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2024 줄다리기 국제 심포지엄-포용적인 사회를 위한 줄다리기의 역할을 논하다-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2024 줄다리기 국제 심포지엄
포용적인 사회를 위한 줄다리기의 역할을 논하다
캄보디아, 필리핀, 한국 그리고 베트남의 줄다리기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공동 등재된지 올해로 9년이 되었습니다.
공동체의 줄다리기 연행과 전승은 사회 내 통합과 포용을 위한 역할을 하며, 더 나아가 문화간 대화를 통해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다른 문화를 존중하는 법을 배우는 중요한 통로로 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인류의 공유 무형유산으로서 줄다리기는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사회 발전의 밑거름이며, 중요한 무형의 자산입니다.
올해는 코로나 이후 줄다리기를 공동 등재한 4개국의 공동체와 이해관계자들이 처음으로 모두 함께 모이는 뜻 깊은 시간을 갖고자합니다.
당진시와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줄다리기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아태지역의 그 동안의 줄다리기 보호를 위한 경험과 연구성과를 직접 들어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프로그램 안내
10:00- 개회식
10:20 - 기조발표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발전에 공유유산으로서 줄다리기의 가치와 의의
(응우엔 티 히엔 베트남 국립대학교 교수)
10:40-11:00 기념 촬영 및 휴식
11:00-12:20
제1세션 : 공동 등재 이후의 줄다리기 보호 현황과 과제
(좌장: 황지해, 국립문화재연구원 연구관)
발표 1
2024 한국 줄다리기 인류무형유산 등재 이후 활동 - 확산과 연대
(고대영 당진시 기지시줄다리기 학예연구사)
발표 2
포용적인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베트남 줄다리기의 가능성 모색
(레티민리 베트남문화유산연구진흥센터장)
발표 3
공유유산으로서 줄다리기 보호와 진흥을 위한 캄보디아의 역할
(시욘 소페아리스 캄보디아 문화예술부 차장)
발표 4
필리핀의 줄다리기 보호 현황과 전망
(르네 탈라베라 필리핀국가예술위원회 전통예술과장)
발표 5
일본의 전통 줄다리기의 현황과 그 상징적 의미
(쿠보타 히로미치 도쿄문화재연구소 무형민속문화재팀장)
12:20-12:40
질의응답
12:40-14:00
오찬
14:00-15:10
제2세션 : 포용적 사회를 향한 줄다리기의 새로운 가능성 모색
(좌장 : 오창현 국립목포대학교 교수)
발표 1
영월칡줄다리기의 실체와 체계적인 전승
(서종원 한국민속예술연구원 학술연구위원장)
발표 2
옥천 교평리 강줄당기기의 가치와 전승과제
(김은정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주임연구원)
발표 3
현대 중국의 줄다리기 현황과 그 의미
(리콴 쿠이 중국 스포츠박물관 교수)
발표 4
이시가키 섬 시카무라의 푸우리(추수 축제) 전통과 줄다리기
(모기 히토시 오키나와국립극장 연구원)
15:10-15:30
질의응답
15:30-15:50
휴식
15:50-17:00
특별토론
함께 만드는 포용적사회에 기여하는 줄다리기
(좌장 : 김형근 전북대학교 무형유산정보연구소 연구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