 칩시다 네네ㅋㅋ 27년후에 지금과 자신이똑같다고 생각하면 그럴수도있겠네요ㅋ 아숩네요 사고방식이

    • @user-uo5kr5hx4d
      @user-uo5kr5hx4d Год назад

      @@dfajfwief 네네 거기서 잘ㅈㅣ내시구요 이래나저래나 전 한국이 돈벌기도 살기도좋네요

    • @user-it4my7gs9y
      @user-it4my7gs9y Год назад +7

      지금도 수도권에 빈집 많아. 오래된 연립 다세대 같은데는 비어있는데 많다고. 건물이 통채로 비는 경우가 별로 없어서 빈집이 별로 안보이는거지 옥탑이나 지하같은 경우는 비워논지 한참인 곳 허다해.

  • @PVICOSTan
    @PVICOSTan Год назад +54

    가장큰문제가... 자동차 는 미래로 갈수록 , 더 튼튼해지기 위해 엔진 실린더 벽 두께나 로어암 두께 , 스테빌라이저 링크개수의 추가, 피스톤 강도 강화 , 외판 강성 강화,타이어 트레드 는 말도안되게 넓어지는등 더 두꺼워지고 튼튼해지고 견고해지는데
    건축은 카큘레이터 계산상 이정도면 건물을 유지할수있다는 괴변으로 기둥두께,철근수,슬라브두께 가 점점 얇아지는중임... 즉 계산기술을 발달하는중일지 몰라도 건축기술 자체는 아이러니하게도 역행하는중이라는것.
    층간소음통과규정도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계산하는건지...타이어 나 고무공 충격 장치같은 장난감으로 소음규제dB를 정할것이아니라 금속망치 나 세탁기, 청소기 같은 실생활에 쓰이는 방법으로 소음을 측정하고 특히나 더 엄선해서 규정을 정해야하는데 에휴... 지금 원룸들이나 모듈형 아파트(원룸투룸 위주 아파트) 들 가벽 이나 천장 슬라브 두께치수를 보면 정말 얼척이없습니다. 이딴 치수로 지을거면 비브라늄으로 만들던가 ㅋㅋ(고오급농담)

    • @nwnwnwn
      @nwnwnwn Год назад +4

      자동차도 똑같아요. 옛날분들이 각벤쓰가 짱이라고 말하시는것도 진짜로 벤츠가 80~90년대에 잘 만들었기 때문이죠. 지금도 그시대 벤츠는 잘 굴러가고 지금나오는 벤츠보다 백만키로는 더탈수 있을껄요.

    • @zzkl444
      @zzkl444 Год назад +5

      한국 건설사들의 독과점도 한몫 했다고 봐요 차라는건 수입해서 경쟁을 하는 구도 아파트도 외국 건설사들이 한국에 와 주면 달라질지도 😊

  • @가즈아-n5j
    @가즈아-n5j Год назад +23

    그런것도 있고 공사를 너무 날림으로 지어서그래요. 콘크리트붓고 제대로 굳는시간이 2주인데 그거 기다리기 싫어서 대충 일주일지나고 또 붓고 추운날은 더 오래 굳혀야하는데 또 대충 붓고 그러니 부실공사가 나는거임

  • @benhurTVnBike
    @benhurTVnBike Год назад +4

    수명 긴 아파트를 지어야하는 고민을 이제 해야 하는게 아니고 당연히 그래야 되는데 부패공화국에 살다보니 당연히 수명이 짧아야 하는걸로 알고 있으니...이 고정관념도 부패때문에 만들어졌으니 누굴 탓하리~~~

  • @Minjroorayo
    @Minjroorayo Год назад +4

    저희 가족중한명이 시멘트회사에서
    평생직을 했는데요
    시멘트에 장난질을 옛날부터
    그렇게 했었다고합니다
    그러니 신축건물들 가봐도
    화장실에 줄눈들이 공갈빵처럼 부서지는것

  • @user-iq9kz1ep2w
    @user-iq9kz1ep2w Год назад +29

    이야 아주 지금 필요하시기에 나온 이야기인걸 같습니다 .진짜 우리나라 아파트 개판입니다 .하자보수는 기본이고 벽지 샷시 문 바닥 어느하나 잘 되어 있는 아파트가 없습니다 .어떻게 세계적으로 건물을 짓을수 있는지 신기하네요

    • @CH_Sudal
      @CH_Sudal Год назад +7

      감리 차이 ㅋㅋㅋ

    • @justinfire6630
      @justinfire6630 Год назад +3

      기술이 없는 건 아니죠. 외국에 건물 지을 땐 좋은 자재로 잘 짓고, 국내에서는 단가 후려쳐 하청에 재하청에 결국 업체 끼리 이익 나눠먹고 공기 줄이기 위해 싼 자재로 뻘리빨리 후다닥...겨울에도 공사 강핼하는 쓰레기 건설업계죠.

