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er9of3hg4w 딱히 생산이라고 해서 야근과 워라벨로 부터 자유롭진 않은것 같아요 저는 설계 담당이지만 설계뿐만 아니라 제품 조립 , 포장 , 기타 문서작업 도 도맡아서 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설계보단 상대적으로 업무의 자유도는 높습니다. 야근하면 그만큼 급여도 지속적으로 챙겨주고요.
구독자분이 대학교 졸업할땐 어떻게 바껴있을진 모릅니다. 제가 대학교 다닐때만 해도 자동차, 중공업, 건설산업의 부흥으로 기계공학이 가장 인기가 많았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아주 시들해졌죠. 기계, 컴공, 전전은 그래도 자기소신대로 어떤걸 선택해도 망하진 않는 학과들입니다. (그래도 컴공 가고싶다...ㅎ)
연구개발이나 기구설계도 중견이상들어가야 일할만함.... 중소에서 기구설계 업무 해봤는데, 보통사수가 다하고(공고출신) 보조적인 업무위주로 했음.다니면서경력쌓고배울려했는데 급여는 알바월급이랑 차이도 얼마안나고 생각했던설계일이ㅈ아니라서 몇개월다니다가 그만뒀음.. 사수도 하는게 플런트 등 해석프로그램은 없고 그냥 카티아 제도하는것만(그리는것만) 주구장창...., 현실과 이상은 너무 달랐다....추가적으로 말하면 정년후에 먼지가될것 같은(그냥 제도 실력만 늘어날것 같고, 설계는 나이먹어서는 자기사업하는거 아니면 일을 하기힘듬)
기계직 공무원들이 하는 일은 해당 시, 구청 관할지역에 묻혀있는 상수도 배관, 오수배관 등을 관리하고 각종 업체들에서 들어오는 허가요청을 검토, 민원 대응하는 것입니다. 공무원들이 해당 시, 구청 내의 그 업무들을 한다고 하면, 기업의 설비직은 그 기업내의 그 업무를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떻게 보면 기업 내의 기본적인 것들을 처리해주는 일이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취업리스트 호오 공무원이 그렇군요.. 물론 부서마다 다르기도 하겠지만 기계직 공무원이 주로 배관 관련 업무를 맡는다면 시험에서 유체기계 배관공학 공조냉동 건축설비 산업설비 같은 내용을 비중있게 내는게 합리적일텐데, 그렇지 않은것 같네요. 대학에서나 공공부문 채용에서나 기계"설비" 족은 존재감이 약한것 같고, 요즘 대학에선 전기과와 전자정보통신과가 통합하고서 전통적인 전기과가 IT대학 속에 묻혀가는 느낌이 드니 뭔가 안타깝습니다... 정작 자격증과 많은 현장에선 상당히 인기있고 잘쓰이는게 전기랑 기계설비 분야일텐데😢
@@namutnipp 통합전공이니 뭐니 하지만 현실은 다르죠. 기계에서 요즘 it전자 융합과목 많이 개설되고 하지만 그런 분야는 채용인원도 적고 알앤디라서 고학벌이 다 먹을 수 밖에 없습니다. 공기업이나 공무원 기계직 시험도 일기사 내용이 90인게 어이없는 부분이죠..😑
금형은 힘들고 돈도 작지만. 잘 배워두면 딱 굻어 죽지 않을 정도는 벌수있는 직업입니다. 평생. 공고보다는 학교를 나오셔야 합니다. 박봉이 심합니다. 젊어서 배우고 이직한다. 내 사업 한다. 생각하고. 도망가는 업종 입니다. . . 현타 많이 오는 직업이지만. 가공분야나 . 전극 쪽 은근히 일거리가 많아여. . 회사 차라기 쉬워여. .
안녕하세요! 좋은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몇가지 질문 드려도 될까요? 4년제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공기업 기계직을 목표로 했습니다. 하지만 올해 나이도 28이고 취업에 대한 부담감이 있어 사기업과 병행해보려 합니다 1. 일반기계기사 산업안전기사를 보유 중이고 발전공기업 인턴 경험이 있습니다. (설비 유지보수 감독부서) 인턴을 하며 위험성평가 관련 업무 경험이 있습니다 이러한 스펙으로 지원해볼만한 산업군 / 직무가 어떤 것이 있을까요? 2. 삼성전자 설비기술이나 인프라 기술에도 지원해볼 생각입니다. 상대적으로 지방 국립대 출신으로 진입장벽이 낮은 직무가 어떤 것일까요? 또한 해당 직무를 위해 준비해야할 건 뭐가 있을까요? 메모리설비 / 파운드리설비 / 인프라설비 3. 무조건 설비 관련 직무만 가능하려나요? 요즘 현대자동차나 기아 등 자동차회사가 공고가 많이 올라오는데 이런 제조업에서 제 스펙이 어떤 직무에 적합한지 궁금합니다 사기업에 관련해서 잘 모르는 편이라 질문이 많았네요,,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기계공학 3학년 재학생입니다. 곧 4학년으로 취준생인데 2월에 4주 단기로 재료연구소 시편전처리 및 미세조직분석을 실습하게되었습니다. 광범위한 직무 중 어떤 직무와 연결 가능할지 감이 안와서 질문드립니다.ㅠ.. 개인적으로는 품질관리쪽과 관련있다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요즘 이름으론 뭐라하는지 모르겠지만, 재료공학과가 있지요. 질문하신 그 업무는 기계공학에서도 다루긴 하지만 재료팀-재료공학과가 주로 하는 업무입니다. 기계공학 입장에서 본다면 재료팀 일은 좀 루틴하고 단조로운 업무에 속합니다. 지루하죠. (재료팀 사람은 나이들면 프로젝트 리더나..반드시 다른 업무를 해야합니다. 재료업무는 나이 들어서까지 오래할 일이 아니죠) 그리고 재료업무와 품질관리 업무는 전혀 다른 일입니다. 재료는 주로 연구소쪽에 가깝고 품질관리는 생산(공장)쪽에서 수행합니다. 참고로 설계업무를 하게되면 고생도 하고 속썩는 일도 많지만 배우는 것도 많습니다. 저라면 재료보다는 설계업무를 추천.
기계공학은 Specific하기 보다는 General에 가깝습니다. 즉 두루두루 안 걸치는 데가 없는 업무죠. 졸업하고 사회 나가서 내가 무슨 업무를 하게 될지 모른다는 뜻이고 또 본인이 한 회사 안에 지내면서도 한가지 업무만 하게 되지도 않습니다. 그 업무에 보탬이 될지말지 이런 저울질 하지말고 그냥 배울 기회가 될때 두루, 다 배우세요. 기계공학은 그런 자세로 대해야 합니다.
도움이 될까 남깁니다. 기계과출신 대기업 생산기술팀 자동화 담당 출신입니다. Plc제어는 현장직들이나 외주업체 엔지니어들이 주로 컨트롤했고, 전기과 출신 동료들이 이해도가 높아서 관련 일처리를 했었습니다. 외부교육으로 plc컨트롤을 이수했지만 적당히 이해하는 수준이었고 제가 직접 뭘 건드리는 일은 없었습니다. 구매팀으로 가신다면 관련 제품들을 잘 아시니 써먹을데가 있을수도 있겠네요. 화이팅!!
