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강의 정말 감사드립니다 :) 몇 가지 질문 드려요. 1. 라우터는 다 IP주소와 MAC 주소를 2개씩 가지고 있는 것인가요? 그림을 보니 IP 주소가 .1이었다가 .2이었다가 바뀌고 맥주소도 바뀌는 것 같습니다. 2. 설명해 주신 그림의 네트워크 모델은 사설 IP를 고려하지 않은 모두 공용IP을 사용하는 상황 인건가요? 만약 맞다면, 모델에 실제 가정집을 대응 시켜보면 컴퓨터 A나 B 자리에 공용IP를 갖는 공유기가 오고 그 뒷단? 내부에 각 방의 PC나 스마트폰 와이파이들이 사설IP를 할당 받게 되는 건가요?
선생님 질문이 있습니다. 11:06 에서 MAC 주소가 어떻게 bb ... 이 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저 네트워크 대역에 호스트가 B, C, D 등 여러개 있다면 통신을 할 수 없나요? 사설 IP로는 통신을 할 수 없으니 어떻게 많은 호스트 중에서 특정 호스트를 찾아낼 수 있나요?
@@린가드러버 여기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서 각 컴퓨터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비를 공유기라고 했지만 각 네트워크 대역이 사설IP가 아닙니다. 단순히 네트워크 대역(192.168.20.0/24)을 찾아가서 그 대역에서 사용중인 PC(192.168.20.20)를 찾아가는 것이죠. 네트워크 대역을 보고 공유기까지 갔으면 공유기가 해당 공유기의 내부 네트워크 대역에서 특정 IP를 사용하는 PC한테 패킷을 전달하려고 할 것입니다. 이 때 ARP프로토콜을 이용해서 다시 특정 PC의 맥주소를 알아오는 과정을 거치고 해당 PC에게 패킷을 전달하는 것입니다.
선생님 좀 헷갈리는게 있는데요 L2스위치의 역할은 목적지 MAC주소가 자신(L2스위치)이 아니면 버리는게 아니라 이더넷프로토콜을 봤을때 목적지 MAC주소를 보고 그 해당 MAC주소를 가진 네트워크장비의 포트로 전달만 해주는 역할이죠? 그러니까 L2스위치는 컴퓨터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서로의 컴퓨터끼리 연결하는게 복잡해지니 스위치 하나를 둠으로써 다수의 컴퓨터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고 패킷을 전달해주는 역할이 맞을까요?
질문있습니다! 1. 192.168.20.0/24 에서 /24 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2. B컴퓨터의 ip 192.168.20.20 만 보고 라우팅 테이블에서 192.168.20.0/24 로 가야한다고 판단할수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ip 수업에서 배울때 공용 ip 로 통신을 할수있기때문에 192.168.20.1 와이파이 공유기처럼 생긴것으로 통신이 돼야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근데 라우팅테이블에서 가운데 있는 기계로 가야한다고 판단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24는 서브넷 마스크가 24비트라는 뜻입니다. 255.255.255.0과 같은 것이죠. 라우팅 테이블에서 192.168.20.0/24 라고 쓰여있는 것은 192.168.20 까지만 같으면 192.168.20.1이든 192.168.20.2든 192.168.20.3 이든 모두 이쪽으로 가라 라고 설정이 되어 있는 것입니다.
@@ddarahakit 아아아 정말 감사합니다! 1번과2번 답변모두 한번에 해결됐습니다! /24가 서브넷마스크이고 다 어디로 가라고 설정 돼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192.168.20.20을 보고 아! 192.168.20.x 인곳은 모두 192.168.10.1로 가면되구나 라고 생각한 것이고 그리고 거기에 해당하는 맥주소를 이더넷에 찍은것 입니다! 근데 가운데에있는것이 공용 ip 를 가지고있는 공유기 입니까?
