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고 개고 입고 한방정리(42일차)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6

  • @안천호-d6j
    @안천호-d6j 2 года назад +1

    아나운서 김원장님 명강의 감사합니다~^^❤💗💗

  • @아엠아이
    @아엠아이 2 года назад +3

    목소리가 또랑또랑 해서 참 잘 들립니다. 방송인급 딕션이어요.감솨.

  • @dressinss
    @dressinss 2 года назад +1

    알기쉽게 설명도 해주시고 그림까지 한몫하니 매우 좋아요
    딱 제 스타일 입니다
    감사합니다~^^

  • @하보남-w2e
    @하보남-w2e Год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관고...👀

  • @neverbetter333
    @neverbetter333 Год назад +1

    항상 좋은강의 감사드립니다
    예에서 진사 천라지망도 개고가 되나요 사속의 병화가 입고된다하셔서요 그리고 일간병화도 입고되나요 일간은 사주의 주체이니 안될것도 같은데 궁금해서 여쭈어봅니다
    고맙습니다😊

  • @user-x424
    @user-x424 Год назад +3

    진술충 될때 충되는 지지 십성이 천간에 있으면 들어온다? 아닌가요? 다른지지들은 충되는게 아니잖아요

  • @DBK-o9w
    @DBK-o9w Год назад

    맞는데 저도 존경(칭찬,모범)할수 있는 부분을 생각하는데
    이게 없으면 무시해지더라구요

  • @아라리요-q1m
    @아라리요-q1m 2 года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너무 재밌어요

  • @장미-t9e
    @장미-t9e 2 года назад +1

    근데 관고라 함은 삼합의 고지를 봐서 관고로 봐야하는지 아님 진술축미 지장간에 관성이 있으면 모두 관고로 보는지 궁금하네요. 예를 들면 임술일주 면 술토는 화의 고지이니 재고로 보는분도 계시는대 술토속 무토가 임수의 관성이라 관고로 보는지 좀 헷갈리네요

    • @목요일사주
      @목요일사주  2 года назад +1

      선생님이 말씀하신 삼합의 고지는 입묘입니다. 입고와 입묘는 개념이 좀 다릅니다. 입묘가 더 쎄다고 할까요? 올려드린 영상은 묘를 뺀 개념이라 넓은 의미로 잡은 것입니다. 진술축미 안 관성은 그 역할이 발현유무를 차후하고 관고라 합니다. 임술은 재고기도 하고 관고기도 합니다.

    • @장미-t9e
      @장미-t9e 2 года назад +1

      @@목요일사주 네 그렇군요 말씀 감사합니다~^^

  • @yamigate2145
    @yamigate2145 2 года назад

    늘, 강의 재미있게 듣고 있습니다.
    선생님,
    만약 예시와 같은(병진) 일주를 가진 사람의 시지에
    술토가 나란히 붙어있는 사람은
    늘(일상) 비슷한 영향을 받나요?
    충운으로 술토가 오는 시기에 한해서 영향인가요?

    • @목요일사주
      @목요일사주  2 года назад

      보균을 가지고 있는것이고 항상 영향을 받는건 아닙니다. 진토가 형충받는 행운에 술토 기운도 함께 움직입니다.

  • @솜-t3o
    @솜-t3o 2 месяца назад

    왜 경술일주 자살이 많은지 알겠어요

  • @선경-m1j
    @선경-m1j 2 года назад

    전 계유일주인데 년월지에 술토공망입니다
    꼭 일지가 아니여도 재고관고로 볼수있는거 아닌가요?
    내년 경진대운시작이라 잘 살펴보게 되네요

  • @장미-t9e
    @장미-t9e 2 года назад

    김목산님 영상 잘보았습니다. 선생님 설명이면 계축도 관고로 보지 않나요? 아무튼 영상을 잘 만드셔서 보기 좋으네요 선생님 감사합니다🙏🏻

    • @목요일사주
      @목요일사주  2 года назад

      아하.. 어쩐지.. 뭐가 빠졌다..허전하다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시 수정해서 올릴지.. 다음에 하나 더 올릴지.. 여튼 지금 말고 나중에 생각해봐야겠습니다. 죄송합니다 계축도 관고입니다.

    • @아라리요-q1m
      @아라리요-q1m 2 года назад

      @@목요일사주 선생님 갑술일주도 관고인게 맞나요? 술토에는 을목무토병화가 입묘되는걸로 알고 있는데 관고 아닌것 같은데...

    • @목요일사주
      @목요일사주  2 года назад +1

      ​@@아라리요-q1m포태 묘지로 볼때는 선생님의 말씀이 맞습니다. 그러나 관고는 삼합의 고장으로만 말하는것이 아니며 여기에서의 입고는 입묘와 달리 완전히 덮히고 묻힌것이 아닌 보관의 개념으로 유동성이 있음을 말씀드립니다 ​

    • @옥림김-b8v
      @옥림김-b8v Год назад

      ​@@목요일사주😊

  • @cyndikim9954
    @cyndikim9954 Год назад

    예시명국은 병술일주인데.. 병술이 아니라 병진일주라야 관고 아닌가요? 병술일주 지장간에는 관성이 없다고 보여서요

    • @목요일사주
      @목요일사주  Год назад

      일지 관고는 아니나 관성이 들어올때 입묘되는건 같습니다. 입묘와 관고는 경중은 있으나 같은 말입니다

  • @내앞에서틀린말은하지
    @내앞에서틀린말은하지 2 года назад

    ㅋㅋ..

  • @yl6862
    @yl6862 2 года назад

    저대로보면 관고인데 참을성 엄청 많고 관고아니라고 통변하시던데요 이상형도 존경할수있는 남자이고요 진술축미라고 다 관고는 아니라고 하시던데.....

    • @목요일사주
      @목요일사주  2 года назад

      운전중에 답변하느라 다 쓰지 못했는데 올려져서 지우고 다시 씁니다. 관고는 해석이 분분한 면이 있습니다. 어느 분들은 포태 묘지만 부성입묘 관고로 지정하시기도 합니다. 저는 관성이 고지에 있음을 모두 총칭합니다. 당연히 관고의 경중이 생기지만 그 기운이 없는것은 아니라 보기 때문입니다. 어쨌든 늘 낮은 자세로 경청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user-dahee1234t
    @user-dahee1234t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계을계정
    미해묘축입니다.
    몇년뒤 정미대운이오는데
    기토 편관 무토갑목 임수들이 개고가되는건가요?
    아니면
    무토는 합방으로 없어지는건지
    을목이 쓰러지나용??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