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홍식의 대학 강의 (인간의 길을 열다) - 고전콘서트 #07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홍익학당 및 홍익선원 윤홍식 대표님의 대학(大學) 강의입니다.
    동양고전의 대표격인 대학은 과거부터 사서(四書)의 하나로 중요하게 여겨졌습니다.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로 이르는 길을 제시하는 대학은 짧지만 과거의 성현 및 군왕들이 매우 중시한 책으로, 조선왕조의 '경연'에서도 임금을 위한 '제왕학'으로 자주 논의되었습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대학을 간행하여 각 처에 배포하고, 임금과 신하들이 대학을 논의한 기록들이 남아 있습니다.
    홍익학당 네이버tv : tv.naver.com/hihd

Комментарии • 41

  • @deogsilhan5781
    @deogsilhan5781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다시 듣고 갑니다.
    감사드려요.

  • @fly-jh4n
    @fly-jh4n 4 года назад +6

    감사합니다^^

  • @모닝콜-o6m
    @모닝콜-o6m 3 года назад +7

    감사합니다.

  • @벨벳1
    @벨벳1 4 года назад +7

    감사드립니다!!!♡♡♡

  • @이동주-q8w
    @이동주-q8w 4 года назад +8

    공감합니다

  • @박종영-g9t
    @박종영-g9t Год назад +2

    양심에 맞는
    기준으로
    인의예지로 삶을 살도록 하겠습니다.

  • @박경희-c4g
    @박경희-c4g 4 года назад +9

    감사합니다

  • @1_SIMU
    @1_SIMU 3 года назад +4

    감사합니다. 금일 양톡보고나서 대학공부 다시 시작합니다

  • @lee-kko
    @lee-kko 5 лет назад +9

    감사합니다♡

  • @jaisonyan3597
    @jaisonyan3597 7 лет назад +8

    감사합니다
    진정 멋진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

  • @착한부동산티비
    @착한부동산티비 5 лет назад +8

    강의 기가막히다

  • @Mayming29
    @Mayming29 7 лет назад +9

    마지막, 사단 없는 사람이 나를 신경써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처럼 어리석은 게 없죠...와닿습니다.

  • @여유-p4w
    @여유-p4w 4 года назад +9

    항상 감사드립니다

  • @장옥경-y1c
    @장옥경-y1c 8 лет назад +8

    조금씩 조금씩 발전하는 느낌ᆢ좋은강의 감사드립니다ᆢ듣고 듣고 또 듣고^^~

  • @임경미-n4k
    @임경미-n4k 7 лет назад +8

    우리 양심에 새겨진 정의감을 자연법이라 한다. 강의내용중에서... 감사합니다.

  • @환희-d9i
    @환희-d9i 7 лет назад +8

    오늘도 감사하게 강의 잘들었습니다
    이시대에 윤대표님 같이 젊은 영적지도자가 있슴을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 @카리스마짱-s2c
    @카리스마짱-s2c 6 лет назад +11

    윤홍식 선생님
    대단하신분 이 시대의 공자님
    짱입니다~
    매일 직강을 듣고 싶습니다

  • @하정-i8w
    @하정-i8w 7 лет назад +11

    대박강의~~^^ 감사합니다.^^

  • @김성윤-o9x
    @김성윤-o9x 4 года назад +10

    이렇게 수준높은 강의
    U Tube 올려 주셔서 감사
    감사 합니다.왜곡된 유교
    에대한 편견을 바로 잡아~
    깊히 이혜 존경.앎에 행복♡

