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의 속도(광속) 2편 - 빛보다 0.00000006초 더 빨랐던 중성미자 실험 / 빛의 속도보다 빠른 물질은 없는가? / 우주팽창속도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6 фев 2025
  • BGM: Sad Piano
    . . .
    당시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는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를 발견하였다고 발표했는데
    이들은 프랑스와 스위스 제네바 국경 지대에 있는 실험실에서
    약 730km 떨어진 이탈리아 연구소까지
    중성미자인 뉴트리노를 발사하였고
    출발부터 도착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 빛보다 60나노초,
    즉 0.00000006초 더 빨랐다고 주장하였다.
    나노초란 10억 분의 1초를 가리키며 ㎱ 또는 nsec로 표기하고
    보통 RAM의 액세스 속도를 측정하는 단위로 사용됩니다.
    RAM이란 기억된 정보를 읽어내기도 하고 다른 정보를 기억시킬 수도 있는 메모리를 말합니다.
    또한, 참고로 밀리 초는 1,000분의 1초로서 ㎳ 또는 msec로 표기하며,
    대개 하드디스크나 CD-ROM 플레이어의 액세스 속도
    그리고 인터넷상에서 패킷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당시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의 이 실험 결과는
    전 세계 과학계에 그야말로 엄청난 충격을 주었고
    그해 가장 많이 이슈가 된
    과학 뉴스 중 하나가 되었다.
    하지만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의 발표 이후
    과학계에서는 실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철저한 검증에 돌입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듬해 국제공동연구팀
    오페라(OPERA) 소속 연구진은
    해당 실험 과정에서 오류 가능성이 있는
    두 가지를 발견하게 됩니다.
    국제공동연구팀 연구진의 주장에 따르면
    중성미자 실험에서 사용된
    광섬유 케이블과 검출기의 메인 컴퓨터 간의 연결이
    느슨하게 되어 있을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만약 실제로 그랬었다면
    GPS 광신호가 전달되는 시간이
    최대 약 수십 나노초까지 지연될 수 있어,
    해당 중성미자가 빛보다 빠르게 도달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 다른 가능성으로
    검출기에 있는 표준 시계 진동자가
    정상 범위보다 조금 더 빨리
    진동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인데
    이것 역시 중성미자의 속도가
    빛보다 빠른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국제공동연구팀 연구진의 주장 이후
    그렇게 빛보다 빠른 물질의 발견은
    실험 오류로 인한 해프닝으로 전락합니다.
    . . .
    참고문헌: / @mr-wooju
    Icon made by Freepik from www.flaticon.com
    www.flaticon.c...
    nrck999@gmail.com
    #우주과학#우주다큐

Комментарии • 85

  • @수지-q2m
    @수지-q2m 4 года назад +10

    목소리가 너무나 매혹적이어서 어느 땐 지식과 상식이 안 들려요.

  • @박홍길-b7n
    @박홍길-b7n 4 года назад +11

    두번을 시청했습니다.
    선생님 목소리로 세번째 들으면서 잠들겠군요.
    안녕히 주무십시오.

  • @cunmong
    @cunmong 4 года назад +14

    인류 최고의 영상, 유투브 전체에서 상 받아야 할 곳은 여기 이 분입니다.

    • @깡-t8d
      @깡-t8d 3 года назад

      오바떨지마 시바라

  • @정제임스-n1f
    @정제임스-n1f 4 года назад +8

    제목대로 지식과 상식이 풍부해지는걸 느낍니다 감사합니다

  • @루나-n1d
    @루나-n1d 4 года назад +6

    오늘 사운드는 괜찮네요. 저번 영상의 사운드만 문제였던듯 해요!
    오늘도 꿀잠자겠습니당 :) 감사히 볼게요♡

  • @sungbae0201
    @sungbae0201 4 года назад +7

    자려고 들어왔습니다..목소리 너무 좋아 잠 잘와요..

