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하신대로 모터에서 중요한것은 출력입니다. 출력은 W 표현합니다. W=전압*전류 인데... 전압이 중요하지 않다는 말씀에는 동의하기가 어렵네요. 물론 전압이 낮더라도 전류를 높게 하면 같은 출력이 나올수 있지만 베터리의 무게,부피, 용량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제조사는 같은 출력을 내면서 가장 효율적인 전압과 전류를 사용게 됩니다. 전압이 전류 손실을 방지한다는 것은 고압송전에서 효율을 위해 사용하는 개념이지 저압의 모터에 적용할 개념은 아닌듯합니다. 말씀하신 내용이 완전 틀린 내용은 아니지만 너무 극단적으로 왜곡하신듯합니다.
충전용으로 엔진예초기급으로 사용하고 싶으시면
마끼다.허스크바나.이고프로정도에 베터리 포함 100이상은
쓰셔야 돈값합니다 일본에서는 마끼다 예초기 40cc급까지 출시가 됐구요
그러게요..전기예초기 보조금이 나오지 않는 이상 접근하기 어려운 가격이네요..
같은제품, 나일론 2.4미리 배터리 2개로 이번에 봉분 5개 밀었습니다. 사용시간이 짧지만 토크가 좋아서 빠르게 밀면 가능합니다.
와우~ 봉분5개에 주변 정리까지 할려면 면적이 꽤 될텐데. 숙련이 잘 되셨나봅니다. 요제품은 시간 감안하여 계획성있게 밀어야 한다는걸 저도 이번에 깨달았습니다.세월아~내월아~ 하다간 금방 베터리 끝나더라구요.^^
@@HUNGRYFAC 맞습니다. 빠르게 치고 나가야 하고 RPM 조정도 예민하게 해줘야 합니다.
그러게요 모든 장비가 그렇듯이 사용자의 숙련도가 큰 영향을 끼치는것 같습니다.
와 ~
쇠날도 아니고 나이론 날인데
밧데리 2개로 5봉분을 벌초하셨다면 대단하십니다
저도 이 예초기로 봄부터 가을까지 과수원에서 거짐 주마다 한번은 사용하고 있습니다
숙련도도 나름 뒤떨어지는 정도가 아니구요 ~
벌초도 밧데리 만충전일때
약 10분정도는 토크가 지데로 나와서 할만한데 밧데리가 약해질수록 토크도 떨어져서 밧데리 2개로 1개 봉분도 지데로 못해봤습니다
어떻게 하시면 5봉분이나 할수가있는지 정말 궁금합니다
@@사또전설 충전공구 효율은 배터리와 모터 열관리 입니다. 구형 아반떼로 연비 20넘게 찍는 분들과 비슷한 원리입니다.
작동시간이 아쉬운거 같지만
성능은 보기에
강력한것 같아보이네요
네~ 성능은 생각보다 좋더라구요....다음에는 작동레버 절반 정도의 파워로 평지 잔디위주로 최대사용시간을 갱신해 보려고 합니다.
전압보디 중요한 모터의 출력..
21이던 42던
모터의 출력이 얼마인지에 따라
절삭력이 달라집니다
전압은 전류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함일뿐
말씀하신대로 모터에서 중요한것은 출력입니다.
출력은 W 표현합니다.
W=전압*전류 인데...
전압이 중요하지 않다는 말씀에는 동의하기가 어렵네요.
물론 전압이 낮더라도 전류를 높게 하면 같은 출력이 나올수 있지만 베터리의 무게,부피, 용량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제조사는 같은 출력을 내면서 가장 효율적인 전압과 전류를 사용게 됩니다.
전압이 전류 손실을 방지한다는 것은 고압송전에서 효율을 위해 사용하는 개념이지 저압의 모터에 적용할 개념은 아닌듯합니다.
말씀하신 내용이 완전 틀린 내용은 아니지만 너무 극단적으로 왜곡하신듯합니다.
그린웍스40v의 치명적인 단점
모터결합부위가 볼트 하나를 대에
구멍을 뚫어서 결합을 유지하니깐
홈이 헐거워지면
노답... 대를 바꿔야되더라고요
빡쎈 현장에서 쓰기엔 여러모로 무리가 있긴합니다..
모터가 앞에 달린 전동예초기 몇번 쓰면 진동 심해서 못씁니다.
올해도 벌초해보았는데 메인으로 쓰기는 좀 아쉽고 비석 주변이나 봉분같이 가볍게 칠만한곳에 투입하면 쓸만합니다.
ㅎㅎㅎ 30분컷입니다.
5상구 친다면 최소 배터리4개이상 있어야됨
아...베터리 기술의 한계 때문에 아직까지 메인으로 사용하기는 좀 그렇네요...베터리 가격이 좀 낮아져야할텐데...이거 뭐 본체 가격수준이라서...ㅎㅎㅎ