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인 단로기는 무부하 상태에서만 차단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피뢰기에 달려있는 단로 장치(Disconnect Switch)는 피뢰기에 이상전압이 침입해서 대지로 방전이 시작되고 속류가 계속 흐르게 되면 지락사고가 되므로 속류를 차단하기 위해서 동작됩니다. Disconnector 내부 구조는 저항 코일과 폭약 성분의 Element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뢰기 내부에서 이상전압을 충분히 차단하는 경우는 동작하지 않지만 만약 내부 특성요소의 문제로 이상전압에 의한 지락전류가 지속되면 저항코일의 열화로 폭약성분의 Element가 폭발하면서 피뢰기와 대지간의 연결을 차단하게 됩니다. 피뢰기 내부 특성요소 및 캡에 의해서 발생하는 적은 누설전류에는 동작하지 않지만 큰 누설전류에는 저항코일 열화로 동작될수도 있습니다. 피뢰기가 열화 되거나 주변 환경의 수분 및 철도 운행 시 발생되는 쇳가루 등으로 누설 전류가 증가하면서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 피뢰기가 파손되며, 누설전류가 일정 값 이상이 되면 피뢰기를 전력계통에서 분리하여 지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치가 단로 장치입니다. 감사합니다. 김세용 배상.
문의드립니다 단로스위치는 상시 누설전류에 의해 분리되는거 아닌가요?
피뢰기는 다중뢰에도 동작해야 하는데 그냥 전격에 분리되면 안될거 같아서요 공부하다보니 여기저기 다르게 표현되어 있어 잘모르겠기에 문의드립니다 항상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반적인 단로기는 무부하 상태에서만 차단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피뢰기에 달려있는 단로 장치(Disconnect Switch)는 피뢰기에 이상전압이 침입해서 대지로 방전이 시작되고 속류가 계속 흐르게 되면 지락사고가 되므로 속류를 차단하기 위해서 동작됩니다.
Disconnector 내부 구조는 저항 코일과 폭약 성분의 Element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뢰기 내부에서 이상전압을 충분히 차단하는 경우는 동작하지 않지만 만약 내부 특성요소의 문제로 이상전압에 의한 지락전류가 지속되면 저항코일의 열화로 폭약성분의 Element가 폭발하면서 피뢰기와 대지간의 연결을 차단하게 됩니다.
피뢰기 내부 특성요소 및 캡에 의해서 발생하는 적은 누설전류에는 동작하지 않지만 큰 누설전류에는 저항코일 열화로 동작될수도 있습니다.
피뢰기가 열화 되거나 주변 환경의 수분 및 철도 운행 시 발생되는 쇳가루 등으로 누설 전류가 증가하면서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 피뢰기가 파손되며,
누설전류가 일정 값 이상이 되면 피뢰기를 전력계통에서 분리하여 지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치가 단로 장치입니다.
감사합니다.
김세용 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