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잘 아는 총이 나왔네요. ^^ 간단 이력을 음슴체로 풀어보자면, 영화에서처럼 쌍권으로 지랄을 좀 떨어볼까 해서 2자루를 한방에 지름. 근데 탄속이 약해서 그린가스를 좀 넣고 쏘니...2자루가 동시에 슬라이드 앞면 가장자리 네모선 따라 금이 가버림. 둘다 메탈 슬라이드로 교체. 근데 무거워지니 리턴 스프링이 슬라이드를 앞으로 신속하게 잘 못 밀어줘서 연사속도가 안나옴. (여기서 멈춰야했음...) 리턴 스프링 교체. 그랬더니 뒤로 후퇴가 힘겨워져서 여전히 연사속도가 안나옴. 그래서 레드가스 넣었더니, 격발이 안됨. 헤머스프링 교체. 격발됨. 탄속 맘에 듬. 그런데, 얼마안가 진동을 견디지 못하고 안전장치 핀이 자꾸 뒤로 자동 후퇴. 격발불능, 둘다 핀 제거. 헤머 부러짐. 헤머 교체. 헤머하우징 금감. 아직 안고친와중에 VFC 18C 나옴. 멘붕... 결론. 마루이 18c 는 집탄, 탄속 이런거에 집착 말고, 그냥 노말 가스로 뿌리는 재미로 쏴야하는 총. 업그레이드 하려다간 돌아오지 못할 강을 건너는 수가.
예전에 마루이 18C 슬라이드 교체의뢰 받아서 진행하다가 엄지손톱 하나 부러진 기억이 떠오릅니다.. 연사 시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해, 마루이 18C 플라슬라이드는 자사 단발글록 시리즈들에 비해 두껍고 탄성도 거의 없게 사출하여 로딩노즐 조립체 분해할 때 가장 애먹죠..ㅜㅜ 거의 슬라이드를 찢어버릴 생각으로 힘을 줘야 겨우 조립체 탈거가 가능하지요. 자사 파이브세븐도 슬라이드 두께때문에 가더파츠 교체 시 애먹었는데, 18C 슬라이드는 가히 원탑이었습니다.
2010년 이전까지 버그도 많았고, 파손도 잦았지만 당시 유일한 가스블로우백 모델이란 이유로 스테디 셀러였던 KSC G18C 가스블로우백 제품이 마루이 G18C 등장과 함께 판매고가 급격히 하락하게 되었죠. 허허^^ 개인적으로는 슬라이드 전진된 상태에서도 셀릭터를 그냥 단발에서 연발로 돌릴 수 있다는 점 하나만으로도 마루이 제품에 감격했던 기억이 있습니다.(KSC는 슬라이드 후퇴시킨 상태에서 단연발 전환을 조작해야 오토시어 엉킴으로 인한 작동불량과 파츠 마모를 줄일 수 있었습니다.) 마루이 G18C는 G22 발매 이후 예고도 없이 한 차례 개수가 진행되었는데, 슬라이드 스톱 보강노치 변경(종래 봉 삽입형태에서 G34부터 사용을 시작한 T형 캐스트 파츠로 변경)과 약간 더 강화된 헤머로터 탑재, 살이 두꺼워진 트리거 바 탑재 정도가 눈에 보입니다만, 슬라이드 전면부 보강은 역시나.. 진행하지 않았습니다. 국내에서도 신난다고 풀오토로만 갖고 놀다가 슬라이드 깨먹는 경우가 근근히 발생합니다. 두 번째로 약한 부분은 헤머로터 부분으로, 초창기 은색 알미늄 절삭로터는 장기간 사용 시 앞단 부리부분이 피로누적으로 뚝- 끊어져 날아가거나 로터를 잡아주는 헤머 돌기의 파손이 잦았고, 개선된 착색로터는 솔직히.. 미세하게 살이 굵어진것과 착색된거 말고는 큰 개선점은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게이머 등 총의 사용빈도가 높은 유저들에게는 옵션 스틸로터와 스틸헤머 교체가 권장되는 부분이지요.
