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보다 더 독한 놈이 나왔다. 게임하는 인공 뇌세포 개발 성공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 @호랑좌
    @호랑좌 2 года назад +762

    이 정도까지 대중에게 공개됐다면 누군가는 이미 인간을 뛰어넘은 인공뇌를 만들었을지도 모르죠. 미군이나 공산권 국가 등 윤리적으로 아무도 문제삼지 못하면서 기술은 충분한 단체가 얼마든지 있으니...

    • @softdragon
      @softdragon  2 года назад +387

      걸리지 않으면 죄가 되지 않으니까요.

    • @쿠쿨칸-q1o
      @쿠쿨칸-q1o 2 года назад +143

      오픈된 군수 산업은 빙산의 일각이란 말이있죠

    • @김용수-x3l6n
      @김용수-x3l6n 2 года назад +91

      이미 복제인간 인공장기 다 하고 있을듯

    • @Y-SS8888
      @Y-SS8888 2 года назад +12

      인공인간 이라 재밌긴 하네요

    • @jojo-p6i2g
      @jojo-p6i2g 2 года назад +37

      확실히...중국이나 어딘가에선 애저녘에 만들었을 듯...

  • @green_dollar_sign
    @green_dollar_sign 2 года назад +69

    마지막 말에서 깨달음을 좀 얻었는데,
    인간의 뇌를 딥러닝으로 따지면
    수십억년동안 셀수 없을만큼의 에이전트가 굉장히 광범위한 환경에서 광범위한 활동을 하며 학습한 결과중에 80억 개체의 평균이니까 어마어마한 가치를 지닌듯 합니다

    • @qidjdn
      @qidjdn 2 года назад +14

      남세균부터 고려하명 수십억년동안 학습하고 그 학습 결과를 자손에게 유전, 교육으로 물려주니 더 대단하죠.
      인간이 빠르게 발전한 이유는 문자라는 그들만의 체계로 학습한 내용을 교육,전승 할 수 있으니 딥러닝에서도 이런 기술을 사용하죠

  • @junname.1600
    @junname.1600 2 года назад +46

    와 진짜 10~20년은 아니라도 1세대 정도 뒤엔 어떤 결과물들이 있을지 상상도 안되네

    • @elgato1677
      @elgato1677 2 года назад +5

      아마 ai가 리니지 성은 다 먹고 있겠죠. 사람의 뇌로는 도저히 이길 수 없어서 어느순간 ai를 차단하겠지만
      그것마저도 ai가 스스로 해킹으로 뚫을듯

    • @arankang
      @arankang 2 года назад

      6.25이전 사람에게 과거로가서 핸드폰 설명하기가 매우 어렵겠는것처럼... 혹은 전신통신 이전 세대에 가서 말이죠.

    • @monster_88
      @monster_88 2 года назад

      최소 대머리완치는 아닐듯 ㅋㅋ

    • @jingbabue7448
      @jingbabue7448 2 года назад

      현세대 사람은 대머리 못 고치지만 미래에는 유전자 편집으로 잚은 대머리들은 없을듯

  • @laplacia
    @laplacia 2 года назад +2

    이 분야 전공하고 박사를 받은 사람으로서 말씀드리지만 ai는 자신이 뭘 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알고 하는게 아니라 그냥 하는겁니다.

  • @조유준-d5f
    @조유준-d5f 2 года назад +45

    뇌과학 쪽에 상당히 관심이 있는 편인데 굵직한 소식이 나왔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추천!

  • @노력하자-r1z
    @노력하자-r1z 2 года назад +25

    제 두뇌를 나노머신으로 입자단계로 분리해서 그 인공뇌로 다시 합치고싶네요. 진심 부러운 기술이지만, 금기의 냄새가 나기도해요.
    그리고 인공뇌에 내 기억과 의식을 설치하면 그건 단순한 복제품일까? 아니면 내 이름을 이어갈 또다른 나일까? 하는 궁금함도 있고요

    • @Do_Mindfulness
      @Do_Mindfulness 2 года назад +4

      님 게임 스토리 SOMA 보시면 재밌어 하실거 같네요. 진짜 나라는 존재가 무엇인가를 통찰하는 영화입니다.

    • @softdragon
      @softdragon  2 года назад +3

      와! 감사합니다 여종현님!!

    • @Moonshiwoo29
      @Moonshiwoo29 2 года назад

      테세우스의 배가 떠오르는 생각이네요

  • @uzsoda5778
    @uzsoda5778 2 года назад +262

    지성을 가진 로봇을 만들어 전쟁을 벌인 초인공지능에 대한 소설을 쓰고 있었는데 그 보스를 초인공지능으로 세팅하기엔 뭔가 부족하다는 느낌이 늘 있었습니다. 이 영상을 보고 인공뇌라는 소재가 더 없이 좋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관심 감사합니다... 제게 너무 과분한 반응이네요.
    강의 기말제출 목적으로 쓰고는 있는데 아무래도 제가 애니메이션을 좋아하다 보니 "재밌다" "십덕만화같다"는 학우들의 평이 갈려서 스스로도 많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고민하고 있습니다. 언젠가 친구랑 만화로 낼 수 있으면 내볼 생각이니 정말로 출고한다면 부족하지만 관심 한 번씩만 가져주세요. 다시 한 번 감사합니다.

