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근무하는 원어민 교사가 한국 학교 영상을 찍어 올리자 전세계가 경악한 이유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июн 2024
  • 영국, 미국, 남아프리카공화국, 하와이에서 온 원어민 교사들!
    한국 학교 들어서자마자 기겁한 이유?!
    영국 헨리: / heners332
    미국 시드니: / @seoul_mates
    남아공 티: / tanele_dlamini_
    하와이 캠: / cam_aki_
    00:00 인트로
    00:23 한국에 오기 전 한국학교에 대한 이미지?
    01:53 원어민 교사들이 한국 학교 크기에 놀란 이유
    04:01 한국 학교 교실에는 이게 있어..?
    05:36 학교에서도 빨리빨리..?
    06:28 무상급식이 말이 되나요?
    07:56 말도 안 되는 나라별 급식 가격
    08:49 외국인이 한국 급식에 환호하는 이유
    10:11 식판조차 체계적인 한국 급식
    10:40 한국인도 처음 들어보는 수저 디스펜서
    11:28 먹는 장소도 나뉘어 있는 한국 급식
    11:49 원어민 교사에게 파스타는 공포?
    13:01 영양사가 없는 해외 학교?
    13:27 미국을 들끓게 만든 '케첩 논란'
    13:51 세계가 부러워하는 한국 영양사
    15:18 미국 급식이 한국 같았다면?
    16:00 한국 급식 보고 기겁한 외국인들
    17:11 한국 쓰레기에 익숙해진 원어민 교사들
    18:39 한국이 롤모델인 이유
    19:37 교실 에어컨이 신기한 원어민 교사들
    21:23 한국 학생이 강한 이유
    22:12 해외와 반대인 한국 방학
    23:33 외국인 눈으로 본 한국 교사 특징
    25:56 한국 학생의 등학교에 충격받은 원어민 교사들
    ♥영상이 재미있으셨다면 구독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어썸코리아 출연문의👇🏻
    awesomekorea01@gmail.com
    한국을 사랑하는 외국인분들의 이야기를 기다립니다:)
  • РазвлеченияРазвлечения

Комментарии • 241

  • @hyeon9853
    @hyeon9853 3 месяца назад +630

    학생때 배탈이 나서 보건실에 가서 쉬고있었는데 보건 선생님께서 영양사 선생님께 전화드려서 죽을 따로 만들어주셨던 경험이 있었어요 그때 영양사 선생님께 여쭈어보니까 아픈 학생이 있으면 보건 선생님께 연락받고 따로 죽을 만들어주신다고 하더라구요 이런 것도 참 좋은 것 같아요 :)

    • @user-gi3je8nj5e
      @user-gi3je8nj5e 3 месяца назад

      어릴때부터 민폐구만 영양사뿐만 아니라 공공을 위한 사람들에게 자신을 위해 뭘 해달라하는 그 뇌구조는 중국인 후손인가

    • @hyeon9853
      @hyeon9853 3 месяца назад +8

      @@user-rp7kq6zn6n 음 제 기억엔 약때문에 미음을 먹었던 걸로 기억하네요 의사가 아니라 모르겠지만 먹으라고 하니 먹었죠^^...

    • @bms7786
      @bms7786 3 месяца назад +27

      😮 정말 신기하네요.. 학생들 편의를 위해 디테일한 부분들까지 시스템에 포함이 되어있네요.

    • @user-ou9xj2zf7e
      @user-ou9xj2zf7e 3 месяца назад

      ​@@user-rp7kq6zn6n의사세요? 의사 이시면 당시 글쓴이 상태 아시고 글 쓰시는 건가요?
      사람 체질에 상태에 따라 처방이 수천가지 인데..모르면 아닥 하는게 자식의 무식을 최소한 드러나진 않습니다..

    • @user-rp7kq6zn6n
      @user-rp7kq6zn6n 3 месяца назад

      @@user-ou9xj2zf7e 그래 의사다 소화기관 환자 굶으라는건 기본적인 의학상식. 사람이 병이 나는건 필요이상으로 많이 먹거나 잘못먹어 생기지. 사람이 굶으면 백혈구가 증가하지 그래서 웬만한 병은 단식요법으로 치료가 가능하지. 짐승 도 아프면 본능적으로 밥을 안먹고 자신의집에 웅크리고 있지 나을 때까지. 70년을 산 인생선배가 해주는 얘기니까 명심하거라.

  • @jacob_jaidee
    @jacob_jaidee 3 месяца назад +209

    다른 건 몰라도... '밥' 에 대해서 만큼은 진심인 게 한민족인지라... ^^

  • @rainy6579
    @rainy6579 3 месяца назад +135

    먹는거에는 진심인 나라. 우리 아이들이 먹는데 들어가는 세금은 하나도 아깝지 않아요ㅎㅎ

    • @user-sp5gu8jw8b
      @user-sp5gu8jw8b 3 месяца назад +10

      맞아요 모든 아이들은 차별없이 다 잘 먹어야 돼요

    • @user-xn6fc1iz5x
      @user-xn6fc1iz5x 2 месяца назад

      고령층은 애들 먹는거보다 지들 지원금 먼저 달라던데요

  • @7thlegin169
    @7thlegin169 3 месяца назад +343

    한국의 급식 시스템은 수많은 사람들의 투쟁과 노력의 결과죠 처음 초등학교 시험급식 부터 시작해서 유상급식과 지금의 무상급식 시스템의 정착까지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있었죠 무상급식 문제로 서울시장 자리를 가지고 싸운적도 있을 정도이니

