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ON 눌러도 100%똑같은 상태를 거쳐서 시동 걸립니다. 예전 키 돌릴 때에 OFF>ACC>ON>START(>ON)이었고, 스마트키로 바뀐 뒤에도 똑같은 경로(state-machine)로 시동이 걸립니다. 단순하면서도 절대적인 프로그래밍으로 경로 이동(state-transfer)가 이뤄집니다. 심지어 벼락이나 정전기 등에 의해 HW메모리 내의 값이 바뀌더라도 대비가 되어있습니다.(H/W redundancy & fail-safe). 이는 국내 브랜드 뿐만 아니라 중국, 인도의 메이저 브랜드들도 지키는 공통된 기법에 의해 보장받습니다.
다릅니다. 현기차 기준으로 버튼시동은 브레이크를 밟고 바로 걸게되면 스타트에서 키온 복귀전까지 ig1전원(세루가 돌때도 유지되는 전원)만 들어오게 됩니다. ig2전원은 스타트시에 어차피 차단되야되기 때문에 시동버튼을 누른후 스타트가 끝나기 전까지 들어오지 않게됩니다. 그래서 저는 오히려 개인적으로 브레이크를 안밟고 버튼을 눌러 악세사리나 키온을 일부로 거쳐서 네비, 에어컨, 공조기, 전조등(하향등, 상향등) 등등 순간적으로 들어왔다 나가게 하는게 브레이크를 밟고 바로 거는것보다 안좋으면 더 안좋지 더 좋다고 보긴 힘들다고 봅니다. 물론 그런다고 차에 무리가간다거나 데미지가 가진 않겠지만 둘중에 뭐가 더 낫냐 하면 브레이크 밟고 바로 거는게 나은것같습니다. 한겨울 디젤의 경우 예열을 제외하면요.
@@ya7261 우리 눈에는 그렇게 보이지만, 스테이트머신 프로그래밍 상 레거시 스테이트 (키위치ACC->키위치ON->키위치IGN->키위치ON = 전원ACC->전원IGN2->전원IGN1->전원IGN2)는 버튼시동이나 열쇠시동이나 동일합니다. 다만 스테이트의 엔트리 컨디션만 훑고 바로 다음 스테이트로 진행되기 떄문에 사람이 느낄 수만 없을 뿐이지요.
자동차 전자부품 점검시간 -예전에 별로 없을때 0.01~0.1초 -요새 많아져서 2~3초. 차 타자마자 브레이크 밟고 시동 켜면 2,3초 후 켜지죠? 그동안 점검 끝난겁니다. 기능도 적고 OS도 없어 굉장히 빠릅니다. 다만 기계부분.. 엔진 예열은 좀 다르죠. 시동걸자마자 풀악셀 때려밟고 8,90km/h까지 밟는게 아니라 천천히 가면서 예열하면 충분... 엔진오일이 전체에 뿜어지는데는 엔진 몇바퀴 돌면 충분...
@@molyholy3571 대한민국 국토부가 국민을 보호하지 않고 소수의 재벌들의 이익만 옹호하고 있다는 말에는 깊이 공감함. 어떤면에서는 급발진 문제에서 현기보다 국토부가 더 미운 생각이 들 정도임. 급발진 문제를 국토부가 이런식으로 덮어주고 간다면 장기적으로는 현기에게도 이롭지 않을 거라 생각함.
자동차 연구원입니다. 갑자기 시동을 걸면 순간적으로 전류가 들어오면서 서지전압때문에 무리가 갈수있습니다만, 대부분 부품은 서지 보호회로들이 다 들어가있으며, 급발진과는 저어언혀 관련없습니다. 어차피 acc 모드건, 이그니션만 걸건 서지튀는건 같습니다. 다만 바로 시동걸때 한번에 전류가 더 많이들어오므로 서지레벨이 좀더 높아지긴하지만 보호회로는 그걸 다 고려해서 설계합니다. 무엇보다 자동차에 납품하기위해선 부품들 내구성시험할때 수백번 전원 on/off 시험을 해서 이상없이 통과해야합니다.. 아~~~~~무 문제없으니 신경쓰지말고 타세요
시동 한번에 안거는건 좋은 습관입니다. 예전 차들도 보면 그냥 키 돌려서 바로 시동 거는게 아니라 온 위치에서 한 2-3초 기달렸다 쎄루 돌리는거랑 같은 맥락이죠. 간단합니다. 내가 산 차가 애지중지하게 아끼는 차다=ok 반면 렌터카나 대충 막굴리는 차다=한방에 이렇게 정리하면 편하고 간단합니다.
