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2년 서울대 많이 보낸 고등학교 순위에 대해 알아보자!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1 ян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455

  • @김길동-j9z
    @김길동-j9z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서울에 있는 대부분의 명문고가
    종로에 몰려있네요 !
    경기 서을 경복 중앙 보성 휘문 중동..등

    • @TheGene1225
      @TheGene1225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중동이 명문?

    • @김길동-j9z
      @김길동-j9z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서울의 10대 명문고는
      경기 서울 경복 용산 중앙
      경동 보성 양정 휘문 중동
      신흥명문고는
      신일 대광 우신 서울사대부고
      그밖에 전통의 배제 경신 대신고
      여기에 이의가 있는분은 답글을
      달아주세요 !

    • @bsl9415
      @bsl9415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김길동-j9z우신은 아님.74년 설립시,평준화가 아니고,3회 입학생부터 지원으로 선발함. 지금의.자사고 형식임.한 2~3년 후 부터는 일반고와 동일.. 특수지 학교였음.

    • @이대진-y5c
      @이대진-y5c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김길동-j9z 중동 아니고 배재고 임.

    • @ksjl-uo7ld
      @ksjl-uo7ld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서울대 10명 들어갸 배재 양정이 45명 들어간 중동을
      우섭게보네
      배재는 종로바닥에서 중동에게 많이 맞고 다녔지

  • @TheKiller-kc1je
    @TheKiller-kc1j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

    비평준화 시절에는 3대 공립 서울대 몇 명 의미가 없어요 이 시절에는 서울 3대 공립고교가 전국에서 올라오는 준비 된 학생들 선발권 갖고 선발해서 그 학생들이 알아서 대학 가던 시기였고 이때는 전국에 고등학교가 몇개 없었죠 그나마 서울권에는 공립고교 하고 사립고교들이 몰려 있었죠 당연히 학생들 선발하기 좋았던 시절이었죠 더구나 60-70년대는 가난한 시절이었고 대학 진학률이 5%도 안되던 시절이라서 고등학교 안나온 사람이 더 많았죠 중학교라도 나오면 다행이던 시절이었고 국립 서울대 뺴고는 나머지 대학은 등록금만 있으면 가던 시절이고 소 팔고 등록금 마련 할 수 있는 집안이면 대단했던 70년대 그때 그시절이었지요

  • @주영백-g5u
    @주영백-g5u 11 дней назад +1

    서울대학교에 보냈습니다가 계속해서 중복되니 생략하고. 발표하면 시청자분들이 이해가 쉬을듯 합니다

  • @theold231
    @theold23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9

    경기 서울 경복 이 순위가 아주 강렬하죠..

    • @멸공-c5b
      @멸공-c5b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경복은 아래아닌가요?

    • @brianahn8608
      @brianahn8608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일제시대 경성 제일고보 경성 제2고보 경성제3고보가 경기 서울 경복이 된거죠.....

    • @bsl9415
      @bsl9415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8

      @@brianahn86083고보는 없음. 서울고가,원래 일본인 자제들 전용 학교였음. 서울고 역사에 보면,일제때의 기록이 없음. 제 2고보가 경복임.

    • @jollybeeee
      @jollybeee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부산고, 경남고는 일본인 학교라 빠짐

    • @bsl9415
      @bsl9415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jollybeeee경복은 경성 제2고보임. 무슨 평양고보를 이어 받음?

  • @진교윤-x6u
    @진교윤-x6u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우리 중3참고서 표지에 위 명문고 표식들 딱 나왔죠!

  • @깨갱-h5f
    @깨갱-h5f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본고사시대..진짜수재들……

    • @iup6578
      @iup6578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진검승부시대였죠💯🗡,수많은인재들,잠을아끼며,죽어라공부하던시절,3당4락👍당시,선후배동년배님들께,감사와경의를보냅니다🙇‍♀️

    • @mryunglee1769
      @mryunglee1769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베네치아-c9q 80~90년대말까지가 레알 피크.. 00년대 이후로는 의대붐으로 상대적으로 가기 쉬워졌고 진짜는 90년대라고 봄 요즘은 의대에 치이고 각종 수시로 많이 들어가고

    • @bsl9415
      @bsl9415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베네치아-c9q . 그래서,대단한 것임. 24만 중 3만,그 중에서도 top 입학이… 지금처럼,수 많은 이름만 대학이 아니기에…

    • @yijoon99
      @yijoon99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베네치아-c9q1972학번때 예비고사 응시자가 고작 12만명에 64000명 합격. 4년제대학 입학정원의 1.5배만 합격시켰죠. 전문대학은 예비고사 불합격자도 입학했던 시기였습니다.

  • @테리-f4z
    @테리-f4z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수재들이 여러학교에서 나왔던 시대.. 반 꼴등만 서울대붙었는지 알아봤다는 전설의 선배들 기수가 있었음. 경기, 서울 중에서

    • @yjbk21
      @yjbk2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겸기로 480명 정원중 360명대 설대합격의 경이로움
      당소는 지금보다 설대정원도 3000 명 정도만 뽑아서
      지금의 절반수준인데도...
      광주일고도 480명 중 120정도 합격
      이니 반에서 20위 안에 만 들어도...

  • @사람마나
    @사람마나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인설 고는 성적되면 당연 설대지만 지방고는 사정이 다른점 감안필요

  • @정동옥-w3b
    @정동옥-w3b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0

    옛날 이화여고 교복입은 여학생 보면 어찌그리 예쁘고 세련됐던지 ? 머리는 두갈래로 따고

    • @angel-tt8hc
      @angel-tt8hc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ㅎㅎ 감사해요

    • @김돌샘
      @김돌샘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화여고 교복이 예뻐서 이화여고 학생들은 특히 지성과 미모가 어우러졌다는 느낌을 줬다.그당시에 이화여고 축제를 하면 장안의 남고생들이 떠들썩했었는데...

    • @Kim-ig3qq
      @Kim-ig3qq Месяц назад

      70년대엔 대구원화여고 젤루 이뻐슴...정윤희 임예진급 수두록..

  • @kevinlee1861
    @kevinlee186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2

    지금 시대에는 서울대도 별 볼일 없다. 기본 양심도 없는 인간들이 서울대 가면 무슨 소용이 있나? 법대?, 의대? 기득권이라도 되려고?

  • @8090-h4h
    @8090-h4h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우리 선배님들 선전하셨네요! 96명
    아! 용산~

  • @yealk9725
    @yealk9725 6 месяцев назад +8

    고교평준화 등 입시과열 없앤다고 우수한 학생 뿐 아니라 전체적인 입시 지옥으로 몰아 넣은 평준화

    • @user-js9uj3gw2t
      @user-js9uj3gw2t Месяц назад

      경쟁은 평준화 이전이 더 심했소이다.

