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K-99 초전도체의 특징인 마이스너효과 퀀텀락킹 플럭스피닝 이란 무엇인지 정확히 알려드릴께요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초전도체 타입1과 타입2 퀀텀 락킹과 플럭스 피닝, 마이스너 현상의 상관 관계와
차이점 공통점 등을 정확히 알면 전문가이고 모르면 가짜 영상에 속을 수 있습니다
LK99는 타입1 타입 2 어느쪽 일까요?
저작권 때문에 수정 재업합니다.
반자성(마이스너 현상)은 초전도체의 정의에는 아직 포함되지 않았으나
과학계의 합의가 이루어지면 초전도체의 정의에 포함 될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발견된 300개 이상의 초전도체가 대부분 마이스너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반자성 없이 초전도를 보이는 물질이 몇개가 발견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초전도체의 정의에 반자성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다음 영상은 어제 업로드한 재현 실험 성공 영상(완전 부양 포함)들과 가짜 영상들 모음 보시면
LK-99가 상온 초전도체가 맞다는 확신이 생길 것입니다.
기본 용어 저온 고온 상온 초전도체 BCS 이론 BR 이론 BR-BCS 이론 등을 아시는 분은 1:45초 부터 보시면 됩니다
오늘 드디어 구독자 1천명이 넘었습니다. 구독자분들 감사합니다.
영상은 뉴스가 늦으므로 채널 커뮤니티를 이용해서 긴급 뉴스가 있을 경우 알려드리겠습니다.
그 중에서 긴급을 요하는 중요 사항은 쇼츠로 만들어서 알려드리도록 노력 하겠습니다.
이렇게 이해하면 될까요?
1. 초전도체가 내부 자기장을 모두 내뱉고 튕겨내면서 보이는 강한 반자성을 마이스너 효과라고 한다.
2.사견. 강한 반자성만으로는 샘플이 가만히 떠 있을 수 없지만(아마 이게 언쇼의 정리의 결론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잘못 알고 있다면 정정 부탁드립니다).
3. 1종 초전도체의 경우 자기 모멘트가 정렬되면서 모든 겉면이 N극이고 안쪽은 s극인 형태의 물질처럼 되고, 이는 모든 방향으로 척력을 받는 것과 같으므로 가만히 떠 있을 수 있고(퀀텀 락킹)
4. 2종 초전도체의 경우 자기장이 뜷고 지나간 상태 그대로 고정되므로(플럭스 피닝) 가만히 떠 있음+ 밀쳐도 안 밀림 의 현상을 보인다.
2번 사견에 대해서.. 저는 개구리나 구리 부양 같은 반자성체 부양에서는 안정적인 부양을 본 적이 없고, 이것이 언쇼의 정리 때문이라 알고 있는데, 그렇지 않다면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맞습니다. 제대로 이해하신 것입니다. 2번 사견도 맞습니다..
너무 쉽게 영상을 만들어주셔서 이해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
🎉
베리굿.
퀀텀락킹이 초전도체의 전부가 아니다. 똑바로 알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