  • @박정헌-z6x
    @박정헌-z6x Год назад +19

    저품질 콘크리트로 타설하고 하루도 안되서 거푸집 해체해버립니다.양생도 안된 상태서 거푸집 해체해버리니 죄다 구멍 송송 나있고 그걸 저품질 콘크리트보다 더 저품질로 땜빵하니 고품질 아파트가 나올리가 없죠ㅋ

  • @리니지-x6c
    @리니지-x6c Год назад +225

    프랑스 아파트 사는데 50년 좀 안되었는데
    궁전같습니다
    그리고 매분기 외관조경 청소해서
    새아파트같습니다
    내부는 엔틱과 심플이 공전해 시세도 계속 오릅니다
    그리고 천장이 높아 공기도 좋구요

  • @user-big.rich.o.g.s
    @user-big.rich.o.g.s Год назад +1

    안돼~!!
    빨리빨리 계속 부수고 새로 지어야 건설사가 돈 되고, 경제는 잘 돌아가고, 투기꾼들 소비로 내수가 살아난단말이야! 흠....ㅠ.ㅠ

  • @stom1004
    @stom1004 Год назад +4

    다 맞는 말 임.. 불량 콘크리트도..
    글고, 오래 갈수있는데도
    투기꾼들이 재건축으로 새로 지어야해서임.

  • @유효-f8l
    @유효-f8l Год назад +238

    우리나라도 아파트 부수지말고
    전기 상하수도 밖으로 빼내서
    설치하고 계속 사용하는것이
    자원낭비 막고 지구를 살리는
    길입니다☆☆☆☆☆

    • @Gbagen
      @Gbagen Год назад +5

      지구 살리는건 내 알빠아니고 싸고 깨끗한 아파트가 짱

    • @천부님
      @천부님 Год назад

      ​@@Gbagen 에라이 니미럴..

    • @웅쓰-s7l
      @웅쓰-s7l Год назад +22

      ​@@Gbagen 싸고 더러운 아파트
      비싸고 깨끗한 아파트 밖에 없음
      니가 바라는 아파트는 꿈에서 찾으셈

    • @Johyeongjin
      @Johyeongjin Год назад +19

      @@Gbagen 잼민이인가? ㅋㅋㅋ 말하는게 완전 지만 아는 촉법소년 같이 말하네? ㅋㅋㅋㅋ

    • @용임김-o6r
      @용임김-o6r Год назад +1

      지구까지 생각하는 그대가 진정한 애국자

  • @dddaaayyy1599
    @dddaaayyy1599 Год назад +205

    20대때 80년대에 지어진 아파트에서 살았는데 위층에서 춤추고 노래불러도 아무 이상 없었음.

    • @제이더블유-h8b
      @제이더블유-h8b Год назад +36

      진짜 민주사회에서 가짜 민주사회의 차이죠
      진짜 국민을 위했던 시절 6.7.80년대 진짜 민주사회

    • @khyuna333
      @khyuna333 Год назад

      ​​@@제이더블유-h8b
      정신 나갔나봐
      이승만 왕조독재체제
      박정희전두환 군사독재체재

    • @강단아-t8i
      @강단아-t8i Год назад +14

      로비하느라 빼먹는게 결과를 만들지

    • @fed.5
      @fed.5 Год назад +27

      ​@@제이더블유-h8b그시절처럼 국민의 기본권 마저
      제한을 당해도 괜찮단 소리인가요?

    • @infj6668
      @infj6668 Год назад +30

      ​@@제이더블유-h8b 북한이나 중국 가서사세요 거기도 그때랑비슷하니

  • @seoklee5458
    @seoklee5458 Год назад +15

    아파트에 목숨거는게 25년전부터 이해가 안가고 지금도 안감...그냥 보급용 주거시설이 언제부터 고급주거 시설?

