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를 확실히 이해한 사람들의 행동.. 1. 열심히 노동을 한다. =가치를 생산하기 위한 "자본"의 창출. 2. 자본을 심는다. =자본이 가치를 생산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한다. 3. 시스템이 새로운 자본을 낳는다. =가치에서 새로운 자본이 발생한다. 4. 열심히 노동했던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편하게 일하는 환경으로 바꿈. =일상이 여유로워짐. 5. 2~3번을 반복하여 자산을 낳는 자본을 많이 구성하기. 6. 부자가 되었다. 자본주의를 파악 못한 사람들의 행동.. 1. 저축만 한다. 2. 열심히 일하면 다 되는 줄 안다. 3. 내가 못사는 건 국가 탓이다. 4. 자본주의를 이해한 사람들을 보면 매우 억울해한다. 5. 열심히하는 것이 잘사는 것과 직결된다고 착각한다. 6. 내일이 없다. 7. 국가 복지 및 좌파적 망상 관념이 올바른 줄 착각한다. 8. 타인 혹은 국가가 자신을 키워주고 보호해주길 바라며 스스로 성취하려는 생각조차 없음. =그냥 넌 안 될 놈이다.
1, 2번은 맞는 말입니다. 그런데 3번은 이해가 잘 안되네요. (문자 그대로 제가 이해가 딸린다는 말입니다.) 공산주의든 자본주의든 열심히 할 수록 생산자의 이득이 늘어납니다. 단지 자본주의는 '본인'만 열심히 해도 늘어나는 반면, 공산주의는 '모두'라는 전제가 있습니다. 노력에 따는 보상이 자본주의가 1:1이라고 한다면, 공산주의는 1:1이 될 수가 없으니 결과적으로 자본주의가 더 많은 이득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틀린 것 나열 1. GDP, 수익은 생산(공급)에서 나오는게 아니라, 판매(수요)에서 나오는 것. 농사짓는 사람이 가끔 생산 잘해도 안팔리거나 팔아도 오히려 유통과정에서 손해가 날 경우 농사 망했다며 밭을 갈아엎는것도 이 때문. 미국 대공황, 서브프라임 모두 생산,공급은 높은데 노동자들이 돈이 없어 수요가 없으니... 빚지면서 투자는 많이 했음에도 수요가 없으니 못팔아 빚으로 망한 대표적인 경우임. (왜 빚이 문제인지 모른다면 기본적인 경제학 공부하시면 바로 알 수 있음.) 2. 자본의 공공화는 사회주의. 공산주의의 정의는 자본의 공공화가 아닌, '생산수단의 공공화'임. (이건 그냥 어디에든 검색해도 나오는 내용이니 확인해 보세요) 잉여가치론은 잘 설명 되어 있지만, 전제조건이 빠져 있음. 잉여소득 8만원을 정부가 가져간다고 하는데 왜 가져갈까요? 생산수단이 공공소유이니 그 수익도 노동자가 나눠 가져야 하는데? 그 공산주의의 전제조건은, 정부가 국민, 노동자의 소유여야 한다는 겁니다. 민주주의여야 한다는거죠. (소련, 북한, 중공 쉨들이 지들 민주주의라며 억지 개ㅈㄹ하는 이유) 그래야 그 잉여소득이, 소수의 지도자가 아닌, 국민에게 돌아갈테니까요. 이는 그냥 노동자가 불쌍해서가 아니라, 노동자가 당시에 생존에 필요 최저 임금만 받아 구매 능력이 떨어지게 되고, 소수의 자본가는 그 자본을 생산수단에 투자하여 독점, 더 큰 자본을 얻게되는 빈익빈 부익부가 극단으로 치닫을 경우... 결국 투자는 많아 생산은 많아지지만, 구매자이기도 한 노동층에서 구매가 줄어 결국 경제가 붕괴된다는 가설을 마르크스가 경고한거죠. (이게 대공황, 서브프라임, 그리고 인플레이션으로 실제 일어났죠. 해서 공산주의 이론을 받아들여, 대공황, 세계 2차대전 이후 수정자본주의가 나타난거죠. 재산세로 축적된 자본을 거두고, 이를 복지로 취약계층에게 나눠 자본의 재분배를 통해 노동자들의 최소한의 구매력을 유지함으로써 경제를 유지하려 한것... 그래도 문제는 꾸준히 생겼지만.) 이 해결 수단으로 생산수단의 소유를 막는, 공산주의를 제시한 것이구요. 