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거 다 놔두고 Keychron K9 Pro를 산 이유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6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41

  • @sangchusangchu
    @sangchusangchu 5 дней назад +1

    아... 이게 제가 영상을 보고 참치타다키가 보이는데 아니겠죠?

    • @telev2
      @telev2  5 дней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 정답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

    • @sangchusangchu
      @sangchusangchu 5 дней назад

      @@telev2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죄송합니다 진짜 그냥 보였어요

    • @telev2
      @telev2  5 дней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니에요. 역시 천재십니다ㅋ

  • @darkenkight
    @darkenkight 5 дней назад +1

    집에서 쓰는 가장 많은 시간을 쓰는 키보드가 로프리 플로우 라이트입니다. 그냥 이야기하신 것처럼 저도 팜레스트를 별도로 쓰는 불편함이 싫고, 손목도 좀 더 편하기에 로우프로파일을 좋아하게 되었죠. 하지만 그냥 쓰는 거였는데, 오늘 텔레브님 덕분에 로우프로파일에 대한 어느정도 의 기준을 갖게 된 것 같습니다.
    요즘은 로우프로파일 키보드도 점점 다양한 브랜드에서 만들고 있어서 기대가 되고 있으니 알려주신 내용을 바탕으로 저만의 기준을 만들어봐야겠습니다.
    잘 배우고 갑니다

    • @telev2
      @telev2  4 дня назад +1

      오 다큰카이트님도 로우프로파일 쓰시는군요! 저도 로우프로파일 시장이 무럭무럭 자라나서 다른 브랜드가 많이 뛰어들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댓글 감사드립니다.

    • @darkenkight
      @darkenkight 4 дня назад

      @ 어서 무럭 무럭 자라나라 로우프로파일 시장 !!

  • @my1sec
    @my1sec 3 дня назад

    잘라 쓰고 만들어 쓰고 그랬는데 이젠 좋은 완제품이 많아서 그럴 일이 없어졌어요. 60% 배열만 20년 넘게 사용하다 보니 영상 보는 내내 공감 가는 말씀이 많아서 재밌게 잘 봤습니다. 몇 해 전부터 맘에 드는 75%가 보이면 사들이고 일탈을 해 보는데 셋팅은 여전히 60% 와 같게. 사용도 딱 60%배열 안에서만 사용하네요. ㅋㅋ 오랜 습관이라는게 무섭죠. 그만치 60배열 만의 중독성이 있는가 봅니다.

    • @telev2
      @telev2  3 дня назад +1

      20년 ㅎㄷㄷㄷㄷㄷ 선생님 저도 큰 배열 키보드에 60%랑 똑같이 셋팅해서 딱 그만큼만 사용합니다 ㅋㅋㅋㅋㅋㅋㅋ 저는 아직 기계식 키보드를 접한지 10년도 안되었는데 20년 꼭 채워보겠습니다. 댓글 감사드립니다!

  • @oREoTheCream
    @oREoTheCream 5 дней назад

    역시 억지로 64배열 만들어서 방향키 넣는 것 보다는 정통 포커가 맞는 듯 하네요. 구관이 명관입니다 .. ㅇㅅㅇ;;
    우쉽 1.75까지는 허용이 되어서 저도 65%를 쓰는데.. 1u는 적응이 정말 힘들 듯 합니다
    일반 스위치에 사용하는 스프링 -> LP 스위치 저소음화 (?) 이거는 진짜 몰랏는데 신기하네요.
    저 작은 공간에 저 스프링이 다 들어가긴 하는군요 ㅋㅋㅋㅋㅋㅋ
    LP 기판까지 짜셔서 조그맣게 만드신 거는 존경스럽습니다 ㅋㅋ 오늘도 잘보고갑니당

    • @telev2
      @telev2  5 дней назад

      저도 구매하고 나서 스프링이 일부 호환된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근데 막 그렇게 타건감이 좋진 않았습니다 ㅎㅎㅎㅎ 공간이 작아서 그런가 키압도 많이 올라가고 그렇더라구요!