역시나 기화율이 좋은 글록 탄창이다 보니.... 작동성 하나는 끝내 주네요. 전에 사용했던 기억을 되짚어 보면... 슬라이드가 깨지기 전에 해머 롤러와 로딩노즐 케이스의 마모가 더 빨리 왔던 걸로 기억헙니다. 시어도 좀 닳아서 단발에서 연사가 되는 기이한 일이... ㅎㅎㅎ 옵션을 교체하면 해결 되긴 하는데... 개인적으로 핸드건 풀오토는 별로 않조아해요. 잔고장이 많고... 일단 가스값이....ㅠ.,ㅠ
한때 기관권총=KSC M93R 하던걸 단번에 끝내 버린 총이네요 ^^ 그러고 보니 서울의 전쟁기념관에 글록18C 초기형 ( ruclips.net/video/pLxPvVrMAuo/видео.html 영상에서 오른쪽분이 들고 계신총)을 소장하고 있어서 신기 하더군요.. 슬라이드위쪽에 뚫리지 않은 대신 총열이 연장되서 M93R 처럼 총열에 컴펜셰이터가 있는 구조더군요.
사실, 영상에서 G18 Gen.1 들고 있는 안경 쓴 사람이 접니다. 허허^^ 저도 한국에서 18 Gen.1을 보게 될 진 상상도 못했었습니다. 초기 G18의 3포트 바렐은 홀스터 사용 시 불편하다는 문제가 지적되어, Gen.2부터는 점차 폐기된 형태입니다. 이후 Gen.3부터는 슬라이드 상부에 아무 커팅도 되지 않은 종래의 18, 라이트웨잇 홀과 컴펜세이터 키홀을 뚫고 슬라이드 인입식 4포트 홀가공이 된 바렐을 탑재한 18C가 비로소 등장하게 되었죠..
@@ychoi9355 헛;; 그러시군요;; 이런 우연이 ㅜㅜ 초기형 디자인을 보고 아무래도 M93R의 영향을 받지 않았나 싶었습니다. 글록쪽은 최대한 기본형과 사용성에서 차이를 줄이려고 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그런 면에서 역시나 그런 툭 튀어 나온 컨펜셰이터형 바렐은 아무래도 거추장스럽겠죠; 두총의 지향하는 바가 달랐던거 같기도 합니다; 모르고 있었던내용이었는데 상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Travel_over_sea 두 총이 지향했던 노선은 오히려 같았습니다. 93R과 글록 18 모두 한국의 경찰특공대 정도로 볼 수 있는 조직인 카라비니에리(이탈리아 ), EKO 코브라(오스트리아)에서 개발의뢰를 먼저 요청한 맥락과 주 사용목적 역시 동일했지요. 초기 G18의 포트 바렐은 93R의 영향을 받았다기 보단, 당시 사격경기용으로 제작한 G17L 중 6.1인치 총열에 동일한 형태로 포트를 절삭한 G17LC 모델의 총열이 모태가 되었습니다. 홀스터 사용 시 휴대성문제는 당시 유럽 내 경찰조직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하단이 막힌 가죽홀스터 사용에서 기인했던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탈리이도 예외는 아니어서, 93R이 휴대안전성이 떨어졌던 것도 있었지만 홀스터 사용이 매우 불편하단 문제가 많이 지적되었고, 차라리 기관단총인 PM12S-2 휴대가 더 낫다고 판단하여 지금까지도 PM12S-2를 사용하는 모습을 심심찮게 볼 수 있습니다.
오토로 쏠때 슬라이드 뒷부분이랑 슬라이드 윗부분에 가스 나오는거 겁나 멋지네요 ㄷㄷ
항상 리뷰하는 총보면 제가 좋아하는거에요
어제저녁에 결국 못참고
마루이 글록 18C
CAA RONI Pistol-Carbine Conversion Kit
이렇게 지름신이 강림 해부렀네요
완전 초보 입문자 인데 구독 했습니다^^ 많은정보 짱!!