    • @pAO29Ex
      @pAO29Ex Год назад +2

      고급이 아닌 폐급 시설인데 헬조선 인구밀도 헬이라 비싼거죠

    • @seoklee5458
      @seoklee5458 Год назад +5

      @@pAO29Ex 그말도 맞는말이고 광고와 미디어매체물로 세뇌시킨게 상당히 크더군요...그것도 모르고 사람들은 망상에 빠져살아서 나라가 이모양이라...

    • @사자-m4d
      @사자-m4d Год назад

      25년전부터 이해안갔으면 적어도 부동산사이클은 못탔겠네.. 97년도에 아파트삿으면 최소 20배는 올랐을탠데

    • @크리스티안나
      @크리스티안나 Год назад +1

      그쵸 스팸을 진짜 고기보다 더 돈주고 사먹는 나라인데 외국인들 입장에선 기괴하죠

  • @cjmoon4880
    @cjmoon4880 Год назад +1

    외국에 오래 살면서 여러나라 아파트에 살아봤지만 일본 제외하곤 우리나라아파트가 젤 쓰레기같이 지었어요.

  • @재건김-o7y
    @재건김-o7y Год назад +5

    한국 건설사는 사람들이 오래오래 살수있도록 지어주는곳이 아닙니다. 값싼 재료로 많은 이익이 창출되도록 짓는게 궁극적인 목적이기 때문에 안전하고 튼튼하고 아름다운 건축은 기대하지마세요

  • @건주건주
    @건주건주 Год назад +23

    건설사들 너무 국민호구잡는 느낌은 어찌할수없는데 인구감소로 너희에게 역풍이오고있단다

  • @boramlee6816
    @boramlee6816 Год назад +8

    울 엄마 건축에 대해 1도 모르는데 유럽여행 생에 처음 다녀오더니 유럽건물보다가 우리나라 건물은 다 날림공사같다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맞는 말이었다니

  • @리마스터-h5m
    @리마스터-h5m Год назад +3

    이제 아파트건설 기준이 바뀌어야 합니다 적극공감합니다 아파트수명에 비해 가격은 극악이죠 기둥식 공법으로 법계정이 이뤄져야합니다

  • @alexkim4954
    @alexkim4954 Год назад +6

    가져오신 자료가 좀 모호한부분이 있습니다. 수명이라고 가져온 것은 교체수명, 건물의 수명이 다된것이 아니라 신축으로 교체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가져오셨네요, 벽식구조여도 외부로 배관이나 배선을 노출하지 않도록 별도의 공간이 있으며, 배선 배관을 크게 어려움 없이 교체할 수 있습니다.

  • @mon_ppl1
    @mon_ppl1 Год назад +20

    아파트 수명도 벽식구조가 문제군요. 층간소음도 벽식구조때문이라던데

  • @더나은미디어
    @더나은미디어 Год назад +68

    21년차 전문 기술직으로 업무상 건설현장을 자주 가는데, 대한민국에 정상적인 품질의 건물이 하나라도 있을까~ 하는 생각을 정말 많이 합니다.

    • @빨강-w6i
      @빨강-w6i Год назад +1

      대충 만들어도 팔리는게.. 문제
      언론들이 이렇게 무섭다

  • @jeronimomartinez5087
    @jeronimomartinez5087 Год назад +10

    멕시코에 살고 있다만 기둥식이 확실히 훨 좋음. 아파트 안에 구조도 내맘대로 바꿀 수 있는것도 장점임.

  • @startrek4263
    @startrek4263 Год назад +1

    수명이 27년밖에 안되는 아파트를, 분양할 때 가격보다 비싸게 사는 것이 곰곰히 생각해보면 미친 짓이죠.😅

  • @Han.s_K
    @Han.s_K Год назад +37

    아니요 필요없습니다.
    이제 줄어드는 인구에 맞춰 노후화된 아파트를 때려부수고 거기에 4~5층의 낮은 아파트나, 단독주택들을 지어야합니다

    • @topsek7898
      @topsek7898 Год назад +1

      돈은요? ㅡㅡ 20가구사는아파트 부수고 그돈4명이감당가능하나요?