  • @이석주-f7h
    @이석주-f7h 4 года назад +6

    잘 감상했습니다
    수고가 많으십니다
    목소리가 점점 익숙해집니다

  • @drkess9427
    @drkess9427 4 года назад +3

    항상 영상 보면서 취침 하는데 좋은꿈 많이 꾸네요 감사합니다 오늘도 즐 취침!

  • @수지-q2m
    @수지-q2m 4 года назад +7

    목소리도 예술이고
    지식도 예술이고
    상식도 예술

  • @베짱이-k7h
    @베짱이-k7h 4 года назад +6

    빛보다 빠른 물질을 발견하면 진짜 대박일텐데...아쉽네요.
    오늘도 대단한 영상 감사합니다.

  • @올리바-h3o
    @올리바-h3o 4 года назад +5

    입자 이름이 공룡이름 비슷한 느낌이라서 재밌음.생소한 단어들이라서 검색하면서 따라가기도 힘들고 뭐가뭔지는 몰라도 시청하면 유식해지는 느낌이 좋아서 계속 돌려봄.
    +선생님 목소리가 우주만큼 웅장함.

  • @민초는싫어
    @민초는싫어 4 года назад +4

    아직은 잘 모르지만 계속 배우다보면 아는날도 오겠죠. 천천히 끈기있게 꾸준히 따라갈게요.ㅠㅠ....알아듣는분 부러워요.

  • @한방인생-h1k
    @한방인생-h1k 4 года назад +1

    채널 목소리 숙면용로 잘사용 할께요.가성비 굿입니다

  • @hjk1169
    @hjk1169 3 года назад +1

    영상도 최고입니다
    감사꾸벅

  • @박대연-k8l
    @박대연-k8l 4 года назад +1

    항상 볼때마다 몰랐던 지식과 상식을 알게 되네요~감사합니다~^^

  • @아이시스-w9w
    @아이시스-w9w 4 года назад +5

    13분 순삭 굳 언젠가 빛보다 빠른 무언가 나오길

  • @K검지
    @K검지 4 года назад +1

    잠이안와 또왔어용

  • @Bu_Buck
    @Bu_Buck 3 года назад

    와 진짜 간지러운 부분만 딱 긁어주시네요! 최곱니더👍👍👍

  • @조성희-g2v
    @조성희-g2v 4 года назад

    책으로 중성미자에 대해 읽었었는데 복습하니 더 좋네요

  • @user-yu1js2ne5s
    @user-yu1js2ne5s 4 года назад +7

    오늘은 왜 영어 안나오나 기다렸는데 5:26 에 나오네요.

  • @Anthem_of_light
    @Anthem_of_light 4 года назад +3

    지식님 퍼서비어런스호 관련 영상도 보고 싶어요 향후 역할도요

  • @Linaarigatou
    @Linaarigatou 3 года назад +3

    자막이 있으니 이해하는데 도움이 많이 됩니다!

  • @김종덕-w8g
    @김종덕-w8g 4 года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Bohemian_pansori
    @Bohemian_pansori 3 года назад +1

    오늘도 깊은 수면에 빠집니다

  • @DocuMania_31001
    @DocuMania_31001 4 года назад +3

    요즘 양자역학에 관심을 두고 있는데 모든 입자들은 전부 질량이 있지만 광자는 질량이 없다고 한다.
    결국 광자는 100% 에너지만 있고 다른 입자는 일부 에너지가 질량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광자외 질량이 있는 모든 입자는 광자보다 에너지가 적으므로 빛보다 빨리 달릴 수가 없다는 말 아닐까?
    빛보다 빠른 입자가 있다면 이 입자는 -질량(?)을 가지고 있어 에너지를 흡수하는게 아니고 내놓아 빛보다 에너지가 많게 되어야 한다.

    • @Bluejean123Dive
      @Bluejean123Dive 4 года назад

      비전공자가 양자역학에 관심이 있다는 건가요 아니면 전공자가 요즘 양자역학을 관심있게 배우고 있다는건가요?
      왜냐하면 광자가 질량이 없는 순수 에너지라고 가정하는게 상상이고 착각이 아닐런지? 그러니 그 다음으로 광자가 에너지를 방출하네 그래서 빠르네 하는 생각이 다 착각에 의한 착가의 연쇄 오류는 아니건지? 에너지가 질량이 되는건가요 아니면 질량이 에너지가 되는건가요?