연사 속이 다 시원하네요
내구도를 소모 하면서 쏴대는 느낌이라
다음 영상이 기다려 집니다
목숨을 깎아서 쏟아내는 비비탄들 ㅋㅋㅋ
그런 느낌이죠 ㅋㅋ
야호! 다음 영상에선 작살나버리는 슬라이드를 보겠네요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멋집니다
보는순간 우와 소리가 절로 나오네요 ㅋㅋㅋㅋ 분당 1200발이라니 ㄷㄷㄷㄷ
혹시 18c는 셀렉터 때문에 도트사이트 장착 못하나요..?
어 웅짱님 이런것도 하셨네요
12:25 풀오토 한탄창 정말 감사합니다! 전동건때 아쉬웟던 부분을 속시원하게!
다음영상 탄창수보니까 벌써 기대가됩니다.
진짜 지릴 뻔 했음요
제가 저번에 부탁드렸었죠!
감사합니다!
저야말로 리퀘스트 감사합니다! ^^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글록18C 어느 회사 제품이 좋을까요? 추천좀 부탁드려요!!
저도 구매고민중인데 내구성이 어떤편인지 궁금합니다.. 집에서 타겟팅하려구요.
아 오랫동안 묵혔던 ksc제 등록을 18c를 꺼내서 손질해 줘야 겠네요
파워가스만 넣으신건가요?
vfc글록 42도 리뷰해주세요
가장 작은 글록이라고 하더라구요
리퀘스트 감사합니다!!
그런데.. 여긴 일본이라 VFC제 핸드건을 다룰 수가 없네요;;;
(일본은 메탈재질 핸드건은 불법입니다)
이야 역시 해피스틱으로 느끼는 트리거해피~~ 다음주 기대되네요~~
제가 잘 아는 총이 나왔네요. ^^
간단 이력을 음슴체로 풀어보자면,
영화에서처럼 쌍권으로 지랄을 좀 떨어볼까 해서 2자루를 한방에 지름.
근데 탄속이 약해서 그린가스를 좀 넣고 쏘니...2자루가 동시에 슬라이드 앞면 가장자리 네모선 따라 금이 가버림.
둘다 메탈 슬라이드로 교체.
근데 무거워지니 리턴 스프링이 슬라이드를 앞으로 신속하게 잘 못 밀어줘서 연사속도가 안나옴. (여기서 멈춰야했음...)
리턴 스프링 교체. 그랬더니 뒤로 후퇴가 힘겨워져서 여전히 연사속도가 안나옴.
그래서 레드가스 넣었더니, 격발이 안됨.
헤머스프링 교체. 격발됨. 탄속 맘에 듬.
그런데, 얼마안가 진동을 견디지 못하고 안전장치 핀이 자꾸 뒤로 자동 후퇴. 격발불능, 둘다 핀 제거.
헤머 부러짐.
헤머 교체.
헤머하우징 금감. 아직 안고친와중에 VFC 18C 나옴.
멘붕...
결론. 마루이 18c 는 집탄, 탄속 이런거에 집착 말고, 그냥 노말 가스로 뿌리는 재미로 쏴야하는 총.
업그레이드 하려다간 돌아오지 못할 강을 건너는 수가.
아.... ㅠㅠ ㅋㅋㅋㅋㅋㅋㅋ
정말 찐 정보 감사합니다 ㅠㅠ
예전에 마루이 18C 슬라이드 교체의뢰 받아서 진행하다가 엄지손톱 하나 부러진 기억이 떠오릅니다.. 연사 시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해, 마루이 18C 플라슬라이드는 자사 단발글록 시리즈들에 비해 두껍고 탄성도 거의 없게 사출하여 로딩노즐 조립체 분해할 때 가장 애먹죠..ㅜㅜ 거의 슬라이드를 찢어버릴 생각으로 힘을 줘야 겨우 조립체 탈거가 가능하지요. 자사 파이브세븐도 슬라이드 두께때문에 가더파츠 교체 시 애먹었는데, 18C 슬라이드는 가히 원탑이었습니다.
혹시 슬라이드깨지면 총수리못받나여??
메탈 슬라이드로 바꾸고 더 바꿀만한게 없을까요?
비비탄 분사기 너무 재밌어보이네여 ㅋㅋ
오우.. 다음 영상이 기대되는군요 18C 커스텀 하시는 영상도 보고싶네요 ㅎㅎ.