  • @godot-lee
    @godot-le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8

    경남에선 진주고와 마산고 간의 경쟁이 심했죠.
    오로지 숫지에 급급해서 인기없는 농대, 예체능과 등으로 많이 보내기도 했죠.(진주고 출신 1978 서울대 아님)
    후에 다시 과를 선택해서 재수 삼수하기도.
    정보 취약 그리고 학교 위신 세우기

  • @golrim8659
    @golrim8659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학벌 사회와 향수를 부추기는 이런 유튜부말고, 어떤 고등학교가 나라를 위해 희생한 사람을 많이 배출했는지에 대한 유튜브가 좋습니다.
    영국 명문 이튼 고등학교는 얼마나 많은 졸업생들 2차대전에 참전해서 죽었는지를 알리고 있습니다.
    진정한 명문은 서울대를 많이 간 고등학교가 아니라, 사회와 나라를 위해 산 사람을 많이 배출한 학교입니다.
    참고로 저는 경기고를 졸업하고 몇 년전에 은퇴한 교수지만, 사회와 국가에 진 빚을 못갚고 이기적으로 살아온 것을 참회하고 있습니다.

  • @veritasetscientia6567
    @veritasetscientia6567 8 месяцев назад +8

    경남고 가 지방 학교 중 1위 였네.

  • @이몽이아빠-l9y
    @이몽이아빠-l9y 4 месяца назад +9

    경기고 한반에 국무총리 장관 국회의원 대법관 서울대 총장이 반동창이던 학교~조용히 구석탱이 있던 애가 교수정도?

  • @sangkwonhyun9254
    @sangkwonhyun925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이리남성은 여고가 아니라 그냥 남자학교인것 같습니다. 전북의 명문고였죠.

    • @andresejungoh4935
      @andresejungoh4935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검색해보니 전라도 익산에 이리남성여고가 있네요. 그 이리남성고가 명문이라니.. 깡시골에.. ㅜㅠ 좀 알아보세요.

    • @김길동-j9z
      @김길동-j9z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andresejungoh4935
      수학정석1의 저자로 유명한 홍성대씨가
      익산의 남성고 출신이죠
      남성고는 전주고와 함께 전북의 2대 명문고였습니다

    • @민주팔이인권팔이
      @민주팔이인권팔이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andresejungoh4935 못 된 놈아..그 지역에서는 명문이라는 거다.

  • @바나나우유-v3c
    @바나나우유-v3c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서울대 많이 보낸 학교 자주 발표하세요❤

  • @TheGene1225
    @TheGene1225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1961년도에는 경기고에서 서울대에 388명 합격함. 그것도 대부분 공대, 문리대, 의예과, 법대, 상대 등이었음.

    • @bsl9415
      @bsl9415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언급한 곳이,서울대 전체임 농대 1곳 빼고,무슨 뜻으로 기재?음대,미대는 100명 이하이고…

    • @iup6578
      @iup6578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경기고는그당시부터,,부동의1위를달렸습니다,선배들증언,,고2-3때부터,그바쁜와중에,중학후배들,영수×과외수업,알바도했죠🙁

  • @행운유수-g8q
    @행운유수-g8q 2 месяца назад +3

    저때 서울대입학생총수가 약1800명정도되었다.지금은 몇명되는지 ?

  • @정범수-u6u
    @정범수-u6u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학생다닐때 공부로 경쟁할때가 재밋엇는데..입문계 나와서 조또 나름 공부한거 써먹지도 못하고.. 할려면 제대로하고 안할려면 진작에 때려치는게 좋다고생각 인생경험..참고로 반에서 30등수준 지방 3류 입문계 ㅋㅋ

  • @rainaroi9201
    @rainaroi920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사회나오면 그사람이 뭘 하느냐가 더 중요함. 5대사립 뭐 이딴거 다 부질없는 짓임.
    경기/경복/서울 세 학교를 삼경이라 부르는데, 여기 나온다고 출세가 보장되던 것도 아니고 뭐든 자기 노력과 무엇보다 대학 출신이 더 중요하다고 봄.

    • @민승하-x4r
      @민승하-x4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그래도 좋은 거는 좋은 거지요
      이솝 우화에 여우와 못따먹는
      포도 얘기가 나오지요 아마?

    • @rainaroi9201
      @rainaroi920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민승하-x4r 저 세 학교중 한 곳 출신예요. 근데....그렇게 좋다는 느낌은 안드네요. 자부심 이런것도 있겠지만 결국엔 우월감인거죠.

  • @song1184
    @song1184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이걸 간단히 표로 만들어 설명하면
    3분이면되는걸..

    • @My-Dear
      @My-Dea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ㅋㅋㅋㅋ 진짜 이 사람 올리는 영상 보면 답답~함... 바 땡겨서 10초만에 내용 다읽는데 이걸 무려 10분짜리로 만들고있음

    • @우경식-r4u
      @우경식-r4u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경기고는 반에서 30등만 해도 서울대 갔구나. 그때 10반까지 있었는데.

    • @jayryu1192
      @jayryu1192 6 месяцев назад

      표로 만드는건 돈이 안되니

  • @이동환-i9y
    @이동환-i9y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당시 부산고,경남고 서로 서울대 진학 경쟁이 붙어 비교적 경쟁율이 낮은 농대에 많이 진학 시켰죠.

    • @jeongjin1211
      @jeongjin121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부산고가 그랬죠. 그래서 별호가 초량농고. 반면 경남고는 경기, 서울, 경복 처럼 공대,상대 법대, 의대,등 직업이 보징되는 학과로... 그당ㅅ; 못살때 였어요.

    • @yijoon99
      @yijoon9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허문도가 서울농대 졸업이지요.

    • @hrlee0616
      @hrlee061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일리가 있는게 전체 600명 중 대략 경남고: 부산출신 400. 경남츌신 200 . 반면 부산고: 부산 출신 200. 경남 출신 400.

  • @jinhokwon6978
    @jinhokwon6978 2 месяца назад +12

    경기고 들어가는게 서울대입학보다 힘들었다고~

  • @김길동-j9z
    @김길동-j9z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7

    목포고등학교,서울대출신의 유명인사론 천정배외에 간의학의 최고권위자인
    김정룡박사가 있었죠

  • @yuntorisisatsu
    @yuntorisisatsu 6 месяцев назад +6

    60명씩 12개반
    대충 700명중에 333명 많이 보내는 해에는 450명이 합격 할때도 있었다
    이정도 보내려면 전원이 서울대 응시해야 한다 응시한다고 다붙는게 아니고 떨어지는 사람도 있으니까 세사람 응시하면 한사람붙는 정도니까
    333명붙으려면 900명이 응시해서 333명 붙는 것이다
    재수 삼수생포함해서 900명응시해서 300명에서 400명이붙었다
    전교생중에 600명정도가 서울대 응시하고 뒤에 백명이 고대 연대 응시했다
    전기 입시후에 떨어진 사람이 성대 외대 한대 응시했다
    이 후기 합격생들 다수가 서울대ㅠ응시한 학생들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고대 연대생들을 무지하게 무시했다 고등학교다닐때 뒤에서 놀던애들이라고 ..

