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시공과정31] 1.토공사_말뚝은 얼마나 깊게 박아야 할까?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197

  • @doom9344
    @doom9344 2 года назад +22

    일반인으로써 늘 건축의 이론에 대해서 궁금했는데 너무나 감사합니다~

  • @나다이-u1v
    @나다이-u1v 2 года назад +36

    평소 기초공사하는걸 보고 기둥을 왜땅에 박을까 생각한적있었는데 아주 흥미롭고 재밌고 잘이해가 되게.봣습니다.
    감사합니다!!

  • @jlee3014
    @jlee3014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건설사업관리 공부하는 입장에서 영상 보면서 실제 현장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정말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놀부-g5s
    @놀부-g5s 2 года назад +14

    청약 당첨후 당해 현장에서 현재 파일 항타중이었어서 궁금한 점이 있었는데 설명 너무 감사합니다.

  • @ddachilee4971
    @ddachilee4971 2 года назад +19

    매번 양질의 영상으로 많이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 @Korea_Aviation_Films
    @Korea_Aviation_Films 2 года назад +9

    늘 궁금했는데.. 정말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jinnam6822
    @jinnam6822 Год назад +3

    😃방송 감사 합니다. 실전 건축 공학 방송 감사 합니다.

  • @theracn1214
    @theracn1214 2 года назад +6

    아파트 공사현장 지나갈때 궁금했는데 드디어 궁금증이 풀렸어요.

  • @달달두두
    @달달두두 2 года назад +15

    잘 보았습니다.. 파일 작업이 잘 되어야 지진에도 더 안전한 건축물이 되겠군요

  • @qkdrnqlffkem
    @qkdrnqlffkem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지나가던 건축공학과 학생입니다. 건설안전기사를 공부하면서 글로만봐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들도 많았는데 영상이 큰 도움이 됐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engineer_chat
      @engineer_chat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 @라마헬기
    @라마헬기 3 месяца назад

    저는 처음 알았습니다
    자세히 보니 과학의 복합체 대단 합니다
    건설 공사 분들 ❤

  • @강진영-k7g
    @강진영-k7g Год назад +9

    파일공사 소장만 18년 한 전문가로서 나름 간결하게 정리해 주셨네요 상어 이빨 모형은 링비트 라고 합니다

    • @user-ip1ny5dy7q
      @user-ip1ny5dy7q Год назад

      돈 얼마벌음?

    • @시나브로-h4n
      @시나브로-h4n Год назад +1

      ​@@user-ip1ny5dy7qㅋㅋ 저도현직인데 소장이면기본 소장단가에+A 죠

    • @나하김-h5g
      @나하김-h5g Год назад +1

      소장이면 연10억은벌죠

    • @J탱크
      @J탱크 Год назад +1

      ​@@나하김-h5g 뭔 10억;

    • @가마꾼님가마꾼님
      @가마꾼님가마꾼님 Год назад

      @@나하김-h5g 그 소오장 세금은 잘 ;;__;; 알 냄

  • @waegwan2
    @waegwan2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회사에 파일공사를 봤는데
    이제 궁금증이 풀렸습니다.
    감사합니다.

  • @나누리-k5l
    @나누리-k5l 2 года назад +4

    와.. 건설 건축의 궁금했던 모든사항을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Theminju410
    @Theminju410 2 года назад +6

    만약 저 파일이 암반까지 도달하지 않고 토사유출이 생긴다면 아파트는 기울어지는것임.ㄷㄷㄷ
    인천의 모아파트 지하로 도로가 생기면서 기울어졌음ㄷㄷ

  • @LeCorbusier.
    @LeCorbusier. Год назад

    아 정말 값진 정보입니다. 나라에서 지원해야 할 영상입니다....감사합니다!