외국계기업 취업 희망하고, 내년에 2학년이 되는 기계공학과 학생입니다. 현재 지거국 중에서 성적이 비교적 낮은 학교를 다니고 있고, 좋은 학벌이라는 생각은 들지 않습니다. 1. 연구개발,기술설계 파트는 저같은 학생이 도전했을때 예상되는 어려움이 있나요? 2. 직무 능력을 위해서 과기원이나 기타 상위 대학으로 대학원을 가는 것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답변 주시면 큰 도움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1. 학교 학점을 최대한 높게 받을 수 있도록 공부 열심히 하시고 각종 설계 프로젝트 대회에 많이 도전하세요. 2. 연구개발이 목표라면 가는 것도 좋습니다. 다만 대학원 진학 연구실에 따라 너무 한정된 분야가 될 수 있기에 연구실이나 담당 교수, 과제 등을 잘 선택하셔야 합니다
연구개발 기술, 설계 현직입니다. 대학교에서 배운 설계의 기본이 되는 오토캐드, 솔리드웍스 ,카티아, UG, Pro-e 등등 3D 툴을 배우면 누구나 이쪽 업계에 대해 환상을 갖게 되는데요 , 캐드를 배우면 곧 설계자가 되는것은 아닙니다. 2D,3D 캐드는 그저 설계의 일 부분일 뿐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영역이기 때문에 하나의 제품을 설계 할 때도 어마어마한 생각과 노력 그리고 시간이 들어갑니다. 설계를 잘못해서 제작 , 조립이 어려운 제품을 내거나 치수 하나만 삐끗 해도 가공비가 허공으로 날아가 대차게 욕을 먹는일은 부지기수구요 , 제품하나 기한내에 완성하려고 야근은 기본이고 필요하다면 철야에 주말출근도 불사해야합니다. 더 알아듣기 쉽게 설명드리면 본인이 연구개발, 설계직무를 정말 좋아하고 자신의 시간을 할애 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이쪽 업계에 입문하시는 걸 말리진 않겠습니다. 그러나 워라벨, 자기계발 , 취미생활등 본인의 삶의질을 중요하게 여기신다면 연구개발, 설계쪽은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 두번째로 직무 능력을 위해 편입학이나 대학원 진학을 가는것은 실무능력을 쌓는것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공기업 또는 연구소에 취직을 할 생각이라면 편입학이나 대학원 진학을 하는것이 맞지만 직장 커리어를 생각해서 말씀하신거라면 적절하지 않습니다.
@@에이포 생산기술은 제품 제조공정에 포함되는 것들 (용접,조립,제품 형상가공 , 자동제어등등) 을 제외하고도 품질, 마케팅, CS (고객만족) 을 총망라한 것들을 가리켜 생산 기술이라고 합니다. 설계는 제품 생산을 위한 생산기술과 제품의 성능을 맡는 연구설계로 나눠집니다. 생산기술은 경험상 연구개발 기술연구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맡고있는 직무기에 난이도가 낮아보이지만 사실 가장 현실적으로 접근 할 수록 고난도의 기술을 요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4학년 취준생입니다. 영상 항상 시청하는데 처음 댓글 달아봐요. 영상들로 인해 자기소개서 작성 할때 많은 도움을 받아서 아직까진 좋은 결과들이 있내요. 취업리스트님의 경우 기계공학을 전공하고 건설업에서 종사하신? 하셨던? 걸로 기억하는데 어떤 직무를 담당하셨었나요? 저의 경우 대기업 epc사에서 플랜트 설계 업무를 희망하고 지원하고 있는데 관련하여 더 질문 드려도 될까해서 댓글남겨요.
전기공학'부'라니 전자통신 전공도 포함하는것 같지만, 그냥 편의상 전기과라 생각하고 전기쪽을 중심으로 여러가지 적자면... -발전 송배전 변전 -수배전 동력 및 조명 등 -외선/플랜트/토목 공사 -내선/건축/인테리어 공사 -배전반 및 GIS 제작/설치 -전동기 및 변압기 점검 및 정비 -플랜트 계측제어 -건축설비 자동제어 -공장 자동화 및 기계장비 제어 -변전소 등 운영 및 점검 -배전선로 점검 -발전소 운영/정비 -화학공장 설비운영/전기제어 보수점검 -소각/수처리 시설 운영 및 유지관리 -금속제조 공장 설비운영 및 유지보수 -생산공장 설비운영/전기제어 보수점검 -병원/대학/공항 등 -문화체육시설/복지시설 -업무/유통/숙박/주거시설 -건축물 자산 및 부동산 관리 -전기안전관리대행업체/전기안전공사 -소방시설점검 -도로/터널 환기/전기/소방/통신설비 점검 -가스점검(도시가스/가스안전공사/기타업체) -태양광 및 신재생 발전설비 -철도전기설비 운영 및 점검 -철도전기 설계/공사 -철도차량 정비 -철도차량 및 부품/기기 제작 -철도신호 유지보수 -철도신호기기 제작 -철도신호설비 설계/시공 -연구장비엔지니어 -조선업 전기/제어 관련 직무 -공조냉동 및 소방설비 등 기계설비 -기타 기계산업 전기/제어 관련 직무 -승강기/PSD/전동문 -전기기기 -조명 -콘덴서 등 부품 -배터리 및 2차전지 -가전제품 -전력전자기기 -소방시설 기기 -반도체/디스플레이 -자동차 전장 -방송음향기기 -로봇/기계제어/임베디드 -통신설비 설계/설치/점검 -프로그래머 -전산실 운영 -전산망 구축 -전기안전/EMC 등 시험, 계측기검교정 -무대조명/음향기사 -선박 내 기관/전력 운영 -항공기 제작/정비 -자동차 제작/정비 -기술영업 -교육 및 직업진로상담
익명님의 댓글이 꽤나 공감가네요. 기계공학과 학부과정은 흔히 사람들이 생각하는 기계공학의 이미지와 달리 기계과학과나 응용물리학과라는 말이 더 어울릴 정도로 기술적 지식보다는 연구지향적 성격이 압도적으로 강한 이론 위주의 교육입니다. 그래서 그 기계류의 취급이나 수리를 좋아해서 기계공학과에 진학한 사람들 중에는 학교가 생각하던 것과 다르다는 말이 많고, 심하게는 안 맞다고 그만두는 경우도 있죠. (저도 그런 케이스고, 뚝딱뚝딱 잘 하시는 유튜버 마초맨도 기계공학 중퇴하셨다지요) 물론 수학과 물리를 싫어하지 않으며 실력도 어느정도 받쳐주는 사람이라면 기계공학과의 교육내용을 그럭저럭 버티고 소화하여 성적을 죽쑤지 않을 수 있을 거고 기계공학과를 나와서 취업을 현장직종으로 하는 길도 있지만, 기계의 조작이나 정비와 기계공학과 교육과정은 괴리가 큽니다. 그러니 몇가지 추천을 해 보자면... 기계의 취급이나 정비 쪽으로 관심있는 경우 이론위주적인 기계공학과보다는 많은 기계류의 동력과 제어수단이 되는 전기를 배우는 것이 낫지 않나 하는 관점.. 자동제어 분야의 경우 통신 관련 지식도 상당한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임.. (저는 이런 생각으로 전기를 공부했는데, 그럭저럭 괜찮은 선택이었다 생각합니다.) •항해 •기관 •해양경찰 •소방 관련 업계가 별로라는 말도 있으나, 사회에 꼭 필요란 분야인 만큼 일자리와 수요는 있을것 •잘하면 소방공무원 가능할듯 •기술지식과 실습 비중이 높은 교육 •주요 취업진로가 보수점검 분야로 여러 기업체 현장으로 전망있을것 (다만 공공기관 쪽에서는 일부 말고는 들어가기 어렵겠지만..) •여러 학과가 있으며 제각기 다른 편 •기계/컴퓨터응용기계과는 주로 기계설계나 절삭가공 •메카트로닉스/자동화과는 주로 공장 생산설비 자동제어쪽 (기계보다 전기전자 성격일듯ㅋㅋ) •공조냉동/산업설비과는 건축설비/산업공조/플랜트설비 /에너지/배관및용접/유체기계 •승강기 •자동차 •항공 •이건 추천이 아니라 비추천 •전반적으로 비추천 •철도/지하철공사 취업에는 이점이 없으며 입사 가능성도 어두운 실정 •그나마 철도전기전자(신호)과나 철도토목과나 철도차량과의 경우 철도건설업이나 차량제조업이나 이외의 기계/전기/토목 분야로 취업전망이 있으나, 철도운전과는 진로범위가 매우 좁고도 어려우며 (현재 철도/지하철공사의 기관사 채용은 운전과 성적우수자를 뽑는게 절대 아니라, 상류대의 이공학도를 최우선적으로 뽑는것에 가깝습니다) 철도 이외의 일자리에서는 어디서도 알아주지 않는 전공이라 전망이 최악 상위권 학생인 경우라면 그냥 기계공학과 진학 후 발전소나 지하철 정비사 같은 공기업을 노리거나 몇몇 기업의 설비운영/유지보수 관련 직종으로 취업하는 방법도 있을텐데, 취업 이후까지는 학업에 그다지 흥미가 붙지 않을수 있고, 수학이나 물리를 좋아하지 않는 경우엔 상당한 고역이 될테니 잘 검토해 봐야 할 길이겠죠..