    • @Fact_Pokuk
      @Fact_Pokuk 2 года назад +10

      오 책 제목 뭐임? 나중에 사드림

    • @naya9046
      @naya9046 2 года назад +4

      ㄷㄷ

    • @애니프사
      @애니프사 2 года назад +5

      아 로보브레인 ㅋㅋ

    • @12R10ZY
      @12R10ZY 2 года назад +2

      어... 스승님!.....저를.... 재자로 받아주새요

    • @anpandago4215
      @anpandago4215 2 года назад +6

      애니 사이코패스 ~ 시빌라 시스템

  • @ByungsuPark
    @ByungsuPark 2 года назад +4

    얼마전 NIPS에서 DishBrain 개발사인 Corticallabs founder인 Dr. Hon을 직접 뵈었습니다. 정말 똑똑하고 열정적인 분이셨고, 인간 뉴런을 인공적으로 학습 시켰다는 점에서 앞으로 인공지능의 개발 방향이 크게 바뀔수도 있는 놀라운 연구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gmeguming8435
    @gmeguming8435 2 года назад +9

    당신같은 유튜버가 있다는게 너무 큰 축복입니다.
    정말 재미있게봤어요ㅠ 가슴이 두근거리는 영상이네요

  • @jrodgrey51
    @jrodgrey51 2 года назад +60

    확실히 완전한 사람을 잡아다가 연구하는것 보단 윤리적인 문제도 피해갈 수 있으면서 효과적인 방법인듯 합니다. 영상 잘 봤습니다 :)

  • @김대형-l2f
    @김대형-l2f 2 года назад +19

    치료제 보다 먼저 나올것이 완벽한 VR 이겠군요...ㄷㄷㄷ 그리고 안전한 마약

  • @hominpark5249
    @hominpark5249 2 года назад +82

    연구 단계에서는 그닥 큰 저항이 없을거같은데 저게 상업화되는 순간 윤리적 문제 제기가 엄청날 것 같긴 하네요

    • @softdragon
      @softdragon  2 года назад +66

      그렇게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연구진도 거의 모든 언론사 인터뷰에서
      "얘는 의식이 없다"고 강조한게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 @Dbdb-_-
      @Dbdb-_- 2 года назад +8

      그림에게까지 권리를 운운하고 윤리적 문제 제기가 끊이질 않는데 예를 들어 야애니 아청법이나 이루다 등등 ㅋㅋ

  • @차아차아차차
    @차아차아차차 2 года назад +15

    연구하다가 "힘들어" "아파" 라고 신호를 보내면 기분이 어떨까

    • @qpxndnffj6538
      @qpxndnffj6538 2 года назад +6

      아마 실험실에서 곧장 튀어나갈듯요 개무섭네..

    • @kr900924
      @kr900924 2 года назад +5

      대학원생을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bylcherno
      @bylcherno 2 года назад

      자멸반응이 나타나면 그 전 단계가 아마 힘들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 @mydyuna
      @mydyuna 2 года назад

      @@kr900924 😂😂😂❤

    • @ASH_LYJ
      @ASH_LYJ 2 года назад

      아픈가보다 하겠지

  • @finedust999
    @finedust999 2 года назад +92

    논문 내용은 모르겠지만 최초의 벽돌깨기 AI 그리고 그 이후에도 상당수 비슷한 류의 게임 AI들은 입력이 2차원 비트맵이었다는 걸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소개해주신 뉴런에 대한 입력은 좀 더 구체적인 의미가 부여된 입력이죠. 이 차이는 분명히 영향이 클 것입니다.

    • @물개튜브-d9y
      @물개튜브-d9y 2 года назад +44

      여기 그냥 책팔이 과학뽕채널임 ㅋ

    • @우이천
      @우이천 2 года назад

      어짜피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모든 명령은 1차원 비트임 ㅋㅋㅋㅋ

    • @finedust999
      @finedust999 2 года назад +3

      @@우이천 잘 이해 못했으면 굳이 말을 얹지 않아도 됩니다

    • @우이천
      @우이천 2 года назад

      @@finedust999 뉴런도 추상화만 하면 컴퓨터로 본뜨는거 가능함 ㅇㅇ 본인이 만드신 프레임을 왜 이해해줘야하죠? 상징적인 언어로 포장해놓은걸 제가 이해해야 그제서야 본질적인 이야기가 가능하다고 생각하시는건가?

    • @rlarbals
      @rlarbals 2 года назад

      @@finedust999 2차원 배열도 결국 1차원 배열인거 맞지 않나요? 저분이 뭘 이해를 못했는지 모르겠네요.

  • @멋진빈
    @멋진빈 2 года назад +11

    다른 바이오분야중에 가장 치료제가 안나오는쪽이 뇌에 관련된 질환들이죠. 암이나 다른 질병들은 유전자나 단백질이 잘못된 부분을 명확히 찾아서 타겟으로 하는 치료물질들을 발굴하고 치료제를 만들려는 시도들이 꾸준히 일어나고 있는데 알츠하이머 같은 뇌질환은 아직까지 왜 질병이 일어나는지를 명확하게 찾아내지도 못했습니다. 다른 장기보다 실험자를 구하기도 까다롭고, 뇌 자체가 다루기도 힘들기 때문입니다.얼마전 해외에서 나온 치료제 하나가 유일한데 그마저도 뇌부종,뇌출혈을 유발하여 생산이 보류되었습니다. 10명중에 1명에게 발병한다는 치매는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 전체를 힘들게 하죠. 부디 이러한 혁신적인 바이오 업체들이 꾸준히 발굴되어 치매의 위험으로부터 해방되었으면 합니다.