    • @user-ky1tu1jp3z
      @user-ky1tu1jp3z 3 месяца назад +67

      지금 서울시장인 오세훈 시장이
      그 옛날 무상급식을 반대하던 정치가였죠

    • @rungo3365
      @rungo3365 3 месяца назад +49

      ​​@@user-ky1tu1jp3z 지금은 모두가 부러워 하는 한국의 무상 급식을 오세훈 시장은 어찌 생각 하는지 궁금하네요~ 그 일로 시장에서 물러 났다가 다시 서울 시장으로 오다니~ 참 씁쓸하네요~

    • @k.joomihyun
      @k.joomihyun 2 месяца назад +22

      그런 사람을 다시 뽑은 시민

    • @user-bd6jj3bk5e
      @user-bd6jj3bk5e 2 месяца назад +27

      저희 아이들 아주 어릴때 무상급식을 위해 많은 학부모님들이 싸웠어요.
      그 모습이 아직도 잊혀지지 않네요.
      특히 지자체 빨간당들이 반대했었음.
      정치적 성향이 비슷한 장학사들이 무상급식을 반대했었고..
      많은 학부모들과 학생들이 들고 일어나서 이루어낸 결과죠.
      그 덕에 우리아이들이 혜택을 받고있어요.
      늘 고맙게 생각하는 부분이예요.

    • @alicekim9412
      @alicekim9412 2 месяца назад

      빨간당이 무상 급식 자체를 반대했다기보다 선별하자는 거였죠
      보편복지와 선별복지 대립처럼 철학의 차이죠
      시대가 변해가서 그정도와구분의 흐름을 타지 못했고 학생수가 줄거란 예측은 못했지만 언제나 이런 줄다리기가있어야 적정선의 밸런스에서

  • @user-xn5jf5rd8p
    @user-xn5jf5rd8p 3 месяца назад +264

    어린이와 청소년은 나라의 미래입니다. 어릴때 잘 먹어야 간강합니다.

    • @user-nv4qq4ly7p
      @user-nv4qq4ly7p 3 месяца назад

      그것도 어려서부터 여러 식재료 로 요리한 음식을 먹는 연습을 해야지 먹지..외국처럼 먹는 중에 한국 음식 주면 다 못 먹어요..한국인은 극강의 식감과..씹는 느낌 까지 느끼기에..외국인은그냥..질겨..

    • @riselk7752
      @riselk7752 3 месяца назад +1

      근데 이 나라 출산율 마이너스 나라의 미래가 없네?

    • @user-ts7cy5kr7c
      @user-ts7cy5kr7c 3 месяца назад

      ​@@riselk7752걱정말어 한국의 미래는 밝으니까 미래가 있는지 없는지 너따위가 미리 평가하기에는 이르다 앞으로 다이나믹 스펙타클한 한국이 어찌 바뀔지 모른다 그 옛날 전쟁직후 이렇게 까지 빠른 시간안에 선진국으로 커온 대한민국이다 앞으로 한국의 미래는 밝다

    • @user-qv3vl3ib7x
      @user-qv3vl3ib7x 3 месяца назад

      @@riselk7752그래서 니가 낳아줘 한~~12남매 정도...

    • @jmim5018
      @jmim5018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출산률이 걱정이지만) 황당하게도 통일이 남아있고+요즘 국제커플보면
      오히려 2~3명가구가 많아서 그나마 다행이죠; 지금 세대들은 아이/부모 그걸 너무
      당연하게 받아들이죠...10년전만해도..지금의 풍경은 드라마속 '귀족학교'같지요 ㅎ

  • @kairos521
    @kairos521 3 месяца назад +275

    교사와 학교에 투자가 줄어들어서는 안된다.
    교육예산이 줄어든것은 잘못된 것이다.
    교사에 대한 처우도 더 높아져야 학생들도 존경하고 따릅니다.

    • @user-jm3vw8km1t
      @user-jm3vw8km1t 3 месяца назад +7

      학생이 줄고 교사 숫자가 줄어서 그런거 아닌감..

    • @k.joomihyun
      @k.joomihyun 2 месяца назад +5

      가정교육이 문제라 공경을 모르는겁니다

  • @user-ec5zn2fd1n
    @user-ec5zn2fd1n 3 месяца назад +110

    분리수거가 워낙 생활화 되어있고
    몸에 베어서 가끔 여행 캠핑등가서
    백프로 완벽한 분리수거를 못하면
    죄책감이 들더라구요😅 분리수거 잘하는 대한민국이 가끔 자랑스럽ㅎㅎ

  • @user-ey8jr6fm6m
    @user-ey8jr6fm6m 2 месяца назад +24

    학교급식을 만드는 건 극한직업인듯요 급식 조리 배식원 구인이 얼마나 어려운지요 학교에 따라 학부모회 도우미를 이용해서 배식하기도 하고 학생회 자치에서 배식을 돕기도 하고 정말
    2시간내에 몇백명의 조리를 따뜻하게 내어놓는 다는 게 한국만이 가능합니다
    조리시간법이 있어서 미리 준비도 못해요
    2시간전에 조리시작했다가는 불시검문에 걸려서 징계도 받습니다. 분기별 하는 감사에서 한번 다녀가야 좀 시간 조정을 하는 편법까지~
    시간과의 전쟁이라 행정실 직원과 교감선생님까지 합세해서 시간맞추기가 일수입니다
    사립고등학교라 서로가 친밀해서 상부상조가 가능한듯요

  • @user-rv8pl8eq5v
    @user-rv8pl8eq5v 3 месяца назад +101

    남아프리카쌤 리액션 너무 귀여우세요 ㅋㅋ

  • @gabrielpark7368
    @gabrielpark7368 3 месяца назад +117

    어쩌면 헬조선이라는 한국이 진짜 선진국일지도...국민성 자체가 경쟁이 심해서 남보다 더 나아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있어요
    그러다보니 모든 시스템이 점점 좋아지고 수준이 높아지는 건 당연하다고 봅니다.
    반면 다른 나라들은 그런 강박이 없어서 좀 더 자유롭죠.
    하지만 스트레스는 다른데서 나옵니다.
    아이들이 나가서 조금만 늦으면 불안하고 서류를 하러 가면 하루종일 소비하고 병원 예약하려면 운 좋으면 3일 보통은 일주일 에서 한 두달까지 기다려야하는 부분이죠.
    각 나라마다 장단점이 뚜렷한 것 같습니다.