안녕하세여 기계공학과 졸업반인데 요즘 정말 참고 많이하고 있습니다! 목표는 반도체 외국계기업 cs엔지니어 희망 중입니다! 혹시 이번 여름방학 때 스피킹(토스or오픽)에만 시간 투자를 해서 하나에 확실하게 높은점수를 얻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스피킹은 서류합격선만 맞춰놓고 토익에도 같이 투자를 해서 애매하지만 두가지 다 가지고 가는게 나을까요??
자동차공학과 항공우주공학과 기계공학과는 이름만 다르지 사실상 몇가지 말고는 교과목의 다수가 같아서 큰 차이가 나지 않고, 그래서 학부로 합친 대학도 많죠. 물론 학과명상으로는 아무래도 그냥 기계가 폭넓게 보여서 가장 무난하게 보이긴 합니다. 다만 전문대학의 자동차과, 항공과, 기계(/컴퓨터응용기계)과, 자동화(/메카트로닉스)과, 산업설비(/공조냉동)과는 분야가 제각기 퍽 다르니 잘 비교하고 고민해 봐야 합니다..
좋은내용이네요!! 기계공 친구한테 보여줘야겠어요 ㅋㅋㅋ
🙏
어딜가나 생산기술이 왕입니다. 연구개발은 설계 삑사리나면 생산팀 바짖가랑이 붙잡고 애원해야합니다 ㅠㅠ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3학년 기계과 학부생인데 대기업~ 중소기업 생산기술 쪽으로 갈려고 하는데 워라밸적인 측면에서 괜찮은 지 현직분에게 여쭤보고싶습니다!
@@user-er9of3hg4w 딱히 생산이라고 해서 야근과 워라벨로 부터 자유롭진 않은것 같아요 저는 설계 담당이지만 설계뿐만 아니라 제품 조립 , 포장 , 기타 문서작업 도 도맡아서 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설계보단 상대적으로 업무의 자유도는 높습니다. 야근하면 그만큼 급여도 지속적으로 챙겨주고요.
@@김승준-d7u 아 넵 답변 감사합니다!
1.생산관리
2.품질관리
3.생산기술
4.설비기술
5.구매
그리고 품질관리직은 산업공학과에게 넘어가는 추세가 아니라 품질직무 본질로 봤을 때 이전이나 지금이나 메인이 산업공학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배우는 과목으로는 산업공학이 더 적합해왔지만, 산업공학이 대학에 제대로 들어온지도 기계공에 비에서는 얼마 안되서 그런지, 제조업 생산관리직 윗 선배들이나 과거 신입들보면 기계공이 더 많았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에너지,가스,공조 기사 취득 후 설비 기술직 알아보고 있는데 이 쪽은 사실상 엔지니어라기보단 테크니션에 더 가깝지 않나 싶습니다. 저는 현장일이 좋아서 오히려 맘에 들긴 합니다.ㅎㅎ
공조 따고 에너지 취득하려고 하는데
혹시 어디 회사에 취직했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설비기술직 취업 하셨나요??
공고보니까 교대근무가 많더라구요. 테크니션에 가깝다고 말씀하셨는데 교대에 몸쓰는 일이 있는 편인가요~?
기공나와서 바이오 구매팀에있음 문과 구매애들 제조업에서 제일쓸모없음
감사합니다. 너무 유익했어요. 감사합니다
감사해요~
기계공학과는 여전히 취업률도 높고,본인의 노력에 따라 진출할 수 있는 분야도 많은 것 같네요. 👍
ㅠㅠ아닌듯
22년 8월 채용공고 기준 기계과 : 전자/전기 = 1:9 과장 하나없이 ㅇㅇ
안녕하세요 취업리스트님! 산업군 영상도 기다리고 있는데 시간 되실 때 올려주시면 정말 너무나도 감사하겠습니다~~ 항상 유익한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요청하시는 분들이 많네요ㅎㅎ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꼭 기다리고 있겠습니당 !
이공계 나오면 취업 지원해주는 교육 많던데요 저는 전주 사는데 캠틱종합기술원에서 채용연계형 교육 받아서 취업했어요 이번에도 모집하던데 취업준비하시는 분들은 한번 찾아보세요
+추가
1. CS엔지니어
: 발주처에 납품한 각종 생산장비나 기타 장비들을 고치는 업무를 함.
삼성에어컨 고장났을 때 AS 신청하면 AS기사님들 오시는 기사님들이랑 유사하다고 생각하면 됨.
반도체 장비는 워낙 비싸고 다루기 어려워서 유명 MAKER사 장비업체는 4년제를 CS 엔지니어로 채용함
다른 산업군은 거진 고졸~전문대졸 채용이 많음
학점 : ★★★☆☆
전공 : 기계요소설계, 5대역학 등
기타 : 높은 체력과 서비스 마인드 필요함 (발주처랑 싸우면 안되니깐)
어학 : ★★★★☆ (외국계 장비회사이면 나름 중요함 )
자격증 : 일반기계기사? (크리티컬하진 않음)
2. 시공관리
: 공사현장을 공사내역, 시방대로 하청업체들이 제대로 하는지 공사감독하는 업무
발주처랑 각종 업무에 대해 논의하고 공무원들한테 각종 허가, 대관하는 업무
학점 : ★★★☆☆ (플랜트면 ★★★★☆)
전공 : 5대역학+기계설비공학
어학 : ★★★☆☆(플랜트면 ★★★★☆)
자격증 : 건축(건축설비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소방기계설비기사), 플랜트(일반기계기사)
기타 : 높은 체력과 강한 인상, 플랜트분야는 플랜트 교육 수료
cs엔지니어도 엑셀 많이 사용하나요??
@@이두현-j2w직무나 회사 상관없이 엑셀 안쓰는곳은 없을거에요
2:02 생산기술직에 설치,철거,이설,유지보수 라고 되어있는데 직접 현장에 들어가 정비수리 등 노가다를 한다는건 아니죠?
네. 검토, 계획, 관리하는게 일반적이지만 작은 회사들은 직접 투입되는곳도 있긴 하더라구요
마케팅이라... 공대 일 안맞는다고 생각했는데 그래도 제 잠재된 문과감성을 끌어낼 수 있는 분야가 있어 다행이네요ㅋㅋㅋㅋ
곧 대학교에 원서넣는 학생입니다. 막연하게 자동차쪽으로 가고 싶다는 생각에 기계공학과를 쓰고싶었는데 주위 형, 누나들 말 들어보면 이제는 컴공이나 전전이 답이다란 말을 하시더군요. 기계공학과 하나만 보고 달려왔는데, 전전이나 컴공을 가야할 지 고민이네요..
구독자분이 대학교 졸업할땐 어떻게 바껴있을진 모릅니다. 제가 대학교 다닐때만 해도 자동차, 중공업, 건설산업의 부흥으로 기계공학이 가장 인기가 많았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아주 시들해졌죠. 기계, 컴공, 전전은 그래도 자기소신대로 어떤걸 선택해도 망하진 않는 학과들입니다.
(그래도 컴공 가고싶다...ㅎ)
@@취업리스트 답변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고마워요 =)
기계나 전기나 IT나 이래저래 나쁘다는
말은 많지만, 지속적으로 전망 좋은 분야임은
뻔하니 하고싶은 쪽으로 선택하시는게...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
연구개발이나 기구설계도 중견이상들어가야 일할만함.... 중소에서 기구설계 업무 해봤는데, 보통사수가 다하고(공고출신) 보조적인 업무위주로 했음.다니면서경력쌓고배울려했는데 급여는 알바월급이랑 차이도 얼마안나고 생각했던설계일이ㅈ아니라서 몇개월다니다가 그만뒀음.. 사수도 하는게 플런트 등 해석프로그램은 없고 그냥 카티아 제도하는것만(그리는것만) 주구장창...., 현실과 이상은 너무 달랐다....추가적으로 말하면 정년후에 먼지가될것 같은(그냥 제도 실력만 늘어날것 같고, 설계는 나이먹어서는 자기사업하는거 아니면 일을 하기힘듬)
저도 그래서 퇴사했는데 지금은 무슨 일 하시는지요?
