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펀드 2개일 때 내가 해야하는 일이 있을까??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6 фев 2025
  • #연금저축 #연금저축펀드 #연저펀 #irp #사적연금 #미국주식 #ETF #투자 #투자공부 #투자마인드 #S&P500 #파이어족 #재테크 #자산관리 #재정독립 #직장인투자 #월급관리 #금융투자 #파이어준비 #장기투자 #초보투자 #미국ETF #미국주식ETF
    #투자전략 #목표달성 #파이어 #FIRE #직장인재테크 #투자성공 #경제적자유 #투자일기 #금융권직장인 #투자팁 #미래준비 #직장인라이프
    안녕하세요!
    금융권 직장인으로서 파이어(FIRE: Financial Independence, Retire Early)를 준비하며,
    미국 S&P500 ETF, 단 하나로 목표를 이루는 여정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S&P500을 현재 1억 넘게 투자중이며,
    매월 투자 내역 공개, 투자 마인드, 투자 공부, 그리고 직장인의 삶을 공유합니다.
    특히, 단순하면서도 실천 가능한 투자 전략으로 재정 독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이번 영상에서 다루는 내용:
    연금저축 2개로 투자할 계좌2에 대해서 비과세 지정 별도로 꼭 해야할까?
    연금저축펀드 2개일 때 실제로 해야 하는 실무에 대한 영상입니다!
    끝까지 시청 부탁드려요~ :)
    ➡️ 이 채널에서 다루는 내용:
    📈 미국 S&P500 ETF를 활용한 장기 투자
    💰 투자 마인드와 꾸준함의 중요성
    💡 투자 초보자도 따라 할 수 있는 공부법과 실전 전략
    📋 금융권 직장인이 기록하는 파이어 과정과 생각
    💌 소통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궁금한 점이나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Email: wonwon.spirit@gmail.com
    📸 Instagram: @wonwon_fire
    🧵 Threads: @wonwon_fire
    🔥 구독하고 재정 독립을 향한 도전을 같이하시죠!

Комментарии • 73

  • @푸른하늘은하수-d3j
    @푸른하늘은하수-d3j 8 дней назад

    궁금했던건데 깔끔하게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wonwon_11
      @wonwon_11  8 дней назад

      안녕하세요 푸른하늘은하수님 ☺️ 반갑습니다!
      좋은 코멘트 감사드려요! 보람있네요 😆
      연휴 마무리 잘 하시구요 또 봬요!!

  • @JWChoi-r5i
    @JWChoi-r5i 8 дней назад +1

    설 명절 잘 보내셨는지요?
    오늘 영상으로 이해가 좀 됐어요.
    친절한 부연 설명ㄲㅏ지 . . .
    고맙습니다.

    • @wonwon_11
      @wonwon_11  8 дней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깨꾸아빠님!!
      이해 되셨다니 너무너무 기쁩니당 ☺️
      솔직한 피드백 너무너무 항상 감사드려요!!
      정확한 피드백이 저를 성장시키는 느낌이거든요!! ☺️
      전 설 잘 보냈습니다! 설 즐겁게 보내셨나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깨꾸아빠님 😆

  • @rubykp
    @rubykp 9 дней назад

    저도 이거떄문에 백방 검색하면서 알아봤었는데 깔끔히 정리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ㅎㅎ

    • @wonwon_11
      @wonwon_11  9 дней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루비님 또 와주셨네요!! 반갑습니다 😁
      도움이 되었다니 정말 진심으로 기쁩니다!!!
      그리고 이제 아이디가 눈에 익는 것 같아요!!
      또 자주 봬요 ~ 새해 복 많이 받으시구요!! 😊

    • @rubykp
      @rubykp 9 дней назад

      @@wonwon_11 감사합니다 원원님 ㅎㅎ 원원님도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 @very7006
    @very7006 9 дней назад