  • @박지성-s2h
    @박지성-s2h 4 месяца назад

    전에 동양파일 회사 다녔었는데 반갑네요~~^^

  • @강진욱-v4x
    @강진욱-v4x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걸 제대로 박지 않거나, 파일이 불량품이면 건물이 기울어지는 사태가 발생하죠. 최악의 경우에는 건물을 철거해야 하고요. 부산의 강서구 일대에 고층건물이나 공장 같은 고하중 건물이 별로 없는 이유가, 흙과 모래로 이루어진 삼각주라서 지반이 연약하기 때문입니다. 70~80m를 굴착해야 암반이 나오고요. 파일을 박을 때도 2~3개를 연결해야 하죠. 하나 갖고는 턱도 없으니까요. 그리고 그걸 촘촘하게 박아야 하고요. 안 그러면 건물의 무게를 버티지 못하니까요.

  • @공부하자22
    @공부하자22 2 года назад +4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josephine1-e3c
    @josephine1-e3c Год назад +2

    페이로더가 지게차보다 힘이 좋아서 사용하는게 아닙니다
    페이로더는 들 수 있는 무게가 6톤 정도지만 지게차는 크기에 따라 7톤 이상도 가능합니다
    페이로더로 파일을 하차하는 이유는 지겟발 각도가 상하로 더 크게 움직여서 지게차보다 더 안전하기 때문입니다
    아무래도 파일이 둥글다보니 지게차로 하차하다보면 잘 굴러 떨어질 수 있으니까요

    • @이장욱-b6j
      @이장욱-b6j Год назад

      페이로더가 6톤...? 지겟발 각도는 맞는 말이지만... 페이로더가 모델에 따라 10톤 이상 듭니다... 모르는건 말을 안하는게 맞지 않을까요...?

    • @josephine1-e3c
      @josephine1-e3c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물론 더 큰 페이로더는 더 무거운 10톤 이상도 들 수 있겠죠
      하지만 대부분 현장에서 쓰는 페이로더는 6톤 이고 크기로만 비교하면 지게차가 훨씬 더 무거운 물체를 들 수 있습니다
      7톤 지게차와 크기 비교해보세요

  • @하종우-j8m
    @하종우-j8m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갑자기 아무 관련 없는 알고리즘 영상 뜨길래 무심코 봤는데 아파트기초공사 좋은 정보 구경하고 갑니다. 그냥 헛트로 짓는게 아니였군요. 대단합니다

  • @hansenkai4719
    @hansenkai4719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 그렇구나! 기초작업에 궁금하게 많았는데 한방에 해결! 감사합니다!

  • @오늘도달린다-y8o
    @오늘도달린다-y8o 2 года назад +5

    유용한 영상 늘 감사드립니다~

  • @operonx
    @operonx 2 года назад +4

    이분 영상을 보다 보면 나도 시골땅에 빌딩도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알 수 없는 위험한 자신감이 드네요. ㅎㅎㅎㅎㅎ 가끔 건물이 기울어지는 사건들은 이런 작업이 미흡한 결과겠죠?

  • @user-lbg1004
    @user-lbg1004 2 года назад +2

    좋은 정보 영상 잘 보았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허어걱
    @허어걱 Год назад

    대단하네...안전하게 일하십시요 감사합니다.

  • @심지훈-n6g
    @심지훈-n6g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여쭤볼게 있는데요.
    단순히 파일 박는 기간이 보통 어느 정도나 되나요?
    현장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파일을 '몇 개' 정도나 박고 한 개 박을 때 '기간'이 어느정도 걸리는지가 궁금해요.
    그리고, 이건 제가 그냥 예시를 드는건데,
    만약에 파일 하나 박는데 뭐 한 3일 정도 걸리고 총 10포인트를 박아야 된다고 한다면,
    단순 계산상으로
    "3일 x 10 포인트 ===> 파일 작업 기간 대략 30일"
    이런 식으로 계산해도 되는 것인지도 궁금해요.

  • @모든마음은소중하다
    @모든마음은소중하다 Год назад

    와~정성스런 영상 감사합니다 이해가 쏙쏙 되요~아무것도 모르는 건축 어린이도 이해가 됩니다~

  • @여행하다-v3r
    @여행하다-v3r Год назад

    흥미롭게 잘봤습니다
    모든분들이 수고하시는군요😊

  • @자전거-n2w
    @자전거-n2w 2 года назад +4

    넘 유익합니다.!

