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소 기원의 최대 에너지는 탄창같은 거예요. 혜성은 에너지300이 탄환 하나인 거죠 (주문메아리를 사용해도 여전히 300입니다). 1080까지 에너지를 늘려주면 혜성을 최대 3발까지 장전할 수 있고 1080에너지를 가득 채운 후 원소 기원을 사용하면 혜성이 3번 시전(주문메아리 덕분에 총 6개의 혜성이 낙하)된 이후 180의 에너지가 남습니다. 마찬가지로 에너지가 30%만 채워져도 원소 기원을 사용할 수 있는데요. 이 경우는 혜성이 1번만 시전되기 때문에 2개의 혜성이 낙하하게 됩니다.
@@홍성용-o7x 근접전 수단이 많이 없는 이 빌드의 특성상 말씀해주신 접미어(추가로 몬스터의상태이상한계치증가)들이 실제로 조금 까다롭긴 합니다. 몬스터 밀도가 극단적으로 높은 균열에서는 더욱 위험하죠. 제 경우 사바나 같은 개활지가 사방에서 밀고 들어오기 때문에 더 어렵던데, 좁은 레이아웃을 가진 맵은 오히려 한쪽 방향으로만 밀면 안전해서 더 낫더라구요. 제 생각에 핵심은 당연히 포위되기 전에 죽일 수 있는 게 최고지만, 둘러 쌓인다면 즉사하지 않고 버틸 생존력(에보와 마나의 합)과, 생존기로 원소 기원을 본인 캐릭터 머리 위에 시전하는거예요. CI빌드는 기절한계치가 너무 낮아서 따로 챙겨주지 않으면 포위되었을 때 계속 기절하며 서리구체나 서리방벽을 시전하지 못하게 되는데, 원소기원은 시전시간이 존재하지 않아서 기절이 풀린 찰나의 순간에 머리 위에 떨어뜨려 주변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균열은 워낙 밀도가 높아 원소기원의 에너지는 거의 사용 가능한 상태일 거예요. 생존기와 희귀몹 저격에 원소 기원을 적절히 분배하면 조금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영상은 조금 고민해보겠습니다!
같이 해요가 왤케 와닿죠? ㅋㅋ 안그래도 냉기 빌드 찾고 있었는데 참고해서 즐겁게 해보겠슴다 ㅋㅋ 감사용 ㅋ
너무 감사합니다 냉기로 너무 힘들었는데 덕분에 쾌적하게 잘돌고 있습니다
고민한 흔적들이 보이는 좋은 영상 잘봤습니다 조금씩 따라가볼게요 도움 많이 됐습니다
가이드도 가이드 인데 영상자체가 마음에 듭니다. 성의있게 만드신거 같다는 느낌이 들어요~ 크로노멘서 냉기 하는 중에 답이 없는데 많이 참고해볼께요
제가 생각하던 방향의 빌드네요
도움 많이됐습니다
영상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부케로 냉법 키우려는데 이빌드 따라해보겠습니다 딱봐도 개고수시네 ㄷㄷ
maxroll.gg/poe2/planner/9ler90nu
수정 사항이 있으면 맥스롤에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원소 기원은 민첩 요구치가 어마어마한데 패시브 노드에서 찍으신건가요?
@@sangchulpark1262네 패시브노드에서 챙겼습니다! 메타에너지수급이 충분한 경우 원소기원레벨은 조금 낮춰쓰셔도 되긴해요.
원소기원이 에너지 500에 발동인데요, 축전기랑 퀄작을 해서 에너지 1080이 차야 발동이 되는거로하면 더 늦게 발동되는거 아닌가요?;; 거기에 주문메아리로 한번더 하면 2번 아닌가요? 뉴비라 잘 이해가 안가서요 ㅠㅠ
원소 기원의 최대 에너지는 탄창같은 거예요. 혜성은 에너지300이 탄환 하나인 거죠 (주문메아리를 사용해도 여전히 300입니다). 1080까지 에너지를 늘려주면 혜성을 최대 3발까지 장전할 수 있고 1080에너지를 가득 채운 후 원소 기원을 사용하면 혜성이 3번 시전(주문메아리 덕분에 총 6개의 혜성이 낙하)된 이후 180의 에너지가 남습니다. 마찬가지로 에너지가 30%만 채워져도 원소 기원을 사용할 수 있는데요. 이 경우는 혜성이 1번만 시전되기 때문에 2개의 혜성이 낙하하게 됩니다.
@게으른완벽 아 설명 감사합니다!
영상에는 mom 사용한다고 하시는데 맥스롤에 mom 안찍혀있는데 뭐가맞나요?
누락했네요 죄송합니다! 찍으셔야해요
맥스롤에는 전직노드 폭풍의 형성자를 안찍고 노출 더해주는거 찍으셨던데 맥스롤 따라가는게 맞나요?
번개 데미지가 이미 충분해서 그런지 폭풍의 형성자 체감이 크지 않아서 변경했어요. 맥스 롤이 항상 더 최신이긴 합니다!
@@게으른완벽 맵 접미에서 공시이속도증가 재감감소 기절축적 등 일반균열까는 영상도좀 올려주실 수 있을까요? 보스보다 일반몹이나 일반균열을 잘못돌겠어요 넓은맵 말구요 가능하면 편집없이 길게라도 보고 배우고 싶습니다
@@홍성용-o7x 근접전 수단이 많이 없는 이 빌드의 특성상 말씀해주신 접미어(추가로 몬스터의상태이상한계치증가)들이 실제로 조금 까다롭긴 합니다. 몬스터 밀도가 극단적으로 높은 균열에서는 더욱 위험하죠. 제 경우 사바나 같은 개활지가 사방에서 밀고 들어오기 때문에 더 어렵던데, 좁은 레이아웃을 가진 맵은 오히려 한쪽 방향으로만 밀면 안전해서 더 낫더라구요. 제 생각에 핵심은 당연히 포위되기 전에 죽일 수 있는 게 최고지만, 둘러 쌓인다면 즉사하지 않고 버틸 생존력(에보와 마나의 합)과, 생존기로 원소 기원을 본인 캐릭터 머리 위에 시전하는거예요. CI빌드는 기절한계치가 너무 낮아서 따로 챙겨주지 않으면 포위되었을 때 계속 기절하며 서리구체나 서리방벽을 시전하지 못하게 되는데, 원소기원은 시전시간이 존재하지 않아서 기절이 풀린 찰나의 순간에 머리 위에 떨어뜨려 주변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균열은 워낙 밀도가 높아 원소기원의 에너지는 거의 사용 가능한 상태일 거예요. 생존기와 희귀몹 저격에 원소 기원을 적절히 분배하면 조금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영상은 조금 고민해보겠습니다!
마나너무후달리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