    • @모쥬니
      @모쥬니 Год назад +2

      ​@@topsek7898 그때는 아파트가 똥값되니 헐값에 매수가능항듯

    • @아리-g3v
      @아리-g3v Год назад +1

      ​@@topsek7898 지방쪽은 인구빠지면 충분히 할수있죠 들어올사람이 없는데 헐값에 줘야겠죠

    • @chyada9347
      @chyada9347 Год назад +2

      @@아리-g3v 인구가 아무리 빠져도 그정도는 아님..이 사람 시골땅값보면 놀라 자빠질듯

    • @아리-g3v
      @아리-g3v Год назад +6

      @@chyada9347 가장큰 지방 대도시입 부산조차 현재 20년동안 50만이 넘게 줄어들었고 점점 가속화 되고있어서 매년 2프로씩 감소해서 2030년에는 30년전보다 80만이 줄어든고해요 부산조차 인구가 30년동안 무려 4분1 약 25프로가 감소하는데 다른 광역시들 또한 마찬가지이미 지금 부모세대 40대 50대 분들이 돌아가시는 시기에는 인구의 반이 감소합니다 님이 생각 한것보다 저출산이 심각해요 2000년대 수능 응시자수가 80만 그이후 현재는 40만인거 생각 해보면 말도 안되는 감소 속도를 격고 있죠 앞으로 30년후 현재인구 40프로가 줄어들면 그때는 서울빼고는 땅이 남아돌지 않겠나요?

  • @Mr-hn4il
    @Mr-hn4il Год назад +25

    앞으로는 아파트 성능좋고 많은 인원 수용 가능하고 반영구적으로 쓸 수 있는 아파트를 만들어야 한다.

    • @AF-qk8ty
      @AF-qk8ty Год назад

      그걸 누구도 바라지 않아.
      기둥식으로 만들면 거실에 큰 기둥이 들어와야하고 전용면적에서 손해를 보는데 그런 집은
      한국에서는 "거실모양이 그지 같이 빠진 집"이라고 말해."
      그리고 이미 한국에서 고층 주상복합아파트들은 대부분이 기둥식이야.
      원래 기둥식이 훨씬 건설비가 비싸지만 한국에서는 인기가 없어서 매매가가 낮다는 걸 알 수 있을거야.
      너가 기둥식집을 원한다면 기둥식 집을 구입하면 되는거야.

    • @AF-qk8ty
      @AF-qk8ty Год назад

      왜 한국에 초고급 아파트들을 벽체로 짓겠냐. 그걸 사람들이 원하니까. 그러는거야.
      기둥식을 하면 안산다니까. 한국에서 누구도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아파트를 원하지 않아.
      하다 못해 세입자도 거실에 ㅈㄴ큰 기둥이 있어서 쇼파 놓기도 애매한 ㅈ같은 아파트보다는 사각형의 딱 떨어진 벽식구조를 원해.

    • @ssj3941
      @ssj3941 Год назад

      @@AF-qk8ty ㅋㅋㅋ 뭔 헛소리냐 기둥식을안사는건 못배운 시절의 소비자들이고 지금은 층간소음 그리고 기둥식구조가 벽식구조에비해 수명이 3배 가까이 높은 장점들이 있고 이런 지식이 퍼지면서 고객 수요가 바뀌어가는데 지혼자만 엣날 못배운 소비자 대비로 분석하고 있냐 트랜드가 바뀐것좀 반영해라

    • @CrayonPop2
      @CrayonPop2 Год назад

      ​​​@@ssj3941니가 헛소리 하고있는거지
      집안에 각종 가전제품 넣어야 하는데 기둥이 떡하니 박혀있으면 반길거임?ㅋ
      일반적인 가정집 거실을 생각해봐 한가운데 식탁놓는자라에 기둥하나 떡 하고 세워져있으면 반길거임? ㅋㅋ
      기둥식이 사라진 이유가 정말로 저거 맞다 ㅋㅋ
      지금이라도 기둥식을 짓는다? 집안에 기둥이 최소 2개는 들어가야 30평형을 지지하는데
      너부터 구매할생각 있음?ㅋ 가구배치가 불편해서 너도 싫어한다 ㅋㅋ
      옷장 안넣을거야?ㅋㅋ 애들을 위해 사각형의 책상, 침대 안넣을거야?ㅋㅋ 근데 기둥에 걸리니깐 가구 싹다 바꾸려고? ㅋㅋ
      왜 못배워서 하나만 생각하고 둘은 생각못하니~