    • @user-js9uj3gw2t
      @user-js9uj3gw2t Месяц назад +1

      정확히 아시네.

    • @임순식-w5l
      @임순식-w5l Месяц назад +1

      반 하위가 연대의대상대 에 80프로 합격했고

  • @icfeqeaqiovr-3k5vbc
    @icfeqeaqiovr-3k5vbc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서울권 기준으로 명문고는 3대공립 경기 서울 경복 +용산 경동 이라고 하나 의미는 없고 비평준화때는 전국 고교 수도 적었고 전국에서 우수한 학생들 선발 하서 서울대 보낸 시기였고 당시 경기 서울 경복 들어가려고 고입 재수로 시작해서 4수 5수 하던 시기도 있었지요 그래서 당시 고등학교 들어가면 나이 먹은 재수생들이 많이 보였죠 사립은 5대 사립이라고 해서 보성 중앙 휘문 양정 배제 이렇게 부르는데 당시 비평준화 때는 3대공립 아니면 의미 없고 그나마 현재 자사고로 휘문 정도만 강남 8학군으로 살고 자사고인 양정 중앙은 망했죠 그외 중동 숭실 동성 정도
    오히려 1974년 평준화 이후로 떠오른 신흥명문고들이 진짜 명문이죠 학생선발도 못하고 추첨으로 입학하던 시기로 성적내던 시기로 지방의 비평준화 고교들이 강세를 보이던 시기죠 서울권에 평준화 이후 대표적인 학교들이 서라벌 신일 여의도고 숭문 정도
    지방은 대전 전주 광주일고 경북 부산 광주고 경남고 진주고 청주고 등이 있죠

  • @user-ky3ep4fh9s
    @user-ky3ep4fh9s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친구가 아빠 서울고 출신이라고 자랑많이 하던데 이제 이해가가네

  • @우향우-n5q
    @우향우-n5q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경기 서울 경복에서 서성한 밑으로 진학하면 멍청이 소리 듣던 시절 경북 부산 경남 진주 광주일고 제물포 전주 대전 이상의 고등학교 위상 대단했었지 서울 5대사립인 중앙 휘문 배재 보성 양정등도 명문 여학교로는 경기 이화 숙명 진명 정신 배화 풍문 등도 최고명문여고!
    실업계로는 서울공고 선린 경기상고 서울여상 엄청났다

    • @이대진-y5c
      @이대진-y5c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경기 서울 경복은 부동의 명문. 서.연.고와 마찬가지. 용산도 명문공립. 사립은 중앙 보성 배재 휘문 양정. 여고로는 경기 이화 숙명 진명 창덕 정신. 실업계는 덕수 선린 서울여상 서울공고. 여기서 잘못알고 있는것: 전주.진주는 많이 뒤에 있었고, 여고로는 배화는 중위권 풍문은 중하위권. 특히, 경기상고는 최하위권(3류) 학교로 종로구 청운동에 있었다.

    • @jayryu1192
      @jayryu1192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대진-y5c서울사대부고도 공부잘했죠, 중동은 싸움도 잘하고 공부도 제법했고
      경복고 옆에 경기상고가 별로였나보죠?
      대동상고는 어땠나요?
      5대 사립엔 안 들어갔지만 대광하고 동성도 괜찮았죠?

  • @마린보이-o8v
    @마린보이-o8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1972년 지방 여자고등학교에서 예체능학과 아니면 서울대 합격수도 많이 줄어들듯요

  • @tsche01
    @tsche01 Месяц назад +1

    옥스나 하버드출신도 서울대 시험 보면 몇 명이나 합격할까?

    • @아재-r9d
      @아재-r9d 25 дней назад

      한 명도 없음 한글을 몰라서 수학 조차 다 못풀걸?

  • @meaculpa938
    @meaculpa938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양정과 배재가 라이벌인거 어떻게 아시지?❤❤

    • @ksjl-uo7ld
      @ksjl-uo7ld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라이벌끼리 죽쑤고 있구나

    • @함박-r7l
      @함박-r7l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배재는 전기, 양정은 후기, 공부도 라이벌이지만 럭비가 더 라이벌.....ㅋ

    • @임홍명-i8q
      @임홍명-i8q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배양전

  • @흠-n7t
    @흠-n7t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경동고 화이팅…!

  • @sm-jh6tb
    @sm-jh6tb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남성고입니다
    제가 이리 출신입니다

    • @yjbk21
      @yjbk2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이리 남성고 호남 명문고였죠

    • @병춘오
      @병춘오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33회 24명

  • @김한성-v1b
    @김한성-v1b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전과자가 가장 많은 대학이 어디인줄 아나? 서울대야..경제사범 포함해 봐라

  • @TV-pd7ih
    @TV-pd7ih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인구수로 봐야 할 듯....
    지역 학생수 대비 서울대 들어간 숫자가 더중요!
    결국 서울 애들이 공부를 잘했다라고 볼 수 있음!
    그 다음이 직할시 4개가 인구수 대비 잘하고 ㅎ
    만약 지금 수능점수로 세우면 서울대는 얼마나 지방애들이 갈수 있을까? ㅎ

    • @mryunglee1769
      @mryunglee1769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원래 공부도 잘하는 애들끼리 모아놔야 가르치는 레벨이 올라가는데 지방은 평준화되고 많이 떨어지긴 했음 지방고등학교 살리려면 비평준화 해야 하는데 이건 교육부에서 하가 안해줄듯? 저 당시 광역시(서울포함) 평준화(뺑뺑이)되고 중소도시 비평준화 였는데 신흥 명문고들 많이 나왔음 수도권의 부천고 안양고 서현고 등등 지방 춘천고 강릉고 울산학성고 포항고 순천고 목포고 등등 특이하게 인천에 서인천고가 아마 시험봐서 잠깐 들어간적이 있었던거 같은데 이때 서울대 엄청 많이 보냈음

  • @asdfqw101
    @asdfqw101 Месяц назад +9

    333명을 서울대보낸 경기고는 반에서 절반정도해도 웬만하면 서울대??????

    • @midwestl7417
      @midwestl7417 Месяц назад +1

      그랬지. 공부 안 한 애들은 연대나 한양공대, 고대는 잘 안 갔고.

    • @임순식-w5l
      @임순식-w5l Месяц назад +3

      서울대 커트라인 낮은과로 시험 보았으면 90프로이상 합격.

