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수무한과 자연수무한이 모두 일대일대응이 되었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홀수무한을 가지고 왔을때 홀수무한은 짝수와 중복되는 수가 없으니 새로운 수임이 증명된 상태입니다. 자연수무한보다 짝수무한+홀수무한이 더 크다는 것을 대각선논법 가정과 똑같은 방법으로 증명할 수 있는데 왜 이건 같다는건가요?
이건 여기서 대답하기 곤란합니다. 뭔가 직접 그림을 그리면서 설명해야 해서요. 어쨌든, 자연수의 크기와 홀수+짝수의 크기는 같습니다. 이것이 이해가 안 되시면, 죄송스럽지만, 집합론 책을 기본적으로 좀 보셔야 합니다. 지금 알고 계신 것처럼 '...똑같은 방법으로 증명할 수 있는데'는 틀린 것 같습니다.
짝수무한과 자연수무한이 모두 일대일대응이 되었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홀수무한을 가지고 왔을때 홀수무한은 짝수와 중복되는 수가 없으니 새로운 수임이 증명된 상태입니다. 자연수무한보다 짝수무한+홀수무한이 더 크다는 것을 대각선논법 가정과 똑같은 방법으로 증명할 수 있는데 왜 이건 같다는건가요?
이건 여기서 대답하기 곤란합니다. 뭔가 직접 그림을 그리면서 설명해야 해서요.
어쨌든, 자연수의 크기와 홀수+짝수의 크기는 같습니다. 이것이 이해가 안 되시면, 죄송스럽지만, 집합론 책을 기본적으로 좀 보셔야 합니다.
지금 알고 계신 것처럼 '...똑같은 방법으로 증명할 수 있는데'는 틀린 것 같습니다.
@TV-py9os 선생님도 무한중에 가장 큰 무한이 칸토어와 같이 신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감사합니다
제가 감사드려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