메뉴얼에서 요구하는 차량들이 극히 일부 있지만 일반적인 차량들에겐 진짜 필요 없는 그저 미신 중 하나죠 ㅋㅋㅋ.. 지금껏 차를 수없이 바꿔가며 타기도 했고 집에 8년째 굴리는 장보기용 세컨카도 있지만 10만키로가 넘어가는 현재까지 브레이크 밟고 바로 시동 걸어서 단거리 위주로만 탔는데도 어디 고장은 커녕 순간적인 과전압이나 전압 불안정으로 인한 전구나 퓨즈 하나 조차도 나가지 않았습니다 제발 그냥 브레끼 밟고 한 번에 시동 거세요 진짜 아아아아무 문제 안생깁니다~_~
뭐 굳이 그런거 때문은 아닌데 예전에 버튼식 시동이 아닌 디젤차를 탔을때의 습관때문임...돼지꼬리 없어지면 시동걸어야해서 그냥 Acc로 두고 안전벨트 메고 시동걺. 안전벨트 메는 시간에 돼지꼬리가 없어지니까...그게 지금 버튼식 시동인 가솔린 차를 타고 있는데도 그러고 있음. 안 해되 되는데 습관을 버리니 심신이 불안함;;
@@김한솔-w6l ㅋㅋㅋㅋㅋㅋ 안타깝지만 사실이에요 무릎까지오는 어린이풀장에서 성인이 구명조끼입고 수영하는거랄까? 안전대책도 다 있고 검증 다 된거를 돈드는것도아니고 조끼입는데 10초걸린다고 미신처럼하고있는게 웃긴거죠 물론 해서 나쁠거없지만 진짜하면 머리가나쁜겁니다 ㅋㅋㅋㅋ 그럴거면 스마트폰 과충전 과방전 보호회로 다 있는데 배터리 폭발사고 막고싶다고 80퍼만 충전하고 더 충전되기전에 뽑고 방전되기전에 무조건 충전해서 꺼지지않게 해야돼요 (근데 사실 알고보면 휴대폰에100%완충, 0%방전 되어서 꺼지는거 사실 완충이 완충이아니고 방전이 방전이 아님ㅋㅋㅋ) 위아래로 마진 있음 마진있믄데 과충전 과방전 막는다고 오바하는거랑도 같은거죠 그래서 요것도 그냥 시간차 기도하는거랑 같다는거에요 ㅋㅋㅋㅋ
해당 내용들이 말하는것은 시동을 걸면 거는 순간 발생한 서지전압으로 인하여 전자계통에 무리를 주지않을까? 이며 이것말고는 무리를 줄수도없습니다. (센서를 깨운다는데 시동걸고 깨워도 다를게 없음) 다만 요즘 차들은 발전이 되는게 바로 배터리로 박히는게아니라 조금 뒤에 압력 등 조절하여 들어가기때문에 괜찮습니다.. 센서상태 점검은 시동켜져도 알아서 합니다만 그게 맘이 편하시면 그렇게 하셔유
시동을 바로켜도 자동차는 시동에 문제가 없는한 시동이 되고, 전자장비는 동시에 오류점검을 들어갑니다. 그래서 안전하게 운행하시려면 질문처럼 하는것보다 시동을 한 뒤, 오류등이 모두 소등되는 것을 확인한 뒤에 운행을 개시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특히 일부 오류의 경우 시동이 된 뒤에 오류체크를 하는 항목도 있으니 안전상으로는 시동을 켠후 오류점검을 완료한뒤에 액셀을 밟는것이 더욱 안전합니다.
@@limext6504 근거없는 소리가 아닙니다 😂😂 제조사에서 작성하여 배포하는 차량관리 메뉴얼에 작성되어 있습니다. 현대.기아. 쌍용. 르노. 쉐보레 할것없이 시동후 RPM이 하락하고 메인 ECU에서 모든 계통의 상태가 정상임이 확인되면 출발하십시오 라고 적혀있습니다😅😅
다른 사유를 예시로 들자면 ACC>ON 상태로 들어갈때 실린더에 기름을 뿌려줍니다. 이걸 원키 시동시에 전자장비부터 세루모터까지 한번에 다 돌리다보니 무리는 당연하게 조금씩 축적이 됩니다. 고배기량,고성능 기준으로 acc>on>start 순서를 권고하는 이유도 다음과 같죠.. 일반 승용차는 상관없다 하지만 기계는 기계입니다.. 같이 전기먹고 기름빨고 다 합니다.. 기술의 발전도 있지만 최소한의 예방은 나쁠게 없습니다!!
@@jasonking913 이게 차마다 제조사마다 다르긴 하던데 bmw탈 때 운전석 도어를 열기만해도 알아서 엔진 실린더에 기름을 분사를 하더라구요. 지금은 제네시스 타는데 acc>on 넘어갈때 미세하게 웅~ 하는 소리가 들리는데 아마 그 소리가 초기 시동시에 무리없이 시동 걸어주게 해주는걸로 알고있습니다
@@minkikim1791님이야말로 선동당하는거 아님 ? 예전에 급발진 재현할 수 있다면 상금 준다고 국가 차원에서 공모 했는데, 별에별방법 다 나왔는데 급발진 아무도 재현 못함. 그리고 상식적으로 생각해보셈, 만약 차가 급발진이 있다면 현대 포함 전세계 차 브랜드가 판 차대수를 고려하면 거의 하루에 한건은 최소한 무조건 나와야하고 하루가 다르게 고소당하고 있을거임. 근데 실제로 고소당했다는 글 봤음 ? 애초에 급발진은 없음 걍 다 페달 오인사고임. 차에 전기부품이 들어간게 무슨 최근에 생긴일도 아니고, 옛날부터 지금까지 아무 문제없다가 최근 갑자기 급발진이 증가한다 ? 걍 다 헛소리지. 사람들이 급발진이라는 키워드를 직간접적으로 접하면서 알게되고, 걍 자기 실수 덮으려고 급발진 방패 쓰니까 갑자기 많아보이는거지. 최근에 실제로 택시기사도 급발진이라 주장했지만, 지가 설치한 페달블랙박스에 지가 페달 오인해서 누른거 그대로 나왔잖아 ?? 걍 다 페달 오인사고임
누가봐도 급발진 의심사고라 제조사, 국과수, 국토부 다 들러붙어서 조사해봤더니 급발진 아니라고 결론 났으면, 그 후부터는 급발진이 맞다는걸 소비자가 증명해야지 뭘 어떡함?ㅋㅋㅋㅋ 니는 재판할 때 잘못이 있다고 가정하고 피고측이 잘못이 없는 이유를 규명하는 줄 아냐? 원고측이 잘못이 있다는 것을 규명하는게 원래 모든 재판의 기본원칙이야ㅋㅋㅋㅋ
영상처럼 빠큐손가락으로 시동걸면
급발진 일어납니다.
자동차가 다 알아요..
자기한테 빠큐했다는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캬~이거였노
그런거였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야!!!~~~그럼 발가락으로 시동 버튼 누르면 차가 발냄새 때문에 급발진에 차 폭발하는거 아닌가요?...ㅎ
ACC>ON 눌러도 100%똑같은 상태를 거쳐서 시동 걸립니다. 예전 키 돌릴 때에 OFF>ACC>ON>START(>ON)이었고, 스마트키로 바뀐 뒤에도 똑같은 경로(state-machine)로 시동이 걸립니다. 단순하면서도 절대적인 프로그래밍으로 경로 이동(state-transfer)가 이뤄집니다. 심지어 벼락이나 정전기 등에 의해 HW메모리 내의 값이 바뀌더라도 대비가 되어있습니다.(H/W redundancy & fail-safe). 이는 국내 브랜드 뿐만 아니라 중국, 인도의 메이저 브랜드들도 지키는 공통된 기법에 의해 보장받습니다.
