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ics of Electrical Electronics, bypass, decoupling, coupling capacitor role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 Subscribing and writing are good for me.
If you liked the video, subscribe to it. Good. Press it.
Thank you
*Please use RUclips-Settings-Subtitles*
bypass capacitor,
decoupling capacitor,
coupling capacitor.
dc blocking capacitor
감사합니다. 이해하는데 도움 많이 받았습니다.
학부 졸업하고, 실무적으로 하드웨어적인 이해가 필요하여 찾게되었는데, 정말 명강의네요.
교재 해독을 위한 강의와 회로를 위주로 하는데, 되도록이면 실무적으로 근접한 것을 많이 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학부 졸업하고 실무적으로 몇년 동안 일하면서 까먹었던 기본을 복습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최고의 강의입니다 !
그렇게 보아 주시니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너무 상세한 설명 귀에 쏙쏙들어옵니다. 지식없는 비전공자가 봐도 잘 이해되네요
잘들었습니다. 간결하고 너무나 유익한 강의였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부탁드립니다 :)
유익을 드렸다니 다행입니다.
너무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이해가 정말 잘되고 단 16분의 영상만에 커패시터에 대한 자신감이 붙었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공부하다가 디커플링 커패시터를 제대로 이해하고 싶어서 막 찾아다녔는데 여기서 끝났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ㅠㅠ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개념설명 강의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Transimpedence Amp에 대해 해석을 하셨다고 6:06에서 말씀하셨는데 그 해석 자료는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전자회로 강의는 최고인 것 같습니다! 궁금한 것이 많아
크리스마스 이브에도 공부 중 입니다!
명쾌한 강의 정말 감사 드립니다!
다른 채널을 보니 가입 버튼도 있던데
생긴다면 바로 가입하겠습니다^^
크리스마스 이브인데도 열공이시니 열정이 대단하십니다. 인내는 쓰나 열매는 달다는 말 이루시기 바랍니다.^^
1년 지난 지금 전기쟁이인 저도 전자회로 기초로 강의 듣습니다. 감사합니다.
와우 감사합니다
와.. 명쾌하네요 바로 구독 박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그리고 삭제된 영상은 search 하면 나오는데, 재생목록으로 보면 삭제로 나옵니다. 유튜브는 같은 영상이 올려지지 않는데 방안을 마련해 보겠습니다.
구독이요! 군더더기 없는 명강의 좋습니다. ^^
더 없는 상찬에 감사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 11:06 회로에서 트렌지스터의 컬렉터측에 걸리는 전압이 6.98V가 되는 이유가 궁굼합니다
3년이나 지난 영상에 답변을 주실까 걱정이지만 너무 궁금하여 여쭤봅니다..
정 클램핑 회로 초기의 캐패시터 동작이 난해하여(충전되지 않고 전압이 출력쪽으로 넘어간다?) 이 영상까지 왔습니다.
직렬로 캐패시터가 연결돼있을 때 DC Blocking한다.. 이 의미는 결국 dc 전압이 캐패시터 양단에 걸려 출력으로 나가지 않는다(충전된다) 라는 의미 아닌가요..?
제 생각이 맞다면 클램핑 회로에서 말씀하셨던 부분과 상충되는데 제가 어떤 부분을 놓치고 있는 걸까요...
설명 감사합니다!
3:29 설명에서 출력단 쪽으로 빠진다고 하셨습니다. 하지만, 노드가 같으면 전압이 같아야 하는데 잡음이 바이패스 쪽으로 빠진다는 말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그냥 쉽게 표현한 건가요??
예를들어 멀리서 온다고 했을 때 선저항이 있을 수 있고 바로 그 다음에 바이패스캡이 있다면 제가 설명한 것이 꼭 편의적으로 설명한 것이 아님을 아실 것입니다. 선 저항이 있다는 등의 표현이 빠져 섬세하게 설명드리지 못했네요.
@@ssm4407 그렇네요. 선 저항이 있다거나, 베터리라면 베터리 내부 저항이 있겠고, ic칩이라면 output 저항이 있겠네요. 감사합니다. 제가 찾고 있던 강의네요. 대부분 전기 쪽만 유튜브 강의가 올라오던데 거의 유일한 제대로 된 전자 회로 강의 인 것 같아요. 지금 하고 있는 공부 마무리 되면 정독 하겠습니다.
고주파 성분의 노이즈는 통과하는데 쇼트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전자회로에 대한 이해도가 낮아 고민이었는데 마침 교수님의 강의를 듣을 수 있어 감사합니다. 항상 고민이었던 의문을 질문드립니다. 콘덴서를 접지하면 노이즈가 콘덴서로 들어가서 접지로 흐른다고 보통 다른 강사님들도 말씀하시던데 콘덴서는 전류를 흐르게 하지 못하지 않읍니까? 그럼 모순아닌가요? 그리고 전자회로에서 보면 전원가 콘덴서등이 다같이 그라운드(접지) 시키는데 이유가 있나요?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읍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전공도 아니고 초보자이지만 강의를 보고 전자회로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좋은 강의에 감사드립니다. 강의 도중에 포화상태에 대해 언급하시던데 이에 대한 지식이 없습니다. 선생님 강의 몇 강을 참고 하면 되는지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소자에 전류가 모자라 노이즈가 발생한다고 말씀하셨는데 혹시 왜 전류가 모자라는지에 대한 설명도 간단히 부탁드려도 될까요 ??
이 영상을 보고 문제를 풀다가 궁금한 것이 생겼는데 혹시 답변을 해 주시나요?
선생님 Emitter 접지 증폭기에서 C3의 역할은 충분히 이해했습니다. 혹시 R_E의 역할에 대해서도 알려주실수 있나요? R_E를 Gain을 줄어들게 하면서까지 Emitter에 달아버리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항상 뜬구름 잡히는 것처럼 회로를 대강보면서 잘모를 때가 많았는데 이렇게 쉽게 설명을 들으니 너무 좋습니다. 혹시 실무 회로에 대해서도 강의를 할 예정이신가요?
제가 연산증폭기나 전자의 기본들그리고, 나중에 교류이론, 트랜지스터, 디지탈이론 등을 통해서 하고자 하는 것은 장비 전부를 통째로 강의하는 것인데 아직 갈길이 멉니다.
@@ssm4407 그렇군요 꾸준히 따라가겠습니다.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회로설계 분야로 취업을 희망하면서 보는데 회로를 보는눈이 점점 넓어지는 것 같습니다.
@@Aduxhz 회로뿐만 아니라 실무 현장이야기도 종종 곁들어 하도록 하겠습니다.
선생님 좋은 강의 너무 잘 보고있습니다!! 질문이 있습니다!
1. bjt증폭회로 설명하실때 에미터단에 cap이 붙어서 교류에 대한 임피던스가 낮아져 전류가 흐르게 되고 그만큼 교류전압의 증폭률이 높아진다는 뜻으로 이해했는데 맞나요??
2. p-spice로 실험을 해보았는데 출력 전압의 주기가 입력전압의 주기보다 빨라지는(출력 전압의 주파수가 좀 더 커지는)결과를 보았는데 왜 이렇게 된 것인지 알 수 있을까요??ㅠㅠ
1번 질문은 맞습니다. 그렇게 이해 하시면 됩니다. 자세한 내막은 나중에 설명할 것입니다.
2번은 이상한 현상이네요. 검토를 좀 더 해 보시기 부탁드립니다.
@@ssm4407 답변 감사합니다!! 강의회로로 하니까 정상작동 하네요!! 다른것도 다시 해볼게요!
칠판인지 뭔지는 잘 안보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