    원원님 명절인데 명절 잘 보내고 계신가요?! 오늘도 영상 너무 유익하네요 ㅎㅎㅎ감사해요~~~~~😊

    • @wonwon_11
      @wonwon_11  9 дней назад +1

      니나율님 항상 댓글 남겨주셔서 너무너무 감사해요!! 😁
      정말 큰 힘이 됩니다!!
      이제 좀 친해진 느낌 받는것 같은데! 이제 영상 올리면 댓글이 기다려지는 분들 중에 한분이세요!!
      남은 연휴 푹 쉬시구요!! 또 다음 영상에서 뵈어요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popo-od3qf
    @popo-od3qf 5 дней назад +1

    원원님. 차분하고 정확하게 전달해주셔서 정말 큰 도움 받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여쭤볼게 있습니다.
    1. 돈이 필요할때 연금저축2번 계좌에 비과세 부분 지정 요청을 해야 하는건 이해했는데, 매번 돈이 필요할때마다 지정 절차를 해야하는걸까요? 예를 들어 지난 3년간 연금저축2번 계좌에 2700만원(=900만원x3년)을 납입하여 투자해왔는데 그 중 2000만원이 필요하여 올해 지정 절차를 밟아 2000만원을 인출하고, 다시 2년간 1800만원을 납입한 다음(=900만원x2년) 또 다시 돈이 필요하여 1000만원을 인출하는 경우 지정 절차를 다시 밟아야 하는걸까요? 매년 세액공제를 받는거니까 왠지 또 지정절차를 밟아야 할거 같긴한데..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2. isa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년 2000만원씩 3년간 8000만원을 납입하여 만기가 도래하였는데 그동안 수익금도 2000만원이 발생한 경우 isa계좌 금액은 1억 원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isa에 있는 주식을 전부 매도한 다음 1억 원을 연금저축계좌 2번으로 이체하는 경우, 세액공제 금액인 300만원을 제외한 9700만원이 연금저축계좌2번에서 세금없이 인출할 수 있는 금액이 되는것일까요?
    만약 isa 계좌를 활용하지 않고 일반 계좌로 하였다면 수익금인 2000만원에 대하여 해외직투의 경우 22%, 국내상장미국etf의 경우에는 16.5% 세금을 부과받았을 것인데, isa로 계좌로 투자하여 연금저축2번 계좌로 이전하여 인출한다면 이러한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서 좋은것 맞을까요~?
    마지막으로 3년간 isa로 투자하여 옮긴 1억 원으로 연금저축2번계좌에서 다시 kodex나스닥 등을 매수하여 수익금 1000만원이 발생한 경우, 이 수익금에 대하여는 나중에 인출시 16.5% 세금을 내야하는게 맞을까요?
    질문이 정말 많아 죄송합니다. 늘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wonwon_11
      @wonwon_11  4 дня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포포님 반갑습니다!
      질문이 많은건 저에게 너무나 좋습니다!! 도움이 된다는 이야기니까요! ㅎㅎ
      언제든 찾아와주세요 🤗
      1. 한번 지정한 비과세분은 계속 남아계셔서 추가로 필요한 700의 부족한 분에 대해서만 지정하시면 됩니다 👍
      근데 아셔야 할 분이 직전해 분은 다음해 7월 이후에 가능하다는 것만 아시면 될 것 같아요! 연금보험료등 소득 세액공제 확인서 반영이 7월에나 확정되기 때문입니다.
      2-1) 3년 납입하셨다면 연간 2000이니 6000 납입하신 거겠네요! 수익금이 발생해서 1억이라고 가정했을 때 세액공제 300만원을 뺀 나머지 9,700이 비과세분이 됩니다!!
      2-2) 일반계좌로 하셨다면 해외직투는 250만원을 제외하고 22%, 국내상장해외etf는 15.4%입니다.
      2-3) isa에서 연금계좌로 이전할 시에는 200만원을 제외하고 9.9% 과세 후 입금 됩니다. 서민형 isa라면 400만원을 제외하고 9.9% 입니다.
      2-4) 연금저축 이전할때 과세를 안 해서 좋은 것이 아니라 과세가 되구요. 연금저축계좌의 한도를 넘어서 입금할 수 있고, 대부분을 향후에 비과세분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좋습니다 :)
      2-5) 마지막으로 연금저축으로 옮긴 돈에 대한 수익은 연금 개시하기 전이라면 16.5%, 개시 후라면 3.3~5.5% 저율과세로 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금액의 인출 순서가 있기 때문에 비과세분이 전부 인출되어야 수익금이 인출됩니다)
      질문을 해주신 내용을 최대한 분석해서 답을 작성해보았는데 답변이 되었을지 모르겠습니다!
      부족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추가 질문 부탁드립니다 :)
      꼼꼼하게 정리해서 질문하시는 것을 보니 대단하시네요!
      자주 뵈어요 포포님 😊
      즐거운 한주 되시구요!