전자식 기어도 p누르면 d n r p로 빠르게 바뀌는거랑 비슷한건가
다릅니다. 현기차 기준으로 버튼시동은 브레이크를 밟고 바로 걸게되면 스타트에서 키온 복귀전까지 ig1전원(세루가 돌때도 유지되는 전원)만 들어오게 됩니다. ig2전원은 스타트시에 어차피 차단되야되기 때문에 시동버튼을 누른후 스타트가 끝나기 전까지 들어오지 않게됩니다. 그래서 저는 오히려 개인적으로 브레이크를 안밟고 버튼을 눌러 악세사리나 키온을 일부로 거쳐서 네비, 에어컨, 공조기, 전조등(하향등, 상향등) 등등 순간적으로 들어왔다 나가게 하는게 브레이크를 밟고 바로 거는것보다 안좋으면 더 안좋지 더 좋다고 보긴 힘들다고 봅니다. 물론 그런다고 차에 무리가간다거나 데미지가 가진 않겠지만 둘중에 뭐가 더 낫냐 하면 브레이크 밟고 바로 거는게 나은것같습니다. 한겨울 디젤의 경우 예열을 제외하면요.
@@ya7261 우리 눈에는 그렇게 보이지만, 스테이트머신 프로그래밍 상 레거시 스테이트 (키위치ACC->키위치ON->키위치IGN->키위치ON = 전원ACC->전원IGN2->전원IGN1->전원IGN2)는 버튼시동이나 열쇠시동이나 동일합니다. 다만 스테이트의 엔트리 컨디션만 훑고 바로 다음 스테이트로 진행되기 떄문에 사람이 느낄 수만 없을 뿐이지요.
그래서 윗 댓글에서 말씀하신 P기어의 경우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sabonkim 당연히 프로그램상 키위치는 악세사리랑 키온을 거쳐가겠죠. 근데 ig2가 말씀대로 ecu에서 체크과정이 있다고 해도 장치들에 전원이 가진 않잖아요
실제로 자동차 전장은 차량 도어를 언락할때 부터 wake up 시작합니다. 배터리를 많이 소모하는 화면, 소리 공조등을 켜지 않을뿐 이미 문열고 앉고, 휴대폰 꺼내놓고, 벨트하고 하면 전장은 이미 준비 마친상태죠
그건 웜부팅이구요 웜부팅이랑 부팅은 개념은 비슷하지만 다릅니다.
요즘 신형차들은 그냥 문 열면 acc가 시작되는 것도 있는 거 같습니다
이건 제어기마다 다른데 b+ 전원쓰는 제어기의 대부분은 원 댓글러말이 맞음
그런건 없습니다 @@jays5148
저같은 경우는 차에 탈때마다 저렇게는 안하고 밤새주차후 다음날 최초시동시 저렇게 한번 해주고 그다음부턴 원터치 시동 겁니다. 젤중요한건 알피엠이 천이하로 떨어져야 출발한다는것.
자동차 전자부품 점검시간
-예전에 별로 없을때 0.01~0.1초
-요새 많아져서 2~3초.
차 타자마자 브레이크 밟고 시동 켜면 2,3초 후 켜지죠?
그동안 점검 끝난겁니다. 기능도 적고 OS도 없어 굉장히 빠릅니다.
다만 기계부분.. 엔진 예열은 좀 다르죠. 시동걸자마자 풀악셀 때려밟고 8,90km/h까지 밟는게 아니라 천천히 가면서 예열하면 충분... 엔진오일이 전체에 뿜어지는데는 엔진 몇바퀴 돌면 충분...
제작에 참여도 안해본 사람들이 만든 사람보다 더 잘알어 ㅋㅋㅋㅋㅋ 대단하신 분들이야
자동차 명장이 그러셨죠...
지금 나오는 차들보면 핸드폰으로 바로 시동 걸수 있게 만들었으니깐.. 바로 시동 걸어도 문제 없다는 소리!!
결론: acc 상태로 시동을 걸든, 그냥 시동을 걸든 급발진은 막을 수 없다.
ㅋㅋㅋ
급발진은 없다. 운전자 조작 실수가 있을뿐.. 현기차임직원 일동
@@정환-b7p 현기가 괘씸하기는 하지만 급발진은 현기차에서만 발생하는 건 아님.
급발진이 현기에서만 일어나지 않는 것도 맞고 급발진을 현기만의 문제로 국한하는 것은 무지성 현까가 맞다. 하지만 우리 국토부에 현기가 깊게 관여한 것도 사실...
@@molyholy3571 대한민국 국토부가 국민을 보호하지 않고 소수의 재벌들의 이익만 옹호하고 있다는 말에는 깊이 공감함. 어떤면에서는 급발진 문제에서 현기보다 국토부가 더 미운 생각이 들 정도임. 급발진 문제를 국토부가 이런식으로 덮어주고 간다면 장기적으로는 현기에게도 이롭지 않을 거라 생각함.
생각을 해보세요 왜 급발진이 70대이상 노인이 운전하는 차량에서 대부분 발생될까요..
그것은 차량이 급발진 했기 때문이죠
자동차 연구원입니다. 갑자기 시동을 걸면 순간적으로 전류가 들어오면서 서지전압때문에 무리가 갈수있습니다만, 대부분 부품은 서지 보호회로들이 다 들어가있으며, 급발진과는 저어언혀 관련없습니다. 어차피 acc 모드건, 이그니션만 걸건 서지튀는건 같습니다. 다만 바로 시동걸때 한번에 전류가 더 많이들어오므로 서지레벨이 좀더 높아지긴하지만 보호회로는 그걸 다 고려해서 설계합니다.
무엇보다 자동차에 납품하기위해선 부품들 내구성시험할때 수백번 전원 on/off 시험을 해서 이상없이 통과해야합니다.. 아~~~~~무 문제없으니 신경쓰지말고 타세요
급발진은 왜일어나는걸까요?
@@utrecht8710급하게 시동거니 생기지
사고로그 기록은 왜 한국이 다른 나라 보다 짧은 가요?
@@utrecht8710급발진이 완전히 없다고는 단정지을 수 없지만 하루가 멀다하고 올라오는 국내 급발진 의심 사례들은 100퍼센트 비정상적인 수준의 관리 소홀, 페달오인입니다
@@utrecht8710 왜냐하면 인지능력 떡락한 늙은 할매할배들이 브레이크 밟을 타이밍에 엑셀을 때려밟아서 나는거지요...
