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1_물질의 규칙성과 결합] 2강. 별의 탄생과 진화│주계열성, 적색거성, 백색왜성, 행성상 성운, 초거성, 초신성│무거운 원소의 생성💫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01:00 별에 작용하는 두 가지 힘 👉🏻중력, 내부 압력
    03:15 원시별의 탄생 (성간물질 ➔ 가스 구름 ➔ 성운 ➔ 원시별)
    06:51 주계열성
    09:57 적색 거성
    12:23 백색 왜성과 행성상 성운
    13:48 초거성
    16:08 초신성 폭발
    17:16 별의 탄생과 진화과정 정리💫
    🌸물질과 규칙성 단원 강의목록🌸
    1강 : 빅뱅 우주론│쿼크│양성자와 중성자│빅뱅 우주론의 증거 👉🏻 • [고1_물질의 규칙성과 결합] 1강. 빅...
    2강 : 별의 탄생과 진화│주계열성, 적색거성, 백색왜성, 행성상 성운, 초거성, 초신성│무거운 원소의 생성 👉🏻 • [고1_물질의 규칙성과 결합] 2강. 별...
    3강 : 태양계와 지구의 형성 과정│성운설│미행성체│원시행성│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 👉🏻 • [고1_물질의 규칙성과 결합] 3강. 태...
    4강 : 보어의 원자모형│전자배치│전자껍질│원자가 전자│주기&족 👉🏻 • [고1_물질의 규칙성과 결합] 4강. 보...
    5강 : 금속│비금속│준금속│알칼리금속│할로젠│특징과 반응성 정리하기 👉🏻 • [고1_물질의 규칙성과 결합] 6강. 이...

Комментарии • 199

  • @eunhye_seo
    @eunhye_se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01:00 별에 작용하는 두 가지 힘 👉🏻중력, 내부 압력
    03:15 원시별의 탄생 (성간물질 ➔ 가스 구름 ➔ 성운 ➔ 원시별)
    06:51 주계열성
    09:57 적색 거성
    12:23 백색 왜성과 행성상 성운
    13:48 초거성
    16:08 초신성 폭발
    17:16 별의 탄생과 진화과정 정리💫
    🌸물질과 규칙성 단원 강의목록🌸
    1강 : 빅뱅 우주론│쿼크│양성자와 중성자│빅뱅 우주론의 증거 👉🏻ruclips.net/video/jHSZHMVrK68/видео.html
    2강 : 별의 탄생과 진화│주계열성, 적색거성, 백색왜성, 행성상 성운, 초거성, 초신성│무거운 원소의 생성 👉🏻ruclips.net/video/BWjPBsyngcs/видео.html
    3강 : 태양계와 지구의 형성 과정│성운설│미행성체│원시행성│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 👉🏻ruclips.net/video/J6YY0w4-D64/видео.html
    4강 : 보어의 원자모형│전자배치│전자껍질│원자가 전자│주기&족 👉🏻ruclips.net/video/UvdrQfmcDJ8/видео.html
    5강 : 금속│비금속│준금속│알칼리금속│할로젠│특징과 반응성 정리하기 👉🏻ruclips.net/video/LaR-TtWrK-0/видео.html

  • @Jinni_6
    @Jinni_6 2 года назад +193

    선생님.. 사랑합니다

  • @오보기-j9i
    @오보기-j9i Год назад +62

    와...진짜 메가스터디 강사분들보다 더 이해가 잘되요....진짜 영상 더 올려주시면 돈 내고 봐도 안아까운 강의입니다...! 이번 중간고사 범위의 70%는 영상이 올라와있어 정말다행입니다...!(감사합니닿ㅎ!!!)

  • @몽돌-h9f
    @몽돌-h9f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어이구야, 저는 51세에 별공부 시작한 사람인데, 정말 명강의십니다 !
    하시는 일마다 꼭 복이 넘치시길 기원드립니다 !

  • @김다솜-s3i
    @김다솜-s3i Год назад +16

    이렇게까지 잘 이해되는 강의는 처음이에요 다른건 다 이해하기 힘든데 너무 쏙쏙 잘들어와요ㅠㅠ적게일하시고 많이버세요제발 제인생의 구원자세요

  • @나무비행
    @나무비행 3 года назад +35

    한 눈에 다 파악할 수있어 너무 감사합니다.구독 꾹~

  • @뚜시-h1w
    @뚜시-h1w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진짜... 개념을 천천히 쌓아가면서 설명해주시니까 이해가 정말 잘돼요 ㅠㅠ 감사합니다!!