참고로 마르크스는 사회주의자가 아니라, 대공황 이후 공산주의로 전환하는 혼돈기에 임시로 사회주의로 버틸거다라고 예상만 했을 뿐이지, 사회주의를 옹호하진 않음. 레닌은 그걸 실행하려다가 스탈린이 서기장일때 관료 수만명을 자기 부하로 인명후 정권을 장악, 이후 이름만 공산주의인 전체-사회주의를 통해 독재를 성공한것임. 실제로 당시 병들어 누운 레닌의 유언이 '스탈린만은 절대 자신의 후계자가 되어선 안된다' 였음. (미국에서 예전에 만든 '역사적 인물 랩배틀: 스탈린' 편에서 이걸 재밌게 묘사함ㅋㅋ) 솔직히 소련 3끼들이나 이후 자칭 공산주의라고 하는 빨갱이 3끼들은 진짜 공산주의자가 아님ㅋ 왜냐면 스탈린이 변질시켰거든요. 그 개쉑킷들이 주장하는 '인민 민주주의', '공산당'은 마르크스 공산주의와 관계를 비유 하자면 마치 기독교인척 하고, 믿으면 천국 보내준다면서 실제로는 노동캠프 보내서 교주 배채우는 사이비 교단 같은거. 3. 사회주의가 경쟁력을 약화시킨다는건 동의하나, 공산주의가 경쟁력을 약화시키진 않다고 생각함. 왜냐면 오히려 열심히 일할 수록 자본주의보다 더 많은 돈을 주니까. 사회주의, 자본주의, 공산주의를 경주로 비유하자면, 사회주의에서는 1등이나 꼴등이나 똑같은 상을 주겠죠. 그럼 1등하려 노력할 사람이 없을테구요. 자본주의의 경우, 자본가/사장/주최자가 누가 상 받을지 정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이고 현명하다면 1등에게 상을 주겠지만, 자기 친척이 참가하면 온갖 핑계를 들어 원하는 사람에게 상을 줄 수 있죠. 주최자가 그러겠다는데 누가 말릴까요? 공산주의에서는 관객, 주자들이 주최자겠죠. 그러니 이견도 있긴 하겠지만, 대다수가 상식적으로 생각하는 1등이 상을 받는거나, 같은 출발선에서 시작하는것에 대해 대다수가 동의하겠죠. 이 셋 중 어느 경기에서 가장 의욕날까요? 회사로 비유하자면, 사회주의는 일을 더해도, 잘해도 버는 돈이 똑같으니 일 안하겠죠. 망합니다. 예. 자본주의는 주식을 상장한 회사로 대표되죠. 그리고 대주주가 CEO 교체권한을 통해 회사 운영권을 갖고, 배당금을 통해 잉여소득을 얻겠죠. 일반적인 회사죠. 공산주의 회사는 ceo 포함, 회사에서 일하는 모든 사원이 동등한 주식을 소유한 회사죠. 여전히 직급이나, 성과에 따라 돈을 버는데 차이는 있디만, 사원들이 주식을 갖음으로써 주인의식이 생기고, 회사운영방침에 더 신경쓰겠죠. 자기 돈이 걸려있으니. CEO가 이상할 경우, 주식을 가진 사원들이 동등한 한표씩 투표를 통해 바꿀수도 있겠죠. ... 민주주의하고 비슷하죠? 그래서 사실 공산주의는 민주주의가 필수요소인거죠. 경제적 민주주의는 정치적 민주주의가 아님 성립이 안되거든요. 정치가 경졔를 지배하는 구조니까. 중국만 봐도 알 수 있죠. 자칭 공산당이 그 타이틀에 집착하는 원인이기도 하구요.
자본주의를 확실히 이해한 사람들의 행동..
1. 열심히 노동을 한다.
=가치를 생산하기 위한 "자본"의 창출.
2. 자본을 심는다.
=자본이 가치를 생산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한다.
3. 시스템이 새로운 자본을 낳는다.
=가치에서 새로운 자본이 발생한다.
4. 열심히 노동했던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편하게 일하는 환경으로 바꿈.
=일상이 여유로워짐.
5. 2~3번을 반복하여 자산을 낳는 자본을 많이 구성하기.
6. 부자가 되었다.
자본주의를 파악 못한 사람들의 행동..
1. 저축만 한다.
2. 열심히 일하면 다 되는 줄 안다.
3. 내가 못사는 건 국가 탓이다.
4. 자본주의를 이해한 사람들을 보면 매우 억울해한다.
5. 열심히하는 것이 잘사는 것과 직결된다고 착각한다.
6. 내일이 없다.
7. 국가 복지 및 좌파적 망상 관념이 올바른 줄 착각한다.
8. 타인 혹은 국가가 자신을 키워주고 보호해주길 바라며 스스로 성취하려는 생각조차 없음.