  • @yoonheekim3619
    @yoonheekim3619 2 года назад +2

    정말 이해가 쏙쏙~고맙습니다

  • @tekken_DrKing
    @tekken_DrKing 2 года назад +5

    하중을 골고루받을수있게 벽채철근태우는 위치에 박는걸로 알고있습니다

  • @명마블라디미르
    @명마블라디미르 Год назад +1

    어반센트로 말뚝은 튼튼하네요 잘 박아주셔셔 감사합니다

  • @kiyoungkim2722
    @kiyoungkim2722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와~~주택도 이런식으로 기초 잡으면 공사비도 절감될듯 하네요 잘보고 갑니다.연아 건축이란데도 이렇게 하던데여 파이프 박던데

  • @멍멍이-q4z
    @멍멍이-q4z 2 года назад +1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 @Pikkachuu
    @Pikkachuu 2 года назад +4

    알수없는 알고리즘 덕분에 유익한 정보 얻어갑니다!

  • @산쪽빛바다
    @산쪽빛바다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얼마전 중국에 아파트가 통째로 넘어간것 봤습니다!
    완전 날림공사!ㅋㅋㅋ

  • @강구알라
    @강구알라 Год назад

    부등침하관련해서 옹벽같은 구조물은 20m의 간격으로 신축이음과 다웰바 시공을 하는데 이게 부등침하를 대비하기 위해서 라고 하더라구요 부등침하하고 무슨 연관이 있나요??
    그리고 다웰바를 지그재그로 시공하는것이 맞나요? 일자로 시공하는 것이 맞나요??

  • @송저씨
    @송저씨 Год назад

    지나다니면서 그냥 그런가보다했는데.. 설명을 들으니 좀 이해가 되네요.. 굿

  • @soojin5853
    @soojin5853 2 года назад +1

    잘보고갑니다~~~영상만드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 @Whoops-h7z
    @Whoops-h7z 2 года назад +1

    캬~~영상 잘 봤습니다 공사중 점검 가서 늘 보는거네요 ㅎㅎ

  • @근절
    @근절 2 года назад

    좋은 영상과, 정보 덕분에 건축 관련 공부 많이 하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구 깊이 10m까지는 풍화토라고 하던데 풍화토 위에 다짐작업하고, 평탄재하시험? 하고 건축을 짓기 시작했는데..
    지반이 아닌경우는 이렇게 건물을 짓나용..??

  • @노는언니-j9n
    @노는언니-j9n Год назад +5

    실제로 롯데월드 타워
    할때는 총 1490개의
    파일이 심겨짐

  • @kiiiyoo8578
    @kiiiyoo8578 9 дней назад

    감사합니다~ 파일이 뭔지 몰랐는데

  • @JjGo-story
    @JjGo-story Год назад +1

    👍 👍

    😊😊잘보고갑니다

  • @2025-u7l
    @2025-u7l 2 года назад +6

    앎의 즐거움.

  • @---1366
    @---1366 2 года назад +1

    아주 이해가 쏙쏙 되네요.

  • @김승준-g8e
    @김승준-g8e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파트는 대부분 PHC 파일 쓰는거 같네요

  • @victolee5043
    @victolee5043 Год назад +1

    문화재 발굴은 어떻게 하나요?
    포크레인 파다 땅 색 보고도 멈추는거같은데...😅👍

  • @크크크-j1m
    @크크크-j1m Год назад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 @hobbyholic_LoveLive
    @hobbyholic_LoveLive 2 года назад +1

    흥미롭고 재미있는 영상 , 잘봤습니다.

  • @ocean760_
    @ocean760_ 2 года назад +1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똘망똘망-b6x
    @똘망똘망-b6x Год назад

    항상강의 감사드립니다.
    파일공사가 건축공사영역인가요 아니면 토목공사 영역인가요?

  • @legamza
    @legamza 2 года назад +1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뉴스 보다 보면 주변 공사로 건물이 금이가거나 수평이 안맞는 경우들이 나오던데 일반적으로 시공이 완료된 코어부위는 보수가 불가능 하겠죠?