    • @popo-od3qf
      @popo-od3qf 4 дня назад +1

      @wonwon_11 정말 감사합니다 원원님. 이해가 쏙쏙 됐습니다. 앞으로도 유투브 대박 기원합니다 ^^

    • @wonwon_11
      @wonwon_11  4 дня назад

      @ 포포님 다행이네요 ㅠㅠ
      질문이 많아서 안 와닿으실까 걱정했는데!!
      제가 더 감사하죠 :)
      앞으로도 정말 자주 뵙고 궁금한거 있으시면 언제든 여쭤보시길 바랍니다 ^^ 화이팅!

  • @백곰-c5s
    @백곰-c5s 2 дня назад +1

    지금 정부에서 연금저축 isa세제혜택 다 없앤다고 난리났네요ㅜ 정리 한번 부탁드립니다 원원님~

    • @wonwon_11
      @wonwon_11  2 дня назад

      안녕하세요 백곰님!!
      처음 뵙는 것 같네요! 반갑습니다 :)
      네네 안 그래도 오늘 저녁에 올리려고 했습니다 ㅠㅠ
      어제 야근이어서 올리기가 쉽지 않았어요!! :(
      달려와서 알려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려요 😁

    • @백곰-c5s
      @백곰-c5s 2 дня назад

      @wonwon_11 네 국내주식투자로 엄청난 손실을 확정하고 불과 두달 전부터 그냥 착실하게 연저펀, 퇴직연금, isa에다 꽉꽉 채웠는데 이런 날벼락 소식이ㅜㅜ.. 연저펀이랑 isa주식투자는 다 그냥 국내etf랑 국내배당주로 하긴 합니다만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하.. 이번생은 저랑 돈은 정말 인연이 없나봅니다 어쩜 이리 반대로만 가게되는지 휴

    • @wonwon_11
      @wonwon_11  2 дня назад

      @ 앞으로 절세계좌로 배당주보단 성장주 위주로 담는게 나을 것 같아요!! 미국 ETF는 안 하시나요?? 근데 제가 영상 방금 올린 것 처럼 s&p500 1억에 경우 연 30만원 더 돈을 내는 정도라서요! 다만 그 금액보단, 정책에 대한 신뢰를 잃은게 더 큰 것 같습니다 ㅠ

  • @runarynywa7599
    @runarynywa7599 8 дней назад +1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항목에 대해서는 서류를 제출하면 비과세된다는 말씀이시죠 세액공제보다 더 넣은 추가납입금은 비과세 추가납입 수익금은 과세 16.5프로 감사합니다^^

    • @wonwon_11
      @wonwon_11  8 дней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루하님 😀
      1.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항목에 대해서 서류 제출하면 비과세 맞습니다!
      2. 추가수익금에 대해서는 연금 개시 전엔 16.5프로 개시 후엔 3.3~5.5 저율과세입니당 😆
      좋은 하루 되세요!! 댓글 감사드려요!

