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적으로 사업이라는건 물건이나 서비스등 일종의 재화를 생산하고 팔아서 혹은 서비스를 제공해서 수익이 발생하는거다. 그 중 제품을 판매하는 네트워크 사업은 결국 본사의 제품을 위탁판매하고 수수료를 받아 먹는거다. 단지 제품판매에 대한 수수료의 일부를 다양한 이름에 따라 BV이니 뭐니 결국은 사람들에게 쉽게 말해서 소개료로 분배한다. 결국 네트워킹의 기본적인 구조는 최대한 많은 사람을 모아서 본사의 제품을 많은 사람들이 조금씩이라도 팔아서 제품을 많이 판매하면 그 판매수익의 일부를 소개료로 받아서 사람을 많이 모집한 사람이 큰 수익을 그 밑은 사람들도 조금씩은 버는 구조이다. 일단 팔면 돈이 된다. 그건 좋다 그러나 많은 다단계회사들이 사기업체 취급받은 이유 가장 중요한건 팔릴만한 제품인가? 이거다. 근데 영상보면 중요한건 설명안하고 사람모으면 돈번다라고 한다. 회사의 정책 시스템 보상플랜 돈버는 구조가 좋다고만 이야기한다. 중요한건 제품팔아 매출을 발생시키는거다. 근데 그런 이야기가 하나도 없다 왜냐 자신들도 제품에는 자신이 없기 때문이다 200만원짜리 화장품의 가치를 하는가? 혹은 개별 다른 아이템이 잘팔릴만한가? 아니다 결국 영상에서 이야기하는건 19년도보다 10배는 늘어난 보상플랜이니 보상체계를 통해서 회원들끼리 새로운 사람들을 끌여들여서 폭탄돌리기 하라는거다. 회원들은 폭탄돌리기 하지만 본사는 일단 물건 팔리니 손해보는 일은 1도 없다 3개월안에 환불해준다 하지만 과연? 결국 살기위해서 내 폭탄1개를 커버치기위해서는 최소 9개의 폭탄을 만들어 떠넘겨야한다 위에까지 쓰고 쿠키영상보니 가관이네요. 물건팔아 돈버는 기업이 아니고 보상플랜으로 돈번다는데 열심히 제품팔아 돈버는 구조가 아니라니 어디나라 기업인가요ㅋㅋ 감언이설로 신규회원 만들어서 뒤로 두줄로 세우고 와우팩 폭탄돌려서 돈버는거라고 당당하게 말하는거 참 ㅋㅋㅋ 웃고 갑니다
안녕하세요 사부작TV 엄용담 입니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해당영상은 시크릿에대한 오해를 풀고자하는 영상입니다. 재생목록에 제품쪽 보시면 말씀하신 내용에대한 답이 있습니다. 네트웍 회사의 제품은 재구매가 일어나야 하기때문에 좋아야 한다 라는 전제조건이 무조건 있어야합니다. 주신의견 바탕으로 영상을 만들어 업로드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사부작 TV엄용담 입니다. 가입비는 0원 입니다. 제품을 쓰기위한 가입도 0 원 입니다. 친구분이 이야기하시는것은 소비자 관점이 아닌 사업자관점에서 패키지 구매를 이야기 하신듯 합니다. 유튜브에도 수당을 받기위한조건중 구독자1000명 이라는 조건이 있듯이 네트웍도 수당을 받기위한 조건들이 있습니다. 그것중 하나가 패키지 구매99만원짜리를 가입비라고 이야기 하신것 같습니다
생각 해봤는데요 1번 와우팩을 사지 안아도 사업진행이 안된건 아니 였습니다 하지만 사용해 봐야하니까 산거죠 또 오토십은 하선에서 팩을 사면 자동으로 엑티브에이젼트 조건이되었지만 복제 때문에 오토십을 했구요 1대가 그만뒀을때는 그때는 새로우1대를찾아야 했는데 바뀐듯 보이구요 또 한줄만 해서 돈이 된다는 말은 바이너리 방식에 부합하지 않는듯 보이구요 이상입니다
생각 말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시크릿은 사업에 있어서는 방향성은 참 다양한듯 합니다. 방법론적으로 정해진 정답이 있는 것도 아니고, 팀의 색과 사업자 본인의 생각에 따라 여러가지 방식으로 사업이 진행 되는 것 같습니다. 와우팩과, 오토쉽, 모든걸 완벽하게 갖추고 시작하면 다른 방법보다 더 빠르고 더 많은 소득이 되는것은 분명합니다. 한기원님도 사업을 해보셔서 아시겠지만, 누군가에게 이 사업을 전할때 전달 받는 분은 이 사업을 통해 얻는것보다는 지출에 대해서 먼저 생각을 많이 하시더라고요, 많이 아쉬운 부분 입니다. 시크릿 정책에는, 내 추천인이 팩을 사면 내가 오토쉽을 하지 않아도 엑티브를 유지한다는 것, 외에 다른 청책도 있습니다, 회사는 계속 좋은 정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저는 이제 막 다단계 일을 알아보시는 분들이 시크릿은 무조건 220만원 오토쉽 무조건 해야하고, 등등 비용에대한 부담을 느끼시는 분들이 , 최소한의 지출로 시크릿 사업이 어떤 사업인지 그 마음의 진입장벽을 조금이라도 낮춰드리고 싶은 생각 입니다. 또한 잘못 전해진 내용으로 인해 시크릿에 대한 오해가 생기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 입니다. 늘 격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아 저도 이제 시작하는뎅 아 회사의 조직을 잘 이해해야 하는거더라구요 음~~ 감사합니다^^
상식적으로 사업이라는건 물건이나 서비스등 일종의 재화를 생산하고 팔아서 혹은 서비스를 제공해서 수익이 발생하는거다. 그 중 제품을 판매하는 네트워크 사업은 결국 본사의 제품을 위탁판매하고 수수료를 받아 먹는거다.