    • @jkc9807
      @jkc9807 2 месяца назад +7

      한국이 사회인프라나 경제규모 1인당국민소득 치안 총합하면 선진국인게 맞죠... 근데 다른나라엔 없고 한국만 갖고있고 치명적이게 안좋은점 한가지가 비교를통한 평균올려치기임... 경쟁은 어느나라든 있다지만 주변 사람과 비교질하며 상위10%대를 평균으로 올려치는 나라는 ㄹㅇ 한국밖에없고 그게 세계최저연간출산율 0.72까지 만든 요인인듯요...

    • @gabrielpark7368
      @gabrielpark7368 2 месяца назад

      @@jkc9807 좋은 의견 잘 들었습니다.
      다만 한가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모든 선진국들은 출산율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삶의 질이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건 당연한 것 같습니다
      중국 같은 경우도 중상류층 에서는 출산율이 떨어진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상위 10프로대를 평균으로 올려친다는 게 무슨 뜻인지 이해가 잘 안 갑니다.
      그게 출산율과 무슨 관계인지 설명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user-bd6jj3bk5e
      @user-bd6jj3bk5e 2 месяца назад

      ​@@jkc9807많은 부분 공감합니다.
      비교의 순기능으로 정말 좋은 환경을 가졌다고 생각하는데.
      그 비교로 인해서 자존감을 깎아먹기도 하는것 같아요.
      가끔 이민간 사람들이나 해외 거주하는것들을 너무 부러워하ㄴ고 비교하는 내용들을 보면 국민들의 자존감이 많이 낮다는 생각이 들어 안타까워요.
      많이 가졌음에도 내안에 행복이 부족해서 그런거 같아요.

    • @jkc9807
      @jkc9807 2 месяца назад

      @@user-bd6jj3bk5e 어느정도 자기객관화가 필요한데 각자가 갖고있는이상과 본인들현실이 너무괴리감느껴지니.. 특히 전 갠적으로 여자들이 남자들보다 자기객관화능력이 더 떨어진다고생각함 요즘보면....

    • @nodab7071
      @nodab7071 27 дней назад

      자살률은?

  • @user-xw5op1zy1h
    @user-xw5op1zy1h 3 месяца назад +62

    요즘 애들 키가 예전보다 커진 이유중 하나가 학교급식이라고 생각함니다

  • @user-qc7zd8dl1m
    @user-qc7zd8dl1m 3 месяца назад +52

    도시락 세대라 밥 못먹을때도 많았는데 좋아져서 다행

  • @user-jd4xu9kg1e
    @user-jd4xu9kg1e 2 месяца назад +9

    한명을 위해 모두가 불편을 감수한 게 인상적이에요 정말 따뜻한...😊

  • @AlwaysHappy2u
    @AlwaysHappy2u 3 месяца назад +30

    남아공샘 너무 리액션이 재미있어요 ㅎㅎㅎㅎ

  • @user-ki8ll3ie7k
    @user-ki8ll3ie7k 3 месяца назад +30

    서로 다른 나라의 학교 문화를 얘기해 주시니 재미있네요.

  • @user-hr9gq6on2k
    @user-hr9gq6on2k 3 месяца назад +29

    어느 나라이든 아이들은 잘 먹어야한다..그들이 우리 미래거든❤
    그리고 우리 학생들 급식 감사히 드세요..성인이 되면 이 말이 무슨뜻인지 알게 될꺼에요

  • @kimpost_264
    @kimpost_264 3 месяца назад +65

    골고루 다양하게 충분한 영양소를 먹고 가공식품을 덜먹어야 알러지가 안생기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제 경험이예요,
    서양식단은 편식(?)을 권장하는 인상을 받았어요. 학교점심은 가공식품이 많구요

  • @user-ng2eo9pf5x
    @user-ng2eo9pf5x 2 месяца назад +11

    중학교 영양사 선생님께서 정말 능력자셨던 게 생각나네요. 반마다 돌아다니면서 음식의 호오나 상태를 물어보시는 것 뿐만아니라 애들의 몸상태도 봐주셨어요. 한의학의 일종인 것 같은데 어깨 평형보고 골반이 틀어진 걸 아신다든가 귀 모양을 보고 성장판이 닫혔는지 아신다든가... 정말 애들이 점심 먹고 나면 영양사선생님만 기다렸던 기억이 있어요. 정말 친근하셨거든요

  • @bms7786
    @bms7786 3 месяца назад +8

    한국 정말 신기하군요. 학생들에 대한 배려가 시스템에 잘 포함되어있는것 같아요.

  • @user-eb7ez7ei7l
    @user-eb7ez7ei7l 3 месяца назад +13

    건강하긴하지.. 버섯탕수육이라든가, 콩고기 제육or불고기 라든가, 코다리양념강정이라든가, 진미채인척하는 도라지라든가, 편식을 강제로 고치기 위한 영양사님들의 고도의 심리전이라든가...

  • @lee-yb8zb
    @lee-yb8zb 3 месяца назад +8

    와우..
    4분의 이야기 정말 재미있고..급식이야기 신선하네요
    영국.미국. 아프리카, 하와이
    잘 봤습니다

  • @gracechang6818
    @gracechang6818 3 месяца назад +21

    All korean schools “must” have one nutritionist. She has to make menu and write down allergy information. ^^

  • @user-pj5si3yq7f
    @user-pj5si3yq7f 3 месяца назад +21

    급식도 급식인데...미국 부모님들이 아이들 점심 도시락 싸준거보고 놀랬어요.빵에 잼바르고..

