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5의 콘텐츠 심장 C스페이스를 특별히 방문했어요. AI로 어떻게 콘텐츠를 만들까. 미디어전문 한정훈 기자.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CES 2025의 콘텐츠 심장 C스페이스를 특별히 방문했어요. AI로 어떻게 콘텐츠를 만들까. 미디어전문 한정훈 기자.
    #케이엔터테크 #ces2025 #C스페이스 #CSPACE #kentech #한정훈 #한정훈기자 #훈픽처스
    kentertechhub....
    This is C Space, which can be seen as the heart of content within CES, where content takes center stage.
    여기는 CES에서 콘텐츠가 주로 중심이 되는, 어떻게 보면 콘텐츠의 심장 같은 곳인데요. C 스페이스라는 곳입니다.
    So, this place is not about companies and studios physically occupying space for exhibitions but rather a venue for networking and business meetings.
    그래서 이곳은 콘텐츠 기업들, 스튜디오들이 물리적인 공간을 차지해서 전시회를 하는 것보다, 네트워킹하고 주로 비즈니스 미팅을 하는 곳인데요.
    For content business professionals, it's an essential location because many important events and seminars are held here.
    근데 사실 콘텐츠 사업자분들한테는 빠질 수 없는 장소이긴 하죠. 왜냐하면 여기서 중요한 행사들 그리고 중요한 세미나들이 많이 열리고 있어가지고요.
    Looking at this year's trends, the key question is ultimately how to make money with content.
    그리고 올해 쭉 보시면 올해 가장 트렌드는 결국에는 콘텐츠로 어떻게 돈을 버느냐, 이 문제인데요.
    That’s why many advertising companies are present, like Group M behind me, Instacart next to it, and Amazon Ads, which has been a constant presence since last year.
    그래서 광고업체들이 상당히 많이 나와 있어요. 뒤에 보면 Group M이라든지, 옆에 보면 Instacart라든지, 그리고 옆에 지난해부터 계속 자리 잡고 있는 Amazon Ads.
    Amazon, in particular, is focusing on how to sell ads using their platform and Amazon Prime, which is why they are here.
    아마존은 결국에는 자기 플랫폼 그리고 아마존 프라임을 가지고 광고를 어떻게 파느냐 이런 것들을 많이 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 왔습니다.
    While walking around here, you’ll notice many people holding signs, indicating their meeting locations.
    그리고 여기 돌아다니다 보면 미팅을 하려는 그런 분들이 많으신데, 이렇게 팻말을 들고 다니시는 분 많으세요.
    You follow those signs to your meeting spot-companies like Samsung and LG are doing the same.
    팻말을 보시고 그 미팅 장소를 따라가는 거거든요. 삼성, LG도 그렇고.
    One of the major features this year is that there were two big events here: “Digital Hollywood” and the “Variety Entertainment Tech Summit.”
    올해 특징을 말씀드리면, 올해가 여기 있는 큰 행사가 두 개가 있었습니다. 디지털 할리우드라는 것도 있고 버라이어티 엔터테크 서밋이라고 있었는데요.
    "Hollywood Revolution: From AI & AR to Streaming" is an offline event exploring the innovative transformations in the media, entertainment, and technology industries.
    “Variety EnterTech Summit” : A seminar on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streaming technology on the entertainment industry.
    Both events heavily discussed how to use AI in services and content creation.
    이 두 개 모두 다가 AI를 어떻게 서비스에 활용할 것인지, 그리고 AI를 콘텐츠 제작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이런 것들을 많이 논의를 했거든요.
    People are most interested in understanding how to make their content better or how to earn more money using AI, as they already recognize its importance.
    사람들이 제일 관심 있는 게 결국에는 AI를 다 쓴다는 걸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AI가 중요한 걸 알고 있는데, 그러면 이 AI를 이용해서 내 콘텐츠가 얼마나 더 좋아질 건지 혹은 어떻게 돈을 벌 건지 이런 것들에 대해서 관심이 아주 많습니다.
    These lectures attracted large crowds, and after attending, participants actively exchanged business cards, asking how others were using AI.
    그래서 뭐 사람들은 또 그런 강의에 아주 많이 몰렸고요. 그리고 이 강의를 듣고 나서도 서로 이렇게 계속 명함을 주고받으면서, 당신들은 AI를 어떻게 사용하느냐 이런 것들을 많이 질문했던 그런 시기고요.
    Last year, there was a small exhibition in front of the C Space, but this year, they entirely shifted the focus to pure networking events.
    사실 작년까지만 해도 C 스페이스 공간 앞에 작은 전시회가 있었는데, 올해는 지금 전시를 아예 하지 않고 그냥 순수하게 네트워크 이벤트 받는 쪽으로 많이 바뀌었습니다.
    This year, it feels much livelier than last year, with a stronger emphasis on digital content.
    그런데 작년보다 훨씬 더 많이 활기차졌고요. 그리고 조금 더 디지털 콘텐츠에 집중하는 모습.
    In the past, legacy media used to dominate, but now it’s becoming more of an event focused on data.
    과거에는 레거시 미디어들이 많았거든요. 데이터에 좀 집중하는 그런 행사가 되고 있습니다.
    Director Namhoon Kim
    Studio Hoonpictures Presents
    Support by Kentertechhub

Комментари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