  • @yenaeoon
    @yenaeoon 2 года назад +48

    과학 너무 어려워서 포기하고싶었는데 이거 보고 너무 이해가 잘돼요ㅠㅠ 감사합니다 정말❤️🥺🥺

  • @김응숙-p3x
    @김응숙-p3x Год назад +20

    학교에서 선생님께 설명을 듣고 ebs강의를 듣고도 잘 이해 안될때 들으면 정말 최고예요. 그림설명이 많아서 정말 이해가 쏙쏙 됩니다

  • @hyeyoungpark6635
    @hyeyoungpark6635 Год назад +5

    정말 이제껏 본 강의 중 최고입니다. 궁금증이 싸악 풀렸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 @프론트동한쌤
    @프론트동한쌤 3 года назад +9

    연휴에도 올려주시고~ 감사합니다.

  • @Olivia-gd2kt
    @Olivia-gd2kt 2 года назад +18

    헉 유튜브에 이런 좋은 강의가 있다니,,,ㅠㅠ
    진짜 도움 많이 돼서 댓글 남겨요!😊

  • @애기-o8f
    @애기-o8f Год назад +7

    선생님 저 진짜 이거 유료강의 들어도 학교에서도 이해 안되서 그냥 무작정 암기해야 하나 하고 엄청 막막했는데 이 영상 덕분에 이해해서 금방 외울 수 있을 거 같아요 항상 감사합니다🥺💖💖

  • @머글-e9l
    @머글-e9l Год назад +14

    강의가 너무 깔끔해서 보기 좋았어요ㅠㅠ진짜 이해 잘돼요 감사합니다ㅠㅠㅜ

  • @이-h2c
    @이-h2c Год назад +3

    선생님 중학교때부터 봐왔는데 제가 벌써 고1 중간고사를 하루 앞두고 있어요.. 이 파트 어려웠는데 정말 감사합니다!!!!!

  • @훈트파파
    @훈트파파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때까지 들은 설명중에 최고임.
    설명을 정말 잘하심.

  • @Cloverluckh
    @Cloverluckh 21 день назад

    선생님 선생님 강의를 보면서 과학이 정말 재밌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감사합니다 진짜 최고예요!!!

  • @Woowa-t5m3v
    @Woowa-t5m3v 24 дня назад

    중학교부터 너무 유용하게 잘듣고 있어서,, 고등학교도 선생님꺼로 들으려고요>

  • @mmmmmmzii
    @mmmmmmzii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덕분에 중3때 100점 3번 맞고 이제 고1 돼서 이 단원 공부하고 있써욤 이해 완전 잘 됨!! 감사합니다ㅜㅜ😍❤️

  • @절인망고
    @절인망고 Год назад +1

    헐 머지 진짜 깔끔하고 이해가 쏙쏙 되요! 내일 시험 잘보고 올게요 ㅜㅜㅜ

  • @유태학-e7r
    @유태학-e7r Год назад

    압축하고 간단히 쉽게 강의해서 이해 잘 했어요. 감사 건승기원드립니다

  • @Kancello1
    @Kancello1 28 дней назад

    감사합니다 선생님!!

  • @Jajajajajaj124
    @Jajajajajaj124 Месяц назад

    진심으로 사랑합니다

  • @meilkoy
    @meilko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목소리 너무 예쁘시고 자료도 깔끔하고 예쁜데 잘 가르치시기까지 하시면 어떡해요!!!💕💕
    감사힙니딩❤❤❤❤

  • @이은화-v9i
    @이은화-v9i Год назад +2

    다음강의도 기다리고 있 습니다❤❤❤❤❤

  • @07qwertyuiopasdfghjklzxcvbnm
    @07qwertyuiopasdfghjklzxcvbnm Год назад +1

    와 제가 본 것 중에 제일 깔끔해요ㅜㅜㅜ

  • @어디로갔을까-r6l
    @어디로갔을까-r6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별들의 요람이라니... 너무 귀여운 표현이네요

  • @홍채영-j6l
    @홍채영-j6l 9 месяцев назад

    항상 이해하기 쉬운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mnzzu
    @mnzzu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 파트 이해하기 너무 어려웠는데 도움많이됬어요ㅜㅜ 감사합니다진짜🥺🥺