  • @오늘은빵식
    @오늘은빵식 5 дней назад +1

    계좌 2를 연말정산 연금저축 반영란에서 행제거 하면 되지 않나요..? 저도 연금저축 계좌1 600 계좌2 300, irp 300 떠서 계좌2는 그냥 행 제거로 없앴는데 😅

    • @wonwon_11
      @wonwon_11  4 дня назад

      안녕하세요 오늘은빵식님 :)
      닉네임이 아주 매력적이시네요~!
      연말정산하실 때 말씀하시는것이죠??
      그렇게 하신건 증권사에서 이미 넘긴 자료를 가지고 국세청 연말정산 때 국세청 시스템에서 조치하신 내용이기 때문에 증권사에는 그대로 과세 대상으로 지정이 됩니다.
      비과세분을 지정하여 인출하실 때는 따로 증권사에서 추가로 비과세 지정을 해주셔야 합니다.
      댓글 감사드립니다 :)
      즐거운 한주 되세요!! 😊

  • @ggigle4227
    @ggigle4227 7 дней назад +1

    헷갈리는게 또있네요ㅠ 연금 계좌2의 장점은 무엇인지...? 만약 55세 이후에 한번에 전체금액을 뺀다면 일반계좌에서 장투하느것과 같은거 라고 봐야할까요? 물론 전략적으로 추가분에 대해서만 비과세로 잘 사용하는 방법은 있겠지만 단순하게는 뭐가 좋은건지 헷갈립니다.

    • @wonwon_11
      @wonwon_11  7 дней назад

      안녕하세요 기글님!!!ㅎㅎ
      연금계좌 장점은!! 원금 먼저 출금되는 특성 때문에 비과세 계좌처럼 쓸 수 있는게 가장 큰 장점입니다!!
      나중에 투자하면 언젠간 돈을 쓰게 되는데 중간중간에 수익에 대한 과세 없이 최대한 늦게까지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는거죠!!
      과세이연이라고 하는데 복리효과를 최대한 누릴 수 있는 계좌입니다.
      더불어 원금이 먼저 나오는 특성 때문에 나중에 소득이 없을 때도 원금만 빼서 쓸 수 있기 때문에 소득이 잡히지 않아 건보료 등 다양한 혜택이 있습니다.
      좀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열심히 추가납입을 해서 2~3억씩 해놨을 때 남들은 소득세 등 여러 세금을 몇천씩 내지만 그 돈을 아낄 수 있고, 아낀 돈은 투자로 굴러간다는 장점이 있어요!!
      이게 지금은 안 와닿으실진 몰라도 나중엔 아주 큰 혜택입니다.
      어떻게 답변이 되었을까요??!?! 아주 심오한 질문을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ㅎㅎ

  • @run_vibe
    @run_vibe 8 дней назад

    항상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궁금한게 있는데요. 혹시 연금저축 600 한도 내에서 2계좌를 운용한다면 이 경우 세액공제는 따로 신고해야하나요?
    600한도를 쪼개서 연금저축보험과 연금저축펀드로 운용해 볼까 고민중입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건강하게 올해도 영상 많이 올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wonwon_11
      @wonwon_11  8 дней назад

      안녕하세요! 런 바이브님!!
      국세청에서는 합계로 보고되고 전체 금액이 합산되어서 따로 신고하실 필요 없으십니다!
      연말정산때 600이 잘 들어갔나 확인하시면 될 것 같아요 ☺️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드려요! 🙏

  • @요오오저엉
    @요오오저엉 9 дней назад

    이해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연말정산 알아보다가 연금계좌 세금공제까지 알게 되어 원원님 유툽까지 오게되었네요.
    질문하나 드리려고 합니다.
    제가 isa, 연금저축1, 연금보험, irp 이렇게 4개의 계좌를 운영중입니다. (연금보험은 회사지원으로 하는중이라 연금합치기 불가)
    추후에 isa 3년 채운 뒤 연금저축2 계좌를 만들어 모두 이전하면 비과세 해택을 받을 수 있다라고 이해했는데 맞을까요?
    그리고 연금저축2 계좌는 55세 전에 목돈이 필요할 경우 해지하고 사용 해도 상관없다고 이해했습니다.(물론 투자로 인한 수익은 제외 세금있음, 증권사에 비과세 부분지정 필요 )
    맞게 이해한게 맞을까요

