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Z 뒤의 숫자 = 공차의 중심이 실체 밖으로 이동하는 량 서클U 뒤의 숫자 = 실체 밖으로 나가는 공차영역의 양 으로 공차역의 크기는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다만 그래서 허용공차와 비교해야 할 윤곽도의 값을 산출하는 공식을 알고 싶습니다. 서클U의 윤곽도 값을 구한다고 가정할 떄 편측인데 1) TED값-측정값 = 윤곽도? 2) 공차의 중심을 다시 설정하여, (새로 설정된 공차의 중심 - 측정값) x 2= 윤곽도? 둘중에 어떤 걸 써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제 채널에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단, UZ라는 용어를 사용하시는걸로 미루어보아, ISO도 다루시는 것 같습니다. 한 장의 도면이 있을 때, 그 도면이 ASME 표준을 따르면 서클U라고 표현해야 하며, UZ라는 표현은 쓰실 수 없습니다. ASME에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죠. 마찬가지로, 그 도면이 ISO를 따른다면 UZ라는 표현은 쓰실 수 있지만, 서클U라는 표현은 쓰실 수 없습니다. ISO에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UZ와 서클U는 동의어는 아니지만, 숫자를 적절히 조절하면 동일한 공차역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이미 알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살짝 난감한 부분은 그 다음부터 시작되는 질문인데요... 일단 “윤곽도” 라는 단어를 “치수검사서에 기입할 하나의 숫자” 라고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많은 회사에서 보고서에 기입하기 용이한만큼 측정값을 하나의 숫자로 표현하고자 하는데, 기하공차는 치수공차와는 다르게 숫자로 설명되는 것이 아니라 공간으로 설명됩니다. 그래서 검사서에는 엄밀히 말하자면 숫자가 아니라 pass/fail 로 적어주시는게 더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비단 윤곽도 뿐만 아니라 위치도 역시 제가 다니는 회사에서도 측정된 결과를 숫자 하나로 표현하고자 하는데 (치수검사서를 만들어야 하니까요) 표준에서는 “축하고 1만큼 벗어났을때 보고서에는 1이라고 쓴다”, 아니면 ”2의 크기를 가진 공차역에 들어오니까 2라고 쓴다“ 라는 식으로 정해준 바가 없습니다. O와 X만이 있을 뿐이죠. 부디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밤 되세요:)
@@telev2 윤곽도는 값으로 산출하여 허용공차값과 비교 목적이 아닌 공차영역 안에 들어가는지만 확인한다. 라고 이해했습니다. 다만 제가 학생 신분이라 정확하게 윤곽도 값이라는 걸 산출하게 배워서 검사서에 pass/fail 이더라도 얼만큼 인지를 적어야 하는 부분이라서 그렇네용
너무너무 필요한 영상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행복한 주말 되세요!
3:24 완벽한 설명이네요. ^^ 감사합니다.
오랜만입니다 신돈님!
깁스가 없어지고 다신 건강하게 강의하시니 보고 좋습니다.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감사합니다 스사님! 덕분에 빨리 나았습니다 ㅎㅎㅎㅎ 즐거운 주말 되세요!
수십년동안 안 올리시다가 지금 막 올리신 기분이네요
죄송합니다 ㅠㅠ 현생이 쉽지 않네요
와 ~~ 끝까지보긴했는데 아직은 암것도 모르겠어요 선생님 얼굴은 첨 뵙는데 얼굴까지 미남이심. 열심히 해도 20년간 컴터를 안해놔서 따라가긴 힘들지만 계속 열심히 다니고있습니다. 언능따라잡아서 인사드리겠습니다~~안뇽~♡
앗! 안녕하세요? 처음뵙겠습니다. 제 강좌는 1화부터 쭈욱 이어지는 관계로, 이전 내용을 못보셨다면 바로 이해하시기에 어려운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 달아주세요. 입과를 환영합니다 :)
@@telev2 저 처음 보진않구요ㅎ 그때 학원서 포도 역삼각형원에 대해서 질문드렸는데 다 대답해주셔서 잘따라가고있습니다. 형틀 목수일하는데 슬프게도 경쟁력이없어서 찾아보다 선생님 채널접해서 6강까진 덕분에 완벽히하게되었어요. 아무튼 감사드립니다
@@mysausalito4281 앜ㅋㅋㅋㅋㅋ 죄송합니다. 캐드 강좌에서 넘어오셨군요 ㅎ 최근에 포도알 그리신거 기억납니다. 늦게까지 공부하시나봐요, 공부도 좋지만 건강 꼭 챙기시고, 좋은 밤 되십시오!
