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일차입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5형식 사역동사의 수동태⁎ 1. 5형식 사역동사 주어 + 사역동사 + 목적어 + 보어 (원형부정사, 과거분사) >> 주어 + be p.p + 보어 {to부정사, (to be) p.p 2. 사역동사의 수동태 (1) have, make: 의 의미 "~하게 하다, 시키다" >> be made to + R (주의) be had 사용 불가 (2) let: 의 의미 "~하게 해주다" >> be allowed / permitted to + R 3. 사역동사의 목적격보어가 원형부정사인 5형식 수동태 주어 + 사역동사 + 목적어 + 목적격보어 [원형부정사] [5형식] >> 주어 + be p.p + 주격보어 [to부정사] [2형식] 4. 사역동사의 목적격보어가 과거분사인 5형식의 수동태 주어 + 사역동사 + 목적어 + 목적격보어 [과거분사] [5형식] 주어 + be p.p + 주격보어 [to부정사] [2형식]
5형식의 S+사역V+O+C(원형부정사, p.p)는 S+be p.p+C(to부정사, to be p.p) 로 바꾸어 쓸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한, have, make "~하게 하다, 시키다", -> be made to + R, let "~하게 해주다" -> be allowed/permitted to + R 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5분구이 159일차 수강 완료했습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질문 1. be p.p 가 동사고 to v 가 보어라고 하셨는데요 They were allowed to smoke in the room. 이런 형태에서 원래는 were 다음에 allowed 가 보어 아닌가요? to smoke 가 부사역할을 하는게 아닌가요? 지금까지 그렇게 알고 있었어서 잘못알고 있는 걸까요? 감사합니다 질문 2. 그리고 교제를 구매하면 유튜브외의 강의가 더 있는건가요?
1.were allowed를 수동태인 하나의 동사덩어리로 봅니다. 수동태의 과거분사를 보어로 보는 경우도 있는데 거기까진 설명이 너무 길어지겠네요;; 그래서 to smoke가 보어로 간주되어 이 문장은 2형식입니다. 2. 네 유튜브에는 일부만 있구요. 저희 홈페이지 서점에서 교재구매시 무료해설강의쿠폰을 드리는 이벤트 진행중입니다 www.youngbeestudy.com/on-line
죄송한데 질문 하나 더 드릴게요. 선생님이 설명하신 바 have의 수동태는 없으며 make와 have 는 be made to부정사로 쓸 수 있다고 하셨잖아요. 그래서 i have him wash the car라는 문장을 수동태로 바꾸면 목적어인 him이 주어로 가서 He was made to wash the car by me가 되는 거잖아요. 그런데 사역동사 수동태에 관한 다른 영상을 찾아보니 have를 수동태로 바꿀 경우 목적격보어가 원형부정사라 할 경우 그 원형부정사의 목적어를 have뒤로 옮겨서 바꾸는 방법이 있다고 하더라구요. 이 방법으로 수동태를 만들경우 I have him wash the car 는 i have the car washed by him이 되구요. 같은 문장에서 다른 수동태 문장이 만들어진 것인데 의미의 차이는 있겠지만 두 방법 다 가능한건가요?