  • @이제-j6p
    @이제-j6p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이왕 데이타 낼려면 1명부터 해야죠..8명부터..한명이라도 가면 명문으로 봐야..특히 실업계에서..

  • @joungkisik906
    @joungkisik906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옛날에 얼마나 극성이었는지 철부지부터 세뇌되어 철부지임에도 경기,서울,경복을 알았다!!

  • @임순식-w5l
    @임순식-w5l Месяц назад +2

    서울사대. 농대 나오고 백프로가 전공과 관계없이 살고있음. 참고로 나는경기고출신. 경기고 출신은 소신 지원하는 경향이 높아 서울대합격율이 50프로 정도였지. 80프로 이상이었을 수도 있었는데.

  • @sangtaekchoi4387
    @sangtaekchoi438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인생살이...훅가는데...
    공부가전부는아니지~~~

  • @byungsong2819
    @byungsong2819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72년에 내 학교 경동은 명문이었네 근데 지금은 ㅎㅎㅎㅎ 말을 할수가없다 ㅜㅜ

    • @sw1860
      @sw186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경동고 55회 졸업생입니다.
      참... 안타깝습니다. 한 때는
      5대 공립이었는데..
      동대문 야구장에
      고교야구 응원도 많이 갔었죠.
      (96년도에 청룡기 준우승때
      1학년^^ 당시 휘문한테 짐)

    • @뒤주골
      @뒤주골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경동고 39회 졸업생인데 당시 서울대 30여명밖에 못 보냈다고 졸업식 때 교장선생님 얼굴이 엄청 구겨졌네요..

    • @kthwang5494
      @kthwang549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경동고 1960년 무렵 포수겸 4번 백인천,투수 이재환(1970년대 후반 연세대 감독,80년대 청룡,빙그레 수석 코치)시절 야구 최강.
      외대 총장 배출, 가수 조용필 경동고.

  • @Kimkim-rx7bx
    @Kimkim-rx7bx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서울 대학교를 많이 보낸 순위라는게 얼마나 웃기는 말인가? 어느 대학교가 아니라 어느대학 또는 무슨과 로 따져야지, 너무 한심한 방법이다. 그래서 당시 고교들이 명문대학교 합격자 수를 늘리기 위해 적성에 맞지도 않는 대학이나 과의 선택을 강요 하곤 했다.

  • @user-goodmann
    @user-goodman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7

    경남고-부산고-광주제일고-경북고-대전고-전주고 지방 합쳐 700명인데 수도권 1,2,3위 합계가 790명 확실히 70년대 이전에도 수도권이 명문은 명문이었네요

    • @회색불곰
      @회색불곰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평준화 는 58년 개띠 77학번 부터 입니다.

    • @박하사탕-j6e
      @박하사탕-j6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서울 제외한 지방은 59년부터였습니다.
      58년이 시험 마지막세대였습니다.

    • @ronin3372
      @ronin3372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부산은 서울과 같은 해에 평준화.

    • @yuntorisisatsu
      @yuntorisisatsu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지방에서 돈있는 사람은 서울에있는 고등학교에 시험보게해서 서울로 보냅니다
      명문고에 가면 진짜 부산광주 대전 대구 전국각지에서 온아이들이 한반에 한명정도는 꼭있었습니다
      대전고 광주고 청주고등 도청소재지 명문고의 경우 그 도내 시군에서 지원해서 다닙니다
      대전고 학생중에 대전에 집이 없는 학생들도 많았습니다 부여 공주 청양 서산 등지에서 중학교 1등하는 애들은 전부 대전으로 지원했어요

    • @tv-et2xv
      @tv-et2x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당시엔 지방의 수재들이 중학교 졸업 후 서울의 명문고에 진학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경기 서울 경복 등 서울의 명문고는 명실공히 전국의 수재들이 모인 곳이었습니다. 지방 명문고와 현격한 차이가 있었습니다.

  • @gwm-sy1gg
    @gwm-sy1gg 5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저때는 강남이 사람 살던 동네가 아니라서...

  • @DrLee-rp8qe
    @DrLee-rp8q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6

    서울대 나와 부패비리카르텔 선봉에 서는 게 자랑이냐?

    • @seosSEO
      @seosSE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욕은 누구나 다 그렇게 하지. 현실은 루저들의 개짖는 소리.

  • @박정치-q8y
    @박정치-q8y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부산고는 현재 학생수가 적어 폐교위기에 몰릴정도임. 부산을 대표하는 학교가 학교이름도 무색할 정도가 되니 야구라도 잘해서 명문의 전통을 이어나가기로 추신수가 앞장서고 안철수가 밀고 어찌어찌 되겠지요~~😢

    • @richmond0912
      @richmond0912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부산고 어떻게 그렇게까지 ㅠㅠ

    • @마린보이-o8v
      @마린보이-o8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부산은 구도심 인구 감소로 공립학교는 이전 예정인 학교도 있고 이전 얘기나오는 학교도 많아요.동구에 있는 데레사 여중 폐교에 금성중 폐교에.부산고 경남고도 명맥 유지 할려면 이전이 답

    • @yijoon99
      @yijoon9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서울 명문고는 신도심지로 대부분 이전했는데 ᆢ

    • @백성화-e6z
      @백성화-e6z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당시는 재수생이 많아 보통 1~2살 많은 건 예사고 나름대로 자부심도 있었음.

  • @autotube100
    @autotube100 6 месяцев назад +4

    1971년 서울대 입학 시험을 본 경기고 67회까지는 60명씩 8개반이었습니다.1970년에는 300명을 넘은 적이 있었지요...

    • @제갈공명-d1j
      @제갈공명-d1j Месяц назад +1

      경기고 나와서 서울대 못가면 쪽 팔리는거죠 당시에

  • @제갈공명-d1j
    @제갈공명-d1j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이게 다 무슨 소용있노
    79학번 서울모의대졸 피부과전문의

    • @choonjachoi2929
      @choonjachoi292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oo의 비서
      실장 ? 🤪😉 .....
      이oo의 어떤면에
      끌려서 ? 🤔 .....

    • @麤驫鑫
      @麤驫鑫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피부과가
      최고지요...

  • @항진리
    @항진리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61

    서울대많이 보낸 학교 찾지마시고 얼마나 정직하고 훌륭한 사회인을 배출했나를 통계내서 순위를 발표하세요.

    • @자유롭게-q1p
      @자유롭게-q1p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이런 애들 공부못한 애들

    • @미추리-d5v
      @미추리-d5v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이건 뭔 소리… 정직하고 훌륭하다는 추상적인걸 어떻게 통계를 냄

    • @귀여운냥이호동이지키
      @귀여운냥이호동이지키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정직하고 훌륭한걸 어떻게 통계내나ᆢ 기준이 뭔데?