단지 제품판매에 대한 수수료의 일부를 다양한 이름에 따라 BV이니 뭐니 결국은 사람들에게 쉽게 말해서 소개료로 분배한다.
결국 네트워킹의 기본적인 구조는 최대한 많은 사람을 모아서 본사의 제품을 많은 사람들이 조금씩이라도 팔아서 제품을 많이 판매하면 그 판매수익의 일부를 소개료로 받아서 사람을 많이 모집한 사람이 큰 수익을 그 밑은 사람들도 조금씩은 버는 구조이다.
일단 팔면 돈이 된다. 그건 좋다 그러나 많은 다단계회사들이 사기업체 취급받은 이유 가장 중요한건 팔릴만한 제품인가? 이거다. 근데 영상보면 중요한건 설명안하고 사람모으면 돈번다라고 한다. 회사의 정책 시스템 보상플랜 돈버는 구조가 좋다고만 이야기한다. 중요한건 제품팔아 매출을 발생시키는거다. 근데 그런 이야기가 하나도 없다 왜냐 자신들도 제품에는 자신이 없기 때문이다
200만원짜리 화장품의 가치를 하는가? 혹은 개별 다른 아이템이 잘팔릴만한가? 아니다 결국 영상에서 이야기하는건 19년도보다 10배는 늘어난 보상플랜이니 보상체계를 통해서 회원들끼리 새로운 사람들을 끌여들여서 폭탄돌리기 하라는거다.
회원들은 폭탄돌리기 하지만 본사는 일단 물건 팔리니 손해보는 일은 1도 없다 3개월안에 환불해준다 하지만 과연? 결국 살기위해서 내 폭탄1개를 커버치기위해서는 최소 9개의 폭탄을 만들어 떠넘겨야한다
위에까지 쓰고 쿠키영상보니 가관이네요. 물건팔아 돈버는 기업이 아니고 보상플랜으로 돈번다는데 열심히 제품팔아 돈버는 구조가 아니라니 어디나라 기업인가요ㅋㅋ 감언이설로 신규회원 만들어서 뒤로 두줄로 세우고 와우팩 폭탄돌려서 돈버는거라고 당당하게 말하는거 참 ㅋㅋㅋ 웃고 갑니다
안녕하세요 사부작TV 엄용담 입니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해당영상은 시크릿에대한 오해를 풀고자하는 영상입니다. 재생목록에 제품쪽 보시면 말씀하신 내용에대한 답이 있습니다. 네트웍 회사의 제품은 재구매가 일어나야 하기때문에 좋아야 한다 라는 전제조건이 무조건 있어야합니다. 주신의견 바탕으로 영상을 만들어 업로드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선생님 실방 와서 영상 잘 보고 이웃맺고 갑니다 제 채널에도 놀러와주세요 ㅎㅎ
잘보고갑니다
9덕과 쪼아요는 서비에요,부계
용담 스폰서님^^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해요~ 혜원사장님~~^0^!!
들리는 목소리는 연수사장님 이에요~~~ ㅋ
찬구가 추천을 하든데 가입비 99만원 잇어야 된다고 하든데요 그건 뭐죠?
안녕하세요 사부작 TV엄용담 입니다.
가입비는 0원 입니다. 제품을 쓰기위한 가입도 0 원 입니다.
친구분이 이야기하시는것은 소비자 관점이 아닌 사업자관점에서 패키지 구매를 이야기 하신듯 합니다.
유튜브에도 수당을 받기위한조건중 구독자1000명 이라는 조건이 있듯이 네트웍도 수당을 받기위한 조건들이 있습니다. 그것중 하나가 패키지 구매99만원짜리를 가입비라고 이야기 하신것 같습니다
그래서. 와우팩 안사고,오토쉽 안하고 하는 방법이 뭔데요? 그리고 분명 시크릿 수익 구조에 적은 쪽 BV에서 15프로의 수익이 난다고 하는데요. 한줄만 키워서 먹고살기 충분한 수익이 난다는건가요 아니면 생각도 안하던 푼돈이 들어온다는건가요.