@@xxx-rj7fy 자취중이라서 돈은 벌어야되고 해서 알바 급여도 그렇고 불안정해서 4대보험은 가입되는 일 찾던중 요양병원에서 원무당직일하면서 기사자격증 2개(소방설비기계기사(필기합격), 건설기계기사)취득하려고 공부중이에어
아버지가 전기쪽 일하시는데 소방설비기사하고 기계기사 취득하면 그래도 어디쪽으로 취업할지 진로 알려주신다고 해서...그리고 기사있으면 중소기업취업해도 관련쪽에서 연봉이나 머든 대우를 받는다고 하더라고여. 그리고 정년대비해서도 자격증은 필요해서.... 공기업가면 좋겠지만 일단은 건실한 중소기업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와 그저 빛..
감사합니다
진짜 기계과 진로 아는거 하나도 없엇는데
시공관리도 가능합니다
혹시 못보실까봐 남깁니다.
+추가
1. CS엔지니어
: 발주처에 납품한 각종 생산장비나 기타 장비들을 고치는 업무를 함.
삼성에어컨 고장났을 때 AS 신청하면 AS기사님들 오시는 기사님들이랑 유사하다고 생각하면 됨.
반도체 장비는 워낙 비싸고 다루기 어려워서 유명 MAKER사 장비업체는 4년제를 CS 엔지니어로 채용함
다른 산업군은 거진 고졸~전문대졸 채용이 많음
학점 : ★★★☆☆
전공 : 기계요소설계, 5대역학 등
기타 : 높은 체력과 서비스 마인드 필요함 (발주처랑 싸우면 안되니깐)
어학 : ★★★★☆ (외국계 장비회사이면 나름 중요함 )
자격증 : 일반기계기사? (크리티컬하진 않음)
2. 시공관리
: 공사현장을 공사내역, 시방대로 하청업체들이 제대로 하는지 공사감독하는 업무
발주처랑 각종 업무에 대해 논의하고 공무원들한테 각종 허가, 대관하는 업무
학점 : ★★★☆☆ (플랜트면 ★★★★☆)
전공 : 5대역학+기계설비공학
어학 : ★★★☆☆(플랜트면 ★★★★☆)
자격증 : 건축(건축설비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소방기계설비기사), 플랜트(일반기계기사)
기타 : 높은 체력과 강한 인상, 플랜트분야는 플랜트 교육 수료
기계공학과 취준으로서 드리는 조언 : 전전과 가십쇼 기계는 이제 지는 해 입니다...ㅠㅠ
전 컴공..
석사 이상 아니면 진짜 무조건 후회하는 학과 배우는 과목도 힘든데 취업하고 나서는 더 힘들고 심지어 인풋대비 아웃풋 망.. 주위 연고도 허덕임 특히 올해는 진짜..
아직 학과 선택을 못하고 있는데 ㅜㅜ 기계 요즘 많이 하향세인가요? 어떤 부분에서 체감되시나요 선배님
@@Jiiinnnnnn 중공업, 자동차가 죽으면서 예전에 비해 안좋긴 하지만 본인 역량에 따라 하고 싶은거 다 할 수 있는 곳입니다 ㅎ
칼답보소..선배님 밤샘공부중이시가연 ㄷㄷ 확실히 일반물리학 하면서 회로 키르히호프 진짜 안맞다고 느껴서 역학으로 가는게 맞을까 싶기도 하구요 ㅜㅜ
정역학, 동역학, 열역학, 재료역학 다 들었는데 이제는 유체역학때문에 죽을것 같아요. 잘 할수 있을까요.
베르누이만 잘 이해하시면 되용
처음엔 그래도 고비만 넘기면 잘할수 있어요
그래도 나비아스톡스 방정삭은 알아야죠… boundary equation도 필수고요
선배들 말로는 구조-설계/열-유체/동역학-진동-제어 등으로 나뉘고 관심 분야를 선택해서 그에 맞는 과목을 수강하라는데 이건 산업쪽인가요, 직무쪽인가요?
직무와 산업 모두에 해당 됩니다. 참고로 제어는 동역학 진동에만 해당이 아니라 전 분야에 걸치기 때문에 꼭 수강하셔야 합니다
TO 부분이 좀 현실이랑 다른부분이있네요
생산관리직무가 생산자동화로 산업공학과에게 뺐긴다는 추세는 좀 납득이 가지않습니다.
왜 그런지요??? 그리고 관련자격 품질경영기사 있습니다. 품질경영기사 과목안에 생산운영관리도 있고, 품질분야 내용도 간접적으로 품질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도움된다고 생각합니다.
생산자동화를 포함해서 각종 스마트 팩토리 영향으로 데이터관리 능력이 나름 부상하다 보니 산업공학 이외에도 IT계열, 통계계열쪽도 채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적었네요. 품질경영기사는 그럴 수 있겠네요
혹시 뮤지컬이나, 여러 무대와 같은 거 음향 엔지니어나 기술 엔지니어쪽은 기계과도 가능한가요 . . 뭐부터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
기계과랑 별개 같아요
@@취업리스트앗 기계공학과도 그런거죠 ㅠㅠ? 그럼 그냥 따로 준비해야하는 건가보네요 ..
정밀기계과인 학생인데요 밀링 선반 자격증을따는데 꼭따면좋은 다른 자격증 있을까요 조언좀 ㅜㅜ
기계산업기사를 1차 목표로 가세용
아직 하고싶은게 정확하지 않아서 일반기계기사를 무작정 딸려고 공부중인데 비효율적인가요 ㅠ
네. 하고 싶은게 없으면 해보고 싶은거라도 정하셔야 해요
기계과로서 기계기사는 기본이라고생각해서 준비중입니다.. 기사자격증이 요구되지않능곳에 가면 전혀도움이안되나요?ㅜ
@@이동혁-i1g7m 네. 직무랑 맞아야 합니다
전자 전기도 보고싶어요 !!
생산기술직과 설비기술직이 굉장히 비슷해보이는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분되는지 이해가 잘 안가네요 ㅠㅠ 좀 더 부연설명 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말그대로 생산기술은 제품 생산용 장비를 다루는거고..설비기술은 그 생산장비에 사용되는 유틸리티를 제조하는 장비들을 다루는 일입니다. 다만 기업마다 부르는 명칭은 조금씩 다를 수 있고 작은 기업일수록 저 2개 업무를 하나의 팀에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취업리스트 혹 코레일이나 발전소(?) 같은 공기업의 기계직들의 경우는 포괄적으로 정비만 한다고 적혀있던데 생산기술에 더 가깝다고 생각하고 준비하면 될려나요???
@@강승우-r9x 말하신 두 곳은 제조업이 아니라 다르죠..기차를 만드는, 발전기를 만드는 회사가 아니니깐요..
그러니깐 당연히 기차나 발전기 등을 만드는 생산장비, 설비도 없고요. 완제품인 기차, 발전기에 대한 운영, 정비 업무라고 생각하시는게 맞지요
@@취업리스트 아하,, 그러면 위의 7가지는 제조업에서의 역할들이 분류된거군요 ㅠㅠ 그럼 이런 정비업무는 어떤 것들을 준비해야 할까요 ㅠㅠ
감사합니다 전자공학과도 궁금해요!
공장에가면 일반기계기사 외에 용접기사나 건설기계기사도 필요한테...잘 모르시군요.
이번에 사학년된 기계공학과인데 고민이 깊어지네요 ㅜ
이런 직무는 관련 경험(알바,실습)을 해보고 결정하는 게 좋나요? 그냥 제 성향, 느낌대로 고를까요
당연히 전자이지만 기회 잡기가 어렵죠. .