    • @engineer_chat
      @engineer_chat  2 года назад +1

      가능합니다. 언더피닝이라고해서 기존건물의 기초 하단부를 추가 보강하는 방법이있습니다.

  • @호에엥-l7d
    @호에엥-l7d 2 года назад +1

    ... 지반 파일밖는 일도 건설 총단가에서 많은 비율을 차지할거같아영...

  • @eullazaza
    @eullazaza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리 아파트는 파일 시공을 안했던데 괜찮을지 모르겠네요. 건설사 말로는 지하2층짜리 아파트이고 지질의 강도가 높아 안 박아도 된다던데..

  • @최고족발
    @최고족발 Год назад +2

    아파트들이 생각보다 튼튼하게 지어지네요

    • @시나브로-h4n
      @시나브로-h4n Год назад +2

      요즘설계되는것들은 거의100년쓰신다고생각하시면되는데 부실공사만없다면..

  • @qq-ez6pk
    @qq-ez6pk 2 года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파일의 지지력은 선단지지력과 주면 마찰력으로 되어있는데 천공해서 파일을 삽입하면
    주면마찰력은 무시되는 건가요?

    • @시나브로-h4n
      @시나브로-h4n Год назад

      케이싱을쓰는게 홀무너짐방지인데 물론홀이잘살아서 무너지지않는 지층이있기도합니다
      천공후 케이싱을빼면 무너져서 파일을잡아주기도하고 빈홀에는 밀크그라우팅을합니다 그러므로 주변마찰력은무시되지않습니다

    • @qq-ez6pk
      @qq-ez6pk Год назад

      @@시나브로-h4n 안녕하세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 @ajaja6128
    @ajaja6128 2 года назад +2

    항타기 해야하는 건물 기준이 있나요?
    다세대 주택 지을 때는 기초만 넓게 잡는거 같아서요..

    • @dbfkstodrkr
      @dbfkstodrkr Год назад

      다세대주택이면 층고가 어떻게되는지 모르겠으나 지반에따라 h빔을 박지 않을까요?

  • @kuroihako
    @kuroihako Год назад

    저게 6톤 짜리였구나.... 항타기 운전석은 첨 보네... 뭔 레버가 저렇게 많어 !! 이번영상은 현장근로자들도 생소한 영상일 수 있겠네요...
    저도 그냥 파일 박는구나.. 라고만 봤었는데... 디테일하게 보니 재미있네요. 예전에는 저거 박고 있으면 꼭 주위에서 민원이 그냥.... 그럼 슈퍼타이 돌려야 되겠죠..

  • @xx_file
    @xx_fil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관급자제 사용시 파일 남은 길이 정산은 전체 파일의 몇 %정도를 검측해야하나요?

  • @jiwoongchoi7908
    @jiwoongchoi790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안녕하세요 영상보며 건설사 면접대비하고 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암반층 깊이가 깊은 경우 파일을 20~30m까지도 박는다고 하셨는데 그럼 그런 파일은 어떻게 운반하나요?
    너무 길어서 잘라서 가져온 후 현장에서 조립해야 될 것 같은데 기성 콘크리트말뚝을 일체화 시키는 방법이 따로 있나요?

    • @engineer_chat
      @engineer_chat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운반가능한 짧은 파일을 가지고와서 현장에서 이어붙입니다.

    • @jiwoongchoi7908
      @jiwoongchoi790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engineer_chat 아하 찾아보니 볼트로 잇거나 철판으로 감싸거나 충전하거나하는등등 많이 있네요 감사합니다!

  • @beomsukim117
    @beomsukim117 Год назад +5

    건축 특 : 몇개월 혹은 1년간 땅만 계속팜
    바닥 공구리 치기 시작 -> 갑자기 건물이 생김 ㅋ

  • @mdesign4
    @mdesign4 2 года назад +1

    파일이 짧을 경우 연장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용접과 볼팅 중 어떤 방식이 더 튼튼한가요?