    • @k.joomihyun
      @k.joomihyun 2 месяца назад

      하와이 사는데 아들 도시락 싸주는 날이 더 많아요. 먹을수가 없을 정도로 나빠서...

  • @user-tx8qu8kf2p
    @user-tx8qu8kf2p 3 месяца назад +13

    학교급식 이야기
    흥미로웠습니다.
    쓰레기분리수거도요
    # 우리한국사람들은
    잘몰라요. 항상 선진국들은 따로있다고, 알고있었으니까요.
    감사합니다

  • @user-a3n6g7el
    @user-a3n6g7el 2 месяца назад +7

    영양사샘이 식단을 짜고 모든걸 관리하고 조리사샘은 조리를 담당..

  • @MA-JJ
    @MA-JJ 3 месяца назад +68

    90년대에 초중고를 다니며 보온도시락을 갖고 다닌 나로선 군대가 인생 최초의 급식이었다😂

    • @custommedalprepare4455
      @custommedalprepare4455 3 месяца назад +1

      7,80년대에 초중고를 다니며 양은도시락을 갖고 다닌 나로서는
      부잣집 애들이나 갖고 다니던 보온도시락에 대한 로망이 있었는데

    • @wgbae1555
      @wgbae1555 3 месяца назад +4

      75년 서울 급식 시범학교로 지정되어 토요일에도 라면먹고 집에 갔음.

    • @user-kw4lz9rk8c
      @user-kw4lz9rk8c 3 месяца назад +4

      ​​@@wgbae1555 와 그렇다면 우리나라 전체 무상급식하기까지 35년정도 걸렸네요 😊

    • @wgbae1555
      @wgbae1555 3 месяца назад +5

      @@user-kw4lz9rk8c 유상이었으나 매우 저렴했습니다. 조리실 단독건물에 배식때 한 반에 담당학생 2-3명이 조리실로 가서 교실까지 운반했어요.

    • @seoseunghee7544
      @seoseunghee7544 3 месяца назад +2

      79년생인 저는 무상급식 받아본 적이 없네요.ㅎㅎ 애는 급식 먹는 대신 제가 직장에 저녁도시락 싸서 가요. 유상이라도 차려주는 급식 먹고 싶네요.ㅠㅠ

  • @billiboy535
    @billiboy535 3 месяца назад +9

    여러 가지주제에 다양한 얘기 너무 잘봤습니다 앞으로도 이런식으로 영상많이 올라오면 더좋을것같아요 ^^

  • @jongnamyang1356
    @jongnamyang1356 24 дня назад +1

    일단 학교에 원어민 쌤이 있다는게 너무 부러워요ㅠㅠ 우리 학교에도 있었으면 매일매일 쌤이랑 수다 떨었을텐데..ㅠㅠ

  • @tristesse6822
    @tristesse6822 3 месяца назад +8

    1983년생인 저는 급식 시스템을 일부만 겪어봤어요. 초등 때랑 중학생 때는 모두 도시락을 갖고 다녔죠. 그리고 제가 다닌 고등학교에 입학했던 1999년에 급식 시스템이 만들어졌죠.
    따로 급식실이 있지는 않고, 조리실, 음식 운반 엘리베이터 정도가 갖춰지고 각자의 반으로 식사가 옮겨지고, 교실 밖 복도에서 배식을 하고, 교실 자리에서 밥 먹었죠.
    학교 급식 시스템을 잠시 맛만 보고 끝났지만, 지금의 아이들이 부럽네요.

    • @lanigram
      @lanigram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저도 같은해 태어났는데.시골이라서인가 초등학교때도 급식을 했었죠 심지어 엄마들이 돌아가면서 학교오셔서 배식도우미?같이 일하시구요 중학교때만 도시락 갖고다녔네요 여튼 학교급식 참 좋았어요.

    • @oOppopppoOo
      @oOppopppoOo 2 месяца назад

      저는 87년생이고 초등(당시엔 국민힉교)입학때부터 학교에 급식실이 있었고 유상급식이 실행되고 있었어요.엄청 작은시골동네였고 거의 오지에 가까울정도로 학생수도 적고 그랬는데도 급식은 있었어요 93~94년도때였고 유치원다닐때부터 급식하는 언니오빠들 봤었으니 90년대 초반부터 유상급식이 실시되었다고 볼수있을듯.

  • @JamesRyu-dr3dn
    @JamesRyu-dr3dn 3 месяца назад +5

    와우~ 집중해서 츨연자 분들 말소리를 약간 빠르게 먼저 귀로 들으며 거의 동시에 자막 문장을 훑으면 잉글리쉬가 들리고 이해가 되는 신기함이 있네여 ! : D

  • @secondYC2
    @secondYC2 3 месяца назад +25

    한국의 급식 뿐만 아니라 한국의 교육도 자랑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왜 사람들이 사교육비를 무서워할 수 밖에 없고 그럼에도 학원을 3-4개씩 보내고
    애를 안 낳는지... 한국의 삶은 가족을 이루기에 좋은 나라가 아니다.

    • @user-fn1lj8ne7z
      @user-fn1lj8ne7z 3 месяца назад +14

      부모들의 조바심과 욕심이 낳은 병폐지, 교사들의 수준이 낮아서 생긴 일이 아니잖아요.

    • @secondYC2
      @secondYC2 3 месяца назад +3

      @@user-fn1lj8ne7z 부모탓이 아니라 구조적 문제입니다. 교사 탓을 하는 것도 아니고요.

    • @jadekim2106
      @jadekim2106 3 месяца назад +5

      부모들의 욕심도 한 몫.