=그냥 넌 안 될 놈이다.
자본주의의 핵심은 신용창출. 이거하나에 모든게 담겨있음.
자본주의에만있는 단어가 신용이고 모든 화폐에 대한 믿음도 신용이고
자본주의는 사실 물질주의가 아닙니다. 자본의 진정한 뜻은 돈이 아닌 바로 가치의 본(본질)을 낳는 씨앗을 뜻하는 거거든요.
자본주의는 돈이 핵심이 아니죠
새상에 돈이 계속 생길것이고 그것을 내가 언젠가 융통할수 있을것이라는 믿음입니다...
오랜만에 명강의 잘 들었습니다
랄부를 탁! 치게 만드는 이 시대의 명강의
인정
@@니차-j3z 배우신분
도덕감정론도 안읽어본 인간들이 진짜 많음. 도덕감정론 리뷰하는 영상들 댓글보면 어질어질함. 오해를 했다니 뭐니 아니 그럼 읽어보고 지껄여야지 왜 모르는데 지껄이고 악으로 몰고 선동하냐고..
어제 도덕감정론 읽으셨나봐요
실베나 펨코에서나 볼 법한 수준낮은 비유 ㅋㅋㅋ
1, 2번은 맞는 말입니다.
그런데 3번은 이해가 잘 안되네요.
(문자 그대로 제가 이해가 딸린다는 말입니다.)
공산주의든 자본주의든 열심히 할 수록 생산자의 이득이 늘어납니다.
단지 자본주의는 '본인'만 열심히 해도 늘어나는 반면, 공산주의는 '모두'라는 전제가 있습니다.
노력에 따는 보상이
자본주의가 1:1이라고 한다면,
공산주의는 1:1이 될 수가 없으니
결과적으로 자본주의가 더 많은 이득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윱저버님 혹시 자신이 중도라고 착각하는 인간들에 심리와 사회분위기에 대해서도 다뤄줄수있나요
돈으로 사랑을 살순 없지만 쌧바닥 길이는 늘릴수 있습니다
아버지인 제가 아들에게 공유하고 싶은 내용이다만.
일베, 욕, 이런게 지속적으로 말하니 공유를 할 수가 없는 영상이다.
안타깝다.
게이는 일베가 부끄럽노???
한 학기 강의가 20분으로도 요약이 되는구나~!! ♡♡
단계1.내가 보고 싶은 면만 본다
단계2. 내가 하고싶은 말만 한다
단계3. 그럼 내가 듣고 싶은 말만 듣길 원하는 사람들이 찾아온다 ㅋ
유투브 성공!
전당대회 리뷰 한번 어때여
👍👍👍👀
👍
일단 틀린 것 나열
1. GDP, 수익은 생산(공급)에서 나오는게 아니라, 판매(수요)에서 나오는 것.
농사짓는 사람이 가끔 생산 잘해도 안팔리거나 팔아도 오히려 유통과정에서 손해가 날 경우 농사 망했다며 밭을 갈아엎는것도 이 때문.
미국 대공황, 서브프라임 모두 생산,공급은 높은데 노동자들이 돈이 없어 수요가 없으니... 빚지면서 투자는 많이 했음에도 수요가 없으니 못팔아 빚으로 망한 대표적인 경우임. (왜 빚이 문제인지 모른다면 기본적인 경제학 공부하시면 바로 알 수 있음.)
2. 자본의 공공화는 사회주의.
공산주의의 정의는 자본의 공공화가 아닌,
'생산수단의 공공화'임. (이건 그냥 어디에든 검색해도 나오는 내용이니 확인해 보세요)
잉여가치론은 잘 설명 되어 있지만, 전제조건이 빠져 있음.
잉여소득 8만원을 정부가 가져간다고 하는데 왜 가져갈까요? 생산수단이 공공소유이니 그 수익도 노동자가 나눠 가져야 하는데?
그 공산주의의 전제조건은, 정부가 국민, 노동자의 소유여야 한다는 겁니다. 민주주의여야 한다는거죠. (소련, 북한, 중공 쉨들이 지들 민주주의라며 억지 개ㅈㄹ하는 이유)
그래야 그 잉여소득이, 소수의 지도자가 아닌, 국민에게 돌아갈테니까요.
이는 그냥 노동자가 불쌍해서가 아니라, 노동자가 당시에 생존에 필요 최저 임금만 받아 구매 능력이 떨어지게 되고, 소수의 자본가는 그 자본을 생산수단에 투자하여 독점, 더 큰 자본을 얻게되는 빈익빈 부익부가 극단으로 치닫을 경우...