    • @wonwon_11
      @wonwon_11  9 дней назад

      안녕하세요 요정님 반갑습니다 ^^
      1. ISA 3년 채운뒤 연금저축 계좌 2번에 모두 이전하면 이전했을때 세액공제 받을 300만원을 제외한 모든 금액을 비과세 받을 수 있습니다!
      2. 연금저축2 계좌는 55세 이전에 증권사에 비과세분 지정 요청 하시면 해지 없이 일반 계좌처럼 출금 가능합니다!! 해지가 필요 없습니다 ^^
      질문 감사드립니다!
      여기까지 찾아 오셨는데 자주 뵈어요! 그리고 같이 즐겁게 투자해요! 😁

  • @하트하트-o4p
    @하트하트-o4p 8 дней назад

    구독 좋아요 꾹 눌렀습니다.연금저축 계좌를 어제 만들었습니다.
    국내 상장 해외 etf
    tiger s&p500.나스닥100.미국배당 다우 존스를 가각 월20만원씩
    총60만원을 30년간 사모으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그리고 혹시 상장폐지는 안될까요?

    • @wonwon_11
      @wonwon_11  8 дней назад

      구독 감사드려요!!! ☺️
      방금 댓글에 답 달아서 이전 댓글 참고하시면 될 것 같아요!!
      꾸준하게 30년간 모으신다면 분명 좋은 성과 있으실 것 같습니다! 같이 화이팅해요 ☺️

  • @whowho-t2x
    @whowho-t2x 8 дней назад

    안녕하세요 정성껏 올려주신 영상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연저펀 공부하다 선생님 영상도 찾아보다보니 궁금한 점이 생겨서요~
    연저펀 계좌 2개 운용하여 세액공제 비적용 계좌를 마련하려고하는데, 세액공제 적용계좌에 연 600만원을 꼭 넣어야할지요?
    즉, 1년에 600미만을 넣을건데, 2개로 분산해도(예: 300/150) 세액공제 적용/비적용 나눌수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 @wonwon_11
      @wonwon_11  8 дней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후후님!!! 반갑습니다!
      이론상으로는 가능합니다! 연말정산 때 300으로 숫자 변경 보고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굳이 그럴 필요가 있으실까요?!
      나중에 세액공제 받은 만큼 거의 비슷하게 뱉어내면 되는데 오히려 공제 미리 받아서 최대한 복리효과를 이끌어내는게 유리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렇게 하시는 의도가 궁금하네요~

    • @whowho-t2x
      @whowho-t2x 8 дней назад

      @@wonwon_11 엄청 빠르게 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연간 600은 납입 못할 것 같으면서도, 혹여 예상치 못한 목돈 인출을 염두에 두고 여쭤본건데 선생님 말씀대로 할 생각은 미처 못했네요 짚어주셔서 고맙습니다

    • @wonwon_11
      @wonwon_11  8 дней назад +1

      @ 그래도 10페센트 이상 캐쉬백을 해주는 효과를 놓치긴 너무 아까운 것 같아요!!
      최대한 이를 활용하는게
      뱉어내더라도 더 유리한 것 같아요!!
      화이팅입니다 ☺️

  • @affluentlo
    @affluentlo 8 дней назад

    안녕하세요.
    이해하기 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질문이 있는데요.
    혹시 연금계좌 4개를 만들어서
    1) 세액공제 600만원용
    2) 연금계좌 나머지 금액용
    3) ISA 추가납입용
    4) 55세 연금개시 후 기존 계좌는
    추가납입 불가로 알고 있어서 추가
    납입 예비용 계좌 미리 만들어 놓는
    용(한도 최소로 설정)
    이렇게 4개를 만들어서 운용해도
    괜찮은가요? 4개를 만들어서 운용해보려고 했는데(용도 구분을 쉽게 하고 싶어서요) 2개로 그냥 운영하는 게 나을까요?
    이런 질문 여쭤봐도 되는지 모르겠는데
    혹시 답변 가능하시면 부탁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wonwon_11
      @wonwon_11  8 дней назад

