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소개][제품사용영상]전기온수히터(돼지꼬리히터) 비교실험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 @boxcom.
    @boxcom. 3 года назад +4

    히터부가 물의 중간층에 있으면 물의 차가운층과 뜨거운층으로 나뉩니다 업소용 튀김기도 그렇게 설계되어있습니다
    즉 위에서만 온도를 잰다면 짧은 히터가 물을 빨리 데우는것 처럼 보입니다

  • @LEE-JU
    @LEE-JU 3 года назад +6

    지와트 스텐제품은 수돗물온수 6개월이상 사용하시면 무조건 고장나더군요. 제경우입니다....
    3k 500 사용했습니다... 3개째 사용 중인데 다음에는 우주꺼 사용해볼랍니다....
    참고하세요.

    • @positive7
      @positive7 2 месяца назад

      혹시 어떤 용도로 쓰시나요 그리고 최소 몇 미터 정도 사용할 수 있을까요? 좀 적은 양 설거지할 때 빨리빨리 따뜻하게 쓰고 싶어서 그런 건데

  • @일강휴
    @일강휴 2 года назад +3

    와 1500w 면 전기세 장난아니겠네요

  • @이민영-y3v
    @이민영-y3v 2 года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hjpapa4377
    @hjpapa4377 6 лет назад +3

    아. 그리고 아이들 액션 중독성 쩌네요 ㅎㅎㅎ

  • @WooDong
    @WooDong 6 лет назад +2

    ㅎㅎ 고장이 나지요 ㅋㅋ 귀여우심 정직한 리뷰 ㄱㅅ 합니다

  • @hjpapa4377
    @hjpapa4377 6 лет назад +7

    영상 하나하나 찾아보고 있습니다.(구독 완료)
    지적질은 아니고요. 우리나라 콘센트는 15A라서 콘센트 한개당 견딜수 있는게 3.3KW 입니다.
    보통 여기에 여유를 둬서 3.0KW 까지만 사용하고요.
    3KW 두개를 연결하신건 좀 위험해 보입니다. 물론 히터가 3까지 올라가지는 않겠지만 결과적으로
    저 콘센트에 연결된 선들은 상태가 금방안좋아 집니다.(피복 누글누글해지면 절연파괴로 갈수도 있습니다.)
    & 이렇게 온도측정하는것에는 디지털 온도계중에 센서 달린게 있습니다. 보통 12,000원~15,000원 정도 하는데
    이런거 한쪽에 부착해놓고 센서만 수조 않에 넣어놓으면 온도변화도 쉽게 볼수 있고 외기온도도 쉽게 눈으로 볼수 있어
    비교실험에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 @linesky4321
    @linesky4321 6 лет назад +2

    몸개그가 중간중간 재밌네요 ㅋㅋㅋ

  • @yunlee1404
    @yunlee1404 6 лет назад +8

    쓰실때 주의해야합니다.물의양이 많으면 데우는데 시간이많이걸려 식었다 데웟다 자동으로 자주하면 콘센트가 녹아버립니다.

    • @linesky4321
      @linesky4321 6 лет назад +2

      위험하네요;;;; 전력양도 어마어마하고 위험하기도 하고

  • @JasonLee-ov3fn
    @JasonLee-ov3fn 6 лет назад +3

    자동으로 꺼지나요~ 아뇨... 자동으로 고장 납니다~~~~
    귀에 찰싹 달라붙는 멘트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박메롱-k9z
    @박메롱-k9z 5 лет назад +2

    의도적인지 몰라도 왼쪽 물의 양이 더 적어 보이는데... 그럼 당연히 더 뜨겁겠죠.

  • @h25tv4
    @h25tv4 4 года назад +1

    설명 감사합니다 ~~^^

  • @MIN-ko5cg
    @MIN-ko5cg 6 лет назад +1

    선댓글 후 영상 봅니다 엄지척

  • @손현영-r5x
    @손현영-r5x 2 года назад +2

    이동형 목용통에 사용해도 감전위험은 없나요?

  • @shin_dy2045
    @shin_dy2045 4 года назад +2

    물 몇리터에 몇시간후 몇온도인지 정리가 가능할까요?
    물통이 대략 몇리터 인가요??^^

  • @mihohan4289
    @mihohan4289 5 лет назад +4

    위에서 부터 온도가 올라가니
    온도가 더 뜨거운거 아닌가요?

  • @choco20232
    @choco20232 6 лет назад +1

    저제품쓰실때 많이 주의하셔야합니다
    겨울철화재사고의 원인중하나지요

    • @pilku789
      @pilku789 5 лет назад +1

      화재가 어디서 나나요? 전선이 과열되어서 나나요?

    • @jygo5334
      @jygo5334 5 лет назад +1

      멀티탭에 꽂아쓰면 불나시구요 누전차단기 연결된 콘센트에 연결하면 차단기내려가서 안전적인 부분은 괜찮습니다(?)

  • @لسكّمتي
    @لسكّمتي Год назад +1

    정확한 내용
    1)최신 고속히터온수기는 방수 능력이 좋고, 100도 까지 사용
    2)화재 위험 없고 충분한 물통에 30분 정도 데우면 샤워 가능
    3)반드시 농업용 또는 공업용 전기 사용!!
    4)다 좋은데 히팅부위가 지속 사용시 그 열을 견디지 못해서 6개월~1년 지속 사용시 그 히팅부분이 고장납니다
    그 히팅부분만 as가능하고(단 as센터에 보내야 합니다)
    그부분만 새로 고치면 계속 사용가능
    5)늘 건설현장에서 고속히팅기 이용해서 뜨거운 물로 샤워 하는데 완전 좋아요!!😊😊

  • @saqwderfgtyh
    @saqwderfgtyh 4 года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이거 사용하려면 선을 독립적으로 따서 사용해야한다고 하는데 전기공사 필수일까요 아님 그냥 꽂아 사용해도 될까요?? 답변 부탁드려요.