  • @jeno3445
    @jeno3445 Год назад +1

    중학교때도 은혜쌤 영상 진짜 도움 많이 벋았는데... 고1 돼서 하루 전에 벼락치기하면서도 도움 많이 받아용

  • @손예원-d5o
    @손예원-d5o 3 года назад +5

    와아! 감사합니다

  • @lalala8369
    @lalala8369 14 часов назад

    선생님 덕분에 재밌게 공부하고 있습니다!! 감사해요🫶🫶💗
    궁금한 점이 있는데, 온도가 낮은 부분에 중력이 더 잘 수축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꽁히
    @꽁히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와 선생님ㅠㅠ 감사합니다 시험 4일 정도 남았어서 완전 망했다!! 생각하고 있었는데 수업 들을땐 하나도 이해 안됐었던 내용이... 이 영상 보니까 이해도 잘 되고 너무 좋아요!! 사랑합니다ㅠㅠ😍😍

  • @youcrackedmycookies2325
    @youcrackedmycookies232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선생님 진심으로 너무너무 큰 도움 돼요 진심으로 감사해요😭😭😭😭

  • @rinju6179
    @rinju6179 Год назад +1

    진짜 설명 너무 잘하세요!! 최고입니다♡

  • @숨-i4x
    @숨-i4x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선생님 정말 제가 놓치고 있던 부분을 ㅠㅠ 하나하나 다 이해시켜주셨어요...❤❤ 30일에 과학시험인데 선생님 설명듣고 100점 받을게요!!!,!😭🙇🏻‍♀️😭☁️

  • @초코초코-s1d
    @초코초코-s1d Год назад +1

    고졸 검정고시 준비하고 있는 사람인데
    도움이 많이 되고 있어요ㅜㅜㅜ
    감사합니다! 선생님!!😆☺️

  • @소영-v2l
    @소영-v2l 2 года назад +1

    영상 찾아 한참 돌아다녔는데 딱 찾던 영상이에요! 잘 보고가요!

  • @지고은-j5b
    @지고은-j5b Год назад +1

    감사합니다....감사합니다....

  • @소희-z7d
    @소희-z7d Год назад +3

    선생님은 절 살리셨어요.. 진짜감사합니다😢💗

  • @부마-p6p
    @부마-p6p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 과학 강사 원탑이에요

  • @불면안돼불면안돼
    @불면안돼불면안돼 Год назад +3

    와..요즘은 이런것도 고1때 배우는군요
    신기한 별의 진화과정 잘봤습니다 쌤~

  • @user-nl6xm7hw
    @user-nl6xm7hw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해가 쏙쏙 되요~ 감사합니다~!! 😊

  • @유명희-b5w
    @유명희-b5w Год назад

    진짜 명강의..❤❤

  • @YK-ii4xu
    @YK-ii4xu 2 года назад

    헐 목소리 조곤조곤해서 듣기좋아여ㅜㅠㅜㅠ감싸함다

  • @응-k6z
    @응-k6z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역시 선생님 짱!!

  • @번지점프중에하다-c4n
    @번지점프중에하다-c4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선생님 궁금한게 생겼는데 핵융합반응이 끝나고 별은 왜 줌심부만 수축하나요? 전부 다 수축해야 하는거 아닌가여?😅

  • @안녕-i2w1u
    @안녕-i2w1u Год назад +1

    사랑해요 덕분에 살았어요

  • @Amy-b2r8x
    @Amy-b2r8x Год назад +4

    항상 좋은강의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강마루-g7w
    @강마루-g7w 2 месяца назад

    중2인데 재밋내요..이해가 잘 가요❤

  • @yee-tv9mm
    @yee-tv9mm 2 года назад +1

    예습 열심히 해볼게요🤓

  • @김서윤-j9o
    @김서윤-j9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시험 하루전 최고의 선택

  • @박루나-o3q
    @박루나-o3q Год назад

    배텔케우스는 적색초거성이예요^^ 지금쯤 철을 만들어내고 있을꺼예요 핵에는 철이 쌓이고 있구요🎉 안타레스 기준으로 안타레스 보다 큰 별을 극대거성으로 분류하고 있지요
    대표적인게 방패자리의 uy스쿠티 큰개자리 의 vy캐니스메이저리스 방패자리의 스티븐슨2-18이지요

  • @이은화-v9i
    @이은화-v9i Год назад

    ❤❤❤❤❤강의 최고 ❤❤❤❤

  • @다현-i6t
    @다현-i6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물질을 끌어당기는 현상과 중력에 의해 수축하는 현상은 같은말인가요?
    왜 어떤건 더 많은 물질을 끌여당겨서 다음 단계의 현상이 나타나고 또 어떤건 중력에 의해 수축해서 다음 단계가 나타나나요🥺이건 암기해야하는 부분인가요..?