  • @모두내친구
    @모두내친구 Год назад +1

    콘크리트질이 안좋은게 아니라
    일부러 안좋게 만든다가 정답.
    4~50년 전에는 좋았던게 점점나빠진건 건설회사의 꼼수

  • @파송송오구탁
    @파송송오구탁 Год назад +3

    건설사들이 재료비 아끼고 한 층이라도 더 늘리기위해 층간 공간을 얇게해서 사회문제도 만들었죠

  • @Ninelab
    @Ninelab Год назад +33

    외국8년 유학하고 일도하다 한국와보니 아파트가 인형의 집같았음(나름 브랜드 아파트인데도)문도 가볍고 천장도 낮고

  • @wf9ss
    @wf9ss Год назад +4

    그동안 궁금했지만 찾아보기 어려운 문제를 명쾌하게 설면해주셨네요
    저도 동감입니다 좀 늦은 감이 있지만

  • @yunkim9320
    @yunkim9320 Год назад +9

    지금도 대단지 아파트가 새로 신축되고
    재건축도 줄서 있죠....
    향후 30년... 대도시 아파트 들은
    거대 슬럼가가 될것입니다.
    대비는 없습니다

    • @naeiouy
      @naeiouy Год назад

      대도시는 그래도 어찌저찌 신축아파트는 채움 구축들이 문제

  • @bullred1673
    @bullred1673 Год назад +1

    97년준공 울아파트 샤시 공사하는데 기존 샤시 뜯으니까 콘크리트 포대로 쑤셔넣어서 공간 채워 놨더라 ㅋㅋㅋ 기겁함

  • @군사왕
    @군사왕 Год назад +3

    27년 아니에요. 건설사들과 집값 올려 돈 벌려고 하는 인간들이 서로 하나가 되어 아파트리모델링 하려고 하고, 재건축 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아파트 1기 신도시 같은 경우 30년이 아직 안되었는데, 아파트리모델링 하고, 재건축 추진한다고 합니다. 노후화 되었지만, 즉 금도 가고 하였지만, 아파트는 무너지지 않습니다. 즉 사람 살기에는 안전에 아무 무리 없다는 겁니다. 말 그대로 건설사들 돈 벌고, 집값 올려 돈 벌려고 하기 때문에 아파트리모델링, 재건축하는 겁니다. 정치인들은 건설사들로 부터 돈 받아 쳐 먹고, 그래서 이런 규제를 완화하는 겁니다. 결국 억 단위의 분담금을 낼 수 없는 사람들만 강제로 내쫓겨 나가는 것으로 아파트리모델링은 없애고, 재건축은 50년 이상이 되었을 때 추진해야 합니다.

  • @kisssix1
    @kisssix1 Год назад +4

    그런 고민들은 국민들만할뿐..
    국회의원들과 건설사들은 콧방귀도 안낀다는거...

  • @separk906
    @separk906 Год назад +5

    가장 큰 이유는 부동산 가치의 급격한 상승입니다.
    부수고 지으면 더 돈 많이 벌고
    그게 건설사 뿐 아니라 사람들 인식이 그렇게 생겼습니다.
    현재 재건축에 돈이 미친듯이 몰렸다가
    인구 감소 시작되니 시장이 패닉이 되는 거죠
    공사품질 문제는 건설사도 문제 많지만
    빨리빨리를 외치는 시장의 문제도 큽니다

  • @hjw332
    @hjw332 Год назад +4

    이게 단순히 한두개의 문제가 아님.
    근본적으로 올라가면 우리나라 자체의 환경,즉 시스템 자체가 문제여서 그런건데 암튼 건설판 자체가 구조적으로 문제가 많음.
    더 문제는 그게 바뀌질 않는다는거

  • @인내와감사
    @인내와감사 Год назад +4

    벽식구조와 층간 두께를 건설사에서 돈을 빼 먹느라.. 허술하게 짓는게 문제입니다. 살인을 불려 일으키는 층간소음을 줄이고 사건사고를 줄이기 위해서 층간두께와 기둥식 건설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싯점입니다~ 이제는 튼튼하고 똑똑한 건설이 필요합니다~

  • @준윤튜브
    @준윤튜브 Год назад +1

    5085만명에서 5000만으로 떨어지는 인구 그래프를 저런식으로 급격하게 떨어지게 만든건 그래프로 구라치는거나 마찬가지야!!