    • @HWS_TV
      @HWS_TV  4 года назад +2

      사용 와트수가많기때문에 독립적으로 사용하셔야합니다

  • @rahabsong899
    @rahabsong899 Год назад

    👍

  • @humboltesgood3797
    @humboltesgood3797 6 лет назад +1

    완전 무장한 옷 차림, 추운 날씨에 수고 많으십니다. - 1. 많은 자료을 올리시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타 지방에 있어 수고 하시는 만큼 매출증가로 이어지지 않아, 섭섭하겠습니다. 그러나 좋은 자료 올린다는 점 감사드림. - 2. 마지막 공구 정리할 때 조금 뜨거운 물 필요한 경우 있지만, 현장에서는 40도 이상 필요한 경우 잘 없습니다. 뜨거우면 오히려 냉수를 썩어 쓰야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 3. 뜨거운 온도로 설정해 두고 일을 하다보면, 물이 증발해 버려 기계가 달아서 고장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그래서 온도 센서 자주 체크해보는 것이 필요하고, 작은 물통을 하나 준비하여 갑자기 뜨거운 물이 필요한 경우 대처하도록 하는 것 유용합니다. - 4. 현구님 말씀대로 전열기는 전기 쓰는 만큼 효율 결정, 초봄과 초가을 부터 현장에서는 필요함,

  • @hungryoulkim7501
    @hungryoulkim7501 6 лет назад +1

    실험방법은 잘못되었습니다. 열판 아래에는 온도가 거의 안올라갑니다. 그래서 열판의 길이가 동일해야 같은 용량의 물을 데우는겁니다. 물을 휘저으면 아랫물과 섞여 상단의 온도가 떨어집니다. 빨리 데우려면 서서히 저어주어야 전체적으로 빨리데웁니다. 아니면 열판이 바닥에 가깝게 하던지. 수온이 높아지면 상부에서 수증기가 많이생겨 열손실이 큽니다. 온도는 결국 전기용량이 결정적인데 사용의 편의성으로는 까만쪽이 센서고장이 잘 안난다고하니 나을 수도

  • @uio86a
    @uio86a 5 лет назад +1

    설치도 간편하고 요금도적게나오는것중 어떤걸써야 아침에.온수로 샤워하기적합할까요...전기온수기나 기타등등 가수온수기등 올려주세요 설치영상도요...ㅠㅠ

    • @jygo5334
      @jygo5334 5 лет назад

      전기온수기 3kw 짜리로 충분합니다 한사람 샤워끝날때쯤 찬물나와요

  • @손님-i9l
    @손님-i9l 6 лет назад +1

    애기가 너무 이쁘네요^^

  • @최승빈-o6m
    @최승빈-o6m 4 года назад +1

    가격은얼마지요

  • @나니까-w7p
    @나니까-w7p 4 года назад +1

    화면을 가만히 보니까...물의양이 조금씩 변합니다....편파적인 실험입니다..

  • @대박나자-o1f
    @대박나자-o1f 5 лет назад +1

    우주전열제품이 고장이 젤 적은거 같아요^^

  • @TheEggstone
    @TheEggstone 5 лет назад +2

    자동으로 고장나서 공장으로 보내면 as 되 는지요

    • @jygo5334
      @jygo5334 5 лет назад +2

      양산형이기때문에 안되는걸로알고있습니다 ^^

  • @papamong
    @papamong 6 лет назад +2

    물의 온도가 120도가 올라갈 수 없죠

    • @jygo5334
      @jygo5334 5 лет назад +1

      기름이나 수지에 120도까지 컨트롤 가능합니다^^;

  • @조적블럭쌓기
    @조적블럭쌓기 5 лет назад +2

    물에 완전 잠기는 방식의 전기온수히터도 있나본데 현장용으로 쓰기 좋을지 궁금합니다

    • @jygo5334
      @jygo5334 5 лет назад +1

      전기히터는 기본적으로 완전방수라는게 없습니다 실리콘 or 테프론 후처리로 생활방수정도는 가능하지만 영구적이지 않습니다

  • @rainbowhwangmadam
    @rainbowhwangmadam 5 лет назад +1

    아니 댓글 단건 좋긴 한데요. 그럼 이런 정보를 공유할줄 아시면 직접 영상 찍어올리시거나 하면 되는것을 지적을 하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그리고 뭐 '울산분이신데 사람이' 무슨 의도로 쓴 댓글인지 납득이 가질 않아지네요

  • @lastcorean
    @lastcorean 6 лет назад +3

    측정방법이 잘못됐네요,,,온도계를 두개 준비해서 동시에 물에 담궈야지 이렇게하면 먼저 측정한쪽이 온도가 낮게 나오죠.
    이그,,,짜고치는 고스톱이라고 말해도 할말없는 측정방법이네요.

  • @파파뚜러-j7h
    @파파뚜러-j7h Год назад +1

    60도 올리는데 시간은 말안하고 가격 얘기만하내요 전기세 계산해야죠

  • @숫기없는카사노바
    @숫기없는카사노바 5 лет назад +1

    동네목욕탕 온탕물 오후되면 식는데 데우는건 어림도없겠네?

  • @빈가슴-w3s
    @빈가슴-w3s 6 лет назад +1

    울산분같은데 사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