    • @eunhye_seo
      @eunhye_se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그런것들을 하나하나 구분하기 보다는 전체적인 흐름을 받아들이 것이 좋을 것 같아요~

  • @habitus84
    @habitus84 Год назад

    오늘도 재미있게 배웠습니다!!

  • @Hazel-eb2dj
    @Hazel-eb2dj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 @수마선생
    @수마선생 Год назад

    설명이면 설명 자료면 자료 넘넘 좋으네요^^감사합니다😊😊😊

  • @sighn8635
    @sighn8635 2 года назад

    과학학원에서 이해가 잘 안돼서 이영상 봤더니 이해가 너무 잘돼요!!!!

    • @eunhye_seo
      @eunhye_seo  2 года назад

      다행이네요ㅎㅎ😊

  • @누구게-d1e
    @누구게-d1e 6 дней назад

    질소는 질량이 태양정도인별에서 생성되나요 아니면 질량이 태양의 10배이상인 별에서 생성되나요?ㅠㅠ

  • @최승우-t5x
    @최승우-t5x 15 дней назад

    통합과학도 책내주시면 안되나요?🥺

  • @chimsoring
    @chimsoring 2 года назад +14

    고1 통합과학도 이어서 올려주세요ㅠㅠ 정말 도움 많이 돼요!!

    • @eunhye_seo
      @eunhye_seo  2 года назад +10

      네~ 통합과학은 3월부터 차례대로 만들 예정입니다😊

  • @Hanuri1216
    @Hanuri1216 2 месяца назад

    애초에 성간물질의 밀도가 커지게 만드는 요인이 뭘까요? 단순히 수소 헬륨등으로 구성된 물질들이 모여있다는 것만으로 결국 거대 중력이 생기는거라면 지구에서도 비교적 쉽게 생성할 수 있어야 하는게 아닐까요? 아니면 그런 물질들을 밀집되도록 압박하는 뭔가가 우주에 있는 것일까요? 궁금하네요.

  • @mxonbow3135
    @mxonbow313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랑해요선생님

  • @kobebryant0823
    @kobebryant0823 17 дней назад

    선생님 주계열성에서 적색거성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별의 표면 온도가 낮아지나요? 이유도 말씀 부탁드립니다

  • @user-jx4cj3mv4u
    @user-jx4cj3mv4u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시험 9시간 전 최고의 선택

  • @장만리-u4r
    @장만리-u4r 22 дня назад

    선생님! 질문이 있어요! 태양은 주계열성이라고 하셨는데 적색거성인 베텔게우스보다도 크고 색도 빨간색인데 왜 주계열성이라고 하나요?

    • @eunhye_seo
      @eunhye_seo  21 день назад

      테양은 베텔게우스보다 작고 노란색..ㅎ

  • @번지점프중에하다-c4n
    @번지점프중에하다-c4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질량이 태양 10배 이상인 별에서도 중심부의 온도가 높아지니까 바깥층에서 핵 융합반응이 또 일어나나요? 만약 일어난다면 중심부와 가장 가까운 층 1개에서만 일어나나요?

  • @먽지-x1e
    @먽지-x1e 2 года назад +4

    이해가 잘됐어요 감사합니다 ㅜㅜ

  • @kungkwangdaejima
    @kungkwangdaejima Год назад

    고2인데 2학기 중간고사 이거 듣고 1등급 나왔어요! 진짜 감사합니다. 1학기때는 3등급이었는데...

  • @vv_.lIlIove
    @vv_.lIlIov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정말 이해가 쏙쏙 잘 되네요 ㅠㅠ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 ▽ ` )ノ♥

  • @gwan7983
    @gwan798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선생님 너무 잘 보았습니다. 선생님 자료 중 일부분을 캡쳐해서 수업자료로 활용해도 될까요?