    • @어르신-l4h
      @어르신-l4h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부추키는내용이아닌인성함양교육이제대로실천하는학교를선정하라ㆍ인간돔돔이가먼저다

    • @79and84
      @79and84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교권침해가 서울과학고에서 일어나겠니?
      정보산업고에서 일어나겠니?

  • @0530kbae
    @0530kba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당시는 공립고등학교에 공부 잘하는 얘들이 많았고 사립인 나는 꼰대들은 거진학 교 선배들이라 따라야지. 전통도 무시못하고

  • @상식이통하는세상을
    @상식이통하는세상을 Месяц назад +1

    양정고는 목동에 있지 않나요?

    • @성이름-p9t6t
      @성이름-p9t6t Месяц назад +3

      1988년에 목동으로 이전했습니다. 원래 종로에서 개교해서 중구 거쳐서 목동으로 갔습니다. 72년도에 중구에 있었던게 맞습니다.

    • @임순식-w5l
      @임순식-w5l Месяц назад

      서울역 근처.

  • @삼전우-h5e
    @삼전우-h5e 6 месяцев назад +4

    현재와 비교해보면 역시 돈이 최고여!

    • @bsl9415
      @bsl9415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무슨 돈? 지금은 돈이 중요하지만 당시는 거의 도서관 학파임,고교도서관.,학원 없고,있었지만 극소수가 다님.과외도 별로 없었고… 본인도 77 도서관파임.

  • @yong-gilchoi8614
    @yong-gilchoi861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서울대는 이미 60년대 70년대 국내 상대가 없는 절대무비의 최고 명문대가 아니다. 이미 국내에서도 최고 엘리트들은 서울대에 가지 않고 직접 세계최고 명문대로 직접 가버린다. 서울대 입학 신입생의 능력이 과거와 같지 않다는 서울대 교수들의 사이에서 떠도는 푸념이 사실이다. 서울대에 연연하지말고 바로 미국으로 날아가서 일년 이년 잘 준비하면 하버드 예일 프린스턴 스텐포드 MIT에 합격할 수 있다. 서울대에 목을 매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다. 국내 최고 삼성과 같은 대기업들에서도 미국 영국 캐나다 독일 프랑스 등의 명문대 출신이 지원자들로 넘쳐난다. 거기에 서울대 출신들은 초라할 정도다. 세계대학평가에서 서울대는 70위권에 머문다. 그것도 최근 세계대학평가순위에 신경써서 올리기위해서 서울대가 죽기살기로 노력한 결과다. 과거에는 100위 안에 들어가지도 못했었다.

  • @Skyblue20246
    @Skyblue20246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40년생 어머니 왈
    다이아몬드 이름표 경기고 교복 입은 남학생은 추남도 미남으로 보였었다고.
    저는 경기고 출신 80년대 뺑뺑이 학번였는데 저희 까지도 대학 등에서 동문(회) 혜택을 좀 봤죠.

  • @제갈공명-d1j
    @제갈공명-d1j Месяц назад +7

    정관계 재계를 수십년간 육사출신과 경북고 서울대 출신이 잡았다
    즉 TK 가 잡았다는거지
    강남부자들 대분분이 경상도 사람이다 특히 대구 경북

  • @말이중요해요
    @말이중요해요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0

    대단하다. 몇 학교는 반에서 중간만 해도 서울대 합격하다니...... 경기고 모범생 황교안이 서울법대 떨어지고 할 수 없이 성대 들어가 몇달간 마음을 잡지 못하고 반수나 재수할까.......

    • @박순범-c2j
      @박순범-c2j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입시지옥!

    • @아재-r9d
      @아재-r9d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실화
      가수 이만수가
      경기고 출신으로
      뺑뺑이 말고
      시험보고 입학한 사람으로
      유일하게
      딱 한 명이
      이만수
      예비고사 떨어짐

    • @veritasetscientia6567
      @veritasetscientia6567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아재-r9d이수만 이겠죠. 이만수가 아니라

    • @kb-nd5mf
      @kb-nd5mf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후기대학 성균관 법대, 상대는 연대보다 높았음...서울과 연대 20점차..연대와 고대 4점차

    • @아재-r9d
      @아재-r9d 8 месяцев назад

      @@veritasetscientia6567 혹시 서울대 농대 간 이수만?
      그 이수만은 나도 알아요
      ㅋㅋㅋ
      이만수인가? 그런 가수 있어요
      히트곡이 이수만 보다 많았을껄?

  • @송백섭-f8l
    @송백섭-f8l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운동도 제일 못하고 심심한 서울대 운동까지 잘하는 대학으로 노력하라ᆢ심심타

  • @이용수-z4v
    @이용수-z4v 6 месяцев назад +7

    별 의미없는 듯...

  • @우경식-r4u
    @우경식-r4u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한해 신입생이 4,000명 정도면?

  • @chichi-os1fk
    @chichi-os1fk 6 месяцев назад +5

    33명이 아니고 330명?? 츠암나 심해도 너무 심하다
    자사고나 특목고 아무것도 아니네

  • @learjet3871
    @learjet3871 Месяц назад +3

    당시 우리 고등학교 동기들이 서울대에 120여명이 입학했었는데, 50년이 지난 지금, 사회에서 눈에 띄게 성공한 친구들중에 서울대 출신은 한명도 없어요, 학교 공부만 잘한거지,,,

  • @gfhdgex562ds
    @gfhdgex562ds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6

    1975년도에는 서울고가 450 명 정도가 서울대 합격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마린보이-o8v
    @마린보이-o8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부산여고 부산동구아니고 부산서구 입니다

    • @Lee-eu8rv
      @Lee-eu8r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하단에 있던데여 부산여고

    • @마린보이-o8v
      @마린보이-o8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Lee-eu8rv 75년에 지금 동대신동 지하철 앞쪽에서 하단으로 이전했죠.

    • @이수일-z1m
      @이수일-z1m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80년대까지 구 부여고라는 버스정차하는데가 서대신동에 있었음 @@Lee-eu8rv

    • @이수일-z1m
      @이수일-z1m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방긋-e2j 75년도에 사하구로 이전함..여기 영상에선 72년도 당시를 말하고 있음

  • @을밀대
    @을밀대 Месяц назад +3

    이라 남성여고가 아니라 이리남성고임

  • @김영곤-f2h
    @김영곤-f2h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8

    부산고 1973년에 186명

  • @23223647
    @23223647 5 дней назад +1

    대단히 잘못된 보도 입니다.
    이학교는 총 핵생수 몆명중 몇명이 합격했으니 합격율 몇%.. 무슨과에(농업계열이든 법학계열이든, 인기학과 비인기학과 도 따져야죠?), 여러 환경을 따지지 않고 보도하는건 대단히 잘못됐죠?
    현재 과학고 외고 에서 서울대 많이가는건 당연하죠? 전국 중학교 에서 우수한 학생들이 진학한 고등학교에서 서울대 많이간건 당연하죠
    도리어 못가면 그게 더 이상하죠???