    • @oinkoink6906
      @oinkoink6906 2 года назад

      planet of the apes

    • @frstfrstfrst
      @frstfrstfrst 2 года назад

      어차피 bbb넘어가는 물질이 제한적이라 먹는 치매약을 개발하느니 인공뇌세포를 이식하는게 나을수도

  • @water1236
    @water1236 2 года назад +14

    빨리 뇌의 구조를 파악해서 뇌관련 의학도 발전했으면 좋겠네요...그러면 치매도 더이상 불치병이 아니게되겠죠 ㅠㅠ

  • @yujinan9329
    @yujinan9329 2 года назад +1

    와...에스오디 이분 진짜 대단하다. 어떻게 과학 내용을 이렇게 재밌게 설명하는 걸까요. 사람들의 흥미를 끈다는 점에 대해서 영상 보면서 배울 점이 많네요

  • @ch1erokee1oyster98
    @ch1erokee1oyster98 2 года назад +2

    2:17 모습 -> 무릎
    2:37 의식이 -> 의식이 있기
    형 너무나도 흥미로운 내용이라 일단 급하게 올리고 봤구나?!

  • @goyangyi
    @goyangyi 2 года назад +5

    인공적으로 분화된 인간세포가 이용가능하다면 앞으로는 동물 실험이 전혀 필요하지 않게 될테니 정말 좋은 기술입니다

  • @user-qw5ty1pi88
    @user-qw5ty1pi88 2 года назад +1

    빨리 사람과 흡사한 인공지능 여자 로봇 청소,빨래,요리,성생활까지 실제 사람과 똑같이 가능한 인공지능로봇이 모든 독신들에게 저렴하게 판매되는 날이 오길 기다리겠습니다.

  • @11_Gaius_Julius_Caesar
    @11_Gaius_Julius_Caesar 2 года назад +2

    난자와 정자가 수정되어 수정체가 변하여 줄기세포에서 처음 여러 세포로 바뀔 때 수명도 이때 다 정해집니다.
    남에게 명령하기 좋아하고 위에 군림하려는 정치가 쪽 세포는 신경세포가 되고요. 여기서 지들끼리 누가 우수한지 싸우면서 우수한 쪽은 뇌쪽 세포가 되고 패배한 쪽은 신체 각지에 퍼진 신경이 됩니다.
    화학적 같은 기술에 능력 있는 자는 기술직에 속하는 간이나 신장 같은 내장세포가 됩니다.
    육체적으로 뛰어나 운동능력이 뛰어난 운동선수 같은 경우엔 근육세포가 됩니다.
    다른 세포들간의 전투와 살육에 뛰어난 킬러 군인 같은 경우엔 면역세포가 됩니다.
    이런식으로 한번 정해진 이후로 수명이 다할 때까지 유지 되다 다 같이 죽는 것 입니다.
    일부 조직이 손상되면 교체는 되지만 혈액세포류와 면역세포류 예외로 피부세포가 아닌 이상 통상적인 일반적인 조직 세포들의 수명은 그 개체의 수명과 같습니다. 질병이나 타박상으로 일부가 죽어서 바뀔 수 있습니다.
    즉 내가 하고픈 말이 뭐냐면 인체는 나라와 다르게 세대교체가 없다는 것 입니다.
    있으면 영원히 사는 몸이고요. 이딴 거 없으니깐 사망하는 것 입니다.
    이 이야기를 왜 하냐고요?
    신경세포 분화라는 것은 인간 세포나 그 종의 세포 중에서 정치질 하는 것에 특화된 세포만 그리로 분화하는 것을 말한다는 사실입니다.
    분화 과정에서 잘못 분화되어 제대로 된 조직 모습을 구현에 실패하면 선천적인 질환을 가지며 절대로 치료가 불가능합니다.
    외계인 기술로도 이는 불가능합니다.
    강제로 바꾸면 그건 치료가 아니라 살인하여 다른 개체로 만드는 과정이기 때문이지요.
    선천적인 뇌 질환의 경우엔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치료가 불가능합니다.
    환자를 죽이고 새로운 자를 만드는 것만 가능하기 때문에 살인이 치료가 될 수 없으므로 불가능하죠.
    치료는 후천적인 것만 가능합니다.
    이런 유형은 DNA 자체가 오염되어 DNA 자체가 불량 상태가 된 거라 죽음 외에는 치료가 없습니다.
    ps - 예외적으로 이런 치료도 가능하긴 합니다.
    DNA 검사를 하여 DNA가 정상일 경우에만 한해서 할 수 있죠.
    다만 다른 장애를 않게 되는 것을 각오해야 하죠.
    뇌의 어딘가가 정확히 망가진 것인지를 알 수만 있다면 다른 신체의 조직 신경세포와 교환하는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망가진 뇌의 세포를 찾아내 정확히 뜯어낸 후 ... 기타 잡 부위에 있는 예를 들어 쓸일이 없는 새끼발가락의 신경세포와 맞 교환할 수도 있지요.
    이 경우 뇌 뉴런 세포는 차이가 없기 때문에 정상이 될 가능성이 있으나 뜯겨진 새끼발가락이 마비가 올수는 있습니다.
    뭐.... 이런 건 나중에 줄기세포 주사 맞으면 마비 온 것은 금방 치료되니깐 큰 문제는 아닐 것 입니다.
    그럼 그냥 망가진 뇌에 줄기세포 주사 놓으면 되는 건 아니냐고 할 순 있는데
    학습이 필요한 부위의 뇌라면 차라리 아무 신경세포나 빼다 박는 게 더 낫습니다.
    줄기세포 주사로는 재생은 되어도 학습할 시간이 없어서 여전히 제 기능을 하지 않을 확율이 더 높거든요.
    뇌는 게을러 터져서 놀아도 되면 계속 잉여존재처럼 놀려고 듭니다.
    즉 아무것도 모르는 뇌세포 넣어봐야 일도 안하는 망가진 뉴런과 별 차이가 없으니
    그나마 신경 세포로써 경력이 있으 되 조직의 위치상 의사표현이 거부 당한 말단 신경 세포가 그나마 일을 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 입니다.
    신체는 정치사회와 같으니까요.
    정치인이 일 안하는 직무유기를 한다고 해서 그를 해고하고 아무것도 모르는 갓난아기나 어린 아동 같은 미성년자를 그 자리에 않힌다고 제대로 일할리가 없는 거랑 같습니다.
    이는 초기 수정체의 줄기세포에서 뇌 뉴런으로 가야 할 세포가 어떠한 불의의 사고로 발가락이나 같은 그냥 일반 신경 세포로 이동 되는 불운이 생길 경우... 즉 이 경우엔 뇌 자리에 발가락 신경 뇌 세포 같은 말단 신경 세포가 가야 할 자리에 못 가고 서로의 신경 세포가 분열 하는 과정에서 서로 교체가 되는 사고가 발생하면 선천적인 뇌 질환 환자가 됩니다.
    PS 2- 하~! 근데 이 것들 중 기술력 부족해서 이 들 중 1가지라도 가능한 건 아직 없지 않나요?
    DNA가 정상인지 검사할 능력도 없는 것 같고
    뇌 세포와 교채된 사지의 신경세포를 찾아낼 기술도 없어 보이고 (이런 경우라면 말단 신경세포 주제에 다른 신경세포와 다르게 활달한 움직임이 있다. 신경세포의 개별로 추적할 기술 없으면 찾을 수 없다) 뭐........ 가능한 게 하나도 없어 보이는 군... 더 기다려야 하나 보구먼.
    역시 지구는 오지라는 말이 맞아... 여긴 역시 우주의 무인도야..........