    • @굼뜰-j9b
      @굼뜰-j9b 2 года назад +1

      당연히 용접이죠. 요즘은 자동용접기 사용합니다.

  • @김상훈-n6m8w
    @김상훈-n6m8w 2 года назад +1

    다시한번 감사드려요~

  • @Mini-Habib
    @Mini-Habib Год назад

    저도...천공기 면허는 있는데...
    항타기 기사로일하면
    돈좀 많이 벌수있을까요?

  • @앞만보고-c9r
    @앞만보고-c9r 2 года назад

    현장에서는 천공기 록드릴보다 항타기를 더 많이 사용하는 편인가요?

  • @오상훈-z9n
    @오상훈-z9n 2 года назад

    젊은시절 항타기 도비 일 잠깐 한적이 있는데 반장일 하시는분 대부분이 손가락이 절단되신 분들이 많았는데
    그것보고 이일은 오래할 일이 아니라고 생각했음

  • @헤르메스-k8c
    @헤르메스-k8c Год назад

    임플란트 한다고 생각하면 되나요? 지하 10층 이상 파는 곳은 그럼 암반을 뿌갠건가요?

  • @멸공특공701-88
    @멸공특공701-88 Год назад

    딱딱한 돌에 파일로 못질하고 그 위에 공구리 올리는거군요,
    흙위에 아파트 지었다가 지하수로 흙쓸려 가면 아파트가 통째로 기울어 버리니까...

  • @personal3
    @personal3 2 года назад +1

    파일 박는 시간대가 있나요???
    저희집 근처에 공사현상이 있는데 매일 아침6시부터 30분간만 박는거 같아요.

    • @dalsoo79
      @dalsoo79 Год назад

      허걱..6시는 너무했다..

  • @ggapsil
    @ggapsil 2 года назад

    오~~궁금했던거네요 ㅋ감사합니다

  • @이혁진-t1u
    @이혁진-t1u Год назад

    파일을 항타 할 때는 인장을 조심해야하죠!!

  • @김봉수-w5j
    @김봉수-w5j 2 года назад

    기초말뚝박의면건물이지진에안전한가요

  • @beom-seok-re3cc
    @beom-seok-re3cc Год назад +1

    이런것들이 사실...현장에서 배워야하는건데ㅠ 이리보니 이해가 쑥쑥!!😊

  • @loveisknk7
    @loveisknk7 2 года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jae_Cheong
    @jae_Cheong Год назад

    파일공법 잘보 았습니다! 아파트 38층인데 매트공법으로 짓고있어요! 괜찮은건가요? 파일공법보다 지진이나 약한거 아닌가 궁금합니다!!

    • @engineer_chat
      @engineer_chat  Год назад +1

      바닥의 단단함의 정도인 지내력이 허용치 이상 나오면 파일공사없이 진행하기도합니다.

    • @jae_Cheong
      @jae_Cheong Год назад

      @@engineer_chat 그렇다면 파일공법이나 매트공법이나 아파트를 지지해주는 강도 힘?은 비슷하다고 볼수있네요? 38층인데 매트공법이라고 파일안박는다고 안좋다고 말들이 많아서요!

  • @mattewkim1151
    @mattewkim1151 Год назад

    안녕하세요. 재미있게 잘 보고 있습니다. 얼마전 중국 반도체 현장에서 기초 공사 현장을 봤는데 파일을 박는게 아니라 구멍을 뚫고 그 안에 철골 구조물을 넣고(기다랗게 만든) 거기에 시멘트를 부어서 만들더라구요. 이런 공법도 있는 건가요?

  • @살인사건-i9t
    @살인사건-i9t Год назад

    파일은 왜 둥그런가요? 네모가 더 말뚝으로 좋을 것 같은데 그리고 박을 때 끝부위에 원뿔이 있다면 더 잘 박힐텐데 왜 안하는 건가요?

  • @xriona1
    @xriona1 2 года назад

    항타기 1 작업은 비용이 얼마나 드나요?

  • @Leejk578
    @Leejk578 16 дней назад

    아파트 통신 슬라브배관하는 사람입니다 아파트 동 주변을 둘러싸고있는 것도 파일인거죠?