안경이 커지는건가요?
얼굴이 작아 지는 건가요? (^ ^)
점점 멋져 지시네요~
언제나 좋은 내용!! 잘 듣고 있습니다~
잘나오게 카메라 각도 잡느라 고생했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b
다음영상이 무지무지 기대됩니다 ^^
용담님 반갑습니다!
네~~~ 점수사장님~~^^ 반갑습니다~~
요즘은 저의 실패 원인을 생각 해보곤 합니다 아마도 천천히 하되 느리게 하지 말고 빠르게 하되 서두르지 말았어야 했는데 요즘생각을 마니 하내요 또 직장을 잡고 사이드잡으로 했어야 했는데 요 또 스폰서님이 신경을 써줄때 텐션을 올렸어야 했는데요 조금은 후회가 되긴 하네요
한발자국 물러섰을때 비로소 답이 보이기도 하더라고요~~
아직 늦지 않으셨어요~ 지나간것보다 앞으로 올것들이 더 많으니까요~^^
@@TV-vr3ij 요즘 제가 아빠가 되었거든요 그래서 그런지 약간 감성적 이된건지 약간은 아리송하지만 분명한건 ..... 모르겠네요 ㅎㅎ
@@peterhan9524 와~~ 축하드립니다~^^ 너무 축복받으실 일이네요~
무수일이든 지나가고보면 아쉬움이 남는것 같습니다, 저도 아쉬움 남기기 싫어서 꾸준히 가보려고 합니다
생각 해봤는데요 1번 와우팩을 사지 안아도 사업진행이 안된건 아니 였습니다 하지만 사용해 봐야하니까 산거죠 또 오토십은 하선에서 팩을 사면 자동으로 엑티브에이젼트 조건이되었지만 복제 때문에 오토십을 했구요 1대가 그만뒀을때는 그때는 새로우1대를찾아야 했는데 바뀐듯 보이구요 또 한줄만 해서 돈이 된다는 말은 바이너리 방식에 부합하지 않는듯 보이구요 이상입니다
생각 말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시크릿은 사업에 있어서는 방향성은 참 다양한듯 합니다.
방법론적으로 정해진 정답이 있는 것도 아니고, 팀의 색과 사업자 본인의 생각에 따라 여러가지 방식으로 사업이 진행 되는 것 같습니다.
와우팩과, 오토쉽, 모든걸 완벽하게 갖추고 시작하면 다른 방법보다 더 빠르고 더 많은 소득이 되는것은 분명합니다.
한기원님도 사업을 해보셔서 아시겠지만, 누군가에게 이 사업을 전할때 전달 받는 분은 이 사업을 통해 얻는것보다는 지출에 대해서 먼저 생각을 많이 하시더라고요, 많이 아쉬운 부분 입니다.
시크릿 정책에는, 내 추천인이 팩을 사면 내가 오토쉽을 하지 않아도 엑티브를 유지한다는 것, 외에 다른 청책도 있습니다, 회사는 계속 좋은 정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저는 이제 막 다단계 일을 알아보시는 분들이 시크릿은 무조건 220만원 오토쉽 무조건 해야하고, 등등 비용에대한 부담을 느끼시는 분들이 , 최소한의 지출로 시크릿 사업이 어떤 사업인지 그 마음의 진입장벽을 조금이라도 낮춰드리고 싶은 생각 입니다.
또한 잘못 전해진 내용으로 인해 시크릿에 대한 오해가 생기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 입니다. 늘 격려주셔서 감사합니다.
@@TV-vr3ij 요즘은 그런생각 가끔은해요 조금더 적극적으로 했더라면 조금더 열심히 했더라면 생각을하내요 열정적인 사장님모습보니 더 그런 생각이 드는거같구요 ㅎㅎ 라때는 이런거 아니구요 난까 그냥 사장님 열정이 부러워서 랄까요
@@peterhan9524 기원님 글을 보면 열심히 하셨던 분이였을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성공의 기준이 어떠튼간에 꾸준하게 가보려고 합니다~
힘이되는 댓글주시는 분이라 기회가 된다면 한번 뵈었으면 좋겠네요~ 바르게 사업하도록 노력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TV-vr3ij 바른게 진행 하시는거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peterhan9524 네~~ 맞습니다~ 꾸준하게 바르게 하겠습니다~^^
힘내세요
감사합니다~^^
FSB는 없어진건가요?
네~ 받는사람이 거의 없던 FSB는 없어지고 혜택을 많이받을수 있는 다이렉트 보너스가 생겼어요~
요즘 바쁜가봐요?
네~~ 안녕하세요~~^^ 이래저래 바쁘네요~ 오늘 오후9시에 유튜브로 소통라이브방송 있습니다~ 시간 내실수 있으면 꼭 참석해 주세요~
ㄷㅅㄱㅌ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ㅈㅂㅅㄱ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