  • @ing_ha
    @ing_ha 2 года назад +5

    이런걸 보다보면 느끼는게 이런 연구가 점차 발전할수록 끝은 허망하고 아무것도 없을것같음...
    우리 인생은 결국 뭔가 배우고, 성취하는게 전부라고 생각함
    하물며 게임을 할때조차 해당 게임을 배우고, 수행하는 과정에서 재미를 느끼는건데...
    이런 연구의 끝은 결국 인간의 지능이 AI처럼 발전한다는건데 과연 그렇게된 사람이 배우는것에 대한 재미를 느낄 수 있을까요?
    1을 배우면 모든걸 다 알게되는 사람은 인생을 살 이유를 어디서 찾을까 생각해보게되네요

    • @김지민-z2q8y
      @김지민-z2q8y 2 года назад

      결국 인간의 가치가 한없이 무의미해지는걸 알게되니까 그런 생각이 듬

    • @WNavi
      @WNavi 2 года назад

      아직은 그 단계까지 고민할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우주로만 시선을 돌려도 오히려 그런 발전은 기본조건에 불과하니까요. 모든걸 다 알게된다는건 전지의 개념인데 오히려 기대되네요. 전지하다고 전능할수없을텐데 어떻게 발전해나갈지.

    • @tlerset6244
      @tlerset6244 2 года назад

      그래서 신을 믿는거임
      인간이 가진 가장 최종테크가
      신과 닮아가는것이니까

    • @망상맨이야
      @망상맨이야 2 года назад

      @@tlerset6244 신이 뭔지 아직 정의도 못내려졌음

    • @망상맨이야
      @망상맨이야 2 года назад

      @@tlerset6244 기독교에서는 완전히 절대선의 군주가 신이라고 믿지. 기독교를 믿는다는 전제에서 너의 말대로면 우리는 완전히 도덕적이기 위해 노력해야됨.
      물론 후에 완전히 신이 된다기 보다는 가장 위에는 하나님이 있는 종속관계의 신이 되는거지만
      거기에 덧붙여서 기독교가 다른 종교와 정말 차별되는 점은 인간은 어짜피 완전히 도덕적으로 되기가 불가능하니 신의 도움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지.(이로 인해 내가 남들보다 상대적으로 도덕적 우위에 있다고 생각하는 오만 또한 차단함 또 이로 인해 우리는 성취와 상대적 우월감으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고 하는 것 또한 주장함.)

  • @룩필름
    @룩필름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1:26 이래서 스카이넷이 탄생하는거구나

  • @RuSi_AeNa.
    @RuSi_AeNa. 2 года назад +5

    전 벌써 무섭네요.. 완벽하게 이해하고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면 뇌 해킹도 보다 빨라질거로 생각됩니다..
    내 몸을 내 의지대로 할 수없는 시대..

  • @최-p6d
    @최-p6d 2 года назад +1

    단발도 잘 어울리시네요

  • @owleyez
    @owleyez 2 года назад +2

    와 오늘 영상은 생각이 많아지네요. 인공지능도 아니고 뉴런만으로...

  • @Matou-Sakura
    @Matou-Sakura 2 года назад +8

    생동성 실험 알바 3,4번 해봤었는데.... 이젠 기술의 발전에 철학이 좀더 협업이라고 할까, 간섭이라고 할까...좀 개입을 해야할 때가 오는것 같네요. dishbrain 이 인간이 아니라면.... 뇌의 일부분만 생체조직인 로보캅이나 신체의 대부분이 기계인 ( 미래의 ) 인간도 인간이 아니게 될테니까요.....

