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화재때는 정말 화재진압이 힘듭니다. 곰님 궁금한게 있는데... 1.서울소방에는 펌프차 산화펌프가 달려있는게 없나요? 2.y커플링 역설치 하셨는데 그럼 y커플링 3배관 모두 연결금속구를 연결하는게 좋은가요? 아니면 차량측과 관창쪽에 연결금속구를 연결하는게 좋나요? 영상에 나온 y커플링 나사선이 기존 보급된게 아닌 따로 주문해서 나사선을 반대로 해서 보급된건지 궁긍합니다. 3.또한 y커플링 바로 위에 설치된게 역류방지밸브를 추가로 넣은건가요? 저희는 산화펌프가 기본으로 달려있어 호스연장을해서 영상처럼 현장에서 사용사지 않다보니 생각을 해본적이 없었는데 좋은 내용의 영상입니다👍👍
나방님 안녕하세요, 산불화재는 체력전과도 같다고 봅니다. 저희도 출동나갈때 산불이라고 하면 활동화 가지고 차량 탑승합니다. 강원이 최근 고성도 그렇고 가장 고생이 많으시죠. 이제는 광역기준으로 출동하기에 현장에서 볼 날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1. 강원에서 도입되는 산을 막 타고 다니는 그런 다목적산불진화차는 없습니다. 기존 펌프차에 30kg압력을 견딜수 있는 배관강화를 통한 고압펌프차량은 배치되어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이건 배관압력을 더 견딜수 있는 부분이지 압력을 더 송출해 주는 부분은 아니기에 어느정도 중계는 불가피합니다 2. 기존에 차량 펌프-탱크 2대 1조로 직렬중계방수 할때의 차량 부담을 Y커플링 역설치를 통해 차량 2개조(4대) 라인으로변경하여 장시간 산불화재 진압의 차량 피로도를 저감시키기 위함이 주목적입니다. 작전도는 1개공급라인에 탱2,펌1 총 3대 1개조. 역Y커플링은 수수커플링을 결합한 제품으로 맞습니다. 3. 역류방지를 위한 체크밸브 맞습니다. 그리고 간이수조 설치로 분기되어 나가는 부분도 체크밸브를 설치해주는 방향으로 하고 있는 전술입니다.
저희도 2019년 5월 진입로에서 북한산 족두리봉까지 해발 189m 약 645m 거리 구간 전개후에 방수테스트 한바가 있는데요, 펌프차 20kgf/cm2 이상으로 방수를 지속적으로 25분을 초과했을때 과부하 증상을 보인바가 있습니다.이에 18kgf/cm2압이 산불화재진압 적정압력이라는 결론이 있습니다. 핵심은 노즐선단 방수압력이 최소 산불화재 진압을 할수 있을정도의 1.5kgf/cm2가 확보되는게 관건이 아닌가 싶습니다. 25A 30M짜리 호스도 지급되어 함께 사용하고 있습니다. 몇미터 전개시 압력 몇키로라는 데이터가 있지만 이건 산림의 지형과 전개시 형태 및 장비사용에 따라 다를수 있으므로 논하지 않겠습니다.
꼭 붙어서 국민의 안전과 재산을 책임지는 소방대원이 되겠습니다
응원합니다! 화이팅!
산꼭대기 사찰화재 유경험입니다.
소방호스로는 턱없이 부족하며, 산화펌프를 이용해서 고압호스를 최대한 연장해서 끌고가고, 산중턱에 간이수조를 설치해서 물을 담고, 마지막에 이동식동력소방펌프(많이무겁지만 어쩔수없음)를 설치해서 산꼭대기까지 소방호스를 가져가야합니다. (계곡, 헬기 등은 고려x)
소중한 경험 공유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아마 서울소방에는 산화펌프가 없어서 이렇게 연결하는 전술을 연구한게 아닐까요... 확실히 산화펌프가 있으면 산불을 진압하기가 쉬운데, 서울이 타지역만큼 산불이 많이 나지 않아서 그런거 같네요. fire결서님 지역에는 산불진화차가 따로 있나보네요
산림화재때는 정말 화재진압이 힘듭니다. 곰님 궁금한게 있는데...
1.서울소방에는 펌프차 산화펌프가 달려있는게 없나요?
2.y커플링 역설치 하셨는데 그럼 y커플링 3배관 모두 연결금속구를 연결하는게 좋은가요? 아니면 차량측과 관창쪽에 연결금속구를 연결하는게 좋나요? 영상에 나온 y커플링 나사선이 기존 보급된게 아닌 따로 주문해서 나사선을 반대로 해서 보급된건지 궁긍합니다.
3.또한 y커플링 바로 위에 설치된게 역류방지밸브를 추가로 넣은건가요?
저희는 산화펌프가 기본으로 달려있어 호스연장을해서 영상처럼 현장에서 사용사지 않다보니 생각을 해본적이 없었는데 좋은 내용의 영상입니다👍👍
나방님 안녕하세요, 산불화재는 체력전과도 같다고 봅니다. 저희도 출동나갈때 산불이라고 하면 활동화 가지고 차량 탑승합니다. 강원이 최근 고성도 그렇고 가장 고생이 많으시죠. 이제는 광역기준으로 출동하기에 현장에서 볼 날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1. 강원에서 도입되는 산을 막 타고 다니는 그런 다목적산불진화차는 없습니다. 기존 펌프차에 30kg압력을 견딜수 있는 배관강화를 통한 고압펌프차량은 배치되어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이건 배관압력을 더 견딜수 있는 부분이지 압력을 더 송출해 주는 부분은 아니기에 어느정도 중계는 불가피합니다
2. 기존에 차량 펌프-탱크 2대 1조로 직렬중계방수 할때의 차량 부담을 Y커플링 역설치를 통해 차량 2개조(4대) 라인으로변경하여 장시간 산불화재 진압의 차량 피로도를 저감시키기 위함이 주목적입니다. 작전도는 1개공급라인에 탱2,펌1 총 3대 1개조. 역Y커플링은 수수커플링을 결합한 제품으로 맞습니다.
3. 역류방지를 위한 체크밸브 맞습니다. 그리고 간이수조 설치로 분기되어 나가는 부분도 체크밸브를 설치해주는 방향으로 하고 있는 전술입니다.
저희도 2019년 5월 진입로에서 북한산 족두리봉까지 해발 189m 약 645m 거리 구간 전개후에 방수테스트 한바가 있는데요, 펌프차 20kgf/cm2 이상으로 방수를 지속적으로 25분을 초과했을때 과부하 증상을 보인바가 있습니다.이에 18kgf/cm2압이 산불화재진압 적정압력이라는 결론이 있습니다. 핵심은 노즐선단 방수압력이 최소 산불화재 진압을 할수 있을정도의 1.5kgf/cm2가 확보되는게 관건이 아닌가 싶습니다. 25A 30M짜리 호스도 지급되어 함께 사용하고 있습니다. 몇미터 전개시 압력 몇키로라는 데이터가 있지만 이건 산림의 지형과 전개시 형태 및 장비사용에 따라 다를수 있으므로 논하지 않겠습니다.
약어가 보안때문에 공개하지 않는다고 알고 있는데 맞나요?
네 다만 현장영상이나 훈련영상에는 녹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뉴스에서도 들으실수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