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drb1101 숏폼은 그리에이터의 본연의매력을 짧은 시간에 어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죠 또한 그 외에도 전하고자 하는 바를 시청자에게 짧고 간략하게 전달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요 롱폼보다 대중들에게 접근성도 높구요 즉 이런식으로 배속을 걸어버리면 아는 사람만 좋을 가능성이 높다는거죠 당연하게도 크리에이터가 무슨 말을 전하고 싶은지는 처음 이 유튜버를 접한 사람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우니 자연스럽게 다음 쇼츠로 넘어갈테죠 쇼츠의 장점은 접근성이 뛰어나다인데 이 장점을 버리는거니까요
필압 생각하면서 하는게 맞죠, 채색은 중간톤으로 물체의 돌아감, 사물의 위치를 고려할수 있습니다만, 흑백의 경우 선묘사가 주류이기 때문에 원근감이 선의 두께를 통해 나타나는경우가 많고요. 이론적으로만 따져도 여러개 있는데 퀄리티 문제가 제일 크기는 합니다. 흑백그림에서 선에 힘을 주라는 얘기를 하는 감각적인 이유는 채색이 없으니 심심해보여서 그런거예요.
저도 좀 그렇긴 하더라구요 많은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이미 잘려서 컷 편집되어 있는 영상에 배속을 넣는 것 보다 말하는 텀을 줄이는 방식으로 컷 편집을 손 보던가 하셔야 할 것 같아요 꼭 배속이 들어갈거면 오디오피치라도 유지 시켜야 쇼츠가 보기 좋아질 것 같아요
ㅇㅈ
ㅇㅈ
배속된 목소리도 귀여워서 좋은데..
@@dudrb1101 숏폼은 그리에이터의 본연의매력을 짧은 시간에 어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죠 또한 그 외에도 전하고자 하는 바를 시청자에게
짧고 간략하게 전달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요 롱폼보다 대중들에게 접근성도 높구요
즉 이런식으로 배속을 걸어버리면 아는 사람만 좋을 가능성이 높다는거죠 당연하게도
크리에이터가 무슨 말을 전하고 싶은지는 처음 이 유튜버를 접한 사람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우니 자연스럽게 다음 쇼츠로 넘어갈테죠
쇼츠의 장점은 접근성이 뛰어나다인데 이 장점을 버리는거니까요
이 영상의 경우는 질문 내용을 텍스트로 띄우고 앞부분 시청자 목소리 부분을 잘라내도 괜찮겠네요
당장 그림 한 장에서 스케치의 필압이 눈에 띄지 않을지는 몰라도 필압을 주면서 그림을 그리는 연습은 하면 좋습니다. 자연스레 채색에도 강약을 넣게 되고 강약이 들어간 그림은 더욱 입체감이 살거든요.
필압... 이쁘게하면 정말 좋긴한데
사실 그렇게 중요한 파트는 아니긴해요
애초에 필압자체도 어렵기도하구...
미술계의 미미미누
??? : 스으으읍... 넘어갈게요
저도 저분이랑 비슷한데
진짠데여...ㅜ
어…아닌거같아요…
...? 네?
... 넘어갈게요
실력이..아 아니다 네..뭐 그래요..
씁…😅😅😅😅
왕
근데 진짜 궁금해서 그런데 왜 볼 때 마다 땀(?)을 흘리고 계신가요..?😶
머리 위 왕관이 크림? 우유?라서 계속 흐르는것같습니다 ㅋㅋㅋ
@@user-ug2ky9vy8n 아..그렇구낰ㅎㅋㅎㅋ
이번영상 묘하게 미미미누 떠올라요
잘 이해가 안되서 그러는데, 영상 내용은 분명 필압이 문제가 아니다 인데 왜 제목은 색만 넣으면 망하는 그림의 특징인가요..??
마지막에 필압이 오바될수록 채색에서 뚫고 나오는 게 심해진다고 말씀하신 부분을 제목으로 사용하신 게 아닐까 싶어요! 필압이 너무 심하면 흑백일 때가 괜찮고 채색하면 오히려 별로다 이런 얘기인 것 같습니다..!
필압이 들어간 선화가 컬러링했을땐 좀 튄다는 것을 의미하는거 아닐까요?
그래서 채색할땐 필압이 많이 중요하지않다고 말씀하시는것같아요
그럼 흑백 만화를 한다면 어떡해야할까요..?
필압 생각하면서 하는게 맞죠, 채색은 중간톤으로 물체의 돌아감, 사물의 위치를 고려할수 있습니다만, 흑백의 경우 선묘사가 주류이기 때문에 원근감이 선의 두께를 통해 나타나는경우가 많고요. 이론적으로만 따져도 여러개 있는데 퀄리티 문제가 제일 크기는 합니다. 흑백그림에서 선에 힘을 주라는 얘기를 하는 감각적인 이유는 채색이 없으니 심심해보여서 그런거예요.
붓 느낌은 칼부림이나 고전 작가분들
그냥 펜선의 흑백톤은 다양하니까 여러 흑백만화나 거장들 스케치를 찾아보는 걸 추천해요 서유럽권 고전책의 삽화도 좋아요
나루토작가도 필압이 거의 없는 펜선일걸요 형태려과 구도로 압살하면 필압따윈 안봅니다
오히려 복잡한 그림이면 필압이 들어갔을때 과해보일수도있어요
선은 그림자에서, 선과 선이 맞닿는 부분에서 진해진다고 생각해보세요
그림은 언제나 기본기 = 형태력이 가장 우선이고
해칭은 유명한 작가 보고 따라해보세요.
작가들 잘 모르면 핀터레스트 들어가세요.
왘씌 료다
987인줄 알고 들어온 사람 손 들자..
뭔가 체널 영상이랑
목소리가 다른 느낌인데
배속이어서 그런듯?
쇼츠 길이 맞춘다고 배속해서 그런듯
영상 속도를 빠르게 해서 목소리 톤이 올라간 거에요~.
@@Skekekdjeㅋㅋㅋㅋ
채색이 뚫고 나온다는 말은 무엇인가요?..
그림을 볼때 채색에서 넣은 명암의 흐름이 보여야되는데 선화가 그에 맞지않게 두꺼우면 너무 튀는 느낌을 채색에서 뚫고나온다고 하신것같습니다😀
@user-ug2ky9vy8n 감사합니다 🙏 🙏
어... 너무 두껍다면 서로 다른 객체가 따로 놀듯이 마치 하나의 공간에 있도록 의도 되어야하는 그림이 분리되어 보이기에 이질감이 느껴지므로 조심해야 한다는 의미로 이해해도 되나요?
뭔..뭔소린지 이해가 안돼요..ㅠㅠ
이사람 다른 쇼츠봐도 설명 개못함
뒷북이지만 흑백 만화를 할 게 아니라면 선을 따면서 필압 조절을 딱히 신경쓰지 않아도 우리 눈에서 채색이 될 시 선이 아닌 면으로 의식해서 필압 조절에 큰 비중을 두지 않아도 된다는 얘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