내차가 바로 눌렀을때 한템포 쉬었다 시동걸리면 그냥타고 되지만,
그게 아니라 스타트가 바로돌아버린다면
acc 한번 눌러주고 시동거는게 시동성이 시원하더군요.
특히 겨울철 디젤차는 예열플러그 때문에 확실히
시동성이 다릅니다.
전 제가 운행하는차 모두 그렇게 시동겁니다
역시 믿고 보는 다키형 앞으로도 쭉 좋은거 많이 많이 올려주세요!❤
어차피 시동걸릴 때 모든 전원 차단 됩니다. 고로 첨부터 시동거나 ACC켜진상태에서 시동거나 똑같습니다.
지인 페라리 출고 따라갔는데
페라리에서는 전자장비 다 켜질때 까지 대기하다가 시동거는걸 권장하더군요
그건 기술력이 딸리는것임
그건 엔진이 고성능이라 오일미리 돌려줘야됨
@@gilvykei9111페라리가
기술력이 딸린다고요??ㅋㅋㅋㅋㅋ
이게 뭔소린가요?
@@gfl0600 페라리가 비싼건 맞지만 기술력이 다른 차에 비해 좋은건 아님
@@gfl0600 내연기관하고 전자계통은 다른거라고 봐야하지않음?
시동 한번에 안거는건 좋은 습관입니다. 예전 차들도 보면 그냥 키 돌려서 바로 시동 거는게 아니라 온 위치에서 한 2-3초 기달렸다 쎄루 돌리는거랑 같은 맥락이죠. 간단합니다. 내가 산 차가 애지중지하게 아끼는 차다=ok 반면 렌터카나 대충 막굴리는 차다=한방에
이렇게 정리하면 편하고 간단합니다.
박모씨가 주장하던 내용이네
메뉴얼에서 요구하는 차량들이 극히 일부 있지만 일반적인 차량들에겐 진짜 필요 없는 그저 미신 중 하나죠 ㅋㅋㅋ..
지금껏 차를 수없이 바꿔가며 타기도 했고 집에 8년째 굴리는 장보기용 세컨카도 있지만 10만키로가 넘어가는 현재까지 브레이크 밟고 바로 시동 걸어서 단거리 위주로만 탔는데도 어디 고장은 커녕 순간적인 과전압이나 전압 불안정으로 인한 전구나 퓨즈 하나 조차도 나가지 않았습니다
제발 그냥 브레끼 밟고 한 번에 시동 거세요
진짜 아아아아무 문제 안생깁니다~_~
심지어 예열도 시동 걸고 1천 RPM 내외쯤 안정화 되고 바로 출발 하면서 막 밟지 않고 슬슬 다니기만 해도 됨 ㅋㅋ 무슨 미션도 예열 해야되느니 하면서 PRND 옮겨주는데 그거 보다 슬슬 다니는게 더 빠를듯 ㅋㅋ
물론 시동 키고 담배 한개비 태우는건 국룰이지
사실 차량 잠금 해제하거나 문이 열리면 차량 전자장비들 전원이 싹 들어옵니다
굳이 두번누를필요 없이
문열고 타서 버튼누르는 시간동안 장치들 전원이 공급되서 켜져있습니다
바로 시동걸고 출발하는거 보다 천천히 시동 걸고 일이분 정도 엔진소리가 괜찮은지 들은후 천천히 출발하는게 차건강에 좋습니다. 특히 에쿠스 같은 차량은 바로 출발하면 매우 안좋습니다.
몇 십년 산업현장에 있는 모터 제어 인버터 bldc등 모터가 급발진이 있다고 하면 웃기죠. 그냥 터지거나 고정으로 멈춰 절대 안움직이거나 입니다.
급가속은 절대 없어요. 컴퓨터로 따지면 고장나서 오버 클럭되어 게임속도가 2배 빨라져다고 이야기 하는거랑 같습니다.
저도 어드바이저분께 알게되서..벤츠는 3회입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불편하지 않고 재밌는데요 ㅎㅎㅎ
저렇게 시동걸지 않아도 상관 없을정도로 차가 좋아져서 걍 자기만족으로...
저거 혹한기에 밖에대어둔 차가 시동이 잘 걸리지 않기때문에 접화플러그 예열을 위해 두번 누르고 돼지꼬리 표시 꺼지면 시동걸때나 쓰는건데…..디젤은 혹한기에 밖에대면 잘 안걸려요
참고로 가스차들은 LPI등이 꺼진후 시동걸어주는게 좋다고 하네여~😊
버튼시동 가스차는 바로 걸어도 알아서 지연했다가 걸어서 상관없어요. 오히려 디젤이 겨울에 예열플러그가 미리 동작되게 돼지꼬리등이 꺼지거나 최소한 acc에서 3초있다가 걸어주는게 좋습니다
@@ya7261 제차는 알아서 지연이 안되던거 같았습니다만.. 차가 오래되긴 됐나봐여. ㅜㅜ
LPI는 꺼진후 걸어주는게 좋은게아니라 원래 지연됐다가 걸리는거임
@@Oh-ho_yeheh아닙니다. 램프 꺼지고 걸면 바로 걸립니다. 안 된다면 차량 수리 하셔야 합니다.
@@sdaiwon아니그니까 버튼시동달린 가스차는 알아서 딜레이후에 걸린다구요.
이런건 걍 아주 예전부터 자동차 수리하시던 정비사님들이 퍼트린 유언 비어 같은거 그 모 기능장님이 말하는 것과 같은거 같네요. 그냥 타자.
휘발유 차량은 그냥 걸어도 될 거 같은데 경유차량은 키on으로 만들어서 예열플러그 작동 하고서 시동거는 게 낫지 않겠습니까?
마음이 울적할때 그냥 걷는것을 낭만이라 부르기로 했습니다.
다른말로 칵테일이라고 하죠
처음엔 그냥 걸었어~ 비도 오고 해서~
그냥 뚜벅이아닙니까
제 생각인데요. 엔진가동 없이 ACC상태 에서 점검하느냐..시동과 동시에 점검하느냐 차이 같아요..엔진이 돌아가는 상태에서 이상감지되어 어떤 오작동이 발생하는 위험보다는..시동전에 이상없는지 확인하고 안전하게 엔진가동 하라는 의미가 큰게 아닐까 합니다..