  • @이동주-q8w
    @이동주-q8w 4 года назад +7

    고맙습니다

  • @이동주-p3h
    @이동주-p3h 5 лет назад +7

    대표님강의 조은 이유 ? 철학에서 심리학이 확연하게 들어나서! 홍익학당 힘네세요 감사합니다

  • @하정-i8w
    @하정-i8w 6 лет назад +7

    1:37:45 천하를 다스린다는 건 정의를 우선시 해야지 이익을 우선시 하면 안된다는게 그 리더가 자기 이로운 걸 해 버리면 천하는 해를 입잖아요. 그런데 리더가 천하가 좋은걸 하면 천하 전체가 이로움을 얻는다. 그러니까 국가를 다스리는 자는 반드시 국민한테 다 좋은가를 제일 봐야 합니다. 국민안에 나도 들어가는 겁니다. 국민 전체한테 이로움이 오는가 이걸 따져야 되는데 이런 마음은 양심에서 나오지 절대 욕심에서는 안 나옵니다. 욕심에서는 내 돈을 불려서 나갈 생각을 해요. 대통령 하는 동안 내 돈을 많이 불려서 나가야 되겠다. 그러면 그 돈은 백성 돈이죠? 백성은 피해를 보게 되요. 그걸 생각 안하고 '나 있는 동안 백성돈을 많이 불려주고 나가야 겠다.' 이러면 벌써 그 사람은 양심 있는 사람이에요. 그러니까 여러분이 리더를 뽑으실때 양심을 보고 뽑으셔야지 돈 불리는 재주가 있다고 뽑으시면 큰일 납니다. 그분은 그분 돈을 불려서 나가실거예요. 원래 그렇잖아요. 욕심이 많은 사람은 앉히면 본인 욕심을 채워서 나가죠. 양심이 많은 사람을 앉혀야만 우리까지 신경 써 줍니다. 사단 없는 사람이 나한테 신경 써줄 거라고 기대하시는 거 만큼 어리석은 일은 없죠. 그분이 사단이 있냐 없냐를 보시고 , 대학에서는 사단부터 키워가지고 양심을 밝혀가지고 천하백성한테 이익을 주는 리더를 키우는 학교입니다. 이런 태학에 상응하는 학교가 지금 다시 많이 세워져서 차세대 리더들을 키워 냈으면 해요. 미래의 인재들이 이런식으로 길러져야 되지 않겠습니까? ............... 감사합니다.

  • @하정-i8w
    @하정-i8w 7 лет назад +9

    대학은 책꽃이다. 유교 전체의 공부체계가 다 들어 있다. 감사합니다.

  • @chuelbongan5980
    @chuelbongan5980 5 лет назад +8

    철학사상중에 인간학으로는 너무나 구체적으로 사르치는 학문이 바로 유교가 아닌가 합니다.
    한마디로 안간학이..인문학의 길입니다. 강의가 넘 좋아요....

  • @홍호식-f2t
    @홍호식-f2t 8 лет назад +9

    양심이 답이다.나도좋고 상대도 좋은것.

  • @홍인택-s7p
    @홍인택-s7p 4 года назад +6

    인간의길의 최정점은 공평한마음을 갖는것이 아닐까요 지구는 내몸과같고 우주는 내마음과같고 내자식이 소중하면 남의자식 또한 소중하다는것을 깨닫는것이 철학의길이 아닐까요

  • @하정-i8w
    @하정-i8w 6 лет назад +5

    1:25:50 공자님이 정치 안하고 집에만 계시니까 누가 "왜 정치 안하십니까?" 하니까 그 얘기를 읊어요. (요즘은 핵가족이지만 과거는 대가족이라 식구가 많으면 100명 정도도 되었다함) '가정에서 부터 이미 정치가 시작된다. 가정에서 하는게 다 정치다.' .... 가족들하고 인간관계를 양심을 써서 올바르게 하면 그건 다 정치잖아요. 감사합니다.

