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좋은 영상이네요. 많은 내용을 다루고 있어서 자세하지 않아서 보충하자면 In/after 구분법은 in은 그 시간 바로 뒤 시점을 얘기하고 after는 그 시간 이후 쭉을 얘기해요. 올리버쌤 책에도 있음. 쉬운 예는 어디 12시에 전화해서 누굴 찾는데 지금 점심 먹으러 가서 없다고 하면서 please call back in an hour하면 한시간 뒤, 즉 1시에 전화주세요 인거고 please call back after an hour은 한시간 뒤, 1시 이후 언제든지 괜찮은 거죠. 한시간 안에는 안되지만요.
안녕하세요~ 영상덕분에 몰랐던걸 알게되어 너무 좋네요. 그리고 영상을 보면서 궁금증이있어서 여쭤봅니다. in a day는 ~후에라고 해석된다고하셔서 5:18 첫줄 해석이, 배운대로, "그걸 내가 하루가 지나고(하루 후에) 했다는게 믿기질 않아.(I can't believe i did it in a day)"인것같은데 이 문장에서의 in a day와 I'll ba back in a day에서의 in a day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I can't believe I did it in a day. (기간 동안, 단순히 기간 사이에 / for, 지속성, ~동안) I'll be back in a day. (기간의 끝에, ~후에, 기준 시점은 지금 / after, 어떤 행동/사건 후에 ) 형태는 같지만, 문맥 상 의미가 다른 건 스스로 파악해야 합니다. 그래서 어렵습니다. 그리고 아래 J Kim님 댓글 보시면 추가로 자세하게 적혀있으니 참고하세요.
I was able to finish it in a day 하면 원래는 하루 이상 걸려야 정상인데 하루만에 끝냈다라는 약간의 놀라움의 표현이 들어간건가요? 근데 그걸 우리가 정확히 24시간이라 표현하지 않고 하루가 안넘어 갔다 정도에서 10시간이 될수도 15시간이 될수도 있을거 같은데 (수면시간까지 보통 취급 안하니까), 그러면 여기서 within을 써도 100% 같다고 볼수 있을까요?
제 생각엔 놀라움의 표현은 없는 것 같구요. 그냥 하루라는 기간 안에 끝냈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네요. 다만, 하루 종일의 의미인 for을 쓰면 뉘앙스가 달라지고, 놀라움의 표현을 넣고 싶다면, 말할 때 '억양'을 다르게 하시면 됩니다. 영어가 뉘앙스도 중요하지만 억양도 중요하잖아요? within 쓰면 의미가 가장 정확하죠. '하루라는 기간 안에' 라는 의미로요. 다만, 실생활에서 in/ within 중에 자주 사용하는 건 in 입니다. 원어민들은 이게 더 편하니까요. 그럼 파이팅하시고 좋은하루 되세요.
음...저도 말씀해주신대로 공부를 해봤는데, 개인적으로 이런 방식은 좀 헷갈리더라구요. 채널 메인에 '영어유의어 공부의 필요성'이란 영상을 보시면, 한국어로 '만들다'라는 말을 영어로 표현할 때, make, produce, create 이런식으로 표현이 되잖아요. 근대, 어떤 단어를 써야할지 고민이 되는 경우가 생기더라구요. 물론, '창조하다, 생산하다 '이런 말도 좋지만 실제 생활에서는 '만들다' 이 말을 더 자주 쓰잖아요. 그래서, '창조하다'라는 말보다 '새로운 것을 만들다', '대량으로 만들다' 이런 식으로 이용하면 단어 선택이 편해지더라구요. 좋은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좋은 강의! 박수 보냅니다.
감사합니다.
저도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Within an hour of our arrival he was starting to complain.
오~ 끝까지 보셨네요.
정답입니다.
'~도 채 지나지 않아서'
어려울 것 같지만,
알고보면 정말 쉬운 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b
in ~있다가,~있으면 ,~만에
within ~이내에
after 특정시점 이후에,~하고나서
정말 좋은 영상이네요. 많은 내용을 다루고 있어서 자세하지 않아서 보충하자면 In/after 구분법은
in은 그 시간 바로 뒤 시점을 얘기하고 after는 그 시간 이후 쭉을 얘기해요. 올리버쌤 책에도 있음. 쉬운 예는
어디 12시에 전화해서 누굴 찾는데 지금 점심 먹으러 가서 없다고 하면서 please call back in an hour하면 한시간 뒤, 즉 1시에 전화주세요 인거고 please call back after an hour은 한시간 뒤, 1시 이후 언제든지 괜찮은 거죠. 한시간 안에는 안되지만요.
아~ 그런 차이가 또 있었나 보네요. 답변감사합니다. ㅎㅎ.