  • @user-js9uj3gw2t
    @user-js9uj3gw2t Месяц назад +4

    우리나라는 대학 서열화로 인한 폐해가 너무 크다. 게다가 동문이라고 끼리끼리 봐주는 문화도 문제. 특히 서울대학교의 쏠림현상이 문제인데 전국에 퍼져있는 국립대를 모두 서울 1대학, 2대학 이런식으로 바꾸는 것이 문제해결 방법일 수 있다. 파리1~13대학까지 있는 프랑스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 @sabinapark3017
      @sabinapark3017 Месяц назад +2

      저도 지방국립대 출신이지만 코딱지만한 나라를 두고 툭하면 우리랑 환경도 다른 선진국 케이스를 따라하다 망한게 한두개가 아닙니다.

    • @돌굴러가유-z4j
      @돌굴러가유-z4j Месяц назад +1

      그렇게 바꿔도 서울1대학만 따로 모여. 모르네.

  • @참나무등
    @참나무등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인성과 감성 공감능력

    • @Sandjumping3
      @Sandjumping3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페이미 판검사 신숙희대법관 아웃 공감

  • @dexterkim2524
    @dexterkim2524 6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와....서울대를 한학교에 333명씩이나....헐~

  • @이수일-z1m
    @이수일-z1m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7

    부산여고는 동구에 있은적 없음 70년대는 부산 서구
    동구에 경남여고 부산고 서구에 경남고 부산여고

  • @Woosoo-j2b
    @Woosoo-j2b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수시 생기고 아무의미없음
    대학교육 자체가 필요한지도 의문인데

  • @skpark357
    @skpark35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6

    한강 이남 최다 합격자는 부산고 아니면 경남고였죠.

    • @모아모두-u3v
      @모아모두-u3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6

      당시 경기제1고보 평양제2고보 한강이남 대구 제3고보인 경북고입니다

    • @Abc3-u9z
      @Abc3-u9z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6

      대구 경북고가 아웃풋이 좋은건 사실이지만 비평준화시절 부산고와 경남고가 경북고보다 일반적으로 서울대에 더 많이 진학시켰습니다.
      부산고 경남고가 평균적으로 4,5위 엎치락뒤치락
      경기여고 경북고 광주일고가 6,7,8위 엎치락뒤치락

    • @민주팔이인권팔이
      @민주팔이인권팔이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Abc3-u9z 경북고는 대부분 법 상대로 진학했고 ,거기에 못가면 경북대로 주저 앉았습니다.. 당시 사시 합격율을 보면 나옵니다. 경북고가 경기고 다음으로 많아요..즉 법상대 외에 갈수 있는 사람도 안갔다는 말 입니다.

    • @yijoon99
      @yijoon9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당시 보수적인 대구 경북 분위기가 법상대 중시는 맞는 말

    • @강인수-l7p
      @강인수-l7p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경남고, 부산고에 비하여 경북고는 한참 뒤이네요. 광주일고와 경쟁하는 수준에 불과하네요.

  • @김성-s9j
    @김성-s9j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지금 만일 진짜 만일 평준화풀어버린다면? 저러케 특정고 쏠릴까? 걍 생각해봄 일례로 성남 낙생고 어떻게될까 지금도 적지 않는수 보내는데 ㅋ

  • @말이중요해요
    @말이중요해요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7

    10.26 사건 관련.....박흥주 대령 명문 서울고 , 허삼수. 허문도. 김진영 명문 부산고 , 많은 사람들에게 욕먹은 차지철도 명문 용산고 졸... 이순자 여사도 최고의 명문 경기여고..노태우. 정효용. 이맹희 회장 3인 명문 경북고....최규하 대통령도 경기고 졸.

    • @kthwang5494
      @kthwang549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박정희 대구사범, 전두환 대구공고.
      노태우도 대구공고에서 전학갔음.ㅋ

    • @kthwang5494
      @kthwang549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노태우 정호용 허주 김윤환 이맹희 유명한 경북고 32회. 유승민 부친 유수호.

  • @dazibaokim7786
    @dazibaokim7786 Месяц назад +5

    해방 후 지금까지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들의 시작은 경성제국대를 서울대로 이어온 것입니다.
    지금이라도 국립대를 통폐합하고 대학입시를 통한 수직적 서열화를 없애야 합니다.
    좀 극단적으로 보자면 지금까지 그렇게 서울대에 목매왔지만 그 대학에 남은것이라고는 내란대학의 오명만 남았네요.
    노벨상은 언감생심 꿈도 못꾸구요..ㅠ

  • @아칼라마하
    @아칼라마하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중간에 기침소리 무엇?

  • @마린보이-o8v
    @마린보이-o8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저때 전교생 몇명에 저렇게 입학 했는지도 궁금

    • @subbuilder3563
      @subbuilder356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대충잡아 500 에서 550명 정도였습니다.

    • @김용수-v1e
      @김용수-v1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보통 10개반에 반당60~70명 수준 아녔나요??

    • @마린보이-o8v
      @마린보이-o8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김용수-v1e 전교생중에는 명문고에는 운동부 특히 야구부도 있을건데 감안 하면되겠네요

    • @미숭산
      @미숭산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재수새포함

  • @stoneage68ful
    @stoneage68ful Месяц назад +12

    대한민국의 수치 서울대...파렴치한 조국이 교수를 하는곳인데, 정작 교수들이 두둔하고 있는 실정. 머리 좋은 애들을 더 이상 성장을 못 시키는 시스템과 교수진이 대거 포진해 있음.

    • @agency778
      @agency778 Месяц назад +3

      윤석열까라 때문에 파렴치대학이 됐겟지``ㅋㅋㅋ

  • @시간의주마등
    @시간의주마등 8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지금은 옛날같으면
    서울대 갈 실력이 못되는 인간들이 너무
    많이 가고 있다
    수시 없애라

  • @김홍-y7p
    @김홍-y7p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경남여고,부산여고의 서울대 입학수자는 의외로 적네.

    • @김광배-q6c
      @김광배-q6c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가난해서 서울로가지않고

    • @유줘
      @유줘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지방에서 한명만 서울쪽 대학보내려면 하숙비.생활비.등록금.책값등..
      집 기둥 몇개뽑아야했음.
      여자들은 집에서 다닐수있는 대학교나 아님 대학 진학을 포기했음.

    • @김문주-h6q
      @김문주-h6q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당시 사회 분위기 ㅡ경상도 여자들 서울 안 보냄 집안 어른들

    • @조영석-v4j
      @조영석-v4j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부산대학교에~

    • @yijoon99
      @yijoon9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여자가 서울대가면 시집 못간다는 풍조가 잏ㄹ었죠. 유복한 집안에서는 이화여대로 많이 보냈지요.