선생님 라우터(L3스위치)는 하위계층의 프로토콜 기능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더넷프로토콜도 쓸 수 있는거죠? 상위계층 장비는 하위계층의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고 들어서요 제가 자꾸 "이 계층에는 이런 프로토콜만 사용가능해"라고 생각하게되서 상위계층에 이더넷프로토콜이 나오니까 어 뭐지? L3에서도 이더넷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는건가? 계속 이런 생각이 듭니다 ㅠㅠ
맞아요. 하위 계층의 기능도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도 훌륭한 네트워크 장비죠. 그래서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는 1 2 3 4 5 6 7 계층의 모든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어요. 하지만 스위치는 1 2 계층의 기능만, 라우터는 1 2 3 계층의 기능만 가지고 있어요.
컴맹, 넷맹인데 언택트&온택트 시대를 맞아 필요하게 되어 접속하였습니다. 소중한 강의 너무너무 시원하고 고맙습니다.!
최근에 들었던 네트워크 수업중에서 젤 귀에 잘 들어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chatgpt한테 물어봐도 아리까리 했는데 이 영상 보니까 확실히 이해되네요~!
좋은 강의 정말 감사드립니다 :) 몇 가지 질문 드려요.
1. 라우터는 다 IP주소와 MAC 주소를 2개씩 가지고 있는 것인가요? 그림을 보니 IP 주소가 .1이었다가 .2이었다가 바뀌고 맥주소도 바뀌는 것 같습니다.
2. 설명해 주신 그림의 네트워크 모델은 사설 IP를 고려하지 않은 모두 공용IP을 사용하는 상황 인건가요? 만약 맞다면, 모델에 실제 가정집을 대응 시켜보면 컴퓨터 A나 B 자리에 공용IP를 갖는 공유기가 오고 그 뒷단? 내부에 각 방의 PC나 스마트폰 와이파이들이 사설IP를 할당 받게 되는 건가요?
와.. 선생님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이거 보면서 네트워크 구조가 머릿속에 조금씩 그려지면서 점점 재밌어지네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이더넷프로토콜을 다시 감싸주는 내용을 알게 되서 좋네요
와... 정말 재밌게 잘 가르쳐 주십니다... 서른 중반 늦은 나이에 it 업계 뛰어들어서 고군분투 하여 it 기업으로 이직 성공했는데,,, 비전공의 한계로 기본 지식이 없어서 힘든 와중 가뭄에 단비같은 강의입니다. ㅠㅠㅠㅠㅠ
선생님 질문이 있습니다. 11:06 에서 MAC 주소가 어떻게 bb ... 이 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저 네트워크 대역에 호스트가 B, C, D 등 여러개 있다면 통신을 할 수 없나요?
사설 IP로는 통신을 할 수 없으니 어떻게 많은 호스트 중에서 특정 호스트를 찾아낼 수 있나요?
사설 IP는 NAT를 이용해서 공인IP로 바꿔서 통신해요. MAC주소는 컴퓨터끼리 다르다는 것을 그냥 aa:aa... bb:bb.. 이렇게 표현한 것입니다.
@@ddarahakit 감사합니다. 제 질문이 조금 모호했던 것 같은데 공인 IP -> 공인 IP로 가는데 어떻게 내부 IP에서 특정 호스트로 정보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는가 인데 여기는 네트워크 계층이 아닌 더 상위 계층에서 구별이 들어가는 것인가요?
@@린가드러버 여기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서 각 컴퓨터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비를 공유기라고 했지만 각 네트워크 대역이 사설IP가 아닙니다.
단순히 네트워크 대역(192.168.20.0/24)을 찾아가서 그 대역에서 사용중인 PC(192.168.20.20)를 찾아가는 것이죠.
네트워크 대역을 보고 공유기까지 갔으면 공유기가 해당 공유기의 내부 네트워크 대역에서 특정 IP를 사용하는 PC한테 패킷을 전달하려고 할 것입니다.
이 때 ARP프로토콜을 이용해서 다시 특정 PC의 맥주소를 알아오는 과정을 거치고 해당 PC에게 패킷을 전달하는 것입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공유기와 라우터의 내부 mac주소와 외부 mac주소가 다른 건가요? 하나의 공유기가 cc:cc:cc, 11:11:11 의 mac주소를 가진 거로 설명되어 있어서요!