    • @sunnyb4324
      @sunnyb4324 4 года назад

      @@Bluejean123Dive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 @요즘심심한사람
      @요즘심심한사람 4 года назад

      입자들이 로켓처럼 자신의 에너지를 방출하며 이동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그런원리가 아니라고 알고있습니다

    • @요즘심심한사람
      @요즘심심한사람 4 года назад +1

      @@Bluejean123Dive 에너지는 질량으로 질량도 에너지로 바꿔 계산할 수 있습니다 E=mc^2이 그 공식이구요
      그러나 흔히 질량이라고 말하는 불변질량으론 광자는 0이 맞습니다 광자가 움직이며 만들어내는 전자기장을 저희는 두 눈으로도 보고있구요

    • @Bluejean123Dive
      @Bluejean123Dive 4 года назад

      @@요즘심심한사람 공식은 저도 들어보긴 했는데요 수식상에서 서로 계산하여 값을 구하는건 알겠구요. 저는 실제 물리적으로 에너지가 질량 0에서 질량으로 변하는가가 궁금하고요. 광자가 질량 0라면 공식에 대입하면 에너지도 0로 나오는거 아닌가요? 즉 질량 0 = 에너지 0 아닌가요?

  • @토니스타큐
    @토니스타큐 4 года назад +2

    혹시나 싶어서 들어왔는데 오늘은 13분 안에 잠들어보겠습ㄴ ㄷ

  • @김남중-q1m
    @김남중-q1m 4 года назад +1

    선생님 매번 좋은내용 잘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별자리를 구성하는 별들의 밝기와 크게에 대해 궁금했는데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가령 오리온자리 허리띠에 해당하는 삼태성 별도 베텔게우스 못지않은 거성이라고 하는데 별자리마다 구성 별과 은하종류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늘 건강하십시요,

    • @Mr-Wooju
      @Mr-Wooju  4 года назад

      본 채널의 별자리 영상 한번 봐 주실래요?

  • @kennyreview
    @kennyreview 4 года назад +2

    매번 이해는 잘 못하지만, 이유는 몰라도 계속 보계되면 똑똑해진 기분이 든다. (하지만 난 그대로지!)

  • @coastroad_7886
    @coastroad_7886 4 года назад +8

    어ㅜ’ ⭐️ 넘 멀리 갔다왔다 정신이 하낫투 없네요 ~ 저 잘께 요 ㅋ 🛸 ~ ✨ ⚡️ 💫 🌎
    • 138억 광년 • 0.00000006 초

    • @sunnyb4324
      @sunnyb4324 4 года назад +1

      방장:시공간을 초월하신 분 ㅋㅋ
      단점:영어발음

    • @coastroad_7886
      @coastroad_7886 4 года назад +1

      @@sunnyb4324
      영어도 잘하시고 .. 한국어도 잘하시고 ㅜ’ ~!! ^^
      ( 말할나위 없어 .. 기냥 가볍게 표현 ) ^^

  • @고구마달콤달콤
    @고구마달콤달콤 3 года назад +2

    빛을 가속시키는게 쉬울까... 공간을 구부려 빛의속도를 뛰어넘는 이동환경을 만드는게 쉬울까...

  • @남이경호-w9x
    @남이경호-w9x 4 года назад +4

    실험에 오류가 있었다고 발표했는데

  • @woop-260
    @woop-260 4 года назад +2

    빛보다빠르면 과거로가는거아니에요?
    빛보다빠를수는없고?

  • @Haji-dl8uh
    @Haji-dl8uh 4 года назад +2

    시뮬레이션이라서 불가능 게임안에서 캐릭터의 스텟의 힘을 아무리 100을 넘기고싶어도 99까지 찍을수없는것처럼

  • @rangeo8783
    @rangeo8783 3 года назад +3

    나 이사람 목소리 매우 좋음.