  • @VanDarkFantasy
    @VanDarkFantasy 5 дней назад

    와 로우 프로파일! 저도 최근에 칠키라는 브랜드의 ND75 LP라는 제품을 하나 주문했는데 로우 프로파일만의 매력도 분명히 있는거 같아요
    와 로우 프로파일 스위치의 스프링을 가는 부분은 생각을 못했는데 숏프링 중에 키압에 따라서 다른 키감을 느껴볼 수 있겠네요 신기하다... 저도 ND75 LP 받으면 스위치를 제 취향으로 커스텀해볼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 @telev2
      @telev2  5 дней назад

      오 칠키꺼 찾아봤는데 이거는 자체개발 스위치라서 스프링 직경이 같은지 모르겠네요. 현재까진 게이트론꺼만 가능한 것 같습니다. 체리, TTC, 카일꺼는 스프링 직경이 다 달랐어요.

  • @21_ruf
    @21_ruf 2 дня назад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책상 어떤제품인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 @telev2
      @telev2  2 дня назад

      댓글 감사합니다 한샘건데 잘 몰라서 찾아보니 플렉스 7000 인거 같아요. 두개 이어붙이는 2인용 책상입니다

  • @tonylim1225
    @tonylim1225 5 дней назад

    하 ㅠㅠ
    nuphy 와 lofree 조사하면서 결국 울며겨자먹기로 nuphy 로 선택한 사람으로써
    진짜 핵극공감입니다,,,
    전 f 열을 자주 쓰는 편이라 60 배열보다 75 배열을 골랐는데용
    개인적으로 어떻게 f열 치시는지 궁금하네요 ㅎㅎ
    그나저나 미감적으로 k9 pro 진짜 너무 깔끔하니 이쁘네요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 @telev2
      @telev2  5 дней назад +1

      @@tonylim1225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60배열만 쓰다보니 fn + 숫자로 f열을 치는게 익숙해져있습니다. 전 주로 캡스락을 fn으로 씁니다. 별거없죠 ㅎㅎㅎㅎ 이제 이름바꾸기 F2는 한손으로 빠르게 가능해졌습니다.

  • @user-ym8dl7mw3o
    @user-ym8dl7mw3o 4 дня назад

    맥북도 쓰시는 거 같은데, 캡스락에 한/영을 매핑해보시면 어떨까요? 맥북에서 적응되어있으면 캡스락키로 전환하는 것이 알트키보다 편하더라고요

    • @telev2
      @telev2  4 дня назад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제가 캡스락을 Fn으로 쓰고 있어서 한영키로 쓸 수가 없었습니다. LT기능을 써보기도 했는데 제가 워낙 Fn을 눌렀다가 취소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때마다 한영이 바뀌니 LT도 때려치웠고요 ㅎㅎㅎㅎㅎ

  • @zkskw7835
    @zkskw7835 3 дня назад

    전 k1 max쓰는데 키크론 로우프로파일 좋습니다 소음도 적고 디자인 괜찮다면 하나쯤 가지고 있는것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 @telev2
      @telev2  3 дня назад

      k1 max는 내부에 폼을 깔아주었네요 부럽습니다. 제껀 내부에 폼처리가 없더라구요 ㅠㅠ

  • @user-ki6hn6vt5v
    @user-ki6hn6vt5v 3 дня назад

    1:27초에 위에 있는 키보드는 어떤 키보드인가요?

    • @telev2
      @telev2  3 дня назад

      아 위쪽의 하얀키캡 스페이스바가 둘로 쪼개져있는 키보드 말씀이신거죠? 그건 카일촉v1으로 자작한 키보드입니다.

  • @MY-FI-o1o
    @MY-FI-o1o 5 дней назад

    LP가 워낙 기성키캡들이 없어서... 아쉽긴 할거 같습니다.
    choc v1 을 위한 mbk keycap중에 일부는 말씀하신 평범한 로우스태거 대로 나오는 제품들이 있을거 같긴 합니다.
    더 찾아보니 mbk engage 는 확실히 슷바부터 모디가 로우스태거를 완전히 지원하네요!
    LP 키캡들은 공제 moq 도달 실패로 자주 폭사하다보니.. 이런결과가 있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 @telev2
      @telev2  5 дней назад

      저도 이왕 낮은거 카일촉v1이 제일 낮아서 그걸로 자작을 해보면서 맛만 살짝 본 정도인데, 게이트론ks-33은 트래블이 살짝 더 길게 느껴졌습니다. 키감은 리니어를 제대로 함 더 경험해봐야겠어요. 게이트론LP도 스태빌이 시중에 풀렸고, 키캡은 오히려 더 다양해서 자작 커스텀은 이제 게이트론이 더 괜찮겠다는 생각입니다. 다만 개인적으로 촉스페이싱이 참 좋았는데 그건 포기해야겠네요

