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분 55초 정도에, 외부 API 호출을 위한 Webclient를 사용하는 것 이상으로 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라고 돼 있는데, 정말 그럴까요? 저는 아니란 생각이 드네요. WebClient는 Webflux의 정말 일부 중의 일부 기능일 뿐이고, 아키텍처가 뒷받침 된다면, 정말 좋은 성능을 내지 않을까요? 또 가상 쓰레드가 성능이 더 좋다는 결과는 사용자 수에 따라 다를텐데요?
안녕하세요.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회사에서 제게 주어진 시간에 webflux를 걷어내야할지 그대로 써야할지 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는 영상에서 보는바와 같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영상에는 없지만 공표할 수 없는 정보도 있었기 때문에 충분히 실무적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영상을 만들때 성능이나 기술적인 부분의 우월정도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 것을 최대한 자제하고 있으나, 이번의 경우는 그냥 한번 쓹 훑어보고 한 것은 아닙니다. 어떤 기술이든 잘 쓰면 좋다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기술적인 것 외의 상황이 무언가를 결정할 때 크게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 부분까지 고려해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hobbyMett 넵. 무슨 말인지는 알겠습니다. 다만, 그런 부분이 없다보니, 또 트랜잭션 부분에서 Blocking 안 시키고도 처리할 수 있는 부분이 많다보니 이렇게 말을 하게 됐네요. 여튼 기술에 대해서 항상 양면이 있기에, 이런 부분은 좋고, 이런 부분은 여기서 사용하고 이런식으로 말해주시면 조금 더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미 배민, 네이버, 카카오 등 메이저 기업들에서 일부 프로젝트는 이를 사용하고 있고, 이를 통해 트래픽을 잘 처리하고 있기에, 러닝커브가 높고 비주류인 것은 맞지만, 충분히 성숙도 높은, 꼭 Node가 아니어도 사용할 법한 기술입니다.
Reactor 관련 공부를 시작 한지 두 달정도 되었어요. 매일 한 시간씩 해서 이제 좀 알겠다 싶었는데, 얼마 전에야 Project Loom이나 가상 스레드 같은 걸 알게 되었어요ㅋㅋ 공부한 게 시간낭비했다고는 생각 안하지만.. 왠지 이게 대세가 되지 못하고 어중간하게, 안쓰이게 될 거 같다는 게 아쉽네요ㅠ
열심히 공부하고 준비하셔서 값진 통찰력을 전달해 주시는데 싫어요는요, 좋아요부터 박고 봅니닷
늘 영상 감사합니다.
13분 55초 정도에, 외부 API 호출을 위한 Webclient를 사용하는 것 이상으로 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라고 돼 있는데, 정말 그럴까요? 저는 아니란 생각이 드네요. WebClient는 Webflux의 정말 일부 중의 일부 기능일 뿐이고, 아키텍처가 뒷받침 된다면, 정말 좋은 성능을 내지 않을까요? 또 가상 쓰레드가 성능이 더 좋다는 결과는 사용자 수에 따라 다를텐데요?
안녕하세요.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회사에서 제게 주어진 시간에 webflux를 걷어내야할지 그대로 써야할지 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는 영상에서 보는바와 같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영상에는 없지만 공표할 수 없는 정보도 있었기 때문에 충분히 실무적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영상을 만들때 성능이나 기술적인 부분의 우월정도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 것을 최대한 자제하고 있으나, 이번의 경우는 그냥 한번 쓹 훑어보고 한 것은 아닙니다. 어떤 기술이든 잘 쓰면 좋다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기술적인 것 외의 상황이 무언가를 결정할 때 크게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 부분까지 고려해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hobbyMett 넵. 무슨 말인지는 알겠습니다. 다만, 그런 부분이 없다보니, 또 트랜잭션 부분에서 Blocking 안 시키고도 처리할 수 있는 부분이 많다보니 이렇게 말을 하게 됐네요.
여튼 기술에 대해서 항상 양면이 있기에, 이런 부분은 좋고, 이런 부분은 여기서 사용하고 이런식으로 말해주시면 조금 더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미 배민, 네이버, 카카오 등 메이저 기업들에서 일부 프로젝트는 이를 사용하고 있고, 이를 통해 트래픽을 잘 처리하고 있기에, 러닝커브가 높고 비주류인 것은 맞지만, 충분히 성숙도 높은, 꼭 Node가 아니어도 사용할 법한 기술입니다.
전반적으로 봤을 때, 조금 좁게 보시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각 기술은 장/단점이 있는데, 그걸 말하려면 깊게 사용해보고, 실무에서도 써보고 언급하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R2DBC 등으로 db tx에 대해서도 논블러킹 처리를 하는 방향으로 구성해서 스프링진형에서도 논블러킹 아키텍쳐를 지향하는게 불합리하지는 않은 거 같아요. 다만 신규 개발자 유입에 따른 러닝커브 문제는 공감합니다.. 언제 또 가르칠지..
Reactor 관련 공부를 시작 한지 두 달정도 되었어요. 매일 한 시간씩 해서 이제 좀 알겠다 싶었는데, 얼마 전에야 Project Loom이나 가상 스레드 같은 걸 알게 되었어요ㅋㅋ 공부한 게 시간낭비했다고는 생각 안하지만.. 왠지 이게 대세가 되지 못하고 어중간하게, 안쓰이게 될 거 같다는 게 아쉽네요ㅠ
11:20 에서 발췌해주신 공식 설명의 원문은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제가 참고한 문서입니다. docs.spring.io/spring-framework/reference/web/webflux/new-framework.html
@@hobbyMett 찾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jpa는 인기가 많지만 웹플럭스는 그렇지 않아서 싫어요는 덜받을겁니다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