    • @user-lg4qw5xx5w
      @user-lg4qw5xx5w 3 месяца назад +1

      ㅎ, ...당장의 현실이 그런 것이고, 미래를 알 순 없지만 적어도 훨씬 나아질 것이다. 왜냐, 한국이니까!!!!!!!!!!

    • @secondYC2
      @secondYC2 3 месяца назад +1

      @@jadekim2106 모든 인간은 탐욕적이에요. 그럼에도 국가마다 치안의 수준이 다르지요. 교육이라고 다를까요? 자식 교육에 대한 욕구도 욕구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제도와 구조의 관점에서 바라봐야 하는 거에요.

  • @user-od2kc2eb6c
    @user-od2kc2eb6c 3 месяца назад +8

    학교에 영양사와 조리사가 따로 있어요😊

  • @Ujumery
    @Ujumery 3 месяца назад +23

    몇년전 중학생 딸에게 교실에 공기청정기있냐고
    물었더니 없다고하더라고요
    미세먼지가 특히 심한날에 정말 걱정이돼서
    학교에 조심스럽게 전화했는데 아직 계획이 없다고해서 실망하고있었는데 그후 얼마지나지않아 교실마다 공기청정기가 설치되었다고해서
    매우 감사했던 기억이 나네요

    • @oOppopppoOo
      @oOppopppoOo 2 месяца назад +20

      기부해줄것도 아닌데 물어보기만 하는것도 학교측에선 부담스러울듯.아무리 의무교육이라지만 집에서 케어못해주는걸 학교측에 부담지우는건 좀 아닌듯.남의집 자식들은 잘 보내고 있는데..같은 학부모입장으로 설치되면 좋기야 하겠지만..쟤네 엄만 좀 극성이네 싶을거같아요

  • @user-bb2zs1cd1s
    @user-bb2zs1cd1s 3 месяца назад +25

    함께 갑시다. 화이팅! 화이팅! 화이팅!
    5천년 단군의자손 동방예의지국,대한민국만세! 우리는 이곳을 지키고 살아 왔다.
    하늘이시어 감사합니다. 이렇게 훌륭한 사람이 함께하는 세상을 주셨음을~

  • @ongochian
    @ongochian 3 месяца назад +9

    학교 건물은 교육부가 지정하는 규격이 있고 조금씩 디자인을 달리해도 괜찮은데. 비슷하죠

  • @user-iq3qf6le5m
    @user-iq3qf6le5m 3 месяца назад +5

    소소한 이야기가 재밌다.

  • @user-uh9tk6gy7z
    @user-uh9tk6gy7z 2 месяца назад +2

    학교에 도서관 사서로 한달에 한번 봉사를 나갔는데
    늘 급식먹을 생각에 즐거웠어요.
    너무 맛있었거든요.ㅎㅎ

  • @user-ri6eo3li9k
    @user-ri6eo3li9k 2 месяца назад +3

    7:18 교직원 급식 가격은 학교 규모, 초등 중등 마다 다르지만 대략 1끼당 4~8천원까지 오차가 큽니다. 가격이 저렴한 이유는 이윤을 남길 필요가 없어 재료값만 받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user-rl2df2np1o
    @user-rl2df2np1o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이 분들 자주 나왔으면 좋겠네요 😊😊

  • @user-wu2py6gm4y
    @user-wu2py6gm4y 3 месяца назад +4

    한국도 한땐 다른나라와 별반 다르지 않았습니다
    초중고 무료급식도 이제 10년정도 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사립초중고 같은 경우를 제외하고
    국.공립학교의 경우 학교의 질이 좋아지기 시작한건
    약 20년전쯤부터 개선되기 시작했습니다

  • @--ee6dm
    @--ee6dm 3 месяца назад +3

    Even 1950~1953 in The Korean all out war, some school classes are open to teach in some areas.

  • @irislee4899
    @irislee4899 Месяц назад +1

    한국도 무상급식 도입시 어떤 시장은 자기 직위를 걸면서 반대할 만큼 극심한 반대가 있었지만
    지금와서 생각하면 말도 안되는 반대였던거죠 여러 복지정책중 가장 성공적이고 뿌듯한게 아이들 급식을 무상제공하는 거였다 생각합니다

  • @user-li2rg5bz5r
    @user-li2rg5bz5r 3 месяца назад +14

    1970년초 강원도 탄광촌 국민학교에서는 10월이 되면 탄광에서 나오는 폐갱목을 제무시트럭으로 몇 트럭 학교로 싣고 왔었어요.
    학교 소사아저씨들이 톱질하고 도끼로 패서 장작을 만들어 창고에 보관했다가, 일정 온도로 떨어지면 각 학급으로 배급을 했는데
    각 반 주번들이 아침에 장작을 수령해서 난로를 피웠어요. 그런데 그 양이 충분하지가 않아서 의자에서 떼서 난로에 넣는 일들이
    많았었죠... ^^

    • @jeayeol
      @jeayeol 3 месяца назад

      혹시 사북초등학교는 아니시겠지요? 저도 사북출신이라서요

    • @MrTnsskyc
      @MrTnsskyc 2 месяца назад

      전 함태ㅎㅎ

    • @xenic1331
      @xenic1331 Месяц назад

      저희땐 조개탄이었죠 불은 오래가지만 화력은 형편없었던. 정기적으로 신문지 수거했는데 신문없는 학생들은 난감했고 싸대기 때리던 선생놈도 있었죠

  • @user-rl2df2np1o
    @user-rl2df2np1o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너무 좋은 영상이네요 잘보고 갑니다

  • @kkkjjjnnn7449
    @kkkjjjnnn7449 3 месяца назад +21

    영양사들이 식단을 공유하는게 많던데. 기업체 구내식당 메뉴나 고등학교 급식 메뉴들이 같은게 많더군.