페라리가 시동걸때 단계가 좀 있어서 그거보고 따라하는거 같은데 안그러셔도 됩니다.
어차피 전자장비가 점점늘어나는 차량들 특성상 급발진같은오류는 백프로 막기는 힘들듯
이런것보다 시동걸고 알피엠 떨어지고나면 출발하세요
그건 그냥 촉매.....
30초면 충분한데 차 아낀다고 예열 후열 3분 이상씩 하는 멍청한 애들 종종 있는데 시간낭비 돈낭비에 오히려 엔진 내구성 깎아먹고 있는 짓임. 여름엔 10초 겨울엔 30초만 해라 그리고 주차장 나가면서 예열 다 끝난다ㅎㅎㅎ
ㄹㅇㅋㅋ 제조사 메뉴얼에도 나온건데 필요없다는 방구석 박사들 많으심 물론 내 위에있는 애들한테 말하는거 아님!
간단 예열 후 출발. 메뉴얼에 나온 내용인데ㅋㅋㅋ 아니래... 방구석 ㅈ문가.., 내 위에 애들 말하는건 아님
1분 이내로 하면 충분함
날 좋을땐 1분도 많음
근데 진짜 추울땐 메뉴얼이고 ㄴㅂ 이고 타보면 안다 바로 출발하면 차 겁나 무겁고
악셀 겁나 빡빡한 느낌
산책하기 싫은 개 억지로 끌고가는 느낌... 추울땐 본인들 알아서 하시면 됨
나같은 경우는 1~2분
뽑기운일뿐입니다.
이딴걸로 급발진의 위험이 생길거면
애초에 차만들때 시동거는 원리를
그렇게 해두겠죠.
예방차원으로 좋은취지로 공유하는건
이해되지만 급발진의 문제를
이딴걸로 합리화시키는 말로도 해석이
될수도있다는겁니다.
키시동을 하면 ACC를 지나치죠
버튼시동도 브레이크 밟고 한번에 시동걸지만
차가 자동으로 모든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합니다
브레이크 밟고 바로시동 시간이 차량마다 다른것 같아요...
국내제조사는 1초 이내 (거의 즉각반응)
벤츠는 2~3초 뒤에 걸렸던것 같은데...(체크 후 걸린다는 느낌)
전자 전기 편의장치가 많아질수록 회로 오류로인해 급발진 및 각종 잔고장이 일어날 확률은 높아지는건 기정사실임!
자동차 회사에선 당연 아니라고 하겠죠.
중지 시동 버튼 킹받네 ㅋㅋㅋㅋ
ㅇㅈ
안좋은 버릇입니다. 무의식적으로 나옴
@@Latte_Good그냥 버릇 아니에요?
@@익명-k1c 보는사람입장에서는 기분안좋죠 ㅎㅎ
@@익명-k1c평소에 중지를 많이 사용하나보죠 ㅋㅋ
이거 디젤에 해당하는거임.. 예열플러그 표시(돼지꼬리? 스프링 모양) 꺼지고 시동걸어야 예열플러그가 고장 안난다고 봤음.
자동차 명장이신 분이 차 시동 걸고 2분정도 기다리가가 출발하는게 좋다고 하네요. 전자장비들도 로딩할 시간을 주면 프로그램 오류로 인한 급발진 현상을 줄일 수 있다고 하셨어요.
명...장...?
@@평범하지_않은_인간 그... ㅂ은 아니겠ㅈ
명ㅋ장ㅋ
미케닉이 엔지니어링 영역에서 깝치는 사이비 쉨ㅋㅋㅋ
로드 시간이 2분이나 걸리는 ECU는 없습니다...
ruclips.net/video/JS6cZwa8ObY/видео.htmlsi=u97nultDnWwnNGTs
뭐 굳이 그런거 때문은 아닌데 예전에 버튼식 시동이 아닌 디젤차를 탔을때의 습관때문임...돼지꼬리 없어지면 시동걸어야해서 그냥 Acc로 두고 안전벨트 메고 시동걺. 안전벨트 메는 시간에 돼지꼬리가 없어지니까...그게 지금 버튼식 시동인 가솔린 차를 타고 있는데도 그러고 있음. 안 해되 되는데 습관을 버리니 심신이 불안함;;
전자기기를 먼저 켜고 시동을 거는게 안전했다면
자동차 회사들이 시동버튼을 눌렀을때 전자기기가 먼저 켜지고, 그 다음에 시동이 걸리게 장치를 설계 했겠죠
그냥 근거없는 소문 입니다.
이게 정답임
저도 전기차 타고있습니다 시동자주 5분도 안되어서 켜고 끄고 하지만 브레이크 발고 바로 시동걸어도 지금 2년차데 아무문제 없이잘타고 있어요
돈드는것도 아니고 고작해야 10초인데.. 저도 걍 두번에 나눠서 시동 걸음
급발진막을라고 두번나눠 시동걸바에 차라리 기도를 하시고 심호흡을하세요 그게 더 사고예방에 도움됩니다
@@Dragon79894 역시 유튜브에는 지나가는 척척 박사가 많다니깐 ^^
@@Kimseunghwan1 님처럼ㅋㅋㅋㅋㅋㅋ
저 하드웨어 설계합니다
님이 직접만든차면 몰라도
현기차를 두번나눠서 시동거는건 그냥 시간차 기도하는거랑 같은거에요 ㅋㅋㅋㅋㅋㅋㅋ
@@Dragon79894시간차기도라니 유머러스 하시네여
@@김한솔-w6l ㅋㅋㅋㅋㅋㅋ 안타깝지만 사실이에요
무릎까지오는 어린이풀장에서 성인이 구명조끼입고 수영하는거랄까?
안전대책도 다 있고 검증 다 된거를
돈드는것도아니고 조끼입는데 10초걸린다고 미신처럼하고있는게 웃긴거죠
물론 해서 나쁠거없지만 진짜하면 머리가나쁜겁니다
ㅋㅋㅋㅋ
그럴거면 스마트폰 과충전 과방전 보호회로 다 있는데 배터리 폭발사고 막고싶다고 80퍼만 충전하고 더 충전되기전에 뽑고
방전되기전에 무조건 충전해서 꺼지지않게 해야돼요
(근데 사실 알고보면 휴대폰에100%완충, 0%방전 되어서 꺼지는거 사실 완충이 완충이아니고 방전이 방전이 아님ㅋㅋㅋ) 위아래로 마진 있음
마진있믄데 과충전 과방전 막는다고 오바하는거랑도 같은거죠
그래서 요것도 그냥 시간차 기도하는거랑 같다는거에요 ㅋㅋㅋㅋ
그냥 확률입니다.