결국 투자는 많아 생산은 많아지지만, 구매자이기도 한 노동층에서 구매가 줄어 결국 경제가 붕괴된다는 가설을 마르크스가 경고한거죠. (이게 대공황, 서브프라임, 그리고 인플레이션으로 실제 일어났죠. 해서 공산주의 이론을 받아들여, 대공황, 세계 2차대전 이후 수정자본주의가 나타난거죠. 재산세로 축적된 자본을 거두고, 이를 복지로 취약계층에게 나눠 자본의 재분배를 통해 노동자들의 최소한의 구매력을 유지함으로써 경제를 유지하려 한것... 그래도 문제는 꾸준히 생겼지만.)
이 해결 수단으로 생산수단의 소유를 막는, 공산주의를 제시한 것이구요.
참고로 마르크스는 사회주의자가 아니라, 대공황 이후 공산주의로 전환하는 혼돈기에 임시로 사회주의로 버틸거다라고 예상만 했을 뿐이지, 사회주의를 옹호하진 않음.
레닌은 그걸 실행하려다가 스탈린이 서기장일때 관료 수만명을 자기 부하로 인명후 정권을 장악, 이후 이름만 공산주의인 전체-사회주의를 통해 독재를 성공한것임. 실제로 당시 병들어 누운 레닌의 유언이 '스탈린만은 절대 자신의 후계자가 되어선 안된다' 였음.
(미국에서 예전에 만든 '역사적 인물 랩배틀: 스탈린' 편에서 이걸 재밌게 묘사함ㅋㅋ)
솔직히 소련 3끼들이나 이후 자칭 공산주의라고 하는 빨갱이 3끼들은 진짜 공산주의자가 아님ㅋ 왜냐면 스탈린이 변질시켰거든요.
그 개쉑킷들이 주장하는 '인민 민주주의', '공산당'은 마르크스 공산주의와 관계를 비유 하자면 마치 기독교인척 하고, 믿으면 천국 보내준다면서 실제로는 노동캠프 보내서 교주 배채우는 사이비 교단 같은거.
3. 사회주의가 경쟁력을 약화시킨다는건 동의하나, 공산주의가 경쟁력을 약화시키진 않다고 생각함. 왜냐면 오히려 열심히 일할 수록 자본주의보다 더 많은 돈을 주니까.
사회주의, 자본주의, 공산주의를 경주로 비유하자면,
사회주의에서는 1등이나 꼴등이나 똑같은 상을 주겠죠. 그럼 1등하려 노력할 사람이 없을테구요.
자본주의의 경우, 자본가/사장/주최자가 누가 상 받을지 정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이고 현명하다면 1등에게 상을 주겠지만, 자기 친척이 참가하면 온갖 핑계를 들어 원하는 사람에게 상을 줄 수 있죠. 주최자가 그러겠다는데 누가 말릴까요?
공산주의에서는 관객, 주자들이 주최자겠죠. 그러니 이견도 있긴 하겠지만, 대다수가 상식적으로 생각하는 1등이 상을 받는거나, 같은 출발선에서 시작하는것에 대해 대다수가 동의하겠죠.
이 셋 중 어느 경기에서 가장 의욕날까요?
회사로 비유하자면, 사회주의는 일을 더해도, 잘해도 버는 돈이 똑같으니 일 안하겠죠. 망합니다. 예.
자본주의는 주식을 상장한 회사로 대표되죠. 그리고 대주주가 CEO 교체권한을 통해 회사 운영권을 갖고, 배당금을 통해 잉여소득을 얻겠죠. 일반적인 회사죠.
공산주의 회사는 ceo 포함, 회사에서 일하는 모든 사원이 동등한 주식을 소유한 회사죠. 여전히 직급이나, 성과에 따라 돈을 버는데 차이는 있디만, 사원들이 주식을 갖음으로써 주인의식이 생기고, 회사운영방침에 더 신경쓰겠죠. 자기 돈이 걸려있으니.
CEO가 이상할 경우, 주식을 가진 사원들이 동등한 한표씩 투표를 통해 바꿀수도 있겠죠.
... 민주주의하고 비슷하죠? 그래서 사실 공산주의는 민주주의가 필수요소인거죠. 경제적 민주주의는 정치적 민주주의가 아님 성립이 안되거든요. 정치가 경졔를 지배하는 구조니까. 중국만 봐도 알 수 있죠.
자칭 공산당이 그 타이틀에 집착하는 원인이기도 하구요.
딱 중졸이 생각할 수준이네
학벌 좋은 애들은 가만있는데 중졸 고졸들이 화내면서 이런 영상 만드는건 ㄹㅇ 과학이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