  • @hyeonproject
    @hyeonproject 2 года назад +15

    정말 대단하네요. 이런 점이 증가하면서 나오느 기술의 윤리에 대해서도 고민을 많이 해야할꺼라고 봅니다. 기술을 제한할 수 없지만 기술에 방향을 제시해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이드네요.

  • @요구르트아이스크-s8l
    @요구르트아이스크-s8l 2 года назад +2

    항상 내가 생각했던것이네요 전아직 컴공과 대학생 이지만 인간이 만물에 의미를 두는것은 목표가 있어서 가능 한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그 목표가 바로 생존과 번식이라 생각했는데 우리가 단세포생물에서부터 진화 하면서 생존과 번식을위해 여러가지 경험들이 dna 에 저장되왔다고 생각했어유

  • @gom798
    @gom798 2 года назад +40

    우리의 창조주가 "이봐, 우리가 만든 통속의 뇌가 통속의 뇌를 만들기 시작했어!' 라면서 낄낄대고 있을지도 모른다고 상상하고 말았습니다.
    진짜로 요즘 개발되고 있는 연구들을 보다 보면 '나는 무엇인가' 라는 의문이 계속해서 들고 있습니다...

    • @JeongMini1994
      @JeongMini1994 2 года назад

      창조주는 성격이 사랑 자체인데
      과연 낄낄대고 계실지...; 무서운 말씀 마셔요

    • @Youtube블루-q5y
      @Youtube블루-q5y 2 года назад +1

      창조주가있다면 그런 저급한 생각은안할듯
      이미 모든걸 알고있는사람일테니 ㅋㅋ

    • @Blulilu
      @Blulilu 2 года назад +25

      윗 답글들... 모르는 거임 종교는 일단 논외로 치고 말해보자구요. 지금 통속의 뇌를 만들고 있는 인간을 보세요. 모두가 자비롭고 진리를 알고 천지를 사랑하고 그러나요? 우리가 또다른 창조주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면, 우리의 창조주가 있다고 가정할 때.. 그도 한낱 지성체일 뿐일 수 있다는 겁니다.

    • @dshin6695
      @dshin6695 2 года назад

      창조주도 어차피 똑같은 고민함 ㅋㅋㅋ

    • @림보-o1y
      @림보-o1y 2 года назад +2

      그 창조주들도 통속의 뇌

  • @하별-e5y
    @하별-e5y 2 года назад +1

    뇌는 학습이 만드는 것일수도 있겠네요 사람도 원주민은 "우우" 거리며 사람의 관점에서는 생각이란게 없어보이는 고릴라랑 마찬가지 잖아요
    뇌에 문제가 생겨서 식물인간이 된 사람들도 깨어나면 대부분이 다시 학습과 재활운동으로 회복하더라구요

  • @텅빔속의충만함
    @텅빔속의충만함 2 года назад +1

    눈이 없는데 영상을 인식한다는 것은
    뉴런이 영상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여 움직임을 파악하는 것으로 보인다.

  • @25everfree
    @25everfree 2 года назад +1

    연구의 방향성이 정말 중요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악용의 소지가 무한히 많을 것 같아요.

  • @YJ-ek2nz
    @YJ-ek2nz 2 года назад

    의식이라는 것은 허구라고 봅니다, 바늘로 찌르면 아픔을 느끼는 것처럼 모든 것은 어떤 자극에 대한 반응일 뿐이라고 생각해요

  • @Kim_HyungGon
    @Kim_HyungGon 2 года назад +1

    뇌에 먹히는 약물을 찾는 것도 중요하지만, BBB라 불리는 방어막을 뚫고 뇌까지 들어갈 수 있는 물질인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 @HOJ-jp1kz
    @HOJ-jp1kz 2 года назад +1

    뇌질환이 고쳐지는것보다 뇌질환이 생기면 그 부위만큼 대체되는 날이 먼저 올수도 있을지 모릅니다.

  • @고양이액체설-d8r
    @고양이액체설-d8r 2 года назад +1

    인간의 줄기세포를 쓴다라...
    상당히 민감한 주제로 가지 않을까 싶긴 합니다
    아무리 아무리 인공 뇌에게 의식이 없다는 것을 강조하고 줄기세포라고는 해도 이런 일이 계속 되다 보면 나중에는 더욱 정확한 실험 결과를 얻기 위해 결국 배아줄기세포를 사용하는 날도 오게 되지 않을까요? 치료의 가능성이 열리고 그러는 것은 좋지만 윤리적으로 언제나 괜찮다 라고 말할 수 없는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항상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영원한소원만족3532
    @영원한소원만족3532 2 года назад +3

    당장 수술을 앞둔 사람처럼 두렵고,꿀벌이 빨리 꿀을 만들어 그걸 먹고싶다는 심정으로 기대가 되네요......

  • @july684916
    @july684916 2 года назад +3

    지금은 5분이 걸리지만 나중에는 1분내 몇초안으로 끝날것 같네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annms8
    @annms8 2 года назад +12

    사람도 저 이상의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그렇게 하지 못하는 것은 수 많은 노이즈가 있어서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소리를 듣고, 주위의 감정을 느끼고 등등
    몇몇 천재들이 신발끈도 못 묶거나 하는 이유는 그 노이즈(일상 생활에 필요한 것들 소리, 감정 파악 등)에 둔감하기 때문입니다, 그런 둔감함이 천재성을 발휘할 수 있는 요소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 @blessed_on_w
      @blessed_on_w 2 года назад +4

      간섭이라.. 일리가 있네요. 실제로 사람이 몰입할 때는 주변 자극을 다 차단하죠..

