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가 좋아요] 중세국어문법 - 세종어제훈민정음(꼼꼼한 분석/창비고등국어)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4 ноя 2024

Комментарии • 15

  • @infp2268
    @infp2268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영상 잘 봤어요! 친절한 분석영상 감사해요😊😊 덕분에 이해가 잘 된거 같아서 기쁘네요 ㅎㅎ

    • @lovegugeo
      @loveguge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도움이 된 것 같아서 제가 다 뿌듯하고 감사합니다😄

  • @321face
    @321fac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복습하기 너무 좋아용 감사합니다

    • @lovegugeo
      @loveguge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강민숙-i1l
    @강민숙-i1l 2 месяца назад +1

    고맙습니다. 학원에서 수업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 @lovegugeo
      @lovegugeo  Месяц назад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cisiajxn
    @cisiajxn 2 месяца назад +1

    감사해여 돈이 없어서 국어학원 끊고 혼자 시험 준비 해야해서 막막했는데 다 이해되고 너무 좋어요 근데 오타 있네여 중국과 ‘문자’ 이 부분에서 자의 이응이 옛이응으로 들어갔네여 음가없는 이응이 들어가야하는 거 맞죠??

    • @lovegugeo
      @lovegugeo  2 месяца назад

      글씨체 자체가 음가 있는 ㅇ으로 보이나봐요ㅠㅠ 다음에는 폰트를 바꾸어야 겠어요;;; 옛이응으로 쓴 게 아닌데 그렇게 보이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말씀드리는 마음, 감사드려요!!! 도움이 되었다고 말씀해주시니 감사합니다~

  • @이서윤-e9n
    @이서윤-e9n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혹시 주격조사 ㅣ가 붙는부분이요, 예를 들어 희주+가는 희쥐 이고 수지+가 는 수지(조사없음) 으로 표기하는데 희재+가 같은 경우는 어떻게 표기하나요? ㅣ를 제외한 모음은 주격조사ㅣ를 붙인다는데 그럼 희재ㅣ 가 되는건지..

    • @lovegugeo
      @lovegugeo  2 месяца назад

      답이 너무 늦었네요ㅠㅠ 중세국어에서 ㅐ, ㅔ는 이중모음이어서, ㅐ는 '아이'로 읽었어요. 희재의 경우는 '희자이'라고 읽었고요. 즉, '희재'는 'ㅣ'로 끝나는 글자입니다. 그래서 주격조사가 생략된 형태로 나타나게 됩니다. '희재'='희재가'라는 의미가 되었던 거죠. 혹시 이해가 되셨을까요?

  • @호로롤-e7i
    @호로롤-e7i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영상너무 잘봤습니다! 다만 블로그에 올리신 학습지에 한자와는 서로 통하지 아니 하여서 부분에 한자의 ‘자’가 종성이 없으나 동국정운식 표기로 음가없는 그냥 ㅇ을 붙여야하는데 음가있는 옛이응으로 표기되어있는거 같아요!! 오류가 맞다면 수정 부탁드립니다ㅠㅠ😢😢

    • @lovegugeo
      @lovegugeo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문자와로 서르~' 이 부분 말씀하시는 거죠?ㅎ 아마... 글자 폰트의 문제가 아닐까 싶어요^ㅡ^;;;; 지금 확인해봤는데 옛이응 표기는 아니예요~~ 이렇게 관심 갖고 말씀해주시는 게 보통 일이 아닌데, 신경 써주셔서 감사드려요!!!

  • @도전사청재
    @도전사청재 16 дней назад

    훈민에 중극은 국중국내다
    그시대는 중국이없엇다

  • @도전사청재
    @도전사청재 15 дней назад

    훈민에 중국은 국중국내요
    그시대 중국은없엇다

  • @도전사청재
    @도전사청재 14 дней назад

    훈민에 중국은 국중국내다
    그시대 중국은없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