    • @engineer_chat
      @engineer_chat  15 дней назад

      CIP라고 하는 흙막이를 보신것 같습니다.

  • @TaeGeuk08
    @TaeGeuk08 Год назад

    영상 감사합니다.

  • @seungiklee3754
    @seungiklee3754 Год назад

    궁금했는데 ,잘 보았습니다

  • @hanyonghyun2671
    @hanyonghyun2671 Год назад

    제 친구가 오거협회 총무라 무슨 일인가 늘 궁금했는데 ㅎㅎㅎ
    영상 보니까 궁금한게 많이 해소가 됐습니다. ^^

  • @ceosealemon
    @ceosealemo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렇게 파일 박아도 지하 100m 아래 거대 싱크홀 있다면 아파트 30층 갸우뚱 하지 않을까요?

  • @자명종-y1r
    @자명종-y1r Год назад +1

    와 현장 영상 보여주시면서 설명해주니 와닿는게 다르네요 ㅋㅋㅋ 이채널 좋다

  • @yongwanjeon7229
    @yongwanjeon7229 Год назад

    미국은 아무리 파고파도 암반층이 안나와서 60피트짜리 크고 아름다운 파일을 박는 경우도 많습니다 ㅋㅋㅋ

  • @skywater9662
    @skywater9662 2 года назад +1

    다시 말해 암반층이 없었다면 고층건물도 불가능한거군요.

  • @greenmonster769
    @greenmonster769 Год назад

    원룸건물지을때는이런거안박죠??

  • @ThisVeryLife
    @ThisVeryLife Год назад

    재미있네요 ㅎ 감사합니다.

  • @고래-z4r
    @고래-z4r Год назад

    항타공 어떤가요? 위험한가요?

  • @kencho21c
    @kencho21c 2 года назад

    몇기이신가요?

  • @dry.maquereau
    @dry.maquereau 2 года назад

    항상 굴삭기 작업 하러가면 파일 노출 시켜 달라는 말에 아니 저 파일은 도대체 왜 박혀있는걸까 궁금 했는데 감사합니다

  • @dnfkxpddl
    @dnfkxpddl 2 года назад +2

    파일 박느니 파내고 지하층을 늘리는게 효과적 아닌가요 주차장으로 쓰던가 활용도도 좋을것 같은데 롯데타워 같은건 암반층도 제거할정도로 깊이 파는것 같더만.

    • @낑깡쓰-l3j
      @낑깡쓰-l3j 2 года назад +1

      롯데타워도 직경1m 길이30 phc파일108개를 시공했다네요

    • @코로-v5f
      @코로-v5f 2 года назад +2

      땅을 파는 시간, 인력, 파낸 흙의 처리비용, 파낸 흙에 상응하는 지지콘크리트 비용...

    • @ajaja6128
      @ajaja6128 2 года назад +2

      공사비용 중 제일 돈 많이 드는게 땅파는 거라 알고 있어요
      돈이 문제죠ㅠ

    • @worldhousing
      @worldhousing Год назад +3

      지하층 늘리려고 해도 파일은 박아야합니다

    • @user-qx-p5v
      @user-qx-p5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지하는 깊어질수록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납니다. 그래서 요즘 김포같은 곳 아파트를 보면 대지가 경사지도 아닌데 지상1층을 지하1층이라고 표기하고 주차장 만들고 조경이 그위 지상2층에 떠 있죠. 그게다 땅을 덜파서 비용을 줄이려고 한겁니다.

  • @busanpusan
    @busanpusan Год назад

    파일공사 일 몇일전부터 배우면서 구경왔는데 궁금했던거 잘듣고가네요
    근데 상부파일10m 하부파일15m 이음할때 우리현장은 핀박아서 망치로때려서 이음하던데 유튜브영상들보면 용접으로해서 이음하던것도 있던데 차이가있는건가요?

  • @띵따롱
    @띵따롱 2 года назад

    영상 잘 보고 갑니다요.

