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isticsplaybook말씀하신대로 X행렬에서 첫 열이 1이라면 46:00에 써있는 것과 같이 B1xi1 + B2xi2 + ... + ei 가 아니라 B1 + B2xi1 + B3xi2 +.... + ei 이런식으로 절편계수에는 변수가 붙지 않아야하는데 여기에서는 앞에서 처럼 B1(절편계수)부터가 변수(xi1)랑 곱해져 있습니다. 이경우에는 뭐가 맞는 것 일까요??
친절한 설명 잘 봤습니다. 대충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벡터와 매트릭스를 미분하는 부분에서 막히네요. 혹시 벡터와 매트릭스 미분 부분만 공부할 수 있는 좋은 유튜브 비디오 좀 찾아서 링크해 주실 수 있는지요? 영어 비디오도 상관없습니다. 30여년 전에 미적분과 linear algebra를 공부한 50대 아저씨랍니다. 꾸벅.
기초 통계 강의 플레이 리스트:
ruclips.net/p/PLKtLBdGREmMnLbQnqGEfpCBtkGj2g_d-B
와... 지금까지 무지성으로 암기했는데 덕분에 이해해버렸습니다 감사합니다
통계학과 학생인데 시험기간에 단비 같은 영상이네요 바로 이해했어요 너무 감사합니다!!!!!!!!!!!!
통계학과 화이팅!!!! 제 채널에 통계학과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ㅎㅎ 주변에 좀 알려주세용! :)
영상 감사합니다! 봐야지 하면서 미뤄뒀었는데 회귀계수 유도함에 있어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굿!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36:30 앞에 보여준 예제의A행렬 1 2 2 3 이던데, 심매트릭(대칭행렬?)이 아니지 않나요? 요부분이 어렵네요;
1, 2, 2, 3 행렬은 대칭행렬입니다~! 요즘 선형대수학 수업 진행중이니 매주 수요일 밤에 놀러오세요! :)
ruclips.net/user/liveAJXPc9LINRQ?feature=share
@@statisticsplaybook 그렇군요~ 감사해요,, 행렬만 나오면 왜이리 식들이 낯설어지는지 ㅠㅠ
46:00부분 다중회귀모델에서 변수가 붙지 않는 절편beta0가 보이지 않는데 원래 그런건가요? 다른곳에서는 beta0(절편계수)가 있는데 무엇이 맞는지 살짝 혼동이오네요 ㅠ
혹은 여기서는 절편이 0(원점을 지나는 회귀직선)이라고 본 것인가요?
아니용 46:30 부분에서보면 X 행렬 첫 줄이 1벡터이므로 Beta1이 왕개미님이 아시던 Beta0가 됩니다~!
@@statisticsplaybook말씀하신대로 X행렬에서 첫 열이 1이라면 46:00에 써있는 것과 같이 B1xi1 + B2xi2 + ... + ei 가 아니라 B1 + B2xi1 + B3xi2 +.... + ei 이런식으로 절편계수에는 변수가 붙지 않아야하는데 여기에서는 앞에서 처럼 B1(절편계수)부터가 변수(xi1)랑 곱해져 있습니다. 이경우에는 뭐가 맞는 것 일까요??
@@OOHTANI 네 변수 xi1 들이 다 1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statisticsplaybook 감사합니다 조만간 tidyverse로 넘어가겠습니다
@@OOHTANI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
혹시 마지막 독립변수 3개일떄 하는 회귀계수 추정 결과 값이라도 알수 있을까요? 영상이 안이어진다니 아쉽네요
회귀분석 관련 강의 곧 열어보도록 하겠습니다~! :)
친절한 설명 잘 봤습니다. 대충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벡터와 매트릭스를 미분하는 부분에서 막히네요. 혹시 벡터와 매트릭스 미분 부분만 공부할 수 있는 좋은 유튜브 비디오 좀 찾아서 링크해 주실 수 있는지요? 영어 비디오도 상관없습니다. 30여년 전에 미적분과 linear algebra를 공부한 50대 아저씨랍니다. 꾸벅.
다변수 미분라고 쳐보시면 많이 나올 것 같습니다. 어떤 부분이 이해가 가지 않으신가요? 저는 굳이 유도를 이해하기 위해서 다변수 미분을 공부하실 필요까진 없다고 생각하는 주의입니다ㅎㅎ 큰그림만 보시고 넘어가셔도 좋을것 같습니다!
@@statisticsplaybook 넵, 감사합니다.
22분쯤에 함수식이 행렬로 쓰여질때 제곱을 저렇게 쓴다는건 이해했지만 앞의 부분에 있었던 합의 기호인 시그마는 어디갔는지 궁금합니다.
벡터^T 곱하기 벡터는 벡터의 원소를 제곱해서 더해주는 것입니다. 시그마 기호는 더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네요!
@@statisticsplaybook 아하 감사합니다!
@@statisticsplaybook 혹시 저렇게 계수 벡터를 유도하게 되면 될수있는 계수의 수가 여러가지가 되나요? 아니면 하나로 설정이 되나요? 라쏘와 릿지를 공부하다가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임해빈-s4k 계수 벡터는 말 그대로 계수값이 벡터로 나오게 됩니다! 즉, 여러 변수의 계수값이 벡터 형태로 나오게 되죠. 라쏘는 이 벡터의 원소들 중에 0을 갖는 값이 많아지게끔 계수값이 결정됩니다.
요 영상 다음 이어지는 편은 안 올라와 있나요?
시청감사합니다! 이 다음 영상은 제가 오프라인 강의했던 부분이라서 올라온 영상은 없습니다.ㅠ
@@statisticsplaybook 그렇군요 아쉽군요..! 회귀분석 갑자기 공부하게 됐는데 수알못이라 여간 어려운게 아니네요 ^^;; 저 같은 초보를 위한 강의도 많이 올려주세요 :)
ㅎㅎ네 준비중에 있습니다~ 채널 메인에서 R로 하는 기초 통계학 들어보시면 회귀분석 관련 기초내용들은 잡으실수 있을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