      안녕하세요 애플루언토르님! 반갑습니다!😄
      이론적으로는 가능하긴 한데 굳이 그렇게 하시는 의도가 있으실까요?!
      각각 계좌별 한도를 미리 정해놓긴 해야해서 원하시는 대로 하셔도 계좌 2개로 하는 효과랑 같습니다! ☺️
      평소에 계좌 한도를 그럼 600, 900, 0, 0 으로 하시는것과 같은데 계좌 2개로 하고 isa만 분리하는꼴이 되거든요!!
      2개를 4개한다고 더 유리한점이 딱히 보이진 않습니다 😂
      하지만 이론상으로는 가능합니당 🤗
      다만 그럴경우 나중에 4번계좌에 한도를 좀 조정 해주셔야겠네요!
      댓글 감사드리구 연휴 마무리 잘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affluentlo
      @affluentlo 8 дней назад

      와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냥 말씀해주신대로 2개로 하면 되겠네요^^

    • @wonwon_11
      @wonwon_11  8 дней назад

      @@affluentlo 화이팅 입니당 ☺️

  • @jaehoonlee7846
    @jaehoonlee7846 7 дней назад

    ISA 만기 자금을 연금저축으로 이전한 금액은 최대 300까지 세액 공제를 받는데, 이 금액은 세액 공제 받는 금액으로 넣는게 맞지 않나요? 전 그렇게 했는데 아닌가 보네요?

    • @wonwon_11
      @wonwon_11  7 дней назад

      안녕하세요 재훈님!!
      맞습니다!! 그래서 영상에서 2000이 아니라 1900으로 표시했어요 😀

  • @날슈오대리
    @날슈오대리 9 дней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궁금한게 있습니다.
    ISA계좌는 만기이전에 돈을 빼면 그만큼 한도가 줄어드는데
    연금저축2계좌에서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추가납입된돈(영상에서 표시되는0% 금액)을 일정부분 빼면 연간 한도 1800 만원에서 그만큼 줄어드는건가요~?
    저도 연금저축계좌2개를 운용한지 얼마 안돼서 궁금해졌습니다!

    • @wonwon_11
      @wonwon_11  9 дней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날수오대리님!! 반갑습니다 😁
      ISA에 대해 정확히 잘 알고 계시네요!! ISA는 중도인출하면 연간 한도가 줄어듭니다.
      반면에 연금저축계좌는 당해(올해) 금액에 대해서는 한도 차감 안 되고 ‘증명서’도 안 보내도 그냥 비과세 금액으로 인출됩니다!!
      당해 금액은 계좌 구분 없이 모두 같이 적용됩니다.
      극단적으로 예를 들어 연초에 두 계좌에 1,800 넣으시고 중간에 1,800 빼시고 연말까지 다시 1,800 다시 넣으셔서 채우셔도 됩니다.
      반면에 해가 지나면 연금 계좌 한도가 리셋됩니다! 지난 한도를 다시 쓸 수 없어요! (ISA는 한도가 이월이 됩니다)
      어떻게 질문에 답이 되셨을까요?!!?
      질문 감사드리구! 새해 복 많이 받이시구! 자주 뵈어요 😊

    • @날슈오대리
      @날슈오대리 9 дней назад

      @@wonwon_11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늘 건강하십쇼!

    • @wonwon_11
      @wonwon_11  9 дней назад

      @@날슈오대리 감사합니다 :)

    • @simm_in
      @simm_in 9 дней назад

      보고, 또 보고 이해 될때까지 :-) 감사합니다

    • @wonwon_11
      @wonwon_11  9 дней назад +1

      @ 모이님 ㅎㅎㅎ
      항상 응원합니다아아 😆😆☺️
      또 와주셔서 감사드려요!

  • @seunghanyun6423
    @seunghanyun6423 6 дней назад

    질문이 있는데요. 1과 2 를 풀로 넣을 때 말고
    만약 1과 2에 합쳐진 금액이 600만원이 안되면 두 연금 저축 계좌(증권사 다름)에 모두 과세지정이 되어서 연말정산 대상이 되는 것인가요?
    지정 금액(600)이 안되더라도 일부러 2를 비과세 지정이 가능 할까요?

