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번 문제 저도 헷갈려서 15강 당좌자산 강의 다시 찾아봤는데요 5분 20초 쯤에 당좌예금과 보통예금을 요구불 예금으로 설명하시면서 분류 범위는 현금으로 들어가긴 하지만 계정과목을 적을 땐 따로 작성한다고 하시네요!! 그래서 당좌예금도 현금이라고 하신 것 같아요!!!
많이 늦었지만,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에도 더 자세하게 이해가 필요한 분들이 계실 것 같아 추가 답글 남깁니다! 일단 문제에서부터 현금 및 현금성자산으로 '회계처리' 할 수 없는 것이라는 점을 주의 깊게 봐야 할 것 같습니당 당좌예금, 보통예금 등 = 요구불예금(요구 시에만 주는 예금) 이 요구불예금은 '회계상' 현금으로 처리할 수 있지만(='결산'할 때='재무상태표' 기재할 때='회계처리' 할 때 는 현금으로 처리 가능), '평상시 분개' 할 때는 당좌예금, 보통예금으로 나눠서 기재해야 한다고 하셨어요! 이 내용을 문제에 나온 단어로 말하면, 당점발행 당좌수표(요구불예금)는 '회계처리' 시에는 '현금' 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거죠. 즉, 거래 >> (분개) >> 분개장 >> (전기) >> 총계정원장 이 과정에서 '당좌예금', '보통예금'은 총계정원장에서는 '현금'으로 적어도 되지만, 전기하기 전 분개장에는 정확히 상세내용을 모두 기록해야 하기에 '당좌예금, '보통예금'으로만 기재할 수 있다는 말인 것 같습니다! **요약 : 당좌예금, 보통예금을 분개할 때는 '당좌예금'으로만 처리 가능 당좌예금, 보통예금을 총계정원장에 기재할 때는 '현금'으로도 처리 가능
[ 오답 풀이 ] P168 2번 문제 거래처에서 발행한 당좌수표 = 타인발행수표 = 현금 ( p34 참조 ) P169 6번 문제 상품을 외상으로 매출하고 거래처별로 기록하는 것 = 거래처원장 또는 매출처원장 매출처 = 매출한 거래처 그래서 거래처원장이랑 같은 뜻임 거래처원장으로 가보면 매입거래처와 매출거래처가 섞여있음 따라서 더 엄밀하게 말하면 이 문제에서는 매출거래처원장이라고 말할 수 있음 반대로 매입했을 때는 매입처원장 또는 거래처원장에서 매입 내용들을 검색해보면 알 수 있음
1:35 정답은 4번이라고 하시는데 이전의 강좌에서 '당점발행 당좌수표'는 당좌예금이고, 당좌예금은 현금으로 처리하지 않고 '당좌예금'으로 (보통예금도 마찬가지) 처리한다고 하셨는데 이 문제 풀이에서는 '당좌예금은 현금 및 현금성 자산에 들어간다'라고 하셨습니다. 혹시 이 부분에서 제가 혼동하고 있는 부분이 어디일까요? ㅜㅜ
*** 3번 문제 저도 헷갈려서 15강 당좌자산 강의 다시 찾아봤는데요 5분 20초 쯤에 당좌예금과 보통예금을 요구불 예금으로 설명하시면서 분류 범위는 현금으로 들어가긴 하지만 계정과목을 적을 땐 따로 작성한다고 하시네요!! 그래서 당좌예금도 현금이라고 하신 것 같아요!!!
많이 늦었지만,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에도 더 자세하게 이해가 필요한 분들이 계실 것 같아 추가 답글 남깁니다!
일단 문제에서부터 현금 및 현금성자산으로 '회계처리' 할 수 없는 것이라는 점을 주의 깊게 봐야 할 것 같습니당
당좌예금, 보통예금 등 = 요구불예금(요구 시에만 주는 예금)
이 요구불예금은 '회계상' 현금으로 처리할 수 있지만(='결산'할 때='재무상태표' 기재할 때='회계처리' 할 때 는 현금으로 처리 가능), '평상시 분개' 할 때는 당좌예금, 보통예금으로 나눠서 기재해야 한다고 하셨어요!
이 내용을 문제에 나온 단어로 말하면, 당점발행 당좌수표(요구불예금)는 '회계처리' 시에는 '현금' 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거죠.
즉, 거래 >> (분개) >> 분개장 >> (전기) >> 총계정원장
이 과정에서 '당좌예금', '보통예금'은 총계정원장에서는 '현금'으로 적어도 되지만, 전기하기 전 분개장에는 정확히 상세내용을 모두 기록해야 하기에 '당좌예금, '보통예금'으로만 기재할 수 있다는 말인 것 같습니다!
