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훤인가 진훤인가 | [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 통일신라와 후삼국시대편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6 фев 2025
- [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 통일신라와 후삼국시대편 #0227] 견훤인가 진훤인가 | KBS라디오 20090221 방송
방송일자 2009-02-2
진행자 김연갑
연출자 임종성
작가 이상락
출연자
김용백,김석환,정성훈,조규준,배진홍,김두용,임정길,전승화,김상백,이찬우,배영규,윤호,이미형,이영은,안찬이
초록
북원, 지금의 강원도 원주로 양길을 찾아가서 부하가 된 궁예의 활동
삼국사기에 기록된 궁예의 정복활동 업적 내용
후백제 창업자인 견훤이 등장하는 삼국사기 신라본기 기록
견훤의 이름과 관련하여 기록되어 있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내용
견훤의 이름을 진훤으로 표기해야 한다는 주장의 근거
문헌에 진훤으로 표기된 경우가 많은데 견훤으로 불리게 된 배경
견훤의 성이 이 씨였을 가능성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기록에 견훤의 출신지 상주 가은현은 오늘날 행정 지명으로는 문경시 가은읍
삼국유사에 실린 견훤의 출생지와 관련한 설화 내용
설화에서는 견훤의 충생지가 광주 북촌으로 적고 있는 것에 대한 학자들의 다양한 해석
견훤의 아버지 아자개라는 인물 분석
견훤이 군문에 들어가 성장하는 과정에 대한 삼국사기, 삼국유사 기록
견훤이 중앙군에 입대하게 된 배경
견훤이 기근 등으로 사방에서 출몰하는 해적들을 제압하여 자신의 사병으로 키웠을 가능성
견훤이 군사를 움직여 거사에 나서는 과정
견훤이 무진주를 향하여 출정하기 이전 기반을 다졌던 지역이 전라남도 순천이라는 근거
지금의 광주광역시에 해당하는 무진주를 점령한 견훤의 행보
견훤이 무진주를 점령하였지만 백제의 왕임을 천명하지 않고 오히려 신라의 신하로서 벼슬을 내려달라고 요청한 의도
인서트리스트
01 양길의 부하가 된 궁예가 군사를 이끌고 습격하여 항복시킨 주천, 내성, 을오, 어진현 지역이 어디인지 설명하는 윤선태 동국대역사교육과교수 04:43 05:22
02 궁예가 자신이 승려생활을 할 때 몸 담았던 영월을 중심으로 차례차례 복속시켜 세력을 미친 지역들에 대해 설명하는 이도학 한국전통문화학교교수 05:40 06:27
03 후백제를 개창한 견훤의 이름을 견훤이 아닌 진훤으로 칭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배경을 설명하는 이도학 한국전통문화학교교수 10:03 10:44
04 견훤의 성이 이 씨였을 가능성을 설명하는 윤선태 동국대역사교육과교수 13:40 14:20
05 견훤은 농민 출신으로 성이 없었고 이름이 견훤이며 이름의 앞자가 성이 된 것이라고 설명하는 이도학 한국전통문화학교교수 14:36 15:12
06 현행 중고등학교 교과서에서 견훤의 출생지를 '상주 농민의 아들' 로 표기한 것이 잘못되었다고 말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이도학 한국전통문화학교교수 17:02 17:44
07 삼국유사에 실려 있는 견훤의 출생지와 관련된 설화 내용이 견훤이라는 이름과 연관성이 있다고 설명하는 이도학 한국전통문화학교교수 21:26 22:16
08 삼국유사에서 견훤이 광주 북촌 출신이라고 기록된 설화 관련 해석 중 견훤이 옛 백제 지역민들을 결집시키기 위해 퍼뜨린 설화라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설명하는 이도학 한국전통문화학교교수 23:41 24:29
09 견훤의 외가가 광주에 있고 그가 거기서 출생했을 가능성에 대해 말하는 윤선태 동국대역사교육과교수 25:06 25:51
10 견훤의 아버지 아자개가 어떤 세력을 키우기 이전까지는 평범한 농부였을 것이라고 분석하는 배경을 말하는 이도학 한국전통문화학교교수 29:36 30:19
11 태조왕건 드라마에서 왕건에게 쉽게 항복했던 아자개는 견훤의 아버지와는 별개의 인물이었을 것이라고 분석하는 윤선태 동국대역사교육과교수 31:35 32:21
12 견훤이 중앙조정의 군인이 되어 서남해안으로 파견되었던 것이 출세가도를 달리는데 중요한 환경이 되었다고 말하는 윤선태 동국대역사교육과교수 36:42 37:23
13 견훤이 짧은 시간 안에 5천 명이라고 하는 사병을 규합할 수 있었던 배경을 분석하는 윤선태 동국대역사교육과교수 37:57 38:45
14 견훤이 서남해를 지키는 해군지휘관인 비장으로 근무했던 곳이 지금의 전라남도 순천이라고 말하는 근거를 설명하는 이도학 한국전통문화학교교수 42:57 43:38
15 순천만이 국제적인 항구로 기능했다는 사실이 금석문을 근거로 알 수 있으며 견훤이 발군의 전공을 세운 곳이 순천만이라고 말하는 이도학 한국전통문화학교교수 44:29 45:02
16 견훤이 국가를 창건할 수 있는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기반을 착실하게 구축하게 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도학 한국전통문화학교교수 46:34 47:18
17 무진주를 습격하여 스스로 왕이 된 견훤이 백제의 왕임을 천명하지 않고 신라의 신하로서 벼슬을 내려달라고 요청한 의도를 분석하는 이도학 한국전통문화학교교수 윤선태 동국대역사교육과교수 51:22 52:54
잘봤어요 견훤은 이름으로 성이 이씨이니까 이견훤이었다는 설이 있더라고요
도학아 떼 그만 부려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