  • @tsj4455
    @tsj4455 2 года назад

    스카이넷님 충성충성!!!

  • @하하하하하하하-l7c
    @하하하하하하하-l7c 2 года назад +1

    이제 인간따위는 짜져있고 AI와 인공 뇌세포의 맞짱을 보면 되는건가요?

  • @FTL3RR
    @FTL3RR 2 года назад +1

    한 10년 후에는 컴퓨터 circuit들이 금속이 아니라 뉴런으로 구성되는 날이 올지도 모르겠네요... 본체 대신에 통속의 뇌가 있을지도요.

  • @이진호-y3t
    @이진호-y3t 2 года назад +10

    자극에 대한 반응이 저런 학습을 할수 있는거보면
    뇌의 항상성 유지가 어떻게 형성됬는지 알수도 있겠네요.

  • @mathematicallogic7721
    @mathematicallogic7721 2 года назад +1

    의식은 현재에만 존재한다. 그런데 우주에는 현재가 없다. 그러므로 의식의 실체성은 착각이다. 의식은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일 뿐이다. 의도, 의지 같은 것들은 의식 즉 정보로서 저장된 인과관계일 뿐이다.

  • @진도령-q5j
    @진도령-q5j 2 года назад +1

    과학이 윤리보다 먼저 달릴수록 인간은 종말에 다가갈거에요

    • @잘알랴줌-x8i
      @잘알랴줌-x8i 2 года назад

      아주 틀린 말씀은 아니죠.
      과학기술이 그 윤리보다 먼저 달린 결과 원자폭탄 무기는 2차 세계대전에 종지부를 찍는 결정적인 계기가 됐습니다.
      그리고 전쟁에서 승리한 국가의 민주 정부는 더욱 공고하게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지요.
      그러나, 기술의 발전과 그 편리함이 인권 침해와 전통적 가족구조의 해체 위기 등 윤리를 훼손하는 점도 부인할 수는 없겠지요.

  • @noel3679
    @noel3679 2 года назад

    대단하긴 한데 노출된 뇌에 바로 약물 투여하는 거랑... 우선 입으로 들어간 후 소화기관과 간 등 해독기관을 거치고 최종적으로 두개골에 감싸여있는 뇌로 들어가는 거랑 차이가 꽤나 있을 것 같네요.

  • @Killer__cat
    @Killer__cat 2 года назад +1

    더 위험한것은 알파고의 데이터를 저 뇌에 인식시키면 완전 사이버펑크 디트로이트 비컴휴먼이 되겠네요

  • @윤영돈-j3i
    @윤영돈-j3i 2 года назад +1

    알츠하이머 치료제 보다 뇌에 부작용 없는 마약이 먼저 나올 것 같은 두려움

  • @leechanghyun
    @leechanghyun 2 года назад +3

    이 정도 기술력이 공개된거면 배댓처럼 인공적으로 인간을 만들거 같기도 하네.... 비윤리적으로 인체실험을 자행하고 비밀을 가진 단체도 있을테니 만약 자본도 있고 그 자본을 기술에 써야한다는 필요성도 아는 단체라면 진작에 완성되어 있을거 같다는 생각도 드네요... 치료제를 개발할 수도 있겠지만 쾌락을 위한 약도 많이 만들어질거 같고 모든게 뒤쳐지고 쾌락만을 위해서 그저 인공지능이 주는 약 먹고 하루종일 누워있는 디스토피아적 세계가 될거라는 생각도 다시 한번 하게되고 참 여러 생각이 드네요. 인간이란 뇌란 무엇일지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네요...

  • @rightside3487
    @rightside3487 2 года назад +1

    2D, 캐릭터 인권도 찾는 마당에 나중에 인공 뇌 인권 찾는 사람들 나타날까 무섭다...

  • @흥민대
    @흥민대 2 года назад +3

    제가 sod님이라면 혀길이를 먼저늘리고 딕션을 개선해서 최고의 과학채널로 도약!!? 아니다 그냥 나레이션 용병을 돈주고 쓰고말죠

  • @hye2271
    @hye2271 2 года назад +1

    이게 인공지능보다 한 이만배정도 무서운데...?

  • @amws5095
    @amws5095 2 года назад +1

    일정한 생명체가 되면 자동적으로 움직이고 생각한다는 것이 증명됬네요..

  • @Cowboybibopp
    @Cowboybibopp 2 года назад +4

    인공 뇌 + 로봇
    찐으로 무섭노...

  • @채염소
    @채염소 2 года назад +1

    SOD님은 100만찍으면 코를 공개하시는건가요? 기대합니다

  • @Seyong.
    @Seyong. 2 года назад +1

    역시 미국인가.. 고딩 때 인간과 유사한 인공지능을 만들려면 뇌의 뉴런 작동방식을 알면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가지고 대학교의 컴퓨터 공학과에 입학했고 대학교에 졸업하면 대학원으로 넘어가 인간의 뇌가 작동하는 방식한 유사한 방식으로 인공지능을 만들겠다는 꿈을 가졌지만.. 이미 만들어졌다니.. 5~6년 뒤면 이미 훨씬 발전해 있겠지.. 조금만 더 빨리 태어났다면 어땠을까

    • @cash0704
      @cash0704 2 года назад

      이론이 어느정도 만들어졌다고 완성된건 아니에요. 애초에 뉴로컴퓨터가 나온지 이미 수십년이 지났지만 공론화 되는건 이제 시작인것처럼... 그러니까 아직 포기하긴 이릅니다 ㅎㅎ

    • @Seyong.
      @Seyong. 2 года назад

      @@cash0704 아직 희망이 있겠죠?