  • @Rescued_Brother_Cat_Simba_Mink

    참고로 영살에 나오는 항타기는 일본니샤 장비인데
    솔직히 말씀드리면 저 상태로 이동은 불법입니다
    과적으로 이동 불가예요
    요즘 최소 트랙 탈거, 똥통, 기존 웨이트 뜯어야
    상차 가능합니다
    물론 제가 그 작업을 3년전까지 현장에서 했었고요

  • @jeungsangnam4144
    @jeungsangnam4144 2 года назад +80

    제목이 말뚝은 얼마나 깊게 박아야 할까...이니만큼 기본적인 설계 기준 풍화암 1m를 기준으로 잡으면 지반조사 결과를 토대로 말뚝의 근입깊이를 설정한다...라고 되어야 맞을 듯 합니다. 영상은 말뚝 박다가 안들어가면 고만 박는다...는 뉘앙스라 좀 위험한 듯하네요...

    • @josephkang7323
      @josephkang7323 2 года назад +20

      저두 이부분에 대한 내용이 좀더 추가되었음 좋았을거 같아요
      다 박았는지 들 박았는지 확인해보기 위해 영상에 나와있는 리바운드시험 외에 정재하 동재하 소음 프리보링에 따른 전류계등이고 지지층 미도달시 대처방안같은것두요 현장에서 가장 당혹스럽게 만드는 부분들인거 같습니다ㅎ
      감리가 다 박은거 어케 알아요? 이거 ng~ 이러는거 몇 번 겪어봄ㅜㅠ

    • @굼뜰-j9b
      @굼뜰-j9b 2 года назад +5

      정확한 지적이십니다. 암에서 근입량은 1m 지만 보통 지키기 힘들죠.

    • @ycbody
      @ycbody 2 года назад +2

      풍화암 1m 라는 기준이 있나요???
      기반암이라는 기준은 있는데 기반암은 연암 이상으로 되어있고… 풍화암 1m에 대한 기준을 못찾겠네요

    • @jeungsangnam4144
      @jeungsangnam4144 2 года назад +12

      @@ycbody아...풍화암 1미터는 딱히 설계 시방서나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영상을 보고 오거 보링을 수행할 때 일반 오거 작업만 수행해서 암반까지 굴착하지 않는 작업을 하는 것을 알 수있습니다. 헤드가 설치되지 않았으니까요...비산먼지방지도 하지 않았으니 암반이 아닌 토사 대상 굴착이고 토사부분까지 굴착한다면 일반적으로 선단지지력을 고려하지 않는 설계이고, 그렇다면 선단은 항타기로 설치가 가능한 대상인 풍화암까지로 생각하고 적었습니다. 근입 깊이의 결정은 사전에 지반조사결과와 설계 허용하중을 고려해서 설정하기 때문에 임의로 근입깊이를 결정하지는 않지만 크지 않은 현장에서 자주 사용되기도 합니다.
      암반의 선단지지력이 필요한 경우처럼 깊은 심도의 파일을 설치할 경우 매 설치 위치마다 암반의 깊이를 일일이 확인이 어려우니 건전도 시험같은 것으로 암반심도까지 설치되었나 확인하기도 하고, 마찰지지력을 대상으로 말뚝을 설치할 경우 일반적으로 정, 동재하 시험으로 사후 검하를 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재설치가 어려운 말뚝시험의 여건상 선단지지력이 필요치 않은 건설 현장에서 풍화암 근입까지로 설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ycbody
      @ycbody 2 года назад +4

      @@jeungsangnam4144 아 그렇군요 자세한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좋은 연휴 보내시기 바랍니다. ^^

  • @hoon2614
    @hoon2614 Год назад

    4층짜리 빌라지을때는 저런거 박지 않던데.. 그럼 지진나면 무너지는건가요?

    • @engineer_chat
      @engineer_chat  Год назад +1

      4층 빌라는 건물 전체의 하중이 크지 않기때문에 파일 시공이 필요없습니다.

  • @KFD-9
    @KFD-9 Год назад

    좋은 영상 제공과 설명 감사드립니다. ~~~ 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