오늘은 많이 늦었습니다! ㅜ
부장님 닉이 계속 바뀌는것 같은 느낌입니디 ㅋ 즐거운 주말 되십쇼!
UZ 뒤의 숫자 = 공차의 중심이 실체 밖으로 이동하는 량
서클U 뒤의 숫자 = 실체 밖으로 나가는 공차영역의 양
으로 공차역의 크기는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다만 그래서 허용공차와 비교해야 할 윤곽도의 값을 산출하는 공식을 알고 싶습니다.
서클U의 윤곽도 값을 구한다고 가정할 떄
편측인데
1) TED값-측정값 = 윤곽도?
2) 공차의 중심을 다시 설정하여,
(새로 설정된 공차의 중심 - 측정값) x 2= 윤곽도?
둘중에 어떤 걸 써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제 채널에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단, UZ라는 용어를 사용하시는걸로 미루어보아, ISO도 다루시는 것 같습니다.
한 장의 도면이 있을 때,
그 도면이 ASME 표준을 따르면 서클U라고 표현해야 하며, UZ라는 표현은 쓰실 수 없습니다. ASME에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죠.
마찬가지로, 그 도면이 ISO를 따른다면 UZ라는 표현은 쓰실 수 있지만, 서클U라는 표현은 쓰실 수 없습니다. ISO에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UZ와 서클U는 동의어는 아니지만, 숫자를 적절히 조절하면 동일한 공차역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이미 알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살짝 난감한 부분은 그 다음부터 시작되는 질문인데요...
일단 “윤곽도” 라는 단어를 “치수검사서에 기입할 하나의 숫자” 라고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많은 회사에서 보고서에 기입하기 용이한만큼 측정값을 하나의 숫자로 표현하고자 하는데, 기하공차는 치수공차와는 다르게 숫자로 설명되는 것이 아니라 공간으로 설명됩니다. 그래서 검사서에는 엄밀히 말하자면 숫자가 아니라 pass/fail 로 적어주시는게 더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비단 윤곽도 뿐만 아니라 위치도 역시 제가 다니는 회사에서도 측정된 결과를 숫자 하나로 표현하고자 하는데 (치수검사서를 만들어야 하니까요) 표준에서는 “축하고 1만큼 벗어났을때 보고서에는 1이라고 쓴다”, 아니면 ”2의 크기를 가진 공차역에 들어오니까 2라고 쓴다“ 라는 식으로 정해준 바가 없습니다. O와 X만이 있을 뿐이죠.
부디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밤 되세요:)
@@telev2 윤곽도는 값으로 산출하여 허용공차값과 비교 목적이 아닌 공차영역 안에 들어가는지만 확인한다. 라고 이해했습니다.
다만 제가 학생 신분이라 정확하게 윤곽도 값이라는 걸 산출하게 배워서 검사서에 pass/fail 이더라도 얼만큼 인지를 적어야 하는 부분이라서 그렇네용
예, 맞습니다. 실무에서도 숫자 하나로 표현하길 원하는 곳이 많죠ㅎㅎ 음... 실무라면 cmm 처럼 측정 결과가 디지털로 보존될 수 있다면 검사결과서에는 합부 판정만 표기하고 파일의 위치를 별도로 표기하는 식으로 가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telev2 배우고자 하는 입장이라서 혹시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표준에 없는 내용이라서 제가 제맘대로 정해드릴 수가 없는 부분이에요 ㅠㅠㅠ (댓글수정: 제가 틀렸습니다. ASME Y14.5.1에 있습니다 ㅠㅠ)
유브 갓 어 헤 컷 👍
안자르고 길러보는 중입니다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