    • @cash0704
      @cash0704 2 года назад +1

      @@Seyong. 당연하죠 ㅎㅎ 그리고 개인적으로 인간은 인간의 한계 기술력의 중간지점도 도달하지 못했다고 봅니다. 앞으로 더 발전 시킬 수 있는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니까 희망 잃지 마시고 정진하시면 될 것 같네요 ㅎ
      최근 10년간 화두인 머신러닝이나 ai도 오랜시간이 필요한 케이스의 무수한 반복을 기계를 통해서 가속화하여 짧은 시간에 학습 시키는 메써드로 해결한 것인데 먼 미래에 보면 엄청 주먹구구식으로 보일거에요. 결국 시간의 축적을 이용한 것이기 때문에 그 time과 case를 줄여나가는 방향으로 알고리즘과 신경망을 설계하는 방법은 앞으로도 계속 발전할테고 고로 이제 시작입니다 ㅎ

    • @cash0704
      @cash0704 2 года назад +1

      그리고 인공뇌 배양은 사실상 남(신)이 짜놓은 코드를 그냥 가져와서 구현해보는거에 불과하고 리버싱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어차피 하나하나 발견하고 100프로 이해하기 까진 오랜 시간이 걸릴테니까 상심하지 않으셔도 되구요 ㅋㅋㅋ

  • @DokdoHanbokKimchiDaemadoKOREA
    @DokdoHanbokKimchiDaemadoKOREA 2 года назад +1

    이건 그냥 반사작용 수준이라
    AI가 더 가치가 높군

  • @fatty0913
    @fatty0913 2 года назад +2

    무섭네요 ㄷㄷ
    지구 뿌셔!!

  • @qbitpop
    @qbitpop 2 года назад +1

    불편하다는 말은 고문을 하고 있다는 말로 들린다. 살기 위해 터득하는....

  • @산광-q2v
    @산광-q2v 2 года назад +2

    인공뇌가 완전하다면 몰라도 뇌세포수준이니 문제는 없겠군요

  • @yesguide
    @yesguide 2 года назад +7

    이제 뭔가 윤리의 영역에 도전하는것 같다.

    • @softdragon
      @softdragon  2 года назад +8

      아마 연구가 잘 진행될 때쯤 되면 더 이상 연구는 공개되지 않고
      비밀리에 진행되지 않을까요?
      어느 수준에 올라오면 윤리 문제가 필연적으로 대두될 수 밖에 없기에.

  • @imagine_fire
    @imagine_fire 2 года назад +2

    역시 인공뇌도 게임을 좋아해

  • @관리실-p5e
    @관리실-p5e 2 года назад +1

    상벌이 인간에게 자극을 주는 것과 같은 원리.

  • @김도굴-n9m
    @김도굴-n9m 2 года назад

    지금 보고계신건 Pong 퐁 게임이에요... 누가 설거지를 더 잘하는지... 동탄 에서 사는지..보는 게임이에요....

  • @당신의생체정보가털리

    중요한건 저 모든 것들이 인간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한다는 거에요 우리 생체정보가 불법으로 털리고있어요

  • @chobbaya
    @chobbaya 2 года назад +2

    인간의 기억장치를 정확하게 추출해낼 수만 있다면 인공뇌로 대체하는 시대가 열릴 수 있겠네요.

    • @한탕후째맨
      @한탕후째맨 2 года назад +1

      동일성 문제라든가 윤리 문제에 걸려서 소수만 자원할듯

    • @chobbaya
      @chobbaya 2 года назад

      @@한탕후째맨 sf적 상상을 가미해서
      말씀드리자면 가까운미래에 과학기술의 특이점으로 인한 시대적 변화가
      사람들의 의식구조 또한 서서히 변화시켜,
      윤리 혹은 도덕이란 개념자체가 어떠한 목적달성에 절대적 필요성에 의해 변화 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럼 군중심리로 인한

  • @한진호-s9k
    @한진호-s9k 2 года назад +1

    뇌를백업해서 인공뇌에 업로드하고
    본 육체는 노쇠해서 사망해도 기술이 더발전해서 자신의 과거 육체를 복제해서 인공뇌를 이식한다면 ㄷㄷ

    • @gdo6000
      @gdo6000 2 года назад

      잉무서워

  • @AQBL-i6u
    @AQBL-i6u 2 года назад +1

    기술의 발전이 너무 빨라서 사람이 못따라갈 정도다.

  • @Fantalonia
    @Fantalonia 2 года назад +6

    완벽하진 않더라도 명확하게 일부 메커니즘만이라도 파악이 된다면 여러모로 좋겠네요

  • @람쥐람
    @람쥐람 2 года назад

    두렵고 또 놀랍네요 흥미롭기도 하면서도 앞으로의 세상이 어떻게 다가올지 모르겠네요 말씀대로 돈만되면 인간은 뭐든지 할테니까요

  • @철강팬티-x8x
    @철강팬티-x8x 2 года назад +16

    와우! 정말 굉장해! 인공두뇌라니, 지구의 과학은 정말 눈이 부시게 발전하는군. 그전에 간단한 질문이 떠오르는데 이건 분명 더 큰 돈이 될거야!
    탈모는 왜 치료를 못 하지? 😎

    • @gabriellagiselle2999
      @gabriellagiselle2999 2 года назад

      인공뇌한테 탈모가 오면 해결해주겠지 ㅋㅋ

    • @omvajrasadd
      @omvajrasadd 2 года назад +1

      탈모는 폐와 소장의 문제다.