  • @neoaeo
    @neoaeo Год назад +51

    시멘트에 쓰레기 넣어 태우는데 품질이 좋을리가 .

  • @daehanminkuksaram
    @daehanminkuksaram Год назад +13

    시멘트 수출용은 품질 좋게 만들고 내수용만 이상한거 쓰겠죠.

  • @유빈신-c9x
    @유빈신-c9x Год назад +144

    진짜 이유 국가공무원 국개의원들 뒷주머니 건설사가 주니까 계속 지어야지 ㅎ

  • @바람-d2h
    @바람-d2h Год назад +1

    어리석은 소비자들
    한국인들 겉 멋에 환장하니
    기업들의 꼼수에 넘어가지...

  • @bokdibokdi5719
    @bokdibokdi5719 Год назад +63

    원가 한집당 32평 기준 3천400만원 ㅋㅋ 이거 건설회사 다니는 삼촌이 말해줌. 진짜 원가 싸다고

    • @agora9858
      @agora9858 Год назад +5

      지방은 그 가격이면 지을겁니다...

    • @jamiana87
      @jamiana87 Год назад +9

      건축비만 따져도 평당100으로 텅 빈 깡통 공장도 못지어요.. 어느나라 건설회사 다니시는지?

    • @yetubaba792
      @yetubaba792 Год назад +5

      가장 기본 인테리어만 해도 평당 250 넘어요.

    • @greentea9938
      @greentea9938 Год назад +8

      여기 반박하시는분들은 어디 건설회사 다닙니까?

    • @castlep7570
      @castlep7570 Год назад +7

      ​@@greentea9938 반박하는사람이 건설사 사람이라기엔 실제 건설사 영업이익률이 5퍼를 못넘음.
      땅값. 금융비용. 인건비 엄청남. 머 하청받아 작업하는 회사야 그 원자재 가격 밖에 안보이겠지만

  • @aslkjdflasjdf
    @aslkjdflasjdf Год назад +8

    이제 인구가 계속 주는데 수명도 짧은 아파트 말고 100년 이상 가는 단독 주택 단지를 많이 지어야 한다.

    • @ewftwmj
      @ewftwmj Год назад

      그건 힘들겁니다
      EBS나 KBS에 주택 짓고 사는 얘기
      다룬 교양프로들 댓글 한번 보세요
      건축비 비싸느니,계단이 가팔라 무릎도가니
      나간다느니,유지보수 힘들다느니,
      벌레 꼬인다느니.. 암튼 아파트,빌라러들이
      아주 비난폭격을 해댑니다
      한국인들 절대과반수 이상이 아파트
      좋아하고 돈 모자르면 빌라 삽니다
      정부,건설사,지자체만 탓할게
      아니라 그 시스템을 지지하고
      소비하는 국민들이 이 상황을 만든거라
      봅니다
      비리대통령만 비난하면 해결되나요?
      그를 뽑은 국인들은 잘못이 없나요?

    • @gman1968
      @gman1968 Год назад

      ​@@ewftwmj아니 다른걸 떠나 단독주택에 어떻게살거임...엄청 멀리살던가 엄청 비싸게 살아야하는데 자신있음?
      오히려 단독주택 살기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경쟁자없는 지금이 훨씬 편할것같은데

  • @DALBAAAM
    @DALBAAAM Год назад +9

    예전 아파트 공중에 나무가 30cm 떠있는 찐탱 마루바닥이라 층간소음 강했음 예전에 맨날 책상위에서 뛰어내려도 밑에집 아줌마 올라오는거 본적 없음