전자계통은 완벽한 100프로는 없습니다. 인공위성에 들어가는 첨단제품의 부품도 최대한 오차가 적은 제품을 사용합니다.
즉, 예비 시동이 길어지고 분활되면 확률적으로 더 안전할 수 있음.
난 그냥 습관돼서 2번 누르고 체크등 다 꺼지면 시동거는데
저는 2번씩 5초후 시동 걸어요😢😢
저도 그렇게 하고있어요
저는 전기만 켜기전에 삼보일배를 하면서 차량을 한바퀴 돕니다
운전병으로 복무하면서 예열등 꺼지는거 확인하고 시동거는게 습관이 되서 버튼식 타도 두번에 나눠서 시동 걸고있음
가스차는 바로걸면 시동안걸림 걸리더라도 세루태워먹을 수 있으니 2~3초 여유를..
마음이 울적할때 그냥 걷는다에 빵 터짐 ㅋㅋㅋㅋㅋ 😂😂
키를 돌려서 내연기관차 시동 걸때는 자연스럽게 ACC를 걸처서 시동구간으로 넘어갔지요.
현대가 허술하다고 뽀뀨를 날리시는 깊은 의도가 잘 느껴집니다.
븅신 의미부여하기는 ㅋㅋㅋ
현다가 잘못하긴함
나이가 들 수록 중지를 쓰는 경향이 있더라구요 카페에서 키오스크 누르시는 어르신들 거의 다 중지로 누름
해당 내용들이 말하는것은
시동을 걸면 거는 순간 발생한 서지전압으로 인하여 전자계통에 무리를 주지않을까?
이며 이것말고는 무리를 줄수도없습니다.
(센서를 깨운다는데 시동걸고 깨워도 다를게 없음)
다만 요즘 차들은 발전이 되는게 바로 배터리로 박히는게아니라 조금 뒤에 압력 등 조절하여 들어가기때문에 괜찮습니다..
센서상태 점검은 시동켜져도 알아서 합니다만 그게 맘이 편하시면 그렇게 하셔유
시동을 바로켜도 자동차는 시동에 문제가 없는한 시동이 되고, 전자장비는 동시에 오류점검을 들어갑니다. 그래서 안전하게 운행하시려면 질문처럼 하는것보다 시동을 한 뒤, 오류등이 모두 소등되는 것을 확인한 뒤에 운행을 개시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특히 일부 오류의 경우 시동이 된 뒤에 오류체크를 하는 항목도 있으니 안전상으로는 시동을 켠후 오류점검을 완료한뒤에 액셀을 밟는것이 더욱 안전합니다.
근거없는소리
@@limext6504 근거없는 소리가 아닙니다 😂😂 제조사에서 작성하여 배포하는 차량관리 메뉴얼에 작성되어 있습니다. 현대.기아. 쌍용. 르노. 쉐보레 할것없이 시동후 RPM이 하락하고 메인 ECU에서 모든 계통의 상태가 정상임이 확인되면 출발하십시오 라고 적혀있습니다😅😅
@@limext6504놀랍게도 시동걸때 각종 경고등 뜨는건 오류검사 라고 보면됨 근데 그게 금방 이루어지긴 하지 ㅋㅋ
@@wolfgray2396님이 말하는 rpm이 하락한다는 거 자체가 이미 시동을 걸었으니 rpm이 올랐다 떨어지는거예요 매뉴얼 해석 잘못 하셨네요.
지금 영상 및 댓글들의 요지는 시동 걸기 전에 acc on 상태를 거치는 과정의 필요성에 대해서 논의중입니다.
그 양반은 워낙 말이 이랬다 저랬다 해서.
게다가 무조건 현기는 까고 수입은 좋다는 식으로 얘기하는 거도 별로.
그 양반 말대로 시동도 나눠 걸고 웜업도 한 3분 씩 하고 출발할 사람은 그렇게 하면 되지.
그렇게 하는 사람들 컴퓨터 전원은 어떻게 한번에 누르나 몰라.
어제는 여친의혹 해명하라고 하고 오늘은 시동 걸었을 뿐인데 욕 한다고 하고 ...
에휴 사는게 참 쉽지 않다 그죠~??
그런 다키님을 위로하는 의미로 제가 술 좀 마셔야겠어요 🍾🍶🍺
😂😂😂 감사합니당
k7 vg350의 전자서스는 시동 버튼 두번 누르고 브레이크 밟고 4초후에 시동을 겁니다.
그러면 전자서스가 정상작동하는데
그냥 브레이크 밟고 바로 시동버튼을 누르면 승차감 엉망입니다.
트럭차량 차키로 거는차량보면 코일모양➿️ 의 예열등이 있어요 꺼지고 시동걸면 한방에잘걸려요
다른 사유를 예시로 들자면 ACC>ON 상태로 들어갈때 실린더에 기름을 뿌려줍니다.
이걸 원키 시동시에 전자장비부터 세루모터까지 한번에 다 돌리다보니 무리는 당연하게 조금씩 축적이 됩니다.
고배기량,고성능 기준으로 acc>on>start 순서를 권고하는 이유도 다음과 같죠..
일반 승용차는 상관없다 하지만 기계는 기계입니다.. 같이 전기먹고 기름빨고 다 합니다..
기술의 발전도 있지만 최소한의 예방은 나쁠게 없습니다!!
실린더에 기름 뿌려준다는 말이 정확히 무슨 말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뭔 개소리여
@@jasonking913 이게 차마다 제조사마다 다르긴 하던데 bmw탈 때 운전석 도어를 열기만해도 알아서 엔진 실린더에 기름을 분사를 하더라구요.
지금은 제네시스 타는데 acc>on 넘어갈때 미세하게 웅~ 하는 소리가 들리는데 아마 그 소리가 초기 시동시에 무리없이 시동 걸어주게 해주는걸로 알고있습니다
@@빠따-v9y 그건 가열식 인젝터 시스템 가동되는 소리 아님?