  • @apple010
    @apple010 4 года назад +1

    어릴때 내가알던 세상과 너무달라서.. 두렵다.. 가상현실이였다니..

  • @루카-c4g
    @루카-c4g 4 года назад

    7:34 우주의 나이 138억 광년이 아니고 138억년으로 수정이 필요 11:41 1636년으로 나온것도 수정 필요

  • @나이보게
    @나이보게 4 года назад +1

    우오옷

  • @싸이다-e3d
    @싸이다-e3d 4 года назад +1

    측정오류가아닐지 진짜라면 아인슈타인이 틀렸다는 말이군요

  • @추자모트
    @추자모트 4 года назад +2

    지식소년 할아버지랑 같이 살고 싶어여.. 그러면 저 편하게 잘 수 있잖아여ㅜㅜ

    • @sunnyb4324
      @sunnyb4324 4 года назад

      지식수면제 출시

  • @Galactic-starlight
    @Galactic-starlight Год назад

    빛 보다 더 빠른 마음
    寬時遍法界
    窄也不用針
    明暗色空
    못 가는 데가 없는 마음

  • @nondeterministic9153
    @nondeterministic9153 4 года назад +1

    5:25 박사님 발음이 이제보니 약간 쌈디 랩 비슷

  • @LeeLee-vo6ny
    @LeeLee-vo6ny 4 года назад

    초등학교 들어가서 더하고 빼고 구구단 외우면 모든걸 다 알았다고 느끼죠. 우리 인간의 과학수준은 이제 더하기 빼기 하는 수준이라고 봅니다. 빛보다 빠른게 없다고 아인슈타인이 말했지만 그 진리도 언젠가는 깨지겠죠. 모든 것은 절대적이 아니고 상대적입니다.

  • @JinyoungLees
    @JinyoungLees 4 года назад +1

    왜 우리나라는 노벨물리학상 수상자가 없나요? ㅜㅠ

    • @sunnyb4324
      @sunnyb4324 4 года назад

      영어를 못해서...

  • @pppsas
    @pppsas 4 года назад +4

    목소리가 잠이 온다

  • @김현숙-i8c4c
    @김현숙-i8c4c 3 года назад

    천문학자부럽네요천재이시죠하하하감사해요사랑주고 말했다

  • @오잉-z1u
    @오잉-z1u 3 года назад +2

    이제 이해했다

  • @gadyonman4913
    @gadyonman4913 3 года назад +1

    공학과 물리학은 정답이 없는거 같습니다 이거다 저거다 못박은게 없으니 암튼 제머리로는 도저히 이해불가 어리둥절 이말 이외 할말이 없네요

    • @Kaena_sona
      @Kaena_sona 2 года назад

      공학과 물리학이 왜 정답이 없어요... 공학과 물리학은 수학인데...

  • @구독하면원하는일-i6p
    @구독하면원하는일-i6p 4 года назад +2

    무심코 지나가다가 우연히 저를 만나신 모든 분들이 아프지 않고 좋은 일만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학업 취업 연애 재물 건강 모든 일이 잘되실겁니다.💖
    항상 다같이 행복해요.💖💚💛

  • @bgy8531
    @bgy8531 4 года назад

    영어발음은 햄벌그 본토보다 훌륭해요,^^

  • @Pilot0121
    @Pilot0121 4 года назад +2

    뭔 소릴까 ~ ? ! ? ? ... ? 😔
    ㅇ,ㅇㅇㅇㅇㅇ ㅇㅇㅇㅇㅇ 나노 초 ~ ㅋ

  • @grandearig2018
    @grandearig2018 4 года назад

    00:35

    • @sunnyb4324
      @sunnyb4324 4 года назад

      ㅋㅋ 요것도 잼있네요

  • @mochak5479
    @mochak5479 4 года назад

    음, 완벽히 이해 했어.^^b (이해못함)