  • @양석채-v8v
    @양석채-v8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이렇게 들어간 사람들이 60세에 무엇을 했는지 알아보면 이런 통계가 아무런 쓸모가 없다는 것을 알텐데오! 겨우 공무원이나 했겠지요!

    • @angel-tt8hc
      @angel-tt8hc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명문고출신들 교수나 연구소가 제일 많아요

  • @아재-r9d
    @아재-r9d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9

    72년이면
    서울대가 중요한게
    아니고
    과을 더 중요 하게 생각 했던
    시점

    • @Jack-jb3tc
      @Jack-jb3tc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맞아요. 그래서 나는 과를 보고 대학을 선택했었음. 영산대 법학과

    • @임순식-w5l
      @임순식-w5l Месяц назад +1

      서울대 빳지 달라고 전공과 관계없이 지원하는 친구들이 있었지요.

  • @jiwookjung671
    @jiwookjung671 Месяц назад +5

    경기 서울 경복 경북(대구) 경남(부산) 순위

  • @jiwookjung671
    @jiwookjung671 Месяц назад +9

    경북고, 경북대 평준화 이전 한강 이남 최강 1등 이었죠. 그밑에 경남고 / 부산고, 부산대는 2인자 였었다.

  • @SejongYoo-z4z
    @SejongYoo-z4z Месяц назад +6

    우물안 서울대 말고 세계적으로 놀아봐 !!

  • @MyDestinyLab.
    @MyDestinyLab.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우리할아버지 형제분 6분 모두 경기고-설대나오심.(feat.존경)

    • @광야에서-l9r
      @광야에서-l9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역설적으로 서울대출신중 국가가 필요했던 인재보다 지들끼리 해쳐먹는 그들만의 집단 이기주의는 뼈아픈 진실.
      오죽하면 고위공무원만큼이나 교도소에 서울대출신이 많다고 할까?
      특히나 윤석열,안철수,김기춘,나경원,조윤선,강용석등 면면을 보면 한심한 사람들 많음.
      조부님 형제분들은 훌륭하신분들이겠지만
      괜히 서울대 출신 망국론이 나오는게 아님.

    • @TheGene1225
      @TheGene1225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광야에서-l9r 조국…. 좋은 예죠.

    • @TheGene1225
      @TheGene1225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누구신가요?

    • @퍼플레인-q3s
      @퍼플레인-q3s Месяц назад

      ​@@TheGene1225윤석열아닌가?

  • @이대진-y5c
    @이대진-y5c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6

    예비고사를 거쳐 본고사로만 즉, 오직 실력으로만 들어갔던 시절. 경기고는 서울대 4 - 500명씩 들어 감. 그것도 법.의.상.공대 최고의 학과만. 농대는 주로 지방고 출신. 당시는 선발 인원이 적었음. 서울대 약 1,500여명 정도. 남.여 공히 4대문안 학교가 최고의 명문. 대학 입시는 그 시절로 돌아가야. 순전히 자기 실력으로만. 지금 입시제도는 너무 허술하고 실력과는 좀 먼것같음. 조국같은 사람이 없도록 본고사로만 선발하는게 정도 임.

    • @ndyfc1472
      @ndyfc1472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73학번인데 그당시 입학시험 이틀에 걸쳐서 전과목을 치뤘습니다. 그리고 그해 입학 정원은 대략 5000명 정도로 기억합니다.

    • @민주팔이인권팔이
      @민주팔이인권팔이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개소리 말고, 팩트 중시..경기고는 늘 200명대 였다.

    • @민주팔이인권팔이
      @민주팔이인권팔이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ndyfc1472 졸업정원제 이후로 5000명 된 걸로 압니다.

    • @ndyfc1472
      @ndyfc1472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민주팔이인권팔이 통계를 찾아보니 1973년도 입학정원이 3100명 정도군요. 생각보단 적은편이었네요...

    • @yijoon99
      @yijoon9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72학번은 3300명이 입학정원이었죠.
      기억나는 것은 그해 영어에 구문론이 많이 출제되었고,
      국어는 어마어마한 길이의 지문에 질렸고.
      수학은 객관식 30% 나머지는 모두 서술형. 답이 틀려도 서술과정이 맞으면 부분점수도 주고.
      일본대학교 입시 수학문제 열나게 풀었던 기억이 새록새록. 문과는 수학 35점 넘으면 합격선. 나머지 문과시험 만점은
      사회4과목120점, 과학4과목 100점
      제2외국어 50점
      머리 터지게 공부했던 그 시절.
      출신학교보다 사회생활 적응력이 무엇보다 우선이라는 것을 깨닫는데 그리 오랜 세월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 @김대권-t4v
    @김대권-t4v Месяц назад +14

    한덕수 당대 최고 엘리트 ㅎ

    • @하사한
      @하사한 Месяц назад +2

      그래봤자 내란방조범

  • @mshi5658
    @mshi5658 8 месяцев назад +7

    26년전 서울대 사회과학부가 처음으로 서울대 신입생 현황에 대해 발표,발표에 따르면,45% 가 서울에 있는 고등학교에서 그 45% 에서 67% 가 서울 강남에 있는 고등학교 출신,29.7% 대구에서,19.6% 부산에서, 7% 대전에서, 2.7% 전주에서 춘천에서 1% ...충북,인천, 전남은 등은 기타에 속함..... 그런데도 정계개편 때 마다, 고 김대중씨는 호남 지분을 30% 를 줄기차게 요구 한 걸 보고 경악했다..그 사람 참 엉뚱한 사람..😮

    • @데굴데굴-s4u
      @데굴데굴-s4u 8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아직도 버러지들이 김대중타령하는거보면 김대중이 진짜 인물은 인물이여 ㅎ

    • @무대포라-n9u
      @무대포라-n9u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윗글에 반박은 못하고 선생님 좋다고 댓글다는 심보는 뭐임?