@@Dog2146-u3f 엥 직접 엔진커버 열고 문 얄었는데 갑자기 기름 뿌려서 그때 알게되었죠
급발진같은현상이 있긴한데 그게 바닥시트때문일수도있음
규격외의 시트깔면 시트에 엑셀이 걸린거도봄
제조사가 급발진을 인정도 원인도 모르는데 그들의 메뉴얼은 그들의 방어 목적일뿐...
자동차 명장인가 하는 그 사람이 그렇게 얘기했어요~
그런데 그분은 가끔 자기 생각을 기술인양 얘기하는 경향이 있어요~
급발진은 제조사 매뉴얼에 넣을 수 없겠죠
전자기통만이 아니라 오일류 순환효과에도 좋아서 시동바로거는것보단 키온상태에서 시동 거는것이좋다라고 명장님께서 말씀 하셨습니다😊
그래도 도움 된다는 쪽으로 하는게 좋겠죠.
도움 된다는 근거가 없는데 뭐가 도움이 된다는 거지?
@@toddpark0927 그냥 정신승리하겠다는것 ㅋㅋ
머에 도움되는데
@@마이다스S 급 발 진 예 방
정신병 있는 듯
도라에몽 시동거는 모습 개귀엽ㅋㅋㅋㅋ
급발진도 급발진이지만 요즘 현기차들은 브레이크와 악셀의 간격 참 타이트하더군요. 그래서 그런지 인지능력이 떨어지신 분들이 악셀을 브레이크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을거라 봅니다.
애초애 한번 눌러서 시동이 되게 만들었다는건 그렇게 하라는거고 그렇게 해도 문제가 없다는겁니다
지금 엿날리는 건지 시동 거는 건지 헷갈리네?
시동버튼에 넣는 중
빠큐 어그로 채널 추천안함
자동차 브레이크 작동 원리 공부하시고 숏츠 만들어 주세요ㅋㅋ 급발진과 별개로 브레이크는 항상 작동 가능해서두 발로 브레이크 세게 밟으면 제동 가능합니다. 이게 급발진 대처법이에요.
와~ 마음이 울적해서.... 연배가 느껴지네요...저도 슬퍼요
산으로 올라가서 소릴쳐봐 그럴땐 나 처럼 가슴을 펴고
빠큐 어그로 채널 추천안함
회사에서 정전기 테스트장비로 회로 안정화
개선작업을한 이력을 가진 사람은 차가 미쳐날뛰는현상의 원인을 얼추 이해할것입니다
모든 회로장비가 도면대로연결만한다고 제대로 안정하게 동작하지는 않습니다
외부/내부에서의 외란 노이즈억제가 중요합니다
자동차명장님이 키두번 온상태에서
네비게이션 켜질때쯤 시동을 걸면
급발진이 줄어들 확률이 50프로
줄어든다고해서 저는 그렇게 걸고 있습니다 ㅋ
그 확률은 누가 책정한건지 ㅋㅋ 유튜브 하는 명장들 90프로는 사기꾼
명장님 급발진 한 100번 나보셨나요 ㅋㅋ
저도 사실 저 미신을 믿고 있었는데 그 미신이 그 사람한테 나온거였어요? 아..그동안 괜히 했네.
@@drkim7971미신은 아닙니다. 특히 디젤차 등 키시동 방식 차들 예열 표시등 꺼질때까지 기다리고 시동거는 것에서 비롯된 행동입니다. 겨울이면 아직도 이 절차는 필요합니다.
물론 이 정도로 차가 고장나진 않지만 무리를 조금이라도 덜 주게 되는거죠.
제대로 된 근거도 없고 지식마저 부족한 그놈의 명장 보지마세요.
손가락 킹받아요 ㅎㅎ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이제는 제조사가 급발진 원인 밝혀야 한다.
PL법 적용 하자
제조사랑 국과수가 급발진인지 조사해서 급발진 아니라고 떴는데 뭘 어떻게 더 급발진 원인을 규명함?
그건 안되요 할매할배들이 사고내놓고 박박우겨서요
차라리 패달 블랙박스를 의무화 하는게 나을듯
@@hjlee3985국과수 엔진 열어보도 안함ㅋㅋㅋ
@@minkikim1791님이야말로 선동당하는거 아님 ? 예전에 급발진 재현할 수 있다면 상금 준다고 국가 차원에서 공모 했는데, 별에별방법 다 나왔는데 급발진 아무도 재현 못함. 그리고 상식적으로 생각해보셈, 만약 차가 급발진이 있다면 현대 포함 전세계 차 브랜드가 판 차대수를 고려하면 거의 하루에 한건은 최소한 무조건 나와야하고 하루가 다르게 고소당하고 있을거임. 근데 실제로 고소당했다는 글 봤음 ? 애초에 급발진은 없음 걍 다 페달 오인사고임. 차에 전기부품이 들어간게 무슨 최근에 생긴일도 아니고, 옛날부터 지금까지 아무 문제없다가 최근 갑자기 급발진이 증가한다 ? 걍 다 헛소리지. 사람들이 급발진이라는 키워드를 직간접적으로 접하면서 알게되고, 걍 자기 실수 덮으려고 급발진 방패 쓰니까 갑자기 많아보이는거지.
최근에 실제로 택시기사도 급발진이라 주장했지만, 지가 설치한 페달블랙박스에 지가 페달 오인해서 누른거 그대로 나왔잖아 ?? 걍 다 페달 오인사고임
@@minkikim1791아 추가로 미국에서 사고 하나를 1년에서 2년동안 조사하는 기관이 있는데, 그 기관에서 급발진 의심사고를 5-6건 조사했음. 근데 다 급발진 아니고 페달 오인사고나 아니면 다른 요인에 의한거였음
다키님보면 삶은 공평하단게 느껴짐ㅋ
버튼은 중지로 누루는게 국룰이다 끝
빠큐 몇번 보고 나니 영상 내용이 이해가 됩니다
아니 저런 유언비어는 대체 누가 퍼트리는건지…
그냥 브레이크 밟고 거세요.
시동 걸자마자 출발하는 시나리오까지 고려해서 개발합니다.
중요한 제어유닛들은 이미 상시전원을 쓰기 때문에 돌입전류도 발생하지 않아요.