  • @yeonzonza5737
    @yeonzonza5737 4 года назад +1

    우주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의 문제인데.... 우주를 공간 그 자체라고 한다면 상대성 이론은 빛의 속도를 물질이 넘을 수 없다고 하는 것이니까 위배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겠으나 우주를 공간이라 정의한다는게 틀린 겁니다. 공간이 팽창한다? 이게 말이 됩니까? 공간이란 것은 비어있다는 것인데 비어있는 것이 팽창한다? 넌센스. 우주의 정의는 물질사이의 시공간입니다. 시간은 정의가 난해하지만 공간은 정의가 명확합니다. 물질 사이의 공간이죠. 間이란 자체가 물질을 전제한 空間인 겁니다. 즉 우주란 물질을 전제로 해서 그 사이의 모든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만약 완벽한 진공상태가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우주가 아니죠. 거기에는 시간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우주 내에는 무한정한 진공이 있겠지만 우주 밖에는 또한 무한정한 진공이 있는 것이죠. 우주가 팽창한다는 것 자체가 물질이 이동한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우주가 팽창한다는 것은 물질이 이동하여 시공간을 확장시킨다는 뜻이 되는 거죠. 그런데 우주를 공간으로 정의해버리면 우주가 팽창한다는 말 자체가 성립이 안되며 관측가능한 우주와 관측 불가능한 우주라는 구별도 말이 안됩니다. 우주가 팽창한다는 정의를 잘못 알고 계시네요.

  • @김현숙-i8c4c
    @김현숙-i8c4c 3 года назад

    영혼의창영의창사랑주고 말했다

  • @포킹-h4d
    @포킹-h4d 4 года назад +2

    1등!ㄷㄷ

  • @Sky-u6i
    @Sky-u6i 3 года назад +2

    빅배후 138억광년짜리 우주가 또 무수히 있다 이게 인간1명이다 그래서 인간이 작은우주라고 한다 흣날 더좋은 우주 망원경으로 더많이 찾을수있을 것이다

  • @곽동윤-g2n
    @곽동윤-g2n 4 года назад +1

    특수상대성이론은 착각현상입니다. 복사하기가 안되네요 제 아이콘을 클릭해서 영상을 봐주세요. 편견을 버리시고 잠시만 생각해도 공감하실겁니다

  • @txtjpgsshavi
    @txtjpgsshavi 3 года назад

    아니 빛보다 빠르다고해서 시간이 거꾸로가겠냐 정지하지 상대성이론이 뭔데 상대도 앞에서 100으로 나도 100으로 서로 지나갈때 속도 200이된다. 그럼 빛보다 빠르다고해서 시간이 거꾸로가겠냐 사물이 정지 한 것 처럼 보이거나 주변의 사물을 순식간에 휙 지나가겠지 시간을 거꾸로 간다는건 말이안된다. 주변에 있는 움직이는 것 들이 순간 정지 해 있는 것 처럼 보일거다.

    • @sykh0000
      @sykh0000 2 года назад +1

      특수상대성이론은 관측자 A와 B는 모두 동등하다는 가정하에 관측자에 따라 시간이 다르게 흐를 수 있고 시공간 즉 4차원 세계에서는 시간과 공간은 완전히 통일시 되므로 시간과 공간은 상대적이다이고 광속불변의 법칙은 관측자의 상관없이 빛은 언제나 절대적이고 동등하게 보인다임

    • @Kaena_sona
      @Kaena_sona 2 года назад +1

      상대속도와 절대속도, 상대속도와 상대성이론조차 구분을 못하는 멍청이가 낮은 지능으로 물리학에 대한 이해를 못해서 잔뜩 화가 난 우스운 광경.

    • @시큐리티-t9p
      @시큐리티-t9p 2 года назад

      빛보다 빠르게 이동가능하면 사물이 빛을 반사할때에 빛보다 빠르게 이동하여 현재의 빛을 피하고 과거의 빛을 보면 과거로 갈수 있다고 이론만 설명하고 있어요... 정지가 아니죠.. 과거 물질이 반사한 빛을 보고 과거의 형태를 보는 거죠.. 더 나아가 계속적으로 빛의 속도이상으로 이동가능 하게 되면 계속적으로 과거의 과거로 이동 할 수도 있다 라고 상상할 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