    • @wonwon_11
      @wonwon_11  5 дней назад

      안녕하세요 승한님! 반갑습니다 😀
      600이 안 된다면 둘다 세액공제 받기 때문에 과세 대상입니다!
      연말정산 때 두 계좌가 다 보이실 거세요!!
      그럼에도 2번계좌 비과세를 하고 싶으시다면 연말정산 때 특정계좌를 빼고 보고하셔야 하는데.. 제 생각은 세액공제 다 받으시고 받은 돈으로 재투자 하셔서 복리효과를 최대한 누리시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600넘을때까지는 1계좌만 운영하셔도 될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 @SunjaeKim-p2q
    @SunjaeKim-p2q 8 дней назад

    안녕하세요! 영상 잘봤습니다!
    질문이 하나 있는데요..
    연저펀 계좌2에서도, 배당소득세는 0프로이고 과세이연 되는게 맞을까요!?

    • @wonwon_11
      @wonwon_11  8 дней назад

      안녕하새요 선재님! 반갑습니다 ☺️
      배당소득세 대상 배당금은 과세이연으로 비과세분이 먼저 출금이 다 되고 나옵니다!
      그래서 배당이 출금될 시점엔 배당소득세 명목이 아니라 연금계좌기 때문에 다릅니다.
      개시했다면 연금소득세(3.3~5.5), 개시 전이면 기타소득세(16.5)가 발생됩니다!
      답변이 되었을까요?
      연금계좌는 출금 순서가 금액 종류별로 다르게 나오기 때문입니다!

    • @SunjaeKim-p2q
      @SunjaeKim-p2q 8 дней назад

      이전 영상 마저보고 댓글 수정하려고 했는데... 이렇게 빨리오시다니!!
      답변 감사합니다(--)(__)

    • @SunjaeKim-p2q
      @SunjaeKim-p2q 8 дней назад

      @@wonwon_11흠.... 방금계좌만드려고하니 납입한도가0원으로... 개설이안되네요ㅠㅠ 내일 증권사ㅠ전화해봐야겠습니당

    • @wonwon_11
      @wonwon_11  8 дней назад

      @ 휴일이어서 ㅎㅎ 바로 보이네용 ㅎㅎ
      푹 쉬세요 ☺️

    • @SunjaeKim-p2q
      @SunjaeKim-p2q 8 дней назад +1

      자문자답
      IRP가1200으로되어있었네요!!!
      IRP 300변경
      2번째 연저펀900적용후개설완료
      감사합니다
      IRP25만
      1번연저펀50만
      2번연저펀75만
      ISA..... ??만
      실행에옮기겠습니당

  • @장수-r4c
    @장수-r4c 8 дней назад +1

    Isa에 있는거 연금저축2로 보낼때도 과세이연되나요? 나중에 이 보낸 금액을 인출할때 과세는 어떻게 될까요?

    • @wonwon_11
      @wonwon_11  8 дней назад

      안녕하세요 장수님 반갑습니다!
      isa자금은 추가 납입금으로 비과세 대상입니다!
      다만 옮길 때 300만원 추가 세액공제 받을 수 있는데 받으셨다면 300만원을 빼셔야 합니다 😆
      댓글 감사드리구 좋은 하루 되세요! ☺️

  • @redskele
    @redskele 9 дней назад

    안녕하세요, 영상 설명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55세 이후 연금 개시 할때 말씀하신 연금저축 2의 비과세 지정 금액과 동시에 연금저축1의 과세 1500만원을 동시에 인출이 가능한지 문의 드립니다.
    이유는 2계좌가 소진되면 1계좌에서 생활비를 인출해야하는데 보통 생활비가 1500만원이상일꺼라 1과세 ,2 비과세 동시에 인출을 하고 싶은데 가능할지요

    • @wonwon_11
      @wonwon_11  9 дней назад

      안녕하세요 맛동산님 반가워요!! 🤗
      55세 이후에 연금저축1 저율과세 1,500만원 받으면서 연금저축2에서 개시 안 하고 추가 생활비를 비과세분으로 뽑아쓸 수 있습니다. (그게 장점인 전략입니다.)
      그래서 계좌1 1,500, 계좌2 부족분으로 활용하면 좋을 것 같아요!! 👍
      질문 감사해요!!! 즐거운 연휴 되시구요! 자주 뵈어요!ㅎㅎ

  • @토리구름
    @토리구름 9 дней назад

    연저펀 1번에 ISA 의 300을 넣어두면 연저펀 2번 에는 비과세로만 채워지게됩니다.

