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인 상황에서 쌀 1인분은 75g이라고 봐야합니다. 급식기준도 70g이고 즉석밥도 원재료보면 보통 75g근방이죠. 반합밥문화가 활성화되어있는 일본에선 좀더 소식하는 경향이 있어서 60g까지도 잡는걸 보았지만 제 경우엔 90g은 잡아야 배가 좀 차더라고요; 일본에서 한컵을 150g으로 설명하는건 아마 일본의 일반적인 쌀계량컵 한컵을 의미하는것일것 같은데 1계량컵=1홉(合)=180ml=약150g 이라고 보면 편할것 같네요. 제가 반합밥하면서 맨땅에 헤딩을 좀 해본김에 몇마디 적어봤습니다ㅠㅠ
[zunecraft.com]
🇰🇷주네크래프트 블로그 뉴스레터를 신청하세요~ zunecraft.com/ko/blogs/ 💌
🇺🇸Subscribe to the ZuneCraft Blog Newsletter~ zunecraft.com/blogs/ 💌
It has been nearly impossible to find instructions on this thing - thank you for putting this informative video together.
I am happy to hear that! enjoy trangia!
반합밥 물 양 맞추기 어려웠는데 좋네요~
네네 아주 편리하고 좋습니다~☆
쌀의 양에 따라서 물 양이 달라지는데, 영상에서는 쌀양이 150g 이지만 트란지아에서는 몇그람을 기준으로 잡았는지 궁금하네요. 멀티 디스크 다른영상 검색하다가 외국 영상 봤는데 반합에 물양 쌀양 각인이 되어있어서 훨씬 편하다 느껴지더군요 ㅜㅠ
일본 판매 사이트에서도 한컵의 쌀의 양을 150g으로 설명하더라구요~
일반적인 상황에서 쌀 1인분은 75g이라고 봐야합니다. 급식기준도 70g이고 즉석밥도 원재료보면 보통 75g근방이죠.
반합밥문화가 활성화되어있는 일본에선 좀더 소식하는 경향이 있어서 60g까지도 잡는걸 보았지만 제 경우엔 90g은 잡아야 배가 좀 차더라고요;
일본에서 한컵을 150g으로 설명하는건 아마 일본의 일반적인 쌀계량컵 한컵을 의미하는것일것 같은데 1계량컵=1홉(合)=180ml=약150g 이라고 보면 편할것 같네요.
제가 반합밥하면서 맨땅에 헤딩을 좀 해본김에 몇마디 적어봤습니다ㅠㅠ
오~ 이건 필구네요
이거 반합과 쓰면 정말 편하더라구요~ 필구템 맞는 것 같습니다~~:)
힌쌀밥에 스팸추가요
ㅋㅋ 그건 치트키
발리에서 돌아오셨나요?! 잘보겠습니다!
감사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