    • @jacob_jaidee
      @jacob_jaidee 3 месяца назад +4

      그건 어느정도 인정해 줘야 하는게, 식단 짜는 거, 은근 스트레스 받는 일임.

    • @user-nm3mx3wn6b
      @user-nm3mx3wn6b 2 месяца назад +3

      친구 식단짜는거 봤는데 지인짜 힘들어용..한끼에 한정된 금액 내에서 2주내 같은메뉴 안됨, 색깔맞춰야됨, 육류나 어류의 밸런스 맞춰야됨, 시간내에 대량조리 이런거 다 고려해야해서..영양사 한명의 머리에서 다 짜내기엔 한계가 있더라구요😂

    • @user-rp7ge9pi7t
      @user-rp7ge9pi7t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집단지성으로 생각하면 좋을듯요^^

  • @1717inJ
    @1717inJ 18 дней назад

    수도권 신도시의 중고교를 다녔는데 중학교 땐 에어컨있는 교실은 아예 없었고 1996,97년에는 고3교실에만 에어컨이 있었어요. 그래서 여름에 계단으로 오르락 내리락 하며 고3교실이 있는 층을 지나갈 때는 시원함이 느껴졌죠.

  • @user-saedaegalgoja
    @user-saedaegalgoja 3 месяца назад +7

    막상 학생들은 맛없다면서 안 먹고 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 @user-us4fx3hp9s
    @user-us4fx3hp9s 3 месяца назад +12

    난 케찹이 야채에 속해있다는 거 보고 충격먹어서 ㅠㅠ 우리에게 소스는 그냥 양념일종이라...무속성인데

    • @user-yx5br2bp4x
      @user-yx5br2bp4x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케찹이 야채에 속해있다는게 아니라 그 납품업체에서 그렇게 주장하니 그게 논란이 된것임 케찹이 야채라면 이슈가 안됐겠죠

  • @Sia0221
    @Sia0221 Месяц назад

    어릴땐 도시락 싸다녔던 세대라 급식은 고등학교 이후에나 먹어봤지만 (중학교때 잠깐했던가...가물가물) 엄마가 된 지금 학교급식이 얼마나 감사하고 소중하고 행복한 일인것인지 아주 뼈저리게 느낍니다. ㅎㅎ 먹을 것에서는 어떠한 염려없이 안심하고 학교에 믿고 맡길 수 있다는 것도 우리나라의 좋은 정책이라 생각해요.

  • @AUD_HKD
    @AUD_HKD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이 선생님들 계속 나오시면 꼭 구독 하겠습니다 😂😂😂

  • @heonseungyi9555
    @heonseungyi9555 23 дня назад

    남아공 출신 선생님 리액션 쥑이네욬ㅋㅋㅋㅋ

  • @user-rw7ki9vh2l
    @user-rw7ki9vh2l 3 месяца назад +3

    무료급식은 진짜 신의 한수임.

  • @user-ch3zv9cx9h
    @user-ch3zv9cx9h 2 месяца назад +3

    고등학생때 급식카드 잘찍는반 후라이드 치킨 주는 이벤트 했었는데 울반이 항상이여서 저녁으로 치킨 대신 한적도있어요 것뿐만 아니라 수저도 급식실에 다있어서 3년 내내 챙긴적이 없네요

  • @user-km9ot8rk7y
    @user-km9ot8rk7y 3 месяца назад +9

    이야 요즘 한국 애들은 나때와는 다른 차원에서 사는구나
    근데 남아공 선생 리액션은 진짜 좋네
    흑인들 특유의 유머와 과장이 맛깔남

  • @oOppopppoOo
    @oOppopppoOo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나때도 급식은 있었지만 요즘애들 먹는거보면 무상급식인데 퀄리티도 더 좋아졌더라.세월이 흘러 나이먹은건 좀 서럽지만 세월흘러 세상이 좋아져서 내새끼가 잘먹고 다니는건 또 좋네.요즘은 어플로 뭘 먹는지 원재료가 어디서오는지 다 알수있으니 더 안심할수있는거같음.

  • @hayoun1
    @hayoun1 3 месяца назад +4

    33년전이 지났지만 국민학생 시절에 여름에는 선풍기 2대로 여름을 보내고 겨울에는 교실 중앙에 난로를 설치해서 주번이 오전 오후로 나눠서 화탄 배급 받아서 난방했었습니다 서울이였는데 제가 92회 졸업생이였죠.. 중학생때는 그나마 2학년때부터 에어컨 한대와 선풍기로 냉방했고 난방은 벽걸이 가스스토브로 난방을 했었죠 고등학교 졸업때까지 개별로 도시락 싸와서 먹거나 학교매점에 쉬는 시간마다 500원에 봉지라면 조리해서 파는 신라면 사먹었죠 당시 신라면이 250원~300원 했었네요
    중고등학생때는 대중교통이 환승시스템이 아니라서 학교에 회수권을 신청해서 타고 다녔는데 1인당 10장(1장당 10개의 회수권)씩 10장에 1만2천원에 구매할수있었고 액면가는 150원으로 할인된 가격에 구매해서 타고 다녔습니다 회수권이 떨어지면 현금줘야 했었고 나중에는 180원까지 올랐죠 아니면 지하철은 정액제 5천원권 1만원권 3만원권 으로 마그네틱 표를 사서 개찰구에 집어넣고 받아서 타고 다녔습니다

    • @user-zl4qt2bl9p
      @user-zl4qt2bl9p 2 месяца назад

      기억력 엄청 좋으시네요..
      가격을 다 기억하시니요..
      전 부산인데 80년대 초등때 선풍기, 난로 그런 거 일절 없었네요.
      중학교때는 선풍기가 있었던 것 같기도 하고.
      학창시절 내내 추운 교실에 난로가 없어서 떨었던 기억이...
      비 오는 날 맨뒷자리에 눈은 나쁘고 어두워 칠판 글씨가 안 보여 짜증났던 기억이...
      고교에 가니 첨으로 형광등이 있습디다.