생산기술직과 설비기술직중 어느직종이 좀더 사내지위가 높나요
설비기술은 생산기술을 위한 업무입니다. 그러니 생산기술이 위 입니다
@@취업리스트 마지막으로, 여자들이 지방근무 하는 사람을 그렇게 싫어하나요?? 강동원 외모에 유재석 성격, 연봉 8000인 남자라도 지방근무만 하면 무조건 out인가요 ㅠ
@@alpha-oe5gi 지방으로 가면 지방지역 사람 만나게 되있습니다..근데 수도권보다 확실히 여자비율이 적어서 남자가 능력 대비 을이 되는 느낌이 있져
아버지 추천으로 소방설비기계를 취득했는데, 그것관련 내용은 없네여...
댓글에 시공관리라고 있는데 그 분야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만, 메이저 건설사 설비직은 건축설비를 메인으로 하고 그 담당자가 소방설비도 겸합니다. 따라서 건축설비를 알아야합니다. 소방만 한다면 작은 기업들뿐이 없습니다ㅜ
@@취업리스트 건설기계기사도 따야 된다는 얘기일가여? 원래 그거 따려다 아버지가 소방기계먼저 따라고 추천하셔서 땃는데....그래서 기공과출신인데도 엉뚱하게 일기사나 건설기계가 아니라 소방기계가 있는 상태입니다
@@최가네-r2f 건축설비기사 또는 공조냉동입니다
2:25 사내 공무원이란 말은 왜인가요?
기계직 공무원들이 하는 일은 해당 시, 구청 관할지역에 묻혀있는 상수도 배관, 오수배관 등을 관리하고 각종 업체들에서 들어오는 허가요청을 검토, 민원 대응하는 것입니다.
공무원들이 해당 시, 구청 내의 그 업무들을 한다고 하면, 기업의 설비직은 그 기업내의 그 업무를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떻게 보면 기업 내의 기본적인 것들을 처리해주는 일이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취업리스트 호오 공무원이 그렇군요..
물론 부서마다 다르기도 하겠지만 기계직
공무원이 주로 배관 관련 업무를 맡는다면
시험에서 유체기계 배관공학 공조냉동
건축설비 산업설비 같은 내용을 비중있게
내는게 합리적일텐데, 그렇지 않은것 같네요.
대학에서나 공공부문 채용에서나 기계"설비"
족은 존재감이 약한것 같고, 요즘 대학에선
전기과와 전자정보통신과가 통합하고서
전통적인 전기과가 IT대학 속에 묻혀가는
느낌이 드니 뭔가 안타깝습니다... 정작
자격증과 많은 현장에선 상당히 인기있고
잘쓰이는게 전기랑 기계설비 분야일텐데😢
@@namutnipp 통합전공이니 뭐니 하지만 현실은 다르죠. 기계에서 요즘 it전자 융합과목 많이 개설되고 하지만 그런 분야는 채용인원도 적고 알앤디라서 고학벌이 다 먹을 수 밖에 없습니다.
공기업이나 공무원 기계직 시험도 일기사 내용이 90인게 어이없는 부분이죠..😑
@@취업리스트학사졸 취업 준비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열유체 위주로 파서 설비직 들어가는 걸 목표로 하는 게 그나마 제일 가능성이 높나요?
@@가나다라-q5n 그런건 아닌데 열유체를 기본 베이스로 두면 쓸 곳이 많습니다
저는 마이스터고 금오공고 다니는 1학년인데 정밀기계과 들어왔는데 금형에 관심이 좀 생겼는데 사람들이 금형 엄청 힘들고 오랫동안 일 시킨다던데 어떤걸 선택해야 미래가 밝은지를 모르겠네요 ㅠㅠ
금형은 힘들고 돈도 작지만. 잘 배워두면 딱 굻어 죽지 않을 정도는 벌수있는 직업입니다. 평생. 공고보다는 학교를 나오셔야 합니다. 박봉이 심합니다. 젊어서 배우고 이직한다. 내 사업 한다. 생각하고. 도망가는 업종 입니다. . . 현타 많이 오는 직업이지만. 가공분야나 . 전극 쪽 은근히 일거리가 많아여. . 회사 차라기 쉬워여. .
제가 어릴때 만들거나 조립하는것을 좋아하는데 학과를 어디로 할까요?
지금 좋아하는 과목을 기준으로 생갹하세요
네..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혹시 기계공학에 관련된 공모전을 나가려고 하는데, 어떤 공모전을 준비하셨고 그것이 도움이 되었는지 궁금해요!
전 해본 적은 없어요ㅠ 원하는 직무에 따라 많이 다를것 같긴 합니다
건설이나 유틸리티쪽은 건설 기술공모전 찾아보면 기업체에서 하는 것들이 꽤 있습니다
기구설계쪽은 캡스톤이 대표적입니다
그리고 기업 홍보대사, 기자단 같은 것도 정말 좋아용
@@취업리스트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chsjqn9323 입상 못하더라도 꼭 팀으로 도전해보세요. 졸업하고 제일 후회되는 것이더라구요 ㅠ
3-2라 고민많은데 감사합니다
화이팅하세요 ㅎ
컴가공 산기랑 기계설계산기 취득하였는데
제공된 영상에서 어디쪽 분야가 저랑 맞는지 궁금합니다..
컴가공은 생산관리, 생산기술, 품질관리쪽이고 기계설계는 생산관리, 생산기술, 연구개발이 가깝습니다
@@취업리스트 그냥 단순 생산에는
관련이 없고 기술쪽에 가깝나요??
@@reynorjim714 어느 직무에 가셨나요?
안녕하세요! 좋은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몇가지 질문 드려도 될까요?
4년제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공기업 기계직을 목표로 했습니다. 하지만 올해 나이도 28이고 취업에 대한 부담감이 있어 사기업과 병행해보려 합니다
1. 일반기계기사 산업안전기사를 보유 중이고 발전공기업 인턴 경험이 있습니다. (설비 유지보수 감독부서)
인턴을 하며 위험성평가 관련 업무 경험이 있습니다
이러한 스펙으로 지원해볼만한 산업군 / 직무가 어떤 것이 있을까요?
2. 삼성전자 설비기술이나 인프라 기술에도 지원해볼 생각입니다. 상대적으로 지방 국립대 출신으로 진입장벽이 낮은 직무가 어떤 것일까요?
또한 해당 직무를 위해 준비해야할 건 뭐가 있을까요?
메모리설비 / 파운드리설비 / 인프라설비
3. 무조건 설비 관련 직무만 가능하려나요?
요즘 현대자동차나 기아 등 자동차회사가 공고가 많이 올라오는데 이런 제조업에서 제 스펙이 어떤 직무에 적합한지 궁금합니다
사기업에 관련해서 잘 모르는 편이라 질문이 많았네요,,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전문대에서 학사과정을 마쳐도 4년제 인정이 되는 건가요?
아니면 전문대에서 전문학사과정을 마치고 편입을 가는 것이 좋을까요
4년제 인정 되겠죠.
인서울이나 경북/부산 정도 갈 수 있으면 편입이 낫지 않을까요
전공심화는 아직 인식이 좋지 못합니다.
기계공학 3학년 재학생입니다. 곧 4학년으로 취준생인데 2월에 4주 단기로 재료연구소 시편전처리 및 미세조직분석을 실습하게되었습니다.
광범위한 직무 중 어떤 직무와 연결 가능할지 감이 안와서 질문드립니다.ㅠ..
개인적으로는 품질관리쪽과 관련있다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잘 모르는 분야라 어렵네요..품질이나 알앤디 아닐까요.?
요즘 이름으론 뭐라하는지 모르겠지만, 재료공학과가 있지요. 질문하신 그 업무는 기계공학에서도 다루긴 하지만 재료팀-재료공학과가 주로 하는 업무입니다.
기계공학 입장에서 본다면 재료팀 일은 좀 루틴하고 단조로운 업무에 속합니다. 지루하죠. (재료팀 사람은 나이들면 프로젝트 리더나..반드시 다른 업무를 해야합니다. 재료업무는 나이 들어서까지 오래할 일이 아니죠)
그리고 재료업무와 품질관리 업무는 전혀 다른 일입니다. 재료는 주로 연구소쪽에 가깝고 품질관리는 생산(공장)쪽에서 수행합니다.
참고로 설계업무를 하게되면 고생도 하고 속썩는 일도 많지만 배우는 것도 많습니다. 저라면 재료보다는 설계업무를 추천.
