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특수교사의 21중등특수 수업실연 1부(활동1까지) | 임용고시 | 임용고사 | 교원임용 | 수업시연 | 특수교사 | 특수교육 | 중등특수 | 초등특수 | 2차수업 |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 @지성덕-b7z
    @지성덕-b7z Год назад +1

    자신감은 좋은 수업을 만든다 !! 영상을 통해 멋진 태도 배우고 있습니다.

  • @yang8729
    @yang8729 3 года назад +2

    중등은 아니지만 너무 잘 봤습니다. 목소리가 자신감있어서 듣기가 좋아요!

  • @박은영-z5k
    @박은영-z5k 3 года назад +4

    안녕하세요! 1년전에 댓글으로 자막 달아주셨으면 좋겠다는 부탁을 남겼었는데 자막을 달아주신 덕분에 어렵지 않게 2차 준비 잘하고 있습니다! 근데 제가 학생에게 어떻게 발문해야하는지 어직 어려워서 혹시 발문 예시 들어주실 수 있을까요?!

  • @Apple-jd6oq
    @Apple-jd6oq 3 года назад +1

    선생님, 조건에 AAC(보완대체의사소통) 이렇게 적혀있다면 교사는 'AAC로 가리켜볼까요?' 이렇게 'AAC'를 써도 될지 궁금합니다.! AAC는 교사용 용어라서 학생에게 적합한 용어로 바꾸라는 말이 있었습니다.

    • @pass_skill
      @pass_skill  3 года назад +5

      보통 '의사소통판' 이라고 많이 하는데 요즘은 보완대체의사소통 어플이 많이 개발되어서 일반 태블릿pc에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의사소통 태블릿에서 그림 선택해 볼까요?" 이렇게도 가능하다고 생각해요 ^^

    • @Apple-jd6oq
      @Apple-jd6oq 3 года назад

      @@pass_skill 와! 선생님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궁금증이 시원하게 해결되었습니다ㅎㅎ

  • @yang8729
    @yang8729 3 года назад

    혹시 제가 질문 하나 드려도 될까요?
    연습문제로 실연문제를 하던 중, 제재가 깨끗하게 손을 씻는 방법을 알고 직접 해보는건데요. 멀티미디어 교구를 이용하라는 조건이 있더라구요. 멀티미디어 기기도 아니고 교구라고 되어있어서^^;;; 이 경우에 혹시 태블릿피시 이용해도 될까요??

    • @pass_skill
      @pass_skill  3 года назад

      교구의 뜻은 '학습을 구체화ㆍ직관화하고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도구. 칠판, 괘도, 표본, 모형 따위이다.' 라고 나오는데 '멀티미디어'의 뜻(음성·문자·그림·동영상 등의 다양한 형식의 정보가 혼합된 매체)과는 어울리지 않네요. 그냥 멀티미디어 기기로 생각하는 게 맞을 것 같고요. 태블릿PC 이용 가능하겠네요 ^^

    • @yang8729
      @yang8729 3 года назад

      @@pass_skill 감사합니다 선생님!!!!!!!!

  • @2돌
    @2돌 2 года назад +1

    남녀공학 중고등학교 에는 반드시 도움반이 있어야 해요

  • @bb-jh4nm
    @bb-jh4nm 3 года назад

    선생님 형성평가에서 오류교정해도 되나요~?형성평가에서 오류교정하면 안된다는 피드백응 받아서 어디서 오류교정을 해야할지 막막해요!

    • @pass_skill
      @pass_skill  3 года назад +2

      활동2 끝내고 하는 형성평가에서는 오류 교정에서는 살짝 수업이 지저분 해질 수는 있는데 활동1 중간이나 끝, 활동2 하는 동안에서는 오류 교정 들어가도 괜찮죠~

  • @밤빵이-z8d
    @밤빵이-z8d 3 года назад

    헉 마침 오늘 21년도 수업실연 연습하고 멘붕왔는데.. 참고하겠습니다~~
    선생님 학생중심수업을 하고픈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ㅠㅠ
    (오남용 개념설명처럼 최대한 학생경험활용해서 설명하려하나 교사설명이 길어지는 느낌이에요..)

    • @pass_skill
      @pass_skill  3 года назад +4

      수업 내용을 학생들에게 '알려준다' 라고 생각하면서 먼저 내용을 설명하려고 하면 교사중심의 수업처럼 보입니다. "이건 어떻게 생각해요?", "왜 그럴까요?", "어떻게 하면 될까요?" 등의 확산적 사고를 돕는 질문을 군데군데 넣어주면서 수업의 주도권을 학생에게도 넘겨주는 모습을 보여주세요. 너무 과하게 넣지는 마시구요. 이번 영상에서도 그런 모습이 1~2번은 들어가 있을 거예요. 그 부분을 집중적으로 연습해 보세요~!

    • @밤빵이-z8d
      @밤빵이-z8d 3 года назад

      @@pass_skill 감사합니다!! 선생님 그 동기유발부터 시작한다라고 하면 학급규칙과 강화계획 꼭 말하고 넘어가야하나요? 시간이 부족해서요ㅜ

    • @pass_skill
      @pass_skill  3 года назад +2

      @@밤빵이-z8d 선택사항입니다. 동기유발에서는 동기유발 자료를 사용하는 것과 학생들에게 학습목표를 제시하며 이벙 수업에서의 문제의식, 목표의식을 심어주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 @밤빵이-z8d
      @밤빵이-z8d 3 года назад

      @@pass_skill 감사합니다!

    • @밤빵이-z8d
      @밤빵이-z8d 2 года назад

      선생님 일전에 댓글 달았었지요 ㅎㅎ
      특수학교로 신규발령 받았는데 학급 아이 중에 자폐아이가 있습니다. 마스크를 쓰고있다가 갑자기 (이유모름) 10개를 쓰고있다가 내리 찢고 착석이 잘 안되고 눕고 그런 행동을 보입니다.. 어머님께서는 강하게 못잡으면 계속 찢는다, 강하게 잡아주기를 원하시는데 소리치고 해야하는 것일까요? ㅠㅠ 조언 부탁드립니다..

  • @2돌
    @2돌 2 года назад

    전 거동이 매우 불편해요

  • @훈비네김
    @훈비네김 3 года назад

    아~ 이렇게 했어야..

    • @pass_skill
      @pass_skill  3 года назад +2

      21기출이 생소한 교과에, 조건도 까다로운 편이라 저도 연습을 하고 나서야 수업다운 수업이 나오더라구요.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마시고, 어떻게 발문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수업을 전개하는지에만 초점을 두고 보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