  • @번지점프중에하다-c4n
    @번지점프중에하다-c4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선생님 중력수축 에너지와 중력, 핵 융합 반응과 내부 압력은 같은 건가요...? 관계가 어떻게 되나요ㅠㅠ

  • @馬동석
    @馬동석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베텔게우스도 초신성 폭발임박한 적색초거성으로 알고있는데 태양이랑 같은 주계열성으로 설명하신듯해서 다소 헷갈립니다. - 저는 울애 가르치려는 고1 학부형입니다.

    • @eunhye_seo
      @eunhye_se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는 베텔게우스를 거성 단계로 얘기했는데 현재 초거성 단계가 맞는 것 같네요~ ko.m.wikipedia.org/wiki/%EA%B1%B0%EC%84%B1

  • @쀍-v8h
    @쀍-v8h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중간고사 8시간 전 최선의 선택..

  • @asdf-b3g
    @asdf-b3g 2 года назад

    우와 설명 진짜 잘하세요 이부분 어려웠는데 이해 다 됐어요 감사해요

  • @DocuTube
    @DocuTube 2 года назад

    많은 도움이 됩니다. 고맙습니다.

  • @Jokara0
    @Jokara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죽고 나서도 다른 별들을 도와주는 초신성 폭발 후의 초거성?

  • @번지점프중에하다-c4n
    @번지점프중에하다-c4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태양보다 질량이 큰 별이지만 철까지 생성이 안되고 마그네슘까지만 생성되고 초신성 폭발이 일어날 수도 있나요?

  • @alpakasynergy
    @alpakasynergy Год назад

    초신성폭발이 항상 궁금합니다. 철부터는 핵융합을 하면 에너지를 "소모"하게되는데 몇 초만에 핵융합반응이 연쇄적으로 일어나면 훨씬더 많은 에너지를"흡수" 해서 잠잠해져야지 왜 오히려 엄청나게 강력한 " 초신성폭발"이 일어납니까? 그 큰 중력을 이기면서까지??

    • @eunhye_seo
      @eunhye_seo  Год назад

      에너지를 흡수하면 불안정해져요

  • @user-jm9je6pk7x
    @user-jm9je6pk7x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벼락치기 2일 갑니다...

  • @dawnmoonandnight
    @dawnmoonandnight 2 года назад +1

    1.별의 탄생의 과정 안에서 태양보다 질량이 작은 별의 진화와 태양보다 질량이 큰 별의 진화가 있는건가요?
    2.탄생과정은 똑같은데 탄생 후 진화 과정이 다른건가요?

  • @목표위해노력하는성공
    @목표위해노력하는성공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중학교땐 선생님 덕분에 계속 100점을 놓치지 않았는데 제가 가는 고등학교는 시험이 여렵게 나와서 걱정이네요

    • @eunhye_seo
      @eunhye_se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자신감을 가지세요😊

  • @네엥-t5w
    @네엥-t5w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주계열성이랑 원시별 중에 뭐가 밀도가 더 큰가요....? 🥹🥹🥹🥹😭

  • @하나-z2v
    @하나-z2v 2 года назад

    와 나는공부잘 못하는사람 이엇는데 설명을 이렇게 쉬게 이해할수 있다니

  • @밍-y5z
    @밍-y5z Год назад

    선생님! 예비고1이라서 통합과학 자습서를 사서 이제 막 공부하기 시작했는데 모르는 게 생겨서요 ㅠㅠ
    제 자습서에는 별 중심부의 온도가 1000만 K 이상으로 높아지면 4개의 수소 원자핵이 융합하여 1개의 헬륨 원자핵을 만든다고 되어 있는데 수소원자핵 2개와 중성자 2개가 서로 결합하여 헬륨원자핵을 만든다고 해야하지 않나요 ??
    양성자는 그 자체로 수소 원자핵이 되니까 2개의 수소 원자핵과 2개의 중성자가 결합하여 1개의 헬륨 원자핵을 만든다가 맞는 거 아닌가요 ㅠ?