**요약 :
당좌예금, 보통예금을 분개할 때는 '당좌예금'으로만 처리 가능
당좌예금, 보통예금을 총계정원장에 기재할 때는 '현금'으로도 처리 가능
이 강의 덕분에 전산회계 2급, 무작정 외우는게 아닌 이해하면서 공부할수있어 너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6:03 9:46 11:51 13:22 15:50 16:35 선급금: 거래처입력
항상 감사합니다 선생님
복받으세요 감사합니다
좋은 강의 언제나 감사합니다~^^
이론시험
1번 0:20 2번 0:58 3번 1:37 😊4번 2:10 😮5번 3:00
>> 타인 발행 수표 --> 현금
약속어음 발행 --> 지급어음 (4번)
6번 4:00 7번 5:13 8번(어음 문제) 6:00 9번
매출장 4:48 받을어음 계정 6:05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실무시험
(1) 7:07 8:30 (2)8:40 9:30
😮(3)9:47 10:48 (4)11:00 11:36
(5)어음의 할인 11:47 13:00 (6)어음 만기 13:13 14:10
(7)14:21 15:03 (8)15:12 16:07
(9)어음의 할인 16:22 18:03 (10)당좌수표 발행 18:11 18:50
(11)단기대여금 회수 18:58 19:40 (12)19:49 20:44
>> 어음 추심수수료 --> 수수료비용(831?)
어음 할인료 --> 매출채권처분손실
.
받을어음 계정
전기이월액 6:10
어음의 수취액 6:18
어음대금 회수, 양도, 부도액 6:23
차기이월액 미회수액
.
1:30 현금 및 현금성자산
2:56 외상매출금 계정의 차변 대변
11:37 매각거래(어음 할인)
19:44 계약금 차감(분개)
너무 잘 가르쳐주셔서 이해가 잘되요!! 정말 감사합니다
강의 덕분에 문제 많이 풀었어요 ㅎㅎ 감사합니다
복습할 문항
3. 2:00
6. 4:20
4] 10:20 당사발행 약속어음 =/ 당좌수표, 당좌예금 결국 어음이다.
6] 13:40매출 채권 회수 시 발생한 수수료 비용은 판관비 처리
어떻게 이게 무료 강의지.. 고맙습니다. 학교 센빠이
여기까지 왔는데 당좌자산이 좀 헷갈리네요ㅎㅎ
무료강의 해주신 박쌤께 무한한 감사를!!
1급 도전 중인데 2급도 어려워서 우짜죠ㅜㅜ
오늘도 감사히 시청했습니다 ^^ 감사합니다!!
21강까지 왔네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박쌤 정말 감사합니다. 이제 20강 남았어요.
선생님 오늘도 강의 잘들었습니다 !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20강까지 선생님 덕분에 잘 따라왔습니다
1:11에 문제2번 차변이 당좌예금인지 현금인지 헷갈려요 ㅠ 어떤때는 당좌예금 계좌로 입금되었다~ 하면 당좌예금으로 쓰지않나요?
당좌 수표를 받은거는 현금으로 처리해서 현금으로 쓰는거같아요 그 회사에서 발행된 수표이기때문에,, 우리가 당좌수표를 발급해서 주면 그 때는 당좌 예금으로 쓰면되구여
조금 덧붙이자면 타행이 발행한 당좌수표는 바로 은행에서 현금으로 교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금취급을 한다고 알고 있구요, 자사에서 발행한 당좌수표의 경우에는 당좌계좌에서 그 당좌수표의 금액이 빠져나가는 것이기때문에 당좌예금으로 씁니다.
감사합니다❤ 쭉쭉 나아갈게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오답 풀이 ]
P168 2번 문제
거래처에서 발행한 당좌수표 = 타인발행수표 = 현금 ( p34 참조 )
P169 6번 문제
상품을 외상으로 매출하고 거래처별로 기록하는 것 = 거래처원장 또는 매출처원장
매출처 = 매출한 거래처 그래서 거래처원장이랑 같은 뜻임
거래처원장으로 가보면 매입거래처와 매출거래처가 섞여있음
따라서 더 엄밀하게 말하면 이 문제에서는 매출거래처원장이라고 말할 수 있음
반대로 매입했을 때는 매입처원장 또는 거래처원장에서 매입 내용들을 검색해보면 알 수 있음
1:35
정답은 4번이라고 하시는데
이전의 강좌에서 '당점발행 당좌수표'는 당좌예금이고,
당좌예금은 현금으로 처리하지 않고 '당좌예금'으로 (보통예금도 마찬가지) 처리한다고 하셨는데
이 문제 풀이에서는 '당좌예금은 현금 및 현금성 자산에 들어간다'라고 하셨습니다.