Sai 아니면 tarran tactical 으로 커스텀 해주세요
저도 그러고 싶은데...
그런 커스텀 슬라이드가 대부분 메탈 재질이네요 ㅠㅠㅠ
여긴 일본이라.... 쩝;;
혹시 롱탄창 기본 제공인가요?
아닙니다 별도 구매입니다 ^^
역시 믿고쓰는 마루이군요 가끔은 그렇지만...
살려고 하는데 ㅠㅠ 구매방법을 잘 모르겠어요 ㅠㅠ 어떡하쥬
오 해피스틱이 50발로 나오는군요 ㅎㅎ 저는 30발 짜리로 가지고 있습니다 ㅋㅋ 풀오토 글록이 넘나 굿!!
역시 실총튜버 맨케이브님~~~!! ㅋㅋ
@@MILI-STA 요즘 채널떡상중이시던데 부럽습니다!!^^ 더 번창하셔서 저도 좀..ㅋㅋ
저기 혹시 마루이 글록18을 구매해서 도트사이트를 달고싶은데 마운트(레일)은 뭐라쳐야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글쎄요;; 저는 한국에서 구매를 해 본 적이 없어 잘 모르겠습니다만
일본에서 구매시엔 '마운트 베이스' 라고 쳐서 검색을 하곤 합니다 ^^
2010년 이전까지 버그도 많았고, 파손도 잦았지만 당시 유일한 가스블로우백 모델이란 이유로 스테디 셀러였던 KSC G18C 가스블로우백 제품이 마루이 G18C 등장과 함께 판매고가 급격히 하락하게 되었죠. 허허^^ 개인적으로는 슬라이드 전진된 상태에서도 셀릭터를 그냥 단발에서 연발로 돌릴 수 있다는 점 하나만으로도 마루이 제품에 감격했던 기억이 있습니다.(KSC는 슬라이드 후퇴시킨 상태에서 단연발 전환을 조작해야 오토시어 엉킴으로 인한 작동불량과 파츠 마모를 줄일 수 있었습니다.)
마루이 G18C는 G22 발매 이후 예고도 없이 한 차례 개수가 진행되었는데, 슬라이드 스톱 보강노치 변경(종래 봉 삽입형태에서 G34부터 사용을 시작한 T형 캐스트 파츠로 변경)과 약간 더 강화된 헤머로터 탑재, 살이 두꺼워진 트리거 바 탑재 정도가 눈에 보입니다만, 슬라이드 전면부 보강은 역시나.. 진행하지 않았습니다. 국내에서도 신난다고 풀오토로만 갖고 놀다가 슬라이드 깨먹는 경우가 근근히 발생합니다.
두 번째로 약한 부분은 헤머로터 부분으로, 초창기 은색 알미늄 절삭로터는 장기간 사용 시 앞단 부리부분이 피로누적으로 뚝- 끊어져 날아가거나 로터를 잡아주는 헤머 돌기의 파손이 잦았고, 개선된 착색로터는 솔직히.. 미세하게 살이 굵어진것과 착색된거 말고는 큰 개선점은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게이머 등 총의 사용빈도가 높은 유저들에게는 옵션 스틸로터와 스틸헤머 교체가 권장되는 부분이지요.
드디어 Y Choi님의 정체(?)를 ㅋ
알게 되었네요 ㅋㅋ ^^
글록18 1세대 영상 잘 봤습니다^^
역시 전문가님이셨어!! ㅋㅋ
언제나 좋은 정보 댓글 감사합니다!!
이제 로니킷도 사셔야죠 ^^
롱탄창 풀오토도 속도저하 없이
끝까지 완벽하게 뽑아내는 작동성이 엄청나군요..
VFC랑 WE꺼는 풀오토 작동이 영...
슬라이드가 플라여서 ㅋㅋ
@@김은익-f3m 메슬로 튜닝해도 작동성 똑같아요. 마루이 승.
벱시 위 는 내구성, 집탄, 기화력,연비에서 마루이 못따라 오죠. 마루이는 한번충전으로 2탄창 이상 비우죠. 탄창 디자인 내구성만봐도 마루이 승.