  • @묵향-l6e
    @묵향-l6e Год назад +4

    기둥식 아파트만 있는 유럽에서는 층간소음 모르고 사는데 한국아파트만 층간소음 대박임

  • @michaelkoo3365
    @michaelkoo3365 Год назад +1

    계속 부동산으로 해먹어야 일부러 그렇게 건축 ㅠ.ㅜ 경제도 중요하지만 집으로 돈 버는 구조는 끝없는 금융노예화 구조로 다양한 산업발전에 악영향을 줍니다. 부동산으로 이자 지출로 소비가 줄고 평생 빚노예로 살아가다 힘든 시기가 올 경우 끝없는 악순환에 빠지는 구조적인 문제 ㅠ.ㅜ

  • @이해요
    @이해요 Год назад +15

    한국 아파트의 수명은 플라스틱 관에 달려있다는..현실

  • @꽁순꽁냥
    @꽁순꽁냥 Год назад +23

    알면서도 눈감아줌...다 짜고 치는 고스톱이니까..

  • @graciousdignity7547
    @graciousdignity7547 Год назад +5

    대한민국이 진정 선진국이 아닌 이유네요 겉만 따라하려는 것만 잘하네요

  • @phssky77
    @phssky77 Год назад +1

    이제는 좀 아파트가 편하다 어쩐다 보다 질을 좀 생각하자.. 몇십년을 속고살고있니.. 공중에 붕떠있는 곳에서 살기싫다.진짜..

  • @gorgopaide8041
    @gorgopaide8041 Год назад +8

    옜날이야 그렇지만 지금은...?
    결국 그냥 돈벌려고 싸구려 공법 쓰는것임..
    층간 소음은 덤이고.. 그리고 노가다 한번이라도 반년정도만 뛰어 본 사람이면
    얼마나 후지게 짓는지 알 수 있음..
    진짜 더럽게 개판으로 지음.. 그리고 마감은 깔끔하게..ㅋㅋㅋ

  • @eiminw9102
    @eiminw9102 Год назад +48

    한국맨션(아파트)을 일본과 비교하면,
    한국은 성녕갑 같이 얇고 기초공사가 글쎄?
    그런데, 가격은 배나 더 비싸서 놀랬고,
    한국맨션값이 30억짜리라고 하는데,
    화장실에 퐨설비가 없어, 지은지 5년됐다는
    화장실에 곰팡이 냄새가 나는것이
    너무 놀라웠습니다.
    한국 사람들은 언제라야 깨닳을까 했는데,
    이런 지적을 하는 분이 계서서 참 다행 입니다.

    • @vincentr6567
      @vincentr6567 Год назад

      깨닳을까x 깨달을까o

    • @CH_Sudal
      @CH_Sudal Год назад +1

      환풍기 말하는 거임? 환풍기는 다 있는데

    • @QWER-wv5kn
      @QWER-wv5kn Год назад +4

      일뽕 심각하시네 😂😂😂 ㅋㅋㅋㅋ 목조주택보다는 튼튼하니까 걱정하지마쇼 😅

    • @oshin4245
      @oshin4245 Год назад +2

      이새기 니뽕인이고만ㅋㅋㅋ
      겨울에춥고 여름에 더운 니뽕집ㅋㅋㅋ

    • @QWER-wv5kn
      @QWER-wv5kn Год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 일본집은 온돌도없는 쓰레기집 ㅋㅋ 텐트만도 못한 집이 많지요 ㅎㅎㅎ 겨울에는 집이 밖보다 더 추워요 ㅋㅋㅋㅋ 어느선진국집이 그렇게 춥냐 ? 일뽕병있으면 일본가서 살아라

  • @이응이응-x9c
    @이응이응-x9c Год назад +5

    강력 추천! 지극히 옳은 말씀이에요. :)

  • @kms5299
    @kms5299 Год назад +1

    그나마 헌아파트 허물고 새아파트 짓는것도 아파트 본체는 엉망진창이고 조경이나 커뮤니티 등 쓸데없는 외관에다 돈 처발라서
    가격이 평당5~6천씩 되게 만들어 놓음...
    게다가 아파트 내에서 상업시설 등 모든 생활이 가능하게 하니 다른 외부 상업시설은 장사도 잘안됨 .. 양극화가 극에 달하게 될듯..

  • @jskim8418
    @jskim8418 Год назад +1

    한국 여의도 주민…아파트가 50년이 넘어가랴는데 수명이 27년이라구요??😂😂😂😂재개발 나라서 못하게 하는데요???