@@hyunjoolee6468 어쩌다보니 완성차 시설직무로 입사했습니다 ㅎㅎ. 이런 글 썼었는지도 까먹고 있었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설계직에서 지원자격이 어떤회사는 대졸을 뽑고 어떤회사는 학력무관인 기업이 있던데 어떤차이가 있을까요?
설비기술직은 토익을 딱히 안본다는 말씀인거에요??
대부분 직무가 어학은 어느정도만 되면 됩니다.
CAD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는데 이와 관련된 직업군은 뭐가 있을까요??
각종 설계직무가 아닐까요. 다만 캐드는 그냥 단순 tool일뿐입니다. 캐드로 완전 먹고 사는 직업으로는 샵드로잉이라고 있습니다
그렇군요!! 감사합니다ㅎㅎ
자동화 기계 설계
@@JJJ-ql1hv 그쪽으로 갈려면 기계공학과 가야하나요?
생산기술이나 설비기술 직무에 유체기계나 유압공학과 같은 수업들이 도움 많이 될까요??
네. 당연하죠~
ㅗㅜ도움 많이 되겠는데요
진짜 그냥 직무직결 과목일듯
생산현장 설비에는 공유압기기랑
유체기계가 많이 있테니까요
기계공학은 Specific하기 보다는 General에 가깝습니다. 즉 두루두루 안 걸치는 데가 없는 업무죠. 졸업하고 사회 나가서 내가 무슨 업무를 하게 될지 모른다는 뜻이고 또 본인이 한 회사 안에 지내면서도 한가지 업무만 하게 되지도 않습니다. 그 업무에 보탬이 될지말지 이런 저울질 하지말고 그냥 배울 기회가 될때 두루, 다 배우세요. 기계공학은 그런 자세로 대해야 합니다.
취업리스트님 혹시 생산기술팀아고 설비관리중 어느 쪽이 더 괜찮다고 생각핫나요?
기업마다, 본인 성향마다 너무 다른데 저라면 설비관리로 갑니다. .
@@취업리스트 혹시 어떤면때문에 설비를 가고싶으신건지 여쭤봐도될까요?
@@몽담곰 동종업계가 아니라도 이직이 가능하고 이외에도 나중에 할 수 있는 일이 많습니다.
지방대 항공전자공학과 입니다 전자공학과도 해주세요!!!
러시아로 기계를 가야할지 항공우주공학으로 가야할지 고민 중입니다 ㅠ 어떤 게 좋은 선택일까요?...
생산기술 직무는 모든산업군에 다있는건가요? 티오가 많다고 하셨는데 어느분야쪽에서 티오가 많은지 궁금합니다.
제조업이라면 다 있습니다. 큰 기업일수록 당연히 많이 뽑습니다. 예전엔 자동차쪽이 많이 뽑았었는데 반도체 호황 접어들곤 반도체쪽이 많이 뽑습니다. 특히 반도체쪽이 예전 전문대 출신이 하던 일을 4년제로 옮겨가는 추세라세요.
@@취업리스트 반도체 제조업 쪽이라고 하면, 삼성과 하이닉스말고도 제조 기업이 많이 있나요?? 그리고 해당 업무가 보통 설비나 양산업무로 알고있는데, 기존의 자동차같은 산업군의 생산기술과 달리 단순업무라서 경력이 쌓이지 않는다고 들었는데 맞나요??
혹시 기계공학전공자가 plc제어를 다룰줄알면 기계쪽 어느분야에 활용가능할까요?ㅠㅠ
잘모르겠네요ㅠ
도움이 될까 남깁니다. 기계과출신 대기업 생산기술팀 자동화 담당 출신입니다. Plc제어는 현장직들이나 외주업체 엔지니어들이 주로 컨트롤했고, 전기과 출신 동료들이 이해도가 높아서 관련 일처리를 했었습니다. 외부교육으로 plc컨트롤을 이수했지만 적당히 이해하는 수준이었고 제가 직접 뭘 건드리는 일은 없었습니다. 구매팀으로 가신다면 관련 제품들을 잘 아시니 써먹을데가 있을수도 있겠네요. 화이팅!!
@@healer4609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healer4609 안녕하세요 저도 대기업 생산기술직을 목표로 대학생활 중인데 정말 추천해주시는 스펙에 들어갈 활동이 뭐가 있을까요?
컴퓨터응용기계과인데 어디어디 취업 가능할까요?
어떤 학과인지 잘 모르겠어요ㅜ
기계과 공조자격증 취득예정자입니다. 지방00 공기업지원하는데 GMP관련 공조라는데 위 경험없는 지원자면 밀릴수밖에없겠죠?
GMP면 제약쪽이거나 할텐데 그쪽 경험있는 신입 거의 없어요. 공냉기사 있으면 자신감 갖고 가시면 됩니다
@@취업리스트 답변감사합니다.
gmp 교육같은거 수료해보세요. 저도 공조 취득한 기계과 출신인데, 제약회사 유틸리티 직무 면접에 가게되어서 부랴부랴 gmp 교육 인터넷으로 이수하고 면접때 수료증 보여주고 직무랑 연관시켜서 답변해서 합격했습니다. 다른데갔지만...ㅎㅎ
@@최병현-e9o 감사합니다!
기계공학과는 선박엔진쪽으로도 갈수있지않나요?
갈 수 있습니다. 영상에선 갈 수 있는 직업안 다뤄봤어요 :)
기계공인데 c언어나 엑셀 배워두면 도움될까요?
무슨 일 할거냐에 따라 다릅니다. C언어는 학교 이외에 본적도, 써본적도 없어요. 엑셀은 학생 때 공부하실 필요는 없고 일하면서 익히는 수준이면 됩니다
외국계기업 취업 희망하고, 내년에 2학년이 되는 기계공학과 학생입니다. 현재 지거국 중에서 성적이 비교적 낮은 학교를 다니고 있고, 좋은 학벌이라는 생각은 들지 않습니다. 1. 연구개발,기술설계 파트는 저같은 학생이 도전했을때 예상되는 어려움이 있나요?
2. 직무 능력을 위해서 과기원이나 기타 상위 대학으로 대학원을 가는 것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답변 주시면 큰 도움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1. 학교 학점을 최대한 높게 받을 수 있도록 공부 열심히 하시고 각종 설계 프로젝트 대회에 많이 도전하세요.
2. 연구개발이 목표라면 가는 것도 좋습니다. 다만 대학원 진학 연구실에 따라 너무 한정된 분야가 될 수 있기에 연구실이나 담당 교수, 과제 등을 잘 선택하셔야 합니다
연구개발 기술, 설계 현직입니다. 대학교에서 배운 설계의 기본이 되는 오토캐드, 솔리드웍스 ,카티아, UG, Pro-e 등등 3D 툴을 배우면 누구나 이쪽 업계에 대해 환상을 갖게 되는데요 , 캐드를 배우면 곧 설계자가 되는것은 아닙니다. 2D,3D 캐드는 그저 설계의 일 부분일 뿐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영역이기 때문에 하나의 제품을 설계 할 때도 어마어마한 생각과 노력 그리고 시간이 들어갑니다. 설계를 잘못해서 제작 , 조립이 어려운 제품을 내거나 치수 하나만 삐끗 해도 가공비가 허공으로 날아가 대차게 욕을 먹는일은 부지기수구요 , 제품하나 기한내에 완성하려고 야근은 기본이고 필요하다면 철야에 주말출근도 불사해야합니다. 더 알아듣기 쉽게 설명드리면 본인이 연구개발, 설계직무를 정말 좋아하고 자신의 시간을 할애 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이쪽 업계에 입문하시는 걸 말리진 않겠습니다. 그러나 워라벨, 자기계발 , 취미생활등 본인의 삶의질을 중요하게 여기신다면 연구개발, 설계쪽은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 두번째로 직무 능력을 위해 편입학이나 대학원 진학을 가는것은 실무능력을 쌓는것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공기업 또는 연구소에 취직을 할 생각이라면 편입학이나 대학원 진학을 하는것이 맞지만 직장 커리어를 생각해서 말씀하신거라면 적절하지 않습니다.
