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 가습기 추천 실내 적정습도 유지와 세균 걱정없는 천연 가습기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1 янв 2025
  • ХоббиХобби

Комментарии • 50

  • @Jadeyday
    @Jadeyday 3 года назад +22

    물을 펄펄 끓인후에 주전자 입구를 열어서 아이방 책상에 멀찌감치 놓고 동시에 젖은 수건을 의자에 척척 걸쳐주면 그것도 효과 좋더라구요.한 십년동안 가습기없이 이렇게만 해줬어요. ^^

    • @funny-science
      @funny-science  3 года назад +2

      수고스럽긴 하지만 건강하고 좋은 방법입니다

  • @장인수-q2h
    @장인수-q2h 3 года назад +4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funny-science
      @funny-science  3 года назад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배꼽해적단
    @배꼽해적단 2 месяца назад +44

    영상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ㅋㅋ 옛날방식이네요 추억이...! 전 아이틴즈가습기 사용중인데 가습효과도 좋고 무드등도 돼서 좋더라구요

  • @안부슨.rowidmwp
    @안부슨.rowidmwp 2 дня назад

    근데 집안에 저렇게 안끓이고 그냥 대야나 이런곳에 물만 받아도 괜찮으려나요 분무기나..

  • @jjfbt
    @jjfbt 18 дней назад

    인덕션은 어디제품인가요? 우리집꺼는 소리가 너무 나서요

  • @jamso-u1h
    @jamso-u1h Месяц назад +23

    아이가 처음에는 목이 건조하더니 밤새 자다깨며 기침까지 했어요
    그러다가 인후통 편도염까지 왔구요
    가습기는 별도 기능있는거 쓰셔야돼요 과습방지랑 화상방지온도 있는거요
    원래 건조보다 무서운게 과습(인후통 기침 더 심해져요)
    무조건 습도조절 있는거 쓰시구요 그래야 기침안해요.. 습도센서도 외부에 있어야해요
    화상방지 온도기능 같이 있는거 고르셔야하구요
    '가전전문가 조훈' 님 블로그 보시면 피해야할 가습기 알려줘요 꼭 봐보세요

    • @wjekd1234
      @wjekd1234 Месяц назад

      검색해보니많은데 가전전문가 조훈 치면 나오나요??? 무슨제품 쓰고계시는데요?

    • @jamso-u1h
      @jamso-u1h Месяц назад

      @@wjekd1234 꼭 읽어보시구요. 전 매너스 가습기 쓰고있습니다 복합식 가습기 중에 가장 최신에 나온거라 만족하면서 쓰고있어요 복합식인데 통세척 편하고 30평대 인데 거실에 놓으면 각 방으로가요

  • @sds0837
    @sds0837 3 года назад +4

    급하게 습도 올리고
    일반 가습기로 살짝 유지해주면 되겠네요

    • @funny-science
      @funny-science  3 года назад

      맞습니다.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 @조-e4i
    @조-e4i 2 года назад +3

    가열식 구조 아무것도 아닌데 넘 비싸서 저도 인덕션으로 스텐 주전자 생각했는데 전기세 무서워서

    • @funny-science
      @funny-science  2 года назад +1

      맞습니다 초음파가 세균증식 하는것처럼 폄훼하며 판매하지만 가열식이 더 웃픈 현실이죠.
      히터 하나 넣어 놓고 10배 가격은...

  • @에이미오
    @에이미오 3 года назад +3

    항상 도움은 받습니다아아

  • @modent_avec6236
    @modent_avec6236 Год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조-e4i
    @조-e4i 2 года назад +2

    가열식가습기 넘 비싸게 폭리 취하는듯 해서 망설이고 있어요 저도 저생각해서 인덕션 알아보다 여기 왔네요.습도 조절이나 여러기능 필요 없고 끊으면 찜기능의 80도인 2~4단계로 낮 추면 가열식 가습기의 L단계의 200~300w와 비슷하던데 혹 끊인후 수증기 나오는 최저 단계 실험도 해보셨나요

  • @노바디-v6r
    @노바디-v6r 3 года назад +3

    밤 시간대 사용은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 @funny-science
      @funny-science  3 года назад +1

      밤에는 인덕션 타이머로 종료시간 설정하면 됩니다

  • @gyrredghhjjj
    @gyrredghhjjj 3 года назад +1

    아이 키우는집에 가습기가 중요한데 좋은 아이디어이긴 하지만 너무 위험해보이네요

    • @funny-science
      @funny-science  3 года назад +1

      저 같이 습도가 낮으면 코피가 나는 사람에게 긴급하게 습도를 높이는데 유용합니다.