    • @xenic1331
      @xenic1331 Месяц назад

      교환권 접어서 ㅅㅅ권 교환권으로 만들었던 ㅋㅋ 학주가 옛날분이라 라면은 고사하고 매점엔 빵 우유 쥬스만 팔았죠. 탄산도 없었던

  • @user-fn1lj8ne7z
    @user-fn1lj8ne7z 3 месяца назад +27

    한국 보다 더 선진국인 미국과 영국이 나라를 이끌 미래의 보고들에게 너무 인색하다는 느낌이 드네요.

    • @k.joomihyun
      @k.joomihyun 2 месяца назад

      한국도 선진국입니다

  • @user-xm2ir6eu4k
    @user-xm2ir6eu4k 2 месяца назад

    캠teacher is my english teacher she is so kind !

  • @user-tb7le9ul3t
    @user-tb7le9ul3t 2 месяца назад

    학교급식 만족할만해요~~!!!
    학부모로서 넘 감사할뿐

  • @user-ul7im1gs2b
    @user-ul7im1gs2b 3 месяца назад +3

    학교마다 영양사는 한 명씩 꼭 있답니다.

  • @user-wz1hs9oo7p
    @user-wz1hs9oo7p 3 месяца назад +5

    나 때도 지금처럼 급식이 저렇게 잘 나왔다면 키가 5cm는 더 컷을 듯 ㅋㅋ 내 키 돌리도 ㅠ

  • @Huehue2030
    @Huehue2030 3 месяца назад +2

    한국 학교에 들어가는 재료는 햇썹인증 무항생제 유기농 이예요

  • @user-dr3cq5lz2w
    @user-dr3cq5lz2w 3 месяца назад +1

    급식비는 요즘물가 인상해야하는데 학교시스템보단 학교공부열정 이게 제일!😊

  • @hobihobi21894
    @hobihobi21894 3 месяца назад +1

    난 급식 시범 학교여서 다른 학교 선생님들이 견학 왔음 우리 밥 먹고 있을때 교실 들어 와서 밥먹는거 구경 했음 😂

  • @user-xl9rr6dc7u
    @user-xl9rr6dc7u 2 месяца назад +3

    한국은 후진국 개발도상국이라고만 생각했는데 여행갈때마다 한국은 선진국이라는걸 느꼈어요 특히 분리수거 못할때 항상 죄지은 느낌이 들어서 힘들었어요

  • @user-so1zv5gv5n
    @user-so1zv5gv5n 3 месяца назад +6

    저렇게 잘 나와도 맛없다고 안먹고 밖에서 시켜먹는 애들도 있답니다

  • @ttankpak3814
    @ttankpak3814 3 месяца назад +3

    조개탄 난로에 양은 도시락 데파 먹던게 엇그제 같은데
    언제 이렇게 발전한거야....

  • @user-se3cs9tx3v
    @user-se3cs9tx3v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우리학교도 급식 겁나 맛있는데 영양사 샘의 영혼이 갈린.... 감사합니다

  • @pepe-bh6tz
    @pepe-bh6tz 3 месяца назад +5

    아무리 급식 잘나와도 한국음식 적응 못하고 점심시간에 햄버거 허겁지겁 먹는 원어민쌤들도 많은데 너무 칭찬일색이라 현실과 괴리감이 좀 있네

  • @gtpark1466
    @gtpark1466 3 месяца назад +10

    무상급식...이걸 이뤄내기 위해 얼마나 많은 요구를 했는지..
    자유와 권리는 그냥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투쟁한 만큼 딱 그 수준 만큼만 얻는 것이다.
    많이 했으면 많이, 적게 했으면 적게...그게 당신이 누리는 자유와 권리의 수준이다.

  • @lovely_yun
    @lovely_yun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이 영상보고 지금 느낀게 나도 봄 방학이 있었는데? ㅋㅋㅋㅋ

  • @cfhcxfcd756
    @cfhcxfcd756 3 месяца назад +7

    한국이 열심히 공부해 선지국 이 되고 보니 기존의 선진국 들이 얼마나 무늬만 선진국 이었는지가 한국을 통해서 모두 드러나니 이를 어쩌나

  • @pumukle7
    @pumukle7 2 месяца назад +3

    한국의 학교급식이 더 놀라운 건.. 무료인데다 음식 재료들이 모두 유기농이예요.

  • @k.joomihyun
    @k.joomihyun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아들이 하와이 공립학교 고등학생인데 점심을 거의 싸갑니다

  • @cherryink2126
    @cherryink2126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초등학교때 운동장에 있던 수도꼭지에서 보리차 나오고 스탠드 뒤쪽에선 수도꼭지에서 불소 나옴ㅋㅋ 6년내내 불소 꼬박한덕에 충치별로 안생김

  • @soheekim8370
    @soheekim8370 18 дней назад

    정말 미국에서 가장 답답한게 학교 급식이 안좋은 거. 못 먹는거 있는 애들도 꽤 많아서 그런 거 다빼고 하면 메뉴도 정말 한정적. 신선하지도 않고, 균형도 없고. 피자도 케첩도 vegetables 라고 분류하는 거 보고 할 말을 잃음. 최대한 도시락 싸서 보내는데, 지금 학교는 웃긴게 그러면 급식 먹는 애들이랑 따로 먹어야 됨. 아마 음식 알러지 그런 거 때문인 거 같은데, 그것 땜에 친한 애랑 같이 못먹어 좀 속상해 함. 또 다른 차이점은 채소나 재료를 그냥 잘라서 내주는 것 같음. 드레싱 같은게 있기도 한데, 한국처럼 요리해서 주면 더 잘 먹는 거 같음. 손이 많이 가고 양념도 더 들어서 돈 더 들어서 그런건지….