@@김승준-d7u 귀중한 시간 내어 자세하게 답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정해진 답이라는 건 없으니 스스로 경험해보면서 찾아나가겠습니다! 혹 생산기술 직무에 대해서 아시는 부분이 있으신가요?
@@취업리스트 역시 기본을 잘 해야겠네요... 소중한 조언 감사합니다!
@@에이포 생산기술은 제품 제조공정에 포함되는 것들 (용접,조립,제품 형상가공 , 자동제어등등) 을 제외하고도 품질, 마케팅, CS (고객만족) 을 총망라한 것들을 가리켜 생산 기술이라고 합니다. 설계는 제품 생산을 위한 생산기술과 제품의 성능을 맡는 연구설계로 나눠집니다. 생산기술은 경험상 연구개발 기술연구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맡고있는 직무기에 난이도가 낮아보이지만 사실 가장 현실적으로 접근 할 수록 고난도의 기술을 요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중견중소 설계쪽에서 경력을 쌓으면 생산기술 분야 이직 시에 도움이 되나요? 반도체 산업의 경우에도 그러한지 알고싶습니다
4학년 취준생입니다. 영상 항상 시청하는데 처음 댓글 달아봐요. 영상들로 인해 자기소개서 작성 할때 많은 도움을 받아서 아직까진 좋은 결과들이 있내요.
취업리스트님의 경우 기계공학을 전공하고 건설업에서 종사하신? 하셨던? 걸로 기억하는데 어떤 직무를 담당하셨었나요? 저의 경우 대기업 epc사에서 플랜트 설계 업무를 희망하고 지원하고 있는데 관련하여 더 질문 드려도 될까해서 댓글남겨요.
건축쪽이라..석화, 발전 플랜트 엔지니어링은 잘 모릅니다ㅠ같은 건설업이라도 엄청 심각하게 다른 두 분야입니다.. 하이테크쪽은 알고 있습니다.
산업군에 대한 영상은 안 올리실 예정인가요 ㅜㅜ
올려야져ㅠ 연휴때 도전해봐야겠어용
전기공학부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전기공학'부'라니 전자통신 전공도
포함하는것 같지만, 그냥 편의상
전기과라 생각하고 전기쪽을
중심으로 여러가지 적자면...
-발전 송배전 변전
-수배전 동력 및 조명 등
-외선/플랜트/토목 공사
-내선/건축/인테리어 공사
-배전반 및 GIS 제작/설치
-전동기 및 변압기 점검 및 정비
-플랜트 계측제어
-건축설비 자동제어
-공장 자동화 및 기계장비 제어
-변전소 등 운영 및 점검
-배전선로 점검
-발전소 운영/정비
-화학공장 설비운영/전기제어 보수점검
-소각/수처리 시설 운영 및 유지관리
-금속제조 공장 설비운영 및 유지보수
-생산공장 설비운영/전기제어 보수점검
-병원/대학/공항 등
-문화체육시설/복지시설
-업무/유통/숙박/주거시설
-건축물 자산 및 부동산 관리
-전기안전관리대행업체/전기안전공사
-소방시설점검
-도로/터널 환기/전기/소방/통신설비 점검
-가스점검(도시가스/가스안전공사/기타업체)
-태양광 및 신재생 발전설비
-철도전기설비 운영 및 점검
-철도전기 설계/공사
-철도차량 정비
-철도차량 및 부품/기기 제작
-철도신호 유지보수
-철도신호기기 제작
-철도신호설비 설계/시공
-연구장비엔지니어
-조선업 전기/제어 관련 직무
-공조냉동 및 소방설비 등 기계설비
-기타 기계산업 전기/제어 관련 직무
-승강기/PSD/전동문
-전기기기
-조명
-콘덴서 등 부품
-배터리 및 2차전지
-가전제품
-전력전자기기
-소방시설 기기
-반도체/디스플레이
-자동차 전장
-방송음향기기
-로봇/기계제어/임베디드
-통신설비 설계/설치/점검
-프로그래머
-전산실 운영
-전산망 구축
-전기안전/EMC 등 시험, 계측기검교정
-무대조명/음향기사
-선박 내 기관/전력 운영
-항공기 제작/정비
-자동차 제작/정비
-기술영업
-교육 및 직업진로상담
설비기술직이 유틸리티 직무 말씀하시는건가요~? 공무 이쪽 직무 인가요~?
맞습니다
@@취업리스트 감사합니다..!
생산관리직은 어학도 중요하게 보네요
공고도 아니고 4년재 상위권대 나오면 관리직이것지요,,,,,,,,,, 미생
생산기술직 or 설비기술직 쪽으로 커리어를 쌓고 싶은데 혹시 조언 부탁드려도 되겠습니까? 시작을 어찌 시작해야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어떤 회사가 있고, 교대근무 인지 삶은 어떤지 알고 싶습니다. 우선 가진거는 일반기계기사, 한국사1급 입니다.
저는 컴퓨터,자동차,전자기기등 기계들을 다루는걸 좋아하는 (카센타에서 일도 해봤고 직접 컴퓨터도 조립해봤습니다) 고1인데 저는 무슨 직업을 하는게 좋고 어떠한 과목들을 주로 성적 올리는게 좋을까요? (유익한 영상 감사드립니다)
하드웨어(겉포장, 구조)등이 좋으면 기계공학과 소프트웨어가 좋으면 컴공이나 전자공학과 가시면 될것 같아요.
과목은 무조건 물리입니다. 능력되시면 물2까지.
기계다루는걸 좋아하면 마이스터, 실업계 가야됩니다. 또는 전문대.
나는 역학(물리)가 좋아! = 기계과
익명님의 댓글이 꽤나 공감가네요.
기계공학과 학부과정은 흔히 사람들이
생각하는 기계공학의 이미지와 달리
기계과학과나 응용물리학과라는 말이
더 어울릴 정도로 기술적 지식보다는
연구지향적 성격이 압도적으로 강한
이론 위주의 교육입니다. 그래서 그
기계류의 취급이나 수리를 좋아해서
기계공학과에 진학한 사람들 중에는
학교가 생각하던 것과 다르다는 말이 많고,
심하게는 안 맞다고 그만두는 경우도 있죠.
(저도 그런 케이스고, 뚝딱뚝딱 잘 하시는
유튜버 마초맨도 기계공학 중퇴하셨다지요)
물론 수학과 물리를 싫어하지 않으며
실력도 어느정도 받쳐주는 사람이라면
기계공학과의 교육내용을 그럭저럭 버티고
소화하여 성적을 죽쑤지 않을 수 있을 거고
기계공학과를 나와서 취업을 현장직종으로
하는 길도 있지만, 기계의 조작이나 정비와
기계공학과 교육과정은 괴리가 큽니다.
그러니 몇가지 추천을 해 보자면...
기계의 취급이나 정비 쪽으로 관심있는
경우 이론위주적인 기계공학과보다는
많은 기계류의 동력과 제어수단이 되는
전기를 배우는 것이 낫지 않나 하는 관점..
자동제어 분야의 경우 통신 관련 지식도
상당한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임..
(저는 이런 생각으로 전기를 공부했는데,
그럭저럭 괜찮은 선택이었다 생각합니다.)
•항해
•기관
•해양경찰
•소방 관련 업계가 별로라는 말도
있으나, 사회에 꼭 필요란 분야인
만큼 일자리와 수요는 있을것
•잘하면 소방공무원 가능할듯
•기술지식과 실습 비중이 높은 교육
•주요 취업진로가 보수점검 분야로
여러 기업체 현장으로 전망있을것
(다만 공공기관 쪽에서는 일부
말고는 들어가기 어렵겠지만..)