글록17과 18중 뭐가 더 매력있나요?ㅎ
저 개인적인 의견을 물으시는 거라면
전 글록18C가 아무래도 더 매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
권총 사이즈로 풀오토를 갈길 수 있는 총이 흔하진 않죠!! ㅋ
@@MILI-STA 감사합니다 ㅎ
글록 17gen4랑 글록18c 중에 고민중인데 뭐가더 좋을까요?
둘다 써본 입장에선 17 추천드립니다
반동 블로우백 모두 차이도 나고 18은 연사가 의외로 금방 질려요
17이죠
어짜피 서바이벌을 할건아니라 연사할일을 딱히 없긴한데 옵션차이가 있어서요 답변갑사합니다.
제가말한옵션은 연사였습니다 ㅎㅎ
글록17gen으로 ㄱㄱ
한국에서도 쉽게 구할수 있나요
죄송해요; 제가 한국 사정에는 문외한이어서;;;;
마이크로 로니킷 장착한 모습 기대해봅니다
얘도 gen4 빨리 나옴 좋겠네요 17이나 19에 비해 반동이 약해..
글록18C의 실총 자체가 Gen4가 없기 때문에
아마 힘들지 않을까 싶네요;;;; ㅠ
여러분 저 글록살껀데 탄색살까요? 블랙살까요?
와~~~비행기 시간으로 시간 반이면 가는 거리인데 똑같은 18C가 한국에서는 가격이 두배 이상이네요~하아...
소개해주시는 에솦들 마다 한국 가격 생각하면 일본에서는 두 정씩 살 수 있네요~~~ㅎㅎㅎ
저도 글록18c 하나쯤 갖고싶은데 VFC는 내구성이 문제고 WE는 각인이 문제고 마루이는 돈이 문제네요 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
마루이는 국건발 사악한 프리미엄 때문에 비싸지 직구하면 대만제 제품과 비교해서 큰 차이 안나요😅
웅짱 때문에 콜드1911a1질러버렸네 감성건 1911
오오~~ 좋은 총 구입하셨네요 ^^
이것은!!! 기관권총???
영어로 머신 피스톨로 분류가 되니
기관권총 맞네요!! ㅋㅋㅋ ^^
입문자가 첫 가스권총으로 쓰기 괜찮나요
나.흥분한.다른영상을 원하는.
와우.
일본에서태어나야했는데한국에서태어난웅장
구매 출처 알수있을까요?
한국에서 판매하는 곳이 있을까요??
연사력도 만점...그립감도 말을 못하죠,,,
쌍글록 하다가 탄떨어져서 오지게 맞았던 기억이;;;
🙂👏👏
역시나 기화율이 좋은 글록 탄창이다 보니.... 작동성 하나는 끝내 주네요.
전에 사용했던 기억을 되짚어 보면... 슬라이드가 깨지기 전에 해머 롤러와 로딩노즐 케이스의 마모가 더 빨리 왔던 걸로 기억헙니다.
시어도 좀 닳아서 단발에서 연사가 되는 기이한 일이... ㅎㅎㅎ 옵션을 교체하면 해결 되긴 하는데...
개인적으로 핸드건 풀오토는 별로 않조아해요. 잔고장이 많고...
일단 가스값이....ㅠ.,ㅠ
오오~ 반동 매니아분께서 핸드건 반동은 또 별로 안 좋아라 하시는군요;; ㅋㅋ
네.... 그렇죠;; 가스값이.... ㅠㅠ ㅋㅋ
@@MILI-STA 아무래도 자동 기계다 보니 고장율이 걱정 되겠지요? 실린더 직경은 글록19와 같이 15밀리 인지요?
한국이2배비싸네요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도대체 국내 마진폭이 얼마인지 ... 너무들 하신거 같네요
수입제반비용, 검사비용을 고려하더라도 심하네요.