네 가능하지만 목적어가 바뀐 것이라 뉘앙스가 다르죠. 문장을 수동태로 바꾼 것처럼요. 문장을 수동태로 바꾼것과 목적어를 바꿔서 목적격보어를 과거분사를 사용한 것은 둘다 같은 원리입니다. 앞으로는 저희 홈피에 질문해주심 좋겠습니다^^ www.youngbeestudy.com/on-line
선생님, 영상 매번 잘 보고 있는 학생입니다. 항상 양질의 수업 영상 감사드린다는 말 먼저 드리고 질문하나 드릴게요. 사역동사가 쓰인 5형식의 목적격보어가 수동의 과거분사일 때 이 문장을 수동태로 바꿀 경우 to be + 과거분사에서 to be는 생략 가능하시다고 하셨잖아요. let의 경우 이 수동태는 be allowed to 부정사 (혹은 be permitted to 부정사)라고 하셨고요.주어 + let + 목적어 + be p.p란 문장이 수동태로 바뀌어 주어 (목적어) + be allowed to be p.p / be permitted to be p.p 가 될 때 이때에도 to be는 생략가능한가요? be allowed (to be) / be permitted (to be) p.p의 형태로요. let의 목적어와 목적격보어의 관계가 수동일 때, 이 사역동사가 쓰인 문장을 수동으로 바꿀 때 어떻게 해야 하는 건지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25일차입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5형식 사역동사의 수동태⁎
1. 5형식 사역동사
주어 + 사역동사 + 목적어 + 보어 (원형부정사, 과거분사)
>> 주어 + be p.p + 보어 {to부정사, (to be) p.p
2. 사역동사의 수동태
(1) have, make: 의 의미 "~하게 하다, 시키다" >> be made to + R
(주의) be had 사용 불가
(2) let: 의 의미 "~하게 해주다" >> be allowed / permitted to + R
3. 사역동사의 목적격보어가 원형부정사인 5형식 수동태
주어 + 사역동사 + 목적어 + 목적격보어 [원형부정사] [5형식]
>> 주어 + be p.p + 주격보어 [to부정사] [2형식]
4. 사역동사의 목적격보어가 과거분사인 5형식의 수동태
주어 + 사역동사 + 목적어 + 목적격보어 [과거분사] [5형식]
주어 + be p.p + 주격보어 [to부정사] [2형식]
125일차 인증 감사합니다 ^^ 아주 꼼꼼히 정리 하셨군요 보기좋습니다 😉👍👍
좋은 영상 오늘도 감사합니다
오늘도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해가 쏙쏙 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교중님~ㅎ 자주 댓글로 응원해주세요~ 저도 항상 응원하고 있습니다^^
와진짜 설명 쏙쏙이에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저희 홈피에서 더 많은 5분구이를 참고해주세요^^
www.youngbeestudy.com/on-line
5형식의 S+사역V+O+C(원형부정사, p.p)는 S+be p.p+C(to부정사, to be p.p) 로 바꾸어 쓸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한, have, make "~하게 하다, 시키다", -> be made to + R, let "~하게 해주다" -> be allowed/permitted to + R 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5분구이 159일차 수강 완료했습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좋아요 꾸준히 화이팅^^
질문 1. be p.p 가 동사고 to v 가 보어라고 하셨는데요
They were allowed to smoke in the room. 이런 형태에서 원래는 were 다음에 allowed 가 보어 아닌가요? to smoke 가 부사역할을 하는게 아닌가요?
지금까지 그렇게 알고 있었어서 잘못알고 있는 걸까요? 감사합니다
질문 2. 그리고 교제를 구매하면 유튜브외의 강의가 더 있는건가요?
1.were allowed를 수동태인 하나의 동사덩어리로 봅니다. 수동태의 과거분사를 보어로 보는 경우도 있는데 거기까진 설명이 너무 길어지겠네요;; 그래서 to smoke가 보어로 간주되어 이 문장은 2형식입니다.
2. 네 유튜브에는 일부만 있구요. 저희 홈페이지 서점에서 교재구매시 무료해설강의쿠폰을 드리는 이벤트 진행중입니다
www.youngbeestudy.com/on-line
이해가 잘 되도록 설명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감솨해요👍
감사합니다
매일 5분구이운동 잘하고 있어요^^
감사합니닷
감사합니다
아니형님 감사합니다
하하 별말씀을요^^
죄송한데 질문 하나 더 드릴게요. 선생님이 설명하신 바 have의 수동태는 없으며 make와 have 는 be made to부정사로 쓸 수 있다고 하셨잖아요. 그래서 i have him wash the car라는 문장을 수동태로 바꾸면 목적어인 him이 주어로 가서 He was made to wash the car by me가 되는 거잖아요. 그런데 사역동사 수동태에 관한 다른 영상을 찾아보니 have를 수동태로 바꿀 경우 목적격보어가 원형부정사라 할 경우 그 원형부정사의 목적어를 have뒤로 옮겨서 바꾸는 방법이 있다고 하더라구요. 이 방법으로 수동태를 만들경우 I have him wash the car 는 i have the car washed by him이 되구요. 같은 문장에서 다른 수동태 문장이 만들어진 것인데 의미의 차이는 있겠지만 두 방법 다 가능한건가요?