  • @civilngeenier
    @civilngeenier 3 года назад +2

    전기세때믄에 가스렌지로하고 싶은데 타이머가 없어서 위험하겟네요 ㅜ

    • @funny-science
      @funny-science  3 года назад +5

      가스렌지로 하시면 가습보다 가스 연소로 인한 실내공기가 더 오염될겁니다

  • @1days0314
    @1days0314 2 года назад +1

    원룸에 인덕션놓고
    저렇게 하면 퍼지는데 효과가 있을까요?
    피부+ 목건강 때문에 찾고 있었는데 좋은 아이디어 같아요!
    주전자 실험은 가습기 안튼 건조한 조건으로 한거에요??

    • @funny-science
      @funny-science  2 года назад +2

      주전자에서 나오는 수증기가 초음파 가습기보다 수증기의 질이 좋습니다.
      금새 가습되어서 급할 때 좋습니다 주전자 실험은 가습기 안틀고 했습니다

  • @바우-l1e
    @바우-l1e 2 года назад +1

    ㅋㅋㅋㅋㅋㅋ 이게최고지

    • @funny-science
      @funny-science  2 года назад

      급하게 가습할때 최고입니다

  • @물망초꿈꾸는
    @물망초꿈꾸는 3 года назад +2

    옛날방식이네요 ㅋㅋ
    비주얼은 좀 그래도 건강에는 안전인증?
    ''어린아이나 노약자 계신 곳은 주의 요함🤣
    자는 동안에는 사용에 제한이 있어요😂
    낮에 사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ㅋㅋㅋ
    이런 주의사항 문구가 표기되어 있지않을까 싶어요~~

    • @funny-science
      @funny-science  3 года назад

      맞습니다. 뜨거운 물을 끓이는 것이니 어린이가 만지지 못하는 위치에 두는 것이 좋습니다

  • @kjune-n5f
    @kjune-n5f 2 месяца назад

    게속 끓이고 있는 것 말고 방법이 없나. 대형 가습기 세갠데 지금 삼십몇프로 40프로만 넘어가도 소원이 없겠다...돌아버림.

  • @BUNNYXIYO
    @BUNNYXIYO 3 года назад +3

    헉… 선생님 이건 무서운 유머인가요….
    실수하면 큰일이 …

    • @funny-science
      @funny-science  3 года назад +4

      겨울철 건조해서 코가 막히고 기침이 날때 급히 습도를 올리기 위한 방법입니다.
      우리 집엔 애들도 동물도 없어서
      저만 조심하면 됩니다

  • @evvue
    @evvue 3 года назад +2

    가열식 가습기는 따로 추천이 없을까요?

    • @funny-science
      @funny-science  3 года назад

      가열식 가습기까지.안써도 됩니다.
      전기료 많이.나오고 쌉니다 초음파로 한다고 해도 청소만 잘하면 아무문제 없습니다

  • @최정순-c6g
    @최정순-c6g 3 года назад +1

    주전자로 끓일때 전기세와
    가습기 사용할때 전기세와 는 별 차이가 없을까요?

    • @funny-science
      @funny-science  3 года назад +1

      가열해서 수증기를 만드므로 전기세 차이가 아주 많습니다.

    • @김간디-e2s
      @김간디-e2s 2 месяца назад

      @@funny-science 가열한게 더 전기세 많이 나오나요?

  • @새우깡soniga
    @새우깡soniga 2 года назад +1

    이 방법이 가열식 가습기보다 전기세 더 많이 나오는건가요?

    • @funny-science
      @funny-science  2 года назад

      일정한 양의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로 만드는데 들어가는 에너지의 양은 같습니다

  • @richnan57
    @richnan57 3 года назад +2

    가정에서 물 끓이면 수증기 입자가 커서 벽지 유리창 온갖곳에 물맺힘 생기던데요

    • @funny-science
      @funny-science  3 года назад +3

      주전자가 벽이랑 너무 가까워서 그러거나 습도가 포화되었거나 입니다

  • @et0et
    @et0et 3 года назад +2

    뜨거운 물 위험하게시리,,,
    그냥 가습기 틀어요,,,
    적절한 방법 써서 습기를 윗쪽 45도 방향으로 쏴주는게 좋아요,
    바로 위로 쏴주면 밑으로 다시 떨어지면서 쉽게 물로 응고되어 가습 효과 떨어져요

    • @funny-science
      @funny-science  3 года назад +2

      초음파는 바닥에.물이 고이는데 주전자는 바닥에 물이 고이지 않습니다 ^^

    • @oops1905
      @oops1905 3 года назад +2

      토네이도 같은 공기순환 선풍기를 가습기 출구쪽에 틀어 놓으면 공중으로 분산되고 좋은거 같습니다~^^

    • @funny-science
      @funny-science  3 года назад

      @@oops1905 응용해서 가동하면 습도를 급속히 올릴 수 있습니다

    • @Goodchinesedied
      @Goodchinesedied 3 года назад

      좆도 모르면서 아는척 하지마세요 재미난과학님이 님보다 똑똑하면 똑똑하지 멍청하지 않습니다. 가짢아서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