  • @임경미-n4k
    @임경미-n4k 8 лет назад +6

    37;30
    여러분 정의가 무엇인가를...
    아무리 남에게 정의에 대한 강의를 듣는다 해도 알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 강의를 듣고 있는 중에
    "저거는 아닌거 같은데..." 하는 그 마음이 이미 정의를 알고 있어요.
    신기하죠? 여러분은 정의를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잘 못 된걸 보면 "아니다" 라고 하세요
    여러분이 법을 배운적이 없는데.
    예를 들어 성폭행범 한테 집행유예 판결이 났습니다. 하면 울컥하시죠?
    법을 배운적이 없는데 성폭행범에게 집행유예는 아니다 라는 걸 어떻게 아셨나요?
    여러분 안에는 엄정한 정의의 기준이 있어요.
    정의의 기준은 판사에게도 있고 우리 한테도 있어요. 똑 같이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저 판결이 잘못 되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실제 국민의 감정이 맞아요.
    왜냐? 법이 양심에 기초해 만들었거든요.
    살인한 자는 벌을 준다. 남의 물건을 훔친자는 벌을 준다 하는 것이
    양심 말고는 법에 근거가 없습니다.
    지구 어디에도 살인한 자는 벌을 주라고 새겨진 게 없어요
    그런 법칙을 자연이 인간한테 가르쳐 준 적이 없습니다.
    인간은 그냥 알고 있는 겁니다.
    남의 물건 훔치는 건 아니다. 하는걸 어떻게 아냐 하면,
    양심에서 남의 물건을 누가 훔치는 걸 보기만 해도 수오지심이 일어나요
    즉, 사람들이 다 못 견디겠으니까 그걸 하는 걸 막은 겁니다.
    거기에서 법이 시작되었기 때문에, 우리 양심에 새겨진 정의감을 자연법이라 합니다.
    자연법에서 법이 나왔기 때문에 여러분은 실정법을 안 배우셨더라도
    양심대로만 사시면 법 없이 살 사람이 될 수도 있고
    잘 못된 판결을 보면 바로 잡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겁니다. 법학을 배운적이 없는데.만약 살인을 당한 사람의 가족이 나처럼 느껴지면 정확히 나와 버려요
    범인한테 어느 정도의 처벌이 적합한지 본능적으로 느껴지는 양심이 여러분 안에 있거든요
    양심을 밝히지 못한 리더가 천하를 다스리면 그 천하는 개판이 됩니다.
    양심이 없다는 이야기는 남 한테 민폐를 아무리 줘도 모른다는 이야기 입니다.
    그리고 더 무서운 건 뭐가 문제 인지도 몰라요
    국민 5천만이 다 화를 내도 이해가 안 되요. 왜 저들이 화를 내는지... 양심이 없으니까그런데 기본적인 양심이 인간이면 없을 수 없는데
    이게 특히 막힌 사람은 사이코 패스라고 합니다
    공감 능력 부족... 공감(仁)이 안 되기 때문에 나머지가(義禮智信) 작동을 잘 안합니다.
    아주 없는 건 아닌데. 뇌에 문제가 있는 거죠. 선천적으로
    후천적으로 사이코 패스를 닮아가는 분도 있구요
    내 욕심만 챙기는 사람은 후천적으로 닮아가는 겁니다.

  • @황금희-u6u
    @황금희-u6u 11 лет назад +9

    무지하고괴롭히던 과거의실패한잔상들의시시때때로의 출현들을 한방에 통쾌하게 날려버리는 이연습들 .. 쵝오입니다.가장 확실한방법입니다앞으로의긍정적발전 문제없겠어요

  • @youngtaisong6903
    @youngtaisong6903 11 лет назад +9

    선생님의 강의를 많은 사람들이 들었으면 좋겠습니다.

  • @문어-c8g
    @문어-c8g 5 лет назад +5

    47:00

  • @jolee60
    @jolee60 25 дней назад

    감사합니다.
    인문학 일주일 완전정복.
    바보같이 일주일이면 되는줄 알았읍니다..이 강의만 일주일이 걸릴지도...
    지금 여기 나너 이렇게...

  • @황금희-u6u
    @황금희-u6u 11 лет назад +8

    참나.. 괜챦아..몰라.. 마인드 콘트롤.. 감사합니다.주기도문보다 더 강렬하고 실질적 방법인데요

  • @이순옥-d3s
    @이순옥-d3s 3 года назад +7

    감사합니다 ♡

  • @홍익33
    @홍익33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 @이동주-q8w
    @이동주-q8w 4 года назад +7

    감사합니다

  • @Binstar1104
    @Binstar1104 3 года назад +5

    감사합니다 😊

  • @이득현-q7q
    @이득현-q7q 4 года назад +7

    감사합니다

  • @이철순-x5z
    @이철순-x5z 3 года назад +4

    감사합니다♡

  • @둥근달-h8p
    @둥근달-h8p 3 года назад +3

    감사합니다

  • @금귤-p8v
    @금귤-p8v 2 года назад +2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