그래도 이번엔 19, 17 나왔고 18차례이니 신형 모델은 기다려 지네요 ^^;
실총으로 18은 Gen4가 없는 모델이라
신형으로 나올지 의문이긴 하네요 ㅠㅠ
한때 기관권총=KSC M93R 하던걸 단번에 끝내 버린 총이네요 ^^
그러고 보니 서울의 전쟁기념관에 글록18C 초기형 ( ruclips.net/video/pLxPvVrMAuo/видео.html 영상에서 오른쪽분이 들고 계신총)을 소장하고 있어서
신기 하더군요.. 슬라이드위쪽에 뚫리지 않은 대신 총열이 연장되서 M93R 처럼 총열에 컴펜셰이터가 있는 구조더군요.
일본의 유명 에어소프트건 유튜버가
얼마전 그 글록18C의 초기형을 모델업한 옛날 에어소프트건을 리뷰하길래
그거보고 저도 외형을 알게 되었네요 ^^ ㅋ
@@MILI-STA 오 에어건으로도 나왔었군요;;
몰랐네요;
사실, 영상에서 G18 Gen.1 들고 있는 안경 쓴 사람이 접니다. 허허^^ 저도 한국에서 18 Gen.1을 보게 될 진 상상도 못했었습니다. 초기 G18의 3포트 바렐은 홀스터 사용 시 불편하다는 문제가 지적되어, Gen.2부터는 점차 폐기된 형태입니다. 이후 Gen.3부터는 슬라이드 상부에 아무 커팅도 되지 않은 종래의 18, 라이트웨잇 홀과 컴펜세이터 키홀을 뚫고 슬라이드 인입식 4포트 홀가공이 된 바렐을 탑재한 18C가 비로소 등장하게 되었죠..
@@ychoi9355 헛;; 그러시군요;; 이런 우연이 ㅜㅜ
초기형 디자인을 보고 아무래도 M93R의 영향을 받지 않았나 싶었습니다.
글록쪽은 최대한 기본형과 사용성에서 차이를 줄이려고 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그런 면에서 역시나 그런 툭 튀어 나온 컨펜셰이터형 바렐은
아무래도 거추장스럽겠죠; 두총의 지향하는 바가 달랐던거 같기도 합니다;
모르고 있었던내용이었는데 상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Travel_over_sea 두 총이 지향했던 노선은 오히려 같았습니다. 93R과 글록 18 모두 한국의 경찰특공대 정도로 볼 수 있는 조직인 카라비니에리(이탈리아 ), EKO 코브라(오스트리아)에서 개발의뢰를 먼저 요청한 맥락과 주 사용목적 역시 동일했지요.
초기 G18의 포트 바렐은 93R의 영향을 받았다기 보단, 당시 사격경기용으로 제작한 G17L 중 6.1인치 총열에 동일한 형태로 포트를 절삭한 G17LC 모델의 총열이 모태가 되었습니다.
홀스터 사용 시 휴대성문제는 당시 유럽 내 경찰조직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하단이 막힌 가죽홀스터 사용에서 기인했던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탈리이도 예외는 아니어서, 93R이 휴대안전성이 떨어졌던 것도 있었지만 홀스터 사용이 매우 불편하단 문제가 많이 지적되었고, 차라리 기관단총인 PM12S-2 휴대가 더 낫다고 판단하여 지금까지도 PM12S-2를 사용하는 모습을 심심찮게 볼 수 있습니다.
칼라파츠는팬건가요?
이거 구매 링크 있나요?
naver.me/Gpe7yht4
이거 쓸수있나요?
이.총어디서.본듯.
영화.아저씨에서.원이.쏘는걸.보았음
총을구입한걸.보니.
일본에서.사시는.분이시군요.
총뿐아니라.일본도.진가검도.있을듯
마루이 집탄성능은 너무좋은데 손맛이 약하고
파워가스 사용하면 내구성 꽝이구요
손맛을 선택해서 VFC,WE를 선택하면 집탄 성능이 떨어지구요 손맛은 좋구요
참 다합쳐놓으면 최고인데요 욕심이죠^^ㅎㅎ
웅짱님 항상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런 총이 나오면 정말 에어소프트건 시장 석권할텐데 말이죠;;; ㅠ ㅋ
칼라파트 왜 없죠?😅
일본 내수용이라 없다네요 아마 일본에 사시나 봐요
가스건중에 5만원 이하인거 없나
글록은 17이 났나요 18이 났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