    • @MY-FI-o1o
      @MY-FI-o1o 5 дней назад

      @@telev2​​⁠ 오 그렇게 느끼셨군요... choc 도 v2 부터는 v1이랑 풋프린트는 달라도 십자스템 규격으로 바뀌긴 했으니까요.
      사실 choc v1으로 커스텀 특주도 많아지고 스테빌라이저도 나와서 이야기 해본거긴 합니다

    • @telev2
      @telev2  5 дней назад

      @ 아, 그쵸, 특히 양손 스플릿 쪽에서 인기를 끌어서 choc v1 특주축이 많아진 것 같습니다. 스태빌은 뭐 딴게 나왔나 했는데 스위치랑 같이 발표했던 레퍼런스 스태빌 말씀하시는 것 같네요. 이 영상에 등장하는 자작 60%가 그 레퍼런스 스태빌을 써서 만든 것입니다. (v2 스태빌은 아직 없는거 같구요)
      그다지 깊게 생각해본건 아니지만 게이트론쪽이 아무래도 키캡이 많다보니까 전세가 역전되지 않을까 하는 의견이었습니다. 아직 MBK 같은 키캡은 너무 비싸요유ㅠ

    • @MY-FI-o1o
      @MY-FI-o1o 5 дней назад

      또 요즘은 진짜 얇은 ulp 키보드들도 많이들 자작한 추세라 금방 따라오실지도요?

    • @telev2
      @telev2  5 дней назад

      @ 헉????????? ULP로 자작이라뇨? 이젠 따라가기 버겁네요 ㅋ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JohnDoe-xz2tt
    @JohnDoe-xz2tt 4 дня назад

    코딩할때는 해피해킹, 동영상/디자인은 MX Keys, 게임은 우팅 쓰지만... 계속 사재고있는 키보드의 세계란...

    • @telev2
      @telev2  4 дня назад +1

      우어 저는 배열 하나로 조지려는 쪽이라 ㅎㅎㅎㅎ

  • @newstream100
    @newstream100 5 дней назад

    이런 로우파일 이런 키보드가 왜 필요한지 자세히 잘 알게 됐네요

    • @telev2
      @telev2  5 дней назад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제 팜레 안써서 기분이 좋습니다 ㅋㅋㅋㅋㅋ

    • @newstream100
      @newstream100 5 дней назад

      @ 그렇네요 팜레도 필요 옶네

    • @telev2
      @telev2  5 дней назад

      @ 전 이게 제일 컸습니다.

  • @jaeuchoi9948
    @jaeuchoi9948 5 дней назад

    qmk qmk 왜 그렇게 노래를 불러? 하다가 콤보랑 홈로우 매크로 기능 써보고 신세계 모르는 사람은 몰라도 알면 없으면 못살쥬
    저도 키크론 같은 모엘 사용중인데 미니배열 로우 프로파일에 qmk지원 솔직히 타겟층 엄청 극소수인 키보드인데 출시해준 키크론에 감사함

    • @telev2
      @telev2  4 дня назад

      오오오오오 K9 Pro 유저분이 여기 계셨군요! 반갑습니다 ㅎㅎㅎㅎㅎ 저 투과키캡 샀어요! 도착하면 달아볼게요! RGB가 넘모 아까워요 ㅎㅎㅎ저도 키크론에 감사합니다. 근데 혹시 채워넣을 폼 같은거는 따로 없겠죠?

  • @Exia_Prime
    @Exia_Prime 5 дней назад

    어려워 보여요. (키보드 사용하기가.. ㅠ)

    • @telev2
      @telev2  4 дня назад

      선생님 지금 쓰고 계시는 65%도 가히 쉬워보이지는 않는데욬ㅋㅋㅋㅋㅋㅋㅋ

  • @shirkahahn4230
    @shirkahahn4230 4 дня назад

    오른쪽 하단 Shift만 잘 쪼개주면 깔끔한 화살표키 만들겠구만, 참 안만들어 주네.

    • @telev2
      @telev2  4 дня назад

      옹? 그게 누피에어60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