    • @성이름-l8c9s
      @성이름-l8c9s 2 года назад

      @@omvajrasadd 유전자 문제요

    • @omvajrasadd
      @omvajrasadd 2 года назад

      @@성이름-l8c9s 그람 몬고치네요?

    • @kr900924
      @kr900924 2 года назад

      병이 아니라 운명입니다

  • @NINWE53
    @NINWE53 2 года назад +1

    와 공부하다가 소름돋았다 재밌네요

  • @ghost2a
    @ghost2a 2 года назад

    인공지능이 아니라 인공뇌라서 불편한 자극이라는 게 가능한 건가

  • @Tongchal
    @Tongchal 2 года назад

    도대체 무슨 짓을 하고 있는거냐 휴먼..

  • @user-qn6zi6zp3k
    @user-qn6zi6zp3k 2 года назад

    인공뇌한테 불편한 자극을 주는거면 언젠가 충분히 발달한 인공 뇌가...
    인공뇌를 불편한 자극을 주는게 학대행위에 해당하느냐의 논쟁도 생길듯

  • @쿠쿨칸-q1o
    @쿠쿨칸-q1o 2 года назад +1

    과학이 좋은 방향으로 발전할때 멋진일이 생기겠죠

  • @8jang875
    @8jang875 2 года назад

    "이 실험을 머스크가 좋아합니다."

  • @lchlch20980
    @lchlch20980 2 года назад

    우리는 미칠정도로 고도로 성장한 스스로 생각하는 인공지능 npc 맞네 ㅋㅋㅋ
    인간이라고 믿고 있는거임 ㅋ ㅋ

  • @이창영-l3y
    @이창영-l3y 2 года назад

    영상 지렸다

  • @ccc5152
    @ccc5152 2 года назад +1

    인간이 개발한 최고의 게임은 전쟁입니다.
    자신이 안죽는다는 보장만 았다면.
    바둑 장기 체스 보드게임 축구 야구 등 모든 것이 전쟁의 즐거움을 흉내 냈을 뿐

  • @unitedaccountsofme9297
    @unitedaccountsofme9297 2 года назад +1

    첫번째로 특이점에 도달하는 컵퓨터는 우리가 생각하는 모습과 차이가 클수도 있겠네요

  • @tv-lz2vg
    @tv-lz2vg 2 года назад

    아직도 변한건 없슴.. 없어진건 똥퍼 밖에 없다.

  • @이영진-x8d
    @이영진-x8d 2 года назад +1

    2:17 자막 오류 인간의 모습 -> 인간의 무릎

  • @아잠만타임
    @아잠만타임 2 года назад +5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어보이지만 더 발전하면 인공으로 만든 뇌나 장기의 기증까지 바라볼 수 있겠네요! 과학이라는 게 정말 여러 의미로 소름이 끼치네요..

  • @매혹적인사람
    @매혹적인사람 2 года назад

    이러면 진짜 인공지능 로봇에 인공뇌세포 심으면 자기들 스트레스 받을때 인간들 죽일듯 ㄷㄷ 생존본능때먀

  • @kangkang394
    @kangkang394 2 года назад

    여태까지의 과학은 인간 자신의 주변부에 머물렀지만
    반복실험 가능한 조건이 뇌와 정신까지 대상으로 한다면
    앞으로의 발전속도는 정말 기하급수적인 수준일 거라 생각함.

  • @무명-i5b
    @무명-i5b 2 года назад

    이제 미래에 인공지능과 저걸 합친 인공인간지능이 나오면 완벽합니다.. 완벽이 아닌가?

  • @NAVI_NITRO
    @NAVI_NITRO 2 года назад +1

    나중에가면 게임도 인공지능끼리 하는걸 구경하게 되겠네요...

    • @alpha-oe5gi
      @alpha-oe5gi 2 года назад

      지금도 롤 ai끼리 붙게할수있어요
      스타는 ai 리그도있었죠

  • @qbitpop
    @qbitpop 2 года назад +1

    의식이 없다고 단정하는거 자체가 오만 같다

  • @modopark4720
    @modopark4720 2 года назад

    우와 신기하다 .. 진짜 나 같은 사람들은 평생 알지 못할 영역 ...

  • @ashash1955
    @ashash1955 2 года назад +1

    뉴런 시스템이 딥러닝을 이길수 있겠네요~

  • @김주훈-f5z
    @김주훈-f5z 2 года назад

    "너 학습된거야"

  • @aksjen
    @aksjen 2 года назад

    아앗 스카이넷선생님.....

  • @유튜브용계정-f4p
    @유튜브용계정-f4p 2 года назад +1

    통속의 뇌 튜토리얼 버전이네.. 생명으로 봐야하나

  • @안녕차차-s4j
    @안녕차차-s4j 2 года назад

    재활쪽에서 일하고 있는데, 이게 연구가 많이 진행되서 실제로 획기적인 방법까지 발병된다면..이런 효과적인 연구를 적용하는 게 주 치료이며 재활은 보조치료로써 추가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말하게 될려나...

  • @sy9lee
    @sy9lee 2 года назад

    인류역사는 또 누군가 바꾸겠군요.
    인공지능에게 "인류를 멸망시켜라!"

  • @문동현-c5b
    @문동현-c5b 2 года назад

    경이로우면서도 무서운 내용이네용..

  • @enarayhyairanous
    @enarayhyairanous 2 года назад

    요즘 발전이 급격하게 높아져서 무섭기까지함

  • @장송의프리렌-r7f
    @장송의프리렌-r7f 2 года назад

    정말 재밌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