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오닉5 19인치휠 vs 20인치 휠 팩트체크해봤습니다!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2

  • @supyoo
    @supyoo 3 года назад +17

    등장인물이 3명인데 구독자가 2명이라니...

  • @금세기마지막인간
    @금세기마지막인간 2 года назад +2

    1920비교를 실제돌면서 솔직표현 좋았습니다.

  • @zw_k
    @zw_k 3 года назад +10

    디자인과 승차감도 중요하지만 19인치 휠이 총 주행거리가 429km, 20인치 휠이 401km로 총 28km나 차이가 나는 점도 고려해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 @블루쿼카s
      @블루쿼카s  3 года назад +1

      촬영할 때에는 전비를 비교해보려고 했으나 조건이 되질 못해서 비교를 못했네요. 아무래도 전기차를 산다면 주행가능거리가 중요하긴 한데 실제 차주분들은 생활 반경 내에 충전기만 있다면 크게 개의치 않는 것 같더라구요.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

  • @금세기마지막인간
    @금세기마지막인간 2 года назад

    방송을 젤잘하십니다.

  • @Demokratiacat
    @Demokratiacat 3 года назад +3

    이쁘셔서 구독했어요 ㅎㅎ

  • @Tkanfkdlchl
    @Tkanfkdlchl Год назад

    몇 인치 휠인지 알고 주행테스트를 하면 선입감 때문에 정확한 차이를 비교하는게 정확하지 않다 휠사이즈를 모르고 테스트를해서 비교하는게 좋았었는데 어쨌던 19인치휠을 선택하고싶다 끝!

  • @sukkim7587
    @sukkim7587 3 месяца назад

    과속방지턱 넘을때 휠이 클수록 충격 흡수가 더 좋은거 아닌가요?

    • @AboutM4
      @AboutM4 3 месяца назад

      아닙니다.
      휠이 크면 타이어 편평비가 줄어드니까 승차감이 저하됩니다.
      휠이 작으면 반대로 타이어 편평비가 커지니 받는 충격 흡수가 더 좋은거죠

  • @김남윤-w9s
    @김남윤-w9s 2 года назад +4

    저 여성분 너무 이쁘게 생겼넹 ㅎㅎ

  • @m15763
    @m15763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실 순정으로 20인치가 없는 차량들은 연비나 출력감소 때문에 20인치는 못가는..

  • @석진형-s4c
    @석진형-s4c 3 года назад

    구독자 9명에 보다니

  • @beeniijoo7372
    @beeniijoo7372 3 года назад

    HUD때문에 프레스티지로 갔는데 20인치 휠은 승차감 때문에 너무 아쉬움. 바닥진동이 그대로 느껴지는

  • @팬더곰라이트
    @팬더곰라이트 3 года назад +5

    디자인빼고는 19인치힐이 낳아보이네요
    좋은정보 감사요

    • @흑마늘-p1p
      @흑마늘-p1p 3 года назад +1

      애 낳나요?

    • @soyjon
      @soyjon 2 года назад

      @@흑마늘-p1p 낳을수도잇죠

    • @흑마늘-p1p
      @흑마늘-p1p 2 года назад

      @@soyjon 그렇긴하죠

  • @seung2c
    @seung2c 3 года назад +1

    혜리님만 보이넹...

  • @somehowfamily
    @somehowfamily 2 года назад

    타이어의 차이도 있을겁니다.

  • @TV-kp2lk
    @TV-kp2lk 3 года назад +5

    와~ 우리 아들이 구독자 한 명 더 많다! 암 것도 없는데 ㅋ
    거두절미하고 19인치 20인치 비교 테스트를 하는 접근 자체가 잘못됐다고 봅니다. 승차감과 주행감각의 차이라고 하셨는데 이것은 사용자의 경험에서 나오는 주관적인 평가가 개입이 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기본적인 전자장비들 소음측정기, 진동측정기 등이라도 동원해서 숫자화 시키는 작업이 필요했다고 보여집니다. 이런 일반인 두 세분의 평가를 과연 독자가 신뢰를 할까요? 만약 카레이서나, 최종 주행테스터 분들과 같이 신뢰할 수 있는 다수의 사람으로 블라인드 테스트를 해서 그들의 의견을 별첨 정도 했다면 신뢰성을 얻을 수 있을까 이정도로는 아닌듯 합니다
    또한 객관적으로 알려져 있는 제동거리, 제로백 등도 재검증해볼 수 있는 요소였다고 보입니다. 이것은 쉽게 데이터화 시킬 수 있는 객관적 자료였기 때문에 더 아쉽게 느껴집니다. 또한 가장 중요한 연비 측정 부분이 빠졌다는 건 가장 아쉬운 부분입니다. 바로 이 1인치의 차이 때문에 보조금의 액수가 달라지기 때문인데 이것은 궁극적으로 얼마나 친환경인차인가 하는 바로미터로서의 역할도 있다는 것이겠죠.
    그리고 현재 전기차를 운행하고 있는 입장에서 실 가용 범위인 20~80%를 실 운행 구간이라고 보았을때 30킬로미터 40킬로 미터는 15%이상을 차지하는 비중으로 결코 무시할 것이 못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 @블루쿼카s
      @블루쿼카s  3 года назад

      자세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작성하셨듯이 전문가도 유튜버도 아닌 일반 학생들로 각종 계측장비를 통한 측정은 한계가 있습니다, 주관적인 의견으로 신뢰보다는 참고만 해주셨으면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