그리고, 아래 주소의 영상도 참고해 보세요.
개인적으로 추천하는 채널의 비슷한 내용의 영상입니다.
ruclips.net/video/tmzXpmjVGUM/видео.html
요즘 취미로 영어공부 중인데 넘 좋아요! 헌데 넘 좋아요가 없어서 내가 속상해요! 그래도 힘내세요!
고맙습니다.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이네요. aeri mo 님도 힘내세요!!!
토익 공부하다가 윋인에 대해서 궁금증이 생겨 검색해서 찾아온건데 정말 유용한 영상들이네요 자주 찾아뵐게요 😀
토익에 관심이 많으시군요.
열공해서 원하시는 점수 얻으시길 바랄게요.
그리고
메인 화면의 영상 시간되면 2배속으로 한번 봐보세요. 그러면 단어 공부하는데 조금 편해지실거에요.다른 영상들도 2배속으로 참고해주세요.ㅎㅎ
Within은 ~내에서, ~도 채 지나지 않은 채(?) 라는 의미만 통하면 어떤 상황에서든지 쓸 수 있는거죠?
@@giverlearnandgiver6033 넵 감사합니다
시간, 거리, 내부외부, 제한, 조직내 등 다양하게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거의 모든 상황이라고 생각하셔도 되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영상덕분에 몰랐던걸 알게되어 너무 좋네요. 그리고 영상을 보면서 궁금증이있어서 여쭤봅니다.
in a day는 ~후에라고 해석된다고하셔서 5:18 첫줄 해석이, 배운대로, "그걸 내가 하루가 지나고(하루 후에) 했다는게 믿기질 않아.(I can't believe i did it in a day)"인것같은데 이 문장에서의 in a day와 I'll ba back in a day에서의 in a day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I can't believe I did it in a day.
(기간 동안, 단순히 기간 사이에 / for, 지속성, ~동안)
I'll be back in a day.
(기간의 끝에, ~후에, 기준 시점은 지금 / after, 어떤 행동/사건 후에 )
형태는 같지만, 문맥 상 의미가 다른 건 스스로 파악해야 합니다. 그래서 어렵습니다.
그리고 아래 J Kim님 댓글 보시면 추가로 자세하게 적혀있으니 참고하세요.
@@giverlearnandgiver6033 단순한 전치사인줄알았는데 어렵네요~ 알려주신 밑 댓글과 링크된 영상도 후에 시청해보겠습니다 :D
A student runs 100 meters in 11 seconds???
It will be ready in 11 seconds???
잘봤어요
구독했어요
I was able to finish it in a day 하면 원래는 하루 이상 걸려야 정상인데 하루만에 끝냈다라는 약간의 놀라움의 표현이 들어간건가요? 근데 그걸 우리가 정확히 24시간이라 표현하지 않고 하루가 안넘어 갔다 정도에서 10시간이 될수도 15시간이 될수도 있을거 같은데 (수면시간까지 보통 취급 안하니까), 그러면 여기서 within을 써도 100% 같다고 볼수 있을까요?
제 생각엔 놀라움의 표현은 없는 것 같구요.
그냥 하루라는 기간 안에 끝냈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네요.
다만, 하루 종일의 의미인 for을 쓰면 뉘앙스가 달라지고, 놀라움의 표현을 넣고 싶다면, 말할 때 '억양'을 다르게 하시면 됩니다.
영어가 뉘앙스도 중요하지만 억양도 중요하잖아요?
within 쓰면 의미가 가장 정확하죠. '하루라는 기간 안에' 라는 의미로요.
다만, 실생활에서 in/ within 중에 자주 사용하는 건 in 입니다.
원어민들은 이게 더 편하니까요.
그럼 파이팅하시고 좋은하루 되세요.
선생님 결국은 in을 한국어로 어떻게 하면 어울리나를 말한거 같아요...그건 in을 공부하는게 아니라 한국어를 공부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제 생각엔 in을 영어로 in 으로 볼 수 있는 눈이 키워져야 할 듯합니다.
음...저도 말씀해주신대로 공부를 해봤는데, 개인적으로 이런 방식은 좀 헷갈리더라구요. 채널 메인에 '영어유의어 공부의 필요성'이란 영상을 보시면, 한국어로 '만들다'라는 말을 영어로 표현할 때, make, produce, create 이런식으로 표현이 되잖아요. 근대, 어떤 단어를 써야할지 고민이 되는 경우가 생기더라구요. 물론, '창조하다, 생산하다 '이런 말도 좋지만 실제 생활에서는 '만들다' 이 말을 더 자주 쓰잖아요. 그래서, '창조하다'라는 말보다 '새로운 것을 만들다', '대량으로 만들다' 이런 식으로 이용하면 단어 선택이 편해지더라구요. 좋은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