  • @Nareum_daero
    @Nareum_daer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7

    무슨 서울대 입학자수 갖고 고등학교 서열화 짓거리 해대는 건지..
    수능 4, 5등급 서울대 합격자가 나오는 세상이 된지 오래이다.
    [팩트체크] 수시, 정시... 그리고 논술 전형, 학생부(내신) 전형, 적성검사 전형, 면접 전형, 입학사정관제 전형... 논술전형, 학생부종합(면접형·활동우수형·기회균형)·고른기회(농어촌학생),지역균형선발전형·.. 아~ 머리 아프다. 이거저거 다 찔러 넣어보자!! 슝슝~~~ 돼든 안돼든 원서 수십장씩 찔러 넣고 있다. 대학들 원서 전형료 수입 늘려주기 위한 정책인가? 돌리고.. 돌리고~~~ 돌려막기로 개나소나 다 적당한거 걸리면 들어갈수 있는 무한경쟁 시대에 아직도 대학 서열화 타령 해대고 있는가.
    수능 만점자도 서울대 떨어지는 세상에.. SKY가 서울경기인천 잡대가 된 현실에 대학 서열, 순위 짓거리는 아무 의미없는 짓이 된지 오래다. 솔까말.. 요즘 수험생들이 닥치고 무작위로 서울소재대학 찔러 대보고 안되면 지방대학 가는거 아닌가. 주변에 수험생들 이야기 들어보면 잘 알것이다.
    서울수도권 소재대학 수시 경쟁률을 보면 개나소나 다 원서 싸질러 넣고 본다. 수능 4, 5등급 서울대 합격자가 나오는 세상이 된지 오래이다.

    • @beksoo0618
      @beksoo0618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올해도 아니고 1972년 입학자 영상에 이런 말 싸지르는 부분이 인상적이네요
      '팩트체크' 이러지만 서울대는 전형 복수지원이 불가능한 것도 모르는 능지 ㅠㅠ
      본인이 4, 5등급인데 서울대 못 가니 사회 탓하는 건가 ㅋㅋ
      진짜 병이다 병 ㅋㅋㅋ

    • @dddk236
      @dddk236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베네치아-c9q 니가 그때 어느 대학 갔는지는 알리고 떠들거라

    • @Nareum_daero
      @Nareum_daer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베네치아-c9q [팩트체크] 수능 4, 5등급 서울대 합격자가 나오는 세상이 된지 오래이다. 수시, 정시... 그리고 논술 전형, 학생부(내신) 전형, 적성검사 전형, 면접 전형, 입학사정관제 전형...

  • @아재-r9d
    @아재-r9d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예고는 빼고
    서울예고는 빼자
    72년이면

  • @우경식-r4u
    @우경식-r4u 9 месяцев назад +8

    경기고는 10반까지 있었으니 반에서 30등만 해도 서울대 갔구나.

    • @jayryu1192
      @jayryu1192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좀 처지면 연고대 가는 학교

    • @경찬안-i4c
      @경찬안-i4c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12 개반 이었음 . 12*60= 720 명

    • @상규박-b2v
      @상규박-b2v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경기/경복/서울12반.......부산/경남 8반...경북 11반

    • @상규박-b2v
      @상규박-b2v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재수 3수도 있다.....4수도 있엇다...ㅍㅎㅎ

  • @trinity1203
    @trinity1203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사법고시 역대 합격자수 : 7위 부산대 652명, 8위 경북대 569명, 18위 영남대 142명, 19위 동아대 134명..........20위 서울시립대 127명, 27위 홍익대 24명

  • @이현숙-c6t
    @이현숙-c6t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0

    이런거 올리지 마세요..너무 진부하지 않습니까 ..좋은 대학을 나온거 보다 좋은 직장을 다니는게 더 좋구요...좋은 직장보다 좋은 팔자를 타고 나는게 훨씬 더 좋습니다....

    • @tomokokobayashi1407
      @tomokokobayashi140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좋은대학 나오면 좋은직장을 들어갈 확률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높지 않을까요?그러면 좋은 팔자가 될 확률도 높구요.

    • @이현숙-c6t
      @이현숙-c6t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tomokokobayashi1407 그말은 맞아요 좋은대학을 나오면 좋은 직장을 얻을 확률이 높지요..그러나 그건 확률일뿐이고요.,실제 제 주변에 서울대 나온 사람보다 지역의 지방대 나온 사람이 더 좋은 직장에 다니는 경우를 많이 봤고 더구나 그가 행복한 삶을 사느냐 그렇지 못한 삶을 사느냐는 좋은 대학을 나왔나 아니냐와 전혀 상관없다는 사실도 수없이 보아왔기에 하는 말입니다

    • @mskwon1564
      @mskwon156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좋은 고등학교 좋은 대학 나오지 못하니까 샘나서 그러는 거 다 알아요. 나는 저기 좋은 고등학교 나왔거든요.

    • @이현숙-c6t
      @이현숙-c6t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mskwon1564 그래 ? 난 너보다 훨씬 더좋은 학교 나왔거던 근데 나보다 못한대학 출신들이 좋은 직장들어가 떵떵 거리는거 많이봤고 더구나 그가 행복한 삶을 사느냐 그렇지 못하냐는 좋은대학 좋은 직장과도 상관없는 별개문제더군

    • @이현숙-c6t
      @이현숙-c6t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mskwon1564 난 너보다 더좋은 학교 나왔다니까...주변에 지방대 나온 친구들이 서울의 명문대 출신들보다 더 좋은 직장 더행복한 삶을 사는거 많이 보았기에 하는 소리야

  • @bnk463
    @bnk463 Месяц назад +7

    서울대? 서울대 전국 최하위 저질대로 분류해야, 서울대로. 나라가 이꼴인데

  • @김영곤-f2h
    @김영곤-f2h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73년도도 알수없나요

  • @yuntorisisatsu
    @yuntorisisatsu 6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지방 명문고가 서울 5대공립 용산고보다 더 보냈구나

    • @상규박-b2v
      @상규박-b2v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몰랐냐고~~?? 우물ㅇ의 개구리 많다. 서울에... 어른들 이야기기가...● 경기서울경복용산이 한학년에 12반...쪽수가 많았으니 많이 입학...물량때기로...● 경남 부산은 한학년이 8반밖에...정원대비 입학확율은 부산/경남이 더욱더 높았다... 문재인은 우수해도 경희대법대(= 무료수업료)...들었던 이야긴데 야구선수인 허구연kbo총재가 자력으로 고대법대를 입학햇었단다... 특기생이 아닌 일반전형으로!!! 당시 경북은 10반(?)...당시 대구고는 경북고에 비해 많이 수준이 떨어져...

    • @smilewords1558
      @smilewords1558 Месяц назад +1

      @@상규박-b2v 72년도에는 경기 서울 경복 모두 8반이었어요. 참고로... 2000 년대 초반까지도 한국의 CEO 60%는 경기 서울 경복 출신들이었지요. 경기 30%, 서울 경복 각 15%... 세 학교가 대한민국 기업의 대표자리를 과점하고 있었지요.

  • @stoneyellow2392
    @stoneyellow239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동래고는 어디로? 부산 3위인데...

    • @麤驫鑫
      @麤驫鑫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별루던데
      부산상고가
      더 낫다....

    • @이수일-z1m
      @이수일-z1m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일찍 개교했다는 거말고는 경남여고 부산여고 부산상고 보다 못한 학교라는 말임..
      80년대 초까지 동래지역은 좀 시골느낌있는 동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