혹시 이 부분에서 제가 혼동하고 있는 부분이 어디일까요? ㅜㅜ
1:35 그냥 성격이 현금이란 것 아닌가요...? 처리할때만 당좌예금 계정이고...?
잫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열심히 강의를 듣기는 하는데 풀라고 하면 생각나는거는 1도 없고.... 하하하하하하하하
3번문제 당점발행 당좌수표도 현금으로 회계처리 불가능한 것 아닌가요?ㅠㅠ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문제 끝까지 다 읽기, 받을어음이 아니라 거래처의 자기앞수표로 받은 것.
거래처 잊지 말기
거래처원장 = 매출처원장
13:12 수수료비용(판매관리비) 831
감사합니다😊
2번 문제에서 계약금을 선수금으로 처리해서 대변에 기입하는 이유가 헷갈립니다.
계약금을 부채라고 하는데 자산의 증가 아닌가요?
실무시험 3번과 8번 완전 똑같은 문제네요. 받을어음이 테크노마트인거랑 청주상사인거만 빼면
감사합니다!
박쌤. 상호명은 어디 밑에 다 적어야 하나요? 정해진게 있나요? 멘붕 와요.
외상매출금에서 기말재고액은 왜 대변에 있는지 이해가 안되요 ㅜㅜ
정확하지는 않지만, 아마 이월의 개념이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월되면 당기간의 외상매출금에서는 빠지니까요 감소 대변
당기(이번 년도)에는 못 판거니까, 외상'매출금'으로 잡힐 수 없고. 기말재고액(못팔고 남은거)으로서 다음 년도 차기로 매출없이 그냥 넘어가는 재고액일 뿐이라서 그런 거 아닐까요~?
5번 거래재고액은 왜 대변인거지?
완료♥쏙쏙쏙~
감사합니다.
단기매매증권이 당좌자산인 건 알겠는데 이건 현금성자산에 포함 안되나요? 단기가 물론 1년 이내인 것은 알지만, 크게 봤을 때 3개월도 이 안에 속하고 주식 등을 판매해서 돈을 받을 수 있는 채권같은거 아닌가 싶어서요..
5:12 문제에서 자기앞수표(당좌예금)랑 타인발행수표(현금)는 다른거 아닌가요?
거래처는 어디어디 써줘야 하나요.. 정리가 안된 느낌이라서요ㅠㅠ
18:46 선급금이 계약금이랑 같은 말이라고 하셨는데 계약금을 지불 한건데 선급금은 자산 아닌가요ㅠ? 자산의 감소 인데 왜 차변에 들어가는지 헷갈려요..도움 주세요ㅠㅠ
계약금을 지불함으로써 상대로부터 제품을 받을권리(채권)가 생기니까 자산의 증가로 봐야하는 것이 아닐까요?
02:28 4번문제 2번보기 차변에 상품이 아니라 외상매입금...!
감사합니당 ^___^
07:01 실무시험
03:00 > 06:10
아 헷갈리고 너무 어렵네요.
풀이를 좀 쉽게 해주시면 안될까요.
이론문제가 많이 어렵네요 😂
11/27 완료!
문제 푸니까 자잘하게 많이 실수 나오네요ㅠㅠㅠ 합격할 수 있을까
21강 시작! 12/20/24
틀린 문제: 2, 3, 실무5, 실무10
6:57 책갈피🚩
슬슬 헷갈리기 시작하네요ㅠㅠ
18:47 선급금이 대변이 아니라 왜 차변으로 가는지 알 수 있을까요??
선급금은 나중에 상품을 받을 채권이라서 자산의 증가입니다.
@@박규희-z3e 감사합니다! 그러면 선수금은 대변으로 가야하는건가요??
00:01 다시보기
점점 어려워 지는군요 ㅜ ㅋㅋ
총정리 건너뜀
14:16
2024.07.13(토) 완료
17:00 이해 안 가는 문제
6:47
😭😭👍
😢😢😢😢
10
.
감사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14:10
9:42
0:47
3:57
7:07
9:59
14:55
끝
11:00
14:10
8:50
13:15
6:53
7:00
5:57
8:36
9:46
11:47
13:12
19:50
18:20
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