다시보니까 이전 강의 질문에 답변이 있네요! 용용님이 하신 질문과 같은 것 같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찾던 내용이네요ㅠㅠ 혹시 리눅스 CentOS8 에서 라우팅테이블 조회 (윈도우의 netstat -r) 하려면 ip route show 써서 확인하면 될까요??
ip route show 명령어로도 가능하고 net-tools 가 설치되어 있다면 netstat -r 명령어가 가능합니다.
선생님 좀 헷갈리는게 있는데요
L2스위치의 역할은 목적지 MAC주소가 자신(L2스위치)이 아니면 버리는게 아니라
이더넷프로토콜을 봤을때 목적지 MAC주소를 보고 그 해당 MAC주소를 가진 네트워크장비의 포트로 전달만 해주는 역할이죠?
그러니까 L2스위치는 컴퓨터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서로의 컴퓨터끼리 연결하는게 복잡해지니 스위치 하나를 둠으로써 다수의 컴퓨터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고 패킷을 전달해주는 역할이 맞을까요?
맞습니다. L2스위치에 PC나 장치를 연결하면 해당 포트에 연결된 장비의 MAC 주소를 자동으로 학습하고 패킷이 들어왔을 때 학습한 내용에 있는 MAC주소들을 보고 패킷을 전달해주는거에요.
감사합니다.~
잘 봤습니다.
질문있습니다! 1. 192.168.20.0/24 에서 /24 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2. B컴퓨터의 ip 192.168.20.20 만 보고 라우팅 테이블에서 192.168.20.0/24 로 가야한다고 판단할수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ip 수업에서 배울때 공용 ip 로 통신을 할수있기때문에 192.168.20.1 와이파이 공유기처럼 생긴것으로 통신이 돼야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근데 라우팅테이블에서 가운데 있는 기계로 가야한다고 판단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24는 서브넷 마스크가 24비트라는 뜻입니다. 255.255.255.0과 같은 것이죠. 라우팅 테이블에서 192.168.20.0/24 라고 쓰여있는 것은 192.168.20 까지만 같으면 192.168.20.1이든 192.168.20.2든 192.168.20.3 이든 모두 이쪽으로 가라 라고 설정이 되어 있는 것입니다.
@@ddarahakit 아아아 정말 감사합니다! 1번과2번 답변모두 한번에 해결됐습니다! /24가 서브넷마스크이고 다 어디로 가라고 설정 돼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192.168.20.20을 보고 아! 192.168.20.x 인곳은 모두 192.168.10.1로 가면되구나 라고 생각한 것이고 그리고 거기에 해당하는 맥주소를 이더넷에 찍은것 입니다!
근데 가운데에있는것이 공용 ip 를 가지고있는 공유기 입니까?
@@오용희-d2x 가운데 있는 네트워크 장비를 말씀하시는 건가요? 동그라미에 십자로 화살표로 그려둔 것은 라우터라는 네트워크 장비입니다. 실제 멀리 떨어져있는 여러 곳들을 연결해주는 인터넷 세상을 연결해주는 네트워크 장비입니다.
@@ddarahakit 아아 감사합니다!! 다른 강의 목록에 라우터 장비 강의도 있었네요!! 제가 아직 많이 부족해서 몰랐습니다ㅠㅠ
최적의 경로를 지도처럼 저장해놓는것:라우팅테이블
선생님 라우터(L3스위치)는 하위계층의 프로토콜 기능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더넷프로토콜도 쓸 수 있는거죠?
상위계층 장비는 하위계층의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고 들어서요
제가 자꾸 "이 계층에는 이런 프로토콜만 사용가능해"라고 생각하게되서 상위계층에 이더넷프로토콜이 나오니까 어 뭐지? L3에서도 이더넷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는건가? 계속 이런 생각이 듭니다 ㅠㅠ
맞아요. 하위 계층의 기능도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도 훌륭한 네트워크 장비죠. 그래서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는 1 2 3 4 5 6 7 계층의 모든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어요. 하지만 스위치는 1 2 계층의 기능만, 라우터는 1 2 3 계층의 기능만 가지고 있어요.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