  • @alexkim4954
    @alexkim4954 Год назад +4

    댓글을 보니 착각이 심각하신게 벽식이 기둥식에비해 공사비가 싼것도 아니거니와, 기둥식을 하면 벽이없는공간에 가벽을 세워 공간을 분리하게 되는데 이때 한국식난방은 매립식이라 나중에 공간을 변경하게 된다면 각 실별 온도제어가 불가합니다. 또한 기둥식이라하여 화장실 위치를 바꿀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결국 처음 지어진대로 살게되는건데 그렇게되면 기둥식을 할 필요가 없어요 벽식이여도 다 내진설계하고요.

  • @jacobin1632
    @jacobin1632 Год назад +6

    30년만 되면 멀쩡한 아파트도 재건축으로 돈 벌러고 때려부숨

  • @gabrielery
    @gabrielery Год назад +4

    전기나 특히 중앙 배관 문제 생기면 답 없음... 그냥 다 때려 부수고 다시 지어야함.... (전기는 수리가 좀 가능하긴 한데 중앙 배관은 진짜...............)

  • @tonyy2977
    @tonyy2977 Год назад +1

    부실공사가 제일 큰 원인이지..건축하는사람들도 건축업자들도 전문가의 마인드가 아니라 노가다의 마인드도 문제이고~

  • @yakishin1982
    @yakishin1982 Год назад +1

    건물 수명을 짧게만들어 일감을 늘리고 자원낭비를 하게 해야 건설업들이 폭리를 취할수 있는거죠.

  • @강원도-i4b
    @강원도-i4b Год назад +11

    정치자금, 언론광고료 어디서 나오겠습니까 국민들 호주머니털어먹는거죠

    • @빨강-w6i
      @빨강-w6i Год назад

      80%는 대기업 주머니 에서 나옴 ㅋ
      일반인들 세금은 안내도 돼는 돈임 ㅋ

  • @아이언그레이브
    @아이언그레이브 Год назад +29

    중요한사실 은 언급안햇네요. 지을때설계도와시공서 철근숫자가 다르다는거 크기도 갯수도 품질도 전부다르니까요.

  • @미련곰탱이-r5i
    @미련곰탱이-r5i Год назад +25

    배관이나 전시 설비 때문에 수명이 짧은 겁니다
    관리 잘하면 100년 갑니다
    그냥 새로 지을려고 하니까
    그른겁니다

    • @vincentr6567
      @vincentr6567 Год назад

      그른겁니다x 그런 겁니다o

  • @hermit3990
    @hermit3990 Год назад +1

    정말 물 안새는 아파트가 없고 하자없는 아파트도 없고.. 선분양이다보니 아파트가 원래 그런거다 그러면서 대충 하자보수해주면 딱히 방법도 없고..

  • @okyes6002
    @okyes6002 Год назад

    맞아요.
    배관을 새로 바꾸는 것이 용이하도록 지어야 합니다.
    그것만 해결하면 훨씬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부먹찍먹-q3o
    @부먹찍먹-q3o Год назад +38

    20년 후엔 대단지 아파트가 할렘가로 변할듯... 빈집이 늘면 밤에 위험해...

    • @mini01-n6i
      @mini01-n6i Год назад +3

      대구는 벌써 그런 아파트 있던데 몇가구 안살고

    • @rohyunahsuper
      @rohyunahsuper Год назад

      서을은 썩은 아파트가 부촌이 됨ㅋㅋㅋㅋㅋㅋ
      지방은 그냥 지방이니깐..

  • @jungsukkim5432
    @jungsukkim5432 Год назад +9

    요즘 고층아파트나 신도시는 용적률 배로 완화해도 재건축 사업성 안나옴. 단독. 다세대. 구 주공은 그나마 낮아서 높이 지으면 분양이 많이 되서 수익성이 좋지만.

    • @vincentr6567
      @vincentr6567 Год назад

      되서x 돼서o

    • @CH_Sudal
      @CH_Sudal Год назад

      낮은 집 다 높게 고치면 들어와 살 사람은 있나요??

  • @김석환-y7h
    @김석환-y7h Год назад +35

    세멘트 굳는데 50년 삮는데 50년
    제대로된 세멘트 사용하라

  • @장영수-q5d
    @장영수-q5d Год назад +3

    딴거 없고 부패해서 그럼. 그 부패를 알려야할 언론사들이 건설업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