  • @MrTnsskyc
    @MrTnsskyc 2 месяца назад

    나땐 4교시 종이 울리고 선생님이 끝내주시면 바로 급식실로 뛰어갔는데 😂. 아이가 커서 급식모니터링 가보니깐 진짜로 자리도 정해져있어서 놀랬던 기억이 ㅎ

  • @joshgosh._.
    @joshgosh._. 3 месяца назад

    미국인은 강하다😳

  • @hlcb8862
    @hlcb8862 3 месяца назад

    i am korean american and have gone to elementary in both the US and Korea in the 90s. Korean schools in an urban area at that time had 40-50 kids per class with 10+ classes in each grade. Really interesting to see the direct effect of low birth rates.

  • @sunny-ez2wr
    @sunny-ez2wr 3 месяца назад +1

    학교에 영양사가 있어서 매일 만들어진 음식을 점검하고 염도까지 체크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lovejj943
    @lovejj943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이렇게 깨끗하고 밥도 잘나오고 하는데 외국으로 유학 가랴는게 아이러니.....한국은 그나마 안전하기라도 하지. 총기사고가 교실에서 나는 미국에 애를 보내려는게 참

  • @hjlee252
    @hjlee252 2 месяца назад

    급식은 정말 대단한 복지가 맞다!!!

  • @sphialee4047
    @sphialee4047 3 месяца назад

    모든학교에 영양사 1인 있고 영양사를 계획표에따라 매일 조리사들이 조리합니다~^^

  • @anthonylim2428
    @anthonylim2428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저 흑인분하고 친구하고 싶네요 ㅎㅎㅎ 재미있는 분인듯..

    • @user-wf2cq7yz2y
      @user-wf2cq7yz2y Месяц назад

      저 학원다닐 때 원어민선생님으로 계셨는데 웃음도 엄청 많으시고 공감도 잘해주시는 분이셨어요! ㅎㅎ

  • @user-np8xn2dy4p
    @user-np8xn2dy4p 2 месяца назад

    23:04 한국에도 혁신학교(공립)는 봄방학(5월초) 가을방학(10월말)이 있어요. 각각 일주일씩 ㅎㅎ

  • @alnestnd
    @alnestnd 3 месяца назад

    94년도 까지 거의 매일 김밥으로 도시락을 싸주신 어머니..것두..새벽에 일을 나가 시는데..저는 어린.맘에 다른 애들이 싸오는 동그랑땡이나 햄 같은게 부러웠었는뎅..지금 생각해 보니 엄청나게 힘드 셧을 것 같아요..ㄷㄷ다행히 5학년 부터 다른 학교에서 급식을 먹어서..부담을 덜어 드린 것 같아서 좋앗다고 생각 되네용..

  • @user-ez4je6ln1z
    @user-ez4je6ln1z 20 дней назад

    모든 학교가 저러는게 아니에요 ㅠㅠㅠ

  • @user-xu4dl5ig7u
    @user-xu4dl5ig7u Месяц назад

    16:55 실제로 급식으로 유명한 학교에 많이 나오죠 저희 학교는 스쿨어택이라고 셰프님들이 급식 요리해주시는 이벤트를 한적 있어서 랍스터랑 전복 버터구이가 하나씩 나왔었던 기억이 있네요... 그때 거의 처음 먹어본것 같아요 ㅋㅋㅋ 안에 보면 셰프님들이 토치질 엄청 열심히 하시는게 보였음 ㅋㅋㅋ

  • @minkiehur9950
    @minkiehur9950 3 месяца назад +1

    미국에서 애들급식표보고 한국같으면 부모들이 이런걸 급식이라고 애들을 어떻게 먹이냐고 시위했을텐데 라고 생각했던 적이 있었네요.. 너무 인스턴트가 많아서요

  • @ehowlduwk2998
    @ehowlduwk2998 3 месяца назад +2

    한국은 지금요.... 고등학교 까지는 무상급식 , 무상교육 ( 학비 없슴 ) 입니다,

  • @user-dp8tv1hl7g
    @user-dp8tv1hl7g 3 месяца назад

    한국 모든 학교에는 영사자격증을 가춘 영양사가 항상 어느학교든 있어요
    나이에 맞는 영양소를 기준으로 한다고 알고 있답니더

  • @younhajeong-lw3zb
    @younhajeong-lw3zb 3 месяца назад

    오른쪽 안경선생 겁나 귀엽게 생겼네

  • @sabinalee5300
    @sabinalee5300 2 месяца назад

    😊영국선생님 발음이 미국화된 것 같음 😂

  • @user-wv6jo4ss6z
    @user-wv6jo4ss6z 2 месяца назад

    현재 외국인들은 모르겠지만 제가 초등학교&중학교까지만해도 도시락 싸갔어요

  • @nirvana2042
    @nirvana2042 3 месяца назад +2

    한국 급식은 최강이지 심지어 무료

  • @soo9912
    @soo9912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우리나라는 좀비가 나와도 ‘일단’ 출근, 등교하세요 이럴거라고 한거 개웃겼는데

  • @user-bi9bb4sh9b
    @user-bi9bb4sh9b 3 месяца назад +1

    30년후 인구 반토막 ㅜㅜ

  • @S_.H._C
    @S_.H._C 3 месяца назад

    재넨 도대체 어디 영어 학원을 다녔지 스피킹 원어민 처럼 하네 부럽다 😂😂😂😂😂😂

  • @user-jb1ik3ck1j
    @user-jb1ik3ck1j 3 месяца назад

    급식 엉망이면 학교 뒤집어지죠 ㅋㅋㅋ

  • @hungry_human
    @hungry_human 2 месяца назад

    "한국인은 밥심이다"를 표현한 작품이 한국 학교 급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