    • @eunhye_seo
      @eunhye_seo  Год назад

      여기서 설명했습니다 👉🏻[고1 발전과 신재생] 2강. 수소 핵융합☀️|핵분열💥|결합 에너지|핵자수|동위원소
      ruclips.net/video/F_992aNZDoM/видео.html

    • @밍-y5z
      @밍-y5z Год назад

      @@eunhye_seo 감사합니다 ㅠㅠ❤️

  • @주민성-g2w
    @주민성-g2w Месяц назад

    점근거성 있지 않나요 😂

  • @delight_00
    @delight_00 2 года назад +2

    초거성의 중심부는 철이 만들어진 후 중력에 의해 급격히 수축하고 바깥 쪽은 수소의 핵융합 반응으로 팽창하다가 별이 수축을 견디지 못해서 초신성 폭발이 일어나는 건가요? 그럼 적색거성도 바깥쪽은 수소의 핵융합 반응으로 팽창하고 초거성도 수소의 핵융합 반응으로 팽창하는 건 같은건가요?

  • @kwonmanki
    @kwonmanki 2 года назад +4

    빅뱅은 YG에의해 일어 났다고 봐야 합니까?

    • @eunhye_seo
      @eunhye_seo  2 года назад +2

      ㅋㅋㅋㅋ그렇죠....암쏘쏘리 벗알러뷰...

  • @현프-n3t
    @현프-n3t Год назад +1

    선생님 너무 이해가 잘되요 ㅜㅜㅜ 나머지 강의도 하실 계획이 있으 신가용?.......

  • @daily_kangjang
    @daily_kangjan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1:45 여기에서 중심부에 있는건 탄소아닌가요? 왜 헬륨이 다 떨어진다고 하는건가요? 내일 시험이라 급해요 ...

    • @user-dq4fj8fm7j
      @user-dq4fj8fm7j 9 месяцев назад

      헬륨 핵융합반응이니까요
      헬륨이 탄소로 바뀌니까
      헬륨을 다 쓴 거죠

  • @gwalgii
    @gwalgii Год назад +1

    선생님 그럼 초신성 폭발은 초거성때만 일어나는건가요?

  • @Seopseop0121
    @Seopseop012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적색거성에서 온도가 1억 k이 되면 바깥에 수소핵융합과 중심의 헬륨핵융합이 같이 발생한다고 했는데 수소핵융합이 곧 헬륨으로 변하는 과정 아닌가요? 그럼 핵융합으로 인한 탄소로 변해 감소된 중심의 헬륨은 바깥에 수소 핵융합으로 인해 생성된 헬륨으로 추가 공급 돼 사실상 무한반복 아닌가요..?

    • @eunhye_seo
      @eunhye_se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중심부와 주변부는 다르죠~

  • @yecky-d3n
    @yecky-d3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적색왜성 단계에서는 헬륨 핵융합 반응이 끝나면 팽창을 하던 곳은 행성상 성운이, 수축을 하던 곳은 백색왜성이 되는데 왜 초거성에서 핵융햡이 끝나면 수축만해서 중성자별이나 블랙홀이 되나요?

    • @eunhye_seo
      @eunhye_se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적색거성과 초거성은 애초에 질량이 다르니까요~

  • @shin_0222
    @shin_0222 Год назад +1

    8:22 부터 다시 필기 시작

  • @Jsjsj-v3g
    @Jsjsj-v3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원시별도 별인가요?

  • @jys-km2wy
    @jys-km2wy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

  • @심유진-o2n
    @심유진-o2n Год назад +1

    성운 밀도가 높은데 밀도가 높으면 온도가 높은 것 아닌가요.....? 왜 밀도가 높고 온도가 낮은 곳에서 수축이 일어나죠....?

    • @Cchhd0976
      @Cchhd0976 Год назад +1

      온도가 높으면 성간물질들이 서로 막 부딫혀서 튕겨나갈수 있어서 그런거래요

  • @rloxna
    @rloxna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주계열성에서 수소가 핵융합을 할 땐 중력과 내부압력에 크기가 같아서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했는데 왜 적색거성에서는 수소가 핵융합을 할 때 내부압력으로 인해 팽창하나요?

    • @eunhye_seo
      @eunhye_se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중력과 내부압력이 같이 않으니까 팽창하지요

  • @gyuvinlover830
    @gyuvinlover830 Год назад +1

    질문이 있는데용 적색거성은 별의 표면 온도가 낮아져점차 붉은색 빛을 내며 거대한 크기로 팽창한 별이자나요 근데 이때 별은 왜 밝아지는 건가요?

    • @나맞아-m8p
      @나맞아-m8p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적색거성은 안쪽과 바깥쪽 모두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