•여러 학과가 있으며 제각기 다른 편
•기계/컴퓨터응용기계과는
주로 기계설계나 절삭가공
•메카트로닉스/자동화과는
주로 공장 생산설비 자동제어쪽
(기계보다 전기전자 성격일듯ㅋㅋ)
•공조냉동/산업설비과는
건축설비/산업공조/플랜트설비
/에너지/배관및용접/유체기계
•승강기
•자동차
•항공
•이건 추천이 아니라 비추천
•전반적으로 비추천
•철도/지하철공사 취업에는 이점이
없으며 입사 가능성도 어두운 실정
•그나마 철도전기전자(신호)과나
철도토목과나 철도차량과의 경우
철도건설업이나 차량제조업이나
이외의 기계/전기/토목 분야로
취업전망이 있으나, 철도운전과는
진로범위가 매우 좁고도 어려우며
(현재 철도/지하철공사의 기관사
채용은 운전과 성적우수자를 뽑는게
절대 아니라, 상류대의 이공학도를
최우선적으로 뽑는것에 가깝습니다)
철도 이외의 일자리에서는 어디서도
알아주지 않는 전공이라 전망이 최악
상위권 학생인 경우라면 그냥
기계공학과 진학 후 발전소나
지하철 정비사 같은 공기업을 노리거나
몇몇 기업의 설비운영/유지보수 관련
직종으로 취업하는 방법도 있을텐데,
취업 이후까지는 학업에 그다지 흥미가
붙지 않을수 있고, 수학이나 물리를
좋아하지 않는 경우엔 상당한 고역이
될테니 잘 검토해 봐야 할 길이겠죠..
화학공학과도 해주세요ㅜ
시설관리유지는 없나요?
어떤것이요??
시설관리는 기계공학과 나온 사람중에 지망해서 가는 경우는 없는것 같아요. 어찌어찌 하다가 배정되서 하게되는 업무에 가깝죠. 특성화고 나온 사람이라면 모를까.
안녕하세요~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남겨요! 3번 생산기술과 4번 설비기술이 비슷해 보이는데 두개를 구분 지을 수 있는 차이점을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생산기술은 말그대로 생산장비에 대한 업무, 설비기술은 생산장비에 부수적으로 딸려있는 설비류(유틸리티 등)에 대한 업무가 중심입니다.
안녕하세여 기계공학과 졸업반인데 요즘 정말 참고 많이하고 있습니다!
목표는 반도체 외국계기업 cs엔지니어 희망 중입니다!
혹시 이번 여름방학 때 스피킹(토스or오픽)에만 시간 투자를 해서 하나에 확실하게 높은점수를 얻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스피킹은 서류합격선만 맞춰놓고 토익에도 같이 투자를 해서 애매하지만 두가지 다 가지고 가는게 나을까요??
토익할 필요 없습니다. 그리고 토스보다는 오픽이 점수받기 수월하다고 느끼는 분이 많습니다. 오픽 최소 IH 이상 받는게 좋으실거에요
@@취업리스트 답변감사합니다~~~~
기계과가 건축쪽으로도 많이 취업하는걸로 아는데 기계과가 건축업에서 하는 일이 어떤게 있을까요?
건축업이라면 아무래도
건축설비가 아닐까요..?
@@namutnipp 설비도 있지만 건축직무에 기계과가 갈수도 있다고해서요
@@살신기 건축직무에는 기계공학과가 없어요 ㅠㅠ 자격자체가 대부분 건축공학과로 지정해놓습니다. 건축분야에서 설비직무로 근무합니다.
ruclips.net/video/NIJk6uAx_Ic/видео.html
ruclips.net/video/WVq6PPwKzfw/видео.html
도움되실까 해서 링크 남겨요 :)
@@살신기 ㅇㅇ건축설비 분야는
기계/설비쪽 전공자를 주로 쓰죠
직무에 따라서 연봉이 많은 차이가 있나요? 취업리스트님께서 제시하신 7종의 직무중에 연구개발과 시설관리가 가장 높은 보수를 받나요? 전체적인 연봉 순위(?)를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연봉은 직무가 아니라 회사에 따라 다릅니다. 현대차 연구개발직과 시설관리직이 연봉이 같은것 처럼요
ㄴㄴ 연봉은 차이 안나는데 시설관리가 야근 및 특근이 많아서 조금 더 많이 벌어요. 현차현직자 피셜입니다. 다만 워라벨과 노조때문에 능력 되시면 연구직을 추천드립니다.
답글주셔서 감사합니다
기계공학과랑 전기전자공학과랑 차이가 큰가요?
전자 요즘 잘나가잖아요 ㅎ
자동차과 기계공학과 고민중입니다. 그래도 자동차과보단 기계공학과가 낫나요..?
자신이 자동차에 더 비율을 두고싶으시면 자동차과구요 자동차 뿐만아니라 더 배우시고싶으시면 기계 ㄱㄱ
@@daysgood647 감사합니다
꿈이 어떻게 변할지 모르니 전 기계 추천 드리네요
자동차공학과 항공우주공학과
기계공학과는 이름만 다르지 사실상
몇가지 말고는 교과목의 다수가 같아서
큰 차이가 나지 않고, 그래서 학부로 합친
대학도 많죠. 물론 학과명상으로는
아무래도 그냥 기계가 폭넓게 보여서
가장 무난하게 보이긴 합니다.
다만 전문대학의 자동차과, 항공과,
기계(/컴퓨터응용기계)과,
자동화(/메카트로닉스)과,
산업설비(/공조냉동)과는
분야가 제각기 퍽 다르니
잘 비교하고 고민해 봐야 합니다..
@@namutnipp 사실상 교과목을 보면 거진 일치하지만.. 서류 검토자 입장에선 지원자가 그래도 같은 수준이면 기계공으로 기울더라구요. 나이 많은 분들중엔 저 학과들이 알고 보면 같다는 것도 잘 모르구요
정밀기계과 기계공학과 똑같아요...?
기계공학과 1학년인데 많은 정보 얻고 갑니당
아 그리고 질문이 있습니다. 기타스펙에 강한 인상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요?
만만해보이진 않는 인상이라고 해야할까요... 협력업체 다룰 일도 많고 실무에선 강하게 말하는, 갑질도 능력인 직업이 꽤 있습니다.. 목소리 큰게 장땡이다 라는 속담이 괜히있는게..ㅎ
물리학과가 목표학과인데 물리학과를 나오면 할수있는 진로직업은 무엇이 있나요??ㅠㅠ
기초과학분야는 취업면에선..ㅠ
@@취업리스트 아...그렇군요..혹시 계속 질문하여서 실례가 아닌가 싶지마는 천체물리학 우주과학에 관련된 진로를 가기위해 가면 좋은 학과가 있을까요? 죄송합니다
@@iamimprovement 제가 알기로 그쪽 분야 학과는 몇개 학교밖에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연대 천문우주학과가 대표적이네요
CS엔지니어요! ~,~
혹시 못보실까봐 남깁니다.
+추가
1. CS엔지니어
: 발주처에 납품한 각종 생산장비나 기타 장비들을 고치는 업무를 함.
삼성에어컨 고장났을 때 AS 신청하면 AS기사님들 오시는 기사님들이랑 유사하다고 생각하면 됨.
반도체 장비는 워낙 비싸고 다루기 어려워서 유명 MAKER사 장비업체는 4년제를 CS 엔지니어로 채용함
다른 산업군은 거진 고졸~전문대졸 채용이 많음
학점 : ★★★☆☆
전공 : 기계요소설계, 5대역학 등
기타 : 높은 체력과 서비스 마인드 필요함 (발주처랑 싸우면 안되니깐)
어학 : ★★★★☆ (외국계 장비회사이면 나름 중요함 )
자격증 : 일반기계기사? (크리티컬하진 않음)
2. 시공관리
: 공사현장을 공사내역, 시방대로 하청업체들이 제대로 하는지 공사감독하는 업무
발주처랑 각종 업무에 대해 논의하고 공무원들한테 각종 허가, 대관하는 업무
학점 : ★★★☆☆ (플랜트면 ★★★★☆)
전공 : 5대역학+기계설비공학
어학 : ★★★☆☆(플랜트면 ★★★★☆)
자격증 : 건축(건축설비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소방기계설비기사), 플랜트(일반기계기사)
기타 : 높은 체력과 강한 인상, 플랜트분야는 플랜트 교육 수료
최고 ;)
하 공고인데 기계과 넣었다 인생
난 공고 기계에서 충북 기계로 넘어감 화이팅
전문대 기계공학과 나오면 생산직에 보통 일하게 되나요?
가지각색인데 그걸 많이들 희망하더라구요
@@취업리스트 그렇군요 보통 전문대 공대 나오면 생산직에 취업을 가나요?
공무팀도 추천
이세돌???
1도 안맞는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