    • @wonwon_11
      @wonwon_11  9 дней назад

      안녕하세요 토리구름님!!! 반갑습니다 :)
      연저펀 계좌 1개에 300, 나머지 나눌 수 있다는 거죠??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

    • @토리구름
      @토리구름 8 дней назад

      네 isa에서 옮길때 어디에 얼마씩 넣을건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300만원만 1번에 넣고 나머지는 2번에 넣을 수 있습니다.

    • @토리구름
      @토리구름 8 дней назад

      이후 증권사가서 공제계좌 구분시 1번계좌를 공제계좌로 선택하면 됩니다.

    • @wonwon_11
      @wonwon_11  8 дней назад

      @ 오 감사합니다! 내일 증권사애 확인해보려고 했는데!! 좋은 정보 감사드려요 ☺️

    • @wonwon_11
      @wonwon_11  8 дней назад

      @ 혹시 미래에셋 쓰시나요?? 미래에셋은 된다고 알고있긴 해서요

  • @olivia_tr1909
    @olivia_tr1909 9 дней назад

    S&p 500 투자는 모두 절세계좌에서 하시는건가요??

    • @wonwon_11
      @wonwon_11  9 дней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올리비아님~ 반갑습니다!!🤗
      현재는 거의 대부분을 절세계좌로 하고 있습니다!! 90% 이상!!
      나머지는 직투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질문 감사드리구 남은 연휴 행복하게 지내셨음 좋겠습니다~

  • @simm_in
    @simm_in 9 дней назад

    선생님!! 저 또 질문이 있습니다! 연계좌 2번 비과세 지정을 할때 투자 운용을 한 수익금에 대해서는 16.5%
    과세가 된다면 수익금 산정은 국세청에서 알아서 발라내어 과세,할꺼 하고 나머지 추가 납입분만 비과세 지정 해서 자유롭게 활용 가능한것일까요?

    • @wonwon_11
      @wonwon_11  9 дней назад

      안녕하세요 열혈수강생 모이님~😁
      수익금하고 비과세 내역은 국세청에서 알 순 없구요!! 왜냐하면 증권사에서 국세청에 수익에 대한 보고가 되지 않기 때문이에요.
      그 부분은 증권사에서 알려줄 겁니다~
      참고로 실제 사용하실 때는 비과세를 다 쓰시고 수익금만 남잖아요?
      그때는 16.5%로 쓰시지 마시고 55세 이후에 연금 개시하셔서 3.3% ~ 5.5% 저율과세로 수령하시는게 가장 좋아요!! 😆

    • @simm_in
      @simm_in 9 дней назад

      오잇~? 그런데 영상 4:20 쯤 수익은 과세라고 설명하시면서 16.5%로 선택하는것으로 이해했거든요?

    • @wonwon_11
      @wonwon_11  9 дней назад

      @ 지금 그냥 뺏을 때의
      경우입니다 ☺️

    • @simm_in
      @simm_in 8 дней назад

      @wonwon_11 아하~! 넵 이해됐습니다 감사합니다 ^^

  • @wooseokchoi4562
    @wooseokchoi4562 8 дней назад

    계좌 지정은 한번만 하는건가요? 매년 하는 건가요?

    • @wonwon_11
      @wonwon_11  8 дней назад

      안녕하세요 우석님 반갑습니다 ☺️
      계좌 지정은 필요 없구요! 처음에 한도만 지정해 놓으시면 비과세 돈 빼실 때만 증명서 떼셔서 증권사 방문하시면 되십니다 👍
      댓글 감사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