네 가능하지만 목적어가 바뀐 것이라 뉘앙스가 다르죠. 문장을 수동태로 바꾼 것처럼요. 문장을 수동태로 바꾼것과 목적어를 바꿔서 목적격보어를 과거분사를 사용한 것은 둘다 같은 원리입니다.
앞으로는 저희 홈피에 질문해주심 좋겠습니다^^
www.youngbeestudy.com/on-line
@@영어의비법 네! 댓글 감사드리고 카페 가입하겠습니다 ^_^
혹시 사역동사의 목적격보어가 명사일 수도 있나요?
He made me his survant 에서 made가 사역동사 같은데 명사가 와서요..
사역동사는 5형식이고 목적어가 보어하게하다/시키다 등의 의미로 원형부정사나 과거분사가 사용될 때입니다. 이 문장은 일반적인 5형식 문장으로 목적어를 목적격보어로 만들다.라는 의미입니다
선생님, 영상 매번 잘 보고 있는 학생입니다. 항상 양질의 수업 영상 감사드린다는 말 먼저 드리고 질문하나 드릴게요. 사역동사가 쓰인 5형식의 목적격보어가 수동의 과거분사일 때 이 문장을 수동태로 바꿀 경우 to be + 과거분사에서 to be는 생략 가능하시다고 하셨잖아요. let의 경우 이 수동태는 be allowed to 부정사 (혹은 be permitted to 부정사)라고 하셨고요.주어 + let + 목적어 + be p.p란 문장이 수동태로 바뀌어 주어 (목적어) + be allowed to be p.p / be permitted to be p.p 가 될 때 이때에도 to be는 생략가능한가요? be allowed (to be) / be permitted (to be) p.p의 형태로요. let의 목적어와 목적격보어의 관계가 수동일 때, 이 사역동사가 쓰인 문장을 수동으로 바꿀 때 어떻게 해야 하는 건지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넵 생략가능합니다. 그런데 보통 생략안하는 것은 과거분사가 나란히 두개 오는게 어색해서죠^^
선생님, 질문이 있습니다
혹시 이 문장 분석 해 주실 수 있으신지요..
He had a job that was considered glamorous.
그는 직업을 가지고 있었다/ 매력적이라고 간주되는/
한승훈영어의비법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제가 의문인것은 considered 다음에 형용사가 바로 오는게 이해가 안가서요.
혹시 수동태로 바뀌면서 바로 형용사가 오는 규칙이 있는건지요..
보어입니다. 목적격보어가 있는 5형식이 수동태가 되면 뒤에 주격보어가 남아서 2형식이 되지요.
We considered the job glamorous.
ㅡ> The job was considered glamorous by us.
한승훈영어의비법
그러면 5형식에서 consider 라는 동사가 나왔을 때 목적격보어 자리에는 항상 형용사만 오나요??
아닙니다. 목적격보어 앞에 to be가 생략된 것이라 명사도 보어로 가능합니다.
We consider him a hero.
Get pp는 안되나요?
그리고 s+ be pp + (to be)pp면 by~가 두개가 와야하는데 어떻게 표현하나요?
일단 문장의 동사가 수동태일때 항상 by+행위자를 표현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to be)p.p는 주어의 상태를 나타내는 보어이므로 행위주체를 생략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수동태에서 be동사 대신에 get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단지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be동사는 상태를 의미하고 get을 사용하면 상태의 변화를 의미 즉, ~하게되다.의 의미가 됩니다.
처음에 영상 시작하실때 to be p.p는 생략 가능 하다고 하셨는데 to be만 생략 가능한거 아닌가요?
네 당연히 to be만 생략 가능합니다. 저희가 말씀하신 내용을 못찾겠어요ㅠ 시간을 찍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떤 책을 보니까 사역동사 let, have는 수동태로 쓰지 않는다고 하는데 왜 그런 걸까요?
수동태는 be made to를 사용합니다. 사역동사의 형태가 수동으로 안되기 때문입니다
원형부정사가 뭐에요?
to부정사(to+동사원형)에서 to가 생략되어서 동사원형만 사용된 것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