똑같은 이유 : 앉자마자 시동 걸고 바로 출발해서 차 슬슬 가는동안 전자기기 (특히 듀얼 디스플레이로 나오는 요즘 차들)들은 화면 부팅되면서 바로 네비화면이 안들어옴.
좀 다릅니다
bmw.폭스바겐.미니
같은 경우에는
문 열면 몇가지 전기 장치들이 윙소리가 나면서 작동하는데
제가 타봤던 현기차들은
신형이든 구형이든 시동걸기 전에는 모든게 올스톱이더라구요
문만 열었다고 해서 작동하는건
없었음
버튼한번 누르면 차가 알아서 하는것 같아요 겨울 추운날은 눌러도 시동이 조금 늦게걸려요
누가 봐도 급발진 의심사고가 나면 제조사가 보상을 하던가 반론을 제시 해야 하는데 계속 소비자가 증명해야 하는 현상황을 타개하려면 해당차종을 불매하면 됩니다.
요즘 차들은 악셀도 전자식
핸들도 전자식..
오작동 하면 하늘나라
브레이크는 기계식@@빨강-w6i
누가봐도 급발진 의심사고라 제조사, 국과수, 국토부 다 들러붙어서 조사해봤더니 급발진 아니라고 결론 났으면, 그 후부터는 급발진이 맞다는걸 소비자가 증명해야지 뭘 어떡함?ㅋㅋㅋㅋ
니는 재판할 때 잘못이 있다고 가정하고 피고측이 잘못이 없는 이유를 규명하는 줄 아냐? 원고측이 잘못이 있다는 것을 규명하는게 원래 모든 재판의 기본원칙이야ㅋㅋㅋㅋ
사고 후 급발진 주장
반론-> 기록장치인 edr로 국과수 및 제조사 증명
그럼 재반론은 누가해야하지?
edr이 개ㅈ으로보입니까
이거 무슨 차예요? 너무 이쁘다..
급발진의 원인을 정확히 모르기 때문에 지금은 할 수 있는건 다 해야함. 목숨이 달려있음
언제뒤질지모르니 우주복 입고다니고 산소통 탱겨다녀라
뭔일생길지 어떨게알고 그렇게 위험하게다님?
애초에 차를타지마 먼 개빡대가리같은소릴하냐
과거에 키가 있던시절에 구조적으로
Acc.on.start 단계를 만든거고
초창기 스마트키 시절도 그걸 따라한거죠
그시절에도 키를 꽂고 스타트까지
바로 돌렸습니다 문제 없습니다
귀차니즘으로 5년째 9만 키로 타는동안
예열, 후열 암것도 안하고 시동 켜자마자 바로 출발하지만.. 급발진 비스무리 한것 1도 없습니다. 타자마자 곧바로 시동걸어도 됩니다.
- 18년식 더 K9 3.8 차주 올림 -
아직 하늘의 부름을 받는 순서가 아니라서 그런겁니다. 담배 좃나 펴도 폐암 안걸리는 사람들처럼
LPG차는 인젝터 까지 가스 압이차는 시간 때문에 두번누른후 기다린다음 걸어야된다고 하던데요?
유독 이 나라만 급발진에 염병을떰 ㅋㅋ
현기 급발진이 그렇게 자주 일어나면 미국에 차를 어케파냐 ㅋㅋㅋㅋㅋㅋ 진작 쳐망했겠지
애초에 디젤차오너라 acc가 습관이 되서 별로 신경안쓰이긴 히는데 바로 시동건다고 전자계통에 무리가 갈 정도면 남아나는차가 있을지 의문..
지나가던 한 고딩입니다.
제생각이긴 한데요
차량에 급발진 현상이 나타난다면
주변차를 요리조리 피하지말고
차량의 속도가 100 150.. 더 오르기전에
근처 구조물이나 차량에 충돌하는게 낫지 않을까요?
차쟁이 고딩의 생각입니다!
맞습니다. 속도가 오르기 전에 충돌하는게 가장 좋아요. 도로에 있는 물건 중 충격 흡수 설계가 가장 뛰어난 물건은 자동차입니다. 즉시 같은 방향으로 주행중인 앞차를 충돌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급발진은 정말로 원인이 없어서
혹시 이렇게라도 하면 예방이 되지않을까? 하는 추측 및 예방 차원의 방법이고
듣기로 벤츠에서는 시동걸 때 저렇게 나눠서 거는걸 권장한다고 했던것 같아요
처음엔 그냥 걸었어...
비도 오고 해서...
오랜만에 빗속을 걸으니...
니생각이나서 생각이나서 그래서 그랬던거지
소프트웨어는 부팅이 필요함 하물며 밥통 코드를 꼽아도 몇초간의 딜레이는 있음
차량을 매일운행한다면 그렇게신경쓸필요가없습니다.
다만 장기간운행이없다가 운행할시에는 단계별로 시동을거는게좋습니다. 주차시에도 빳데리사용량이있기에 단계별시동추천드립니다
급발진 예방 할려면 이렇게 하는게 낫다고 박병일 명장님이 그러셨는데... 그래서 접속대기 시간하고 저도 두번 누르고 시동 겁니다.
30키로 만탓어요 여태 저는 항상 타자마자 시동걸어요.
신경쓰지말고 타세요
자동차리뷰하는데를 보면 거의 시동바로걸지말라고하더라구여 전자계통 무리간다고 하상 버튼두번누르고 불들어오면 하라고 하더라구여 그게 전기가돌면서 센서들 점검한다나 머라나
전에 티비에서인지 유투브에서인지 박모 명장이 계기판에 경고등이 없어지고나서 시동켜면 좋다 라는 멘트후 그렇게 하는 사람들이 많아진듯..
???: 현대가 겨우 버튼 한 두번 더 누른다고 급발진 안생기게 만들 만큼 허술하진 않다. 라는 설명 감사합니다.
급발진 커넥터 접촉 불량임 한번식 앤진룸 열고 연결선들 눌러서 껴주셈
제조사에서 급발진을 인정하지 않는데 당연히 바로 걸어도 문제 없다고 하지. 문제 있다고 하겠냐고.
내말이
라임 죽이네요....마음이 울적할땐 